KR20210047217A -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 Google Patents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217A
KR20210047217A KR1020190164053A KR20190164053A KR20210047217A KR 20210047217 A KR20210047217 A KR 20210047217A KR 1020190164053 A KR1020190164053 A KR 1020190164053A KR 20190164053 A KR20190164053 A KR 20190164053A KR 20210047217 A KR20210047217 A KR 20210047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ain body
self
disposed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308B1 (ko
Inventor
김혁
서귀동
Original Assignee
산양공영 주식회사
혁성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양공영 주식회사, 혁성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양공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4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로서,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를 둘러싸고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메인 바디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와 구동 연결되는 복수의 바퀴부,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주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SELF-PROPELLED PIPELINE REPAI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관, 가스관 등의 관거(管渠, pipeline)는 시간이 경과되거나,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내벽에 균열 및 이음부 이탈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수자원 낭비,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신속한 보수 공사를 위해 관거 보수 장치(예를 들어, 패커(packer))를 이용하여 하수관의 부분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굴착식 보수 공법(trenchless technology)이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100)는 매설관(200)의 손상 부분(210)을 보수하는 패커(packer)(110), 패커(110)와 매설관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자유 바퀴(120) 및 패커(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끈(130, 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100)는, 그 양단부에 걸림부를 가지며, 그 걸림부에 좌우 한 쌍의 위의 이동끈(130, 140)이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이동끈(130, 140)은 그 일단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1, 141)를 가지고, 그 타단에 패커(110)의 각 걸림부(미도시됨)에 결합되는 걸림 고리를 가진다.
위와 같은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100)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각 이동끈(130, 140)의 걸림 고리를 패커(110)의 양단부에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각 이동끈(131, 141)을 좌우 양방향으로 적절히 당김으로써, 패커(1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매설관(200)의 손상 부분(210)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조절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100)에 의하면, 위와 같은 이동끈(130, 140)을 당기는 과정에서 다수의 인력이 요구되거나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동끈(131, 141)을 당기는 과정에서 이동끈(130, 140)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패커(110)의 정교한 움직임 조절을 위하여 작업자가 관거 내 매설된 위치로 직접 내려가야 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성과 관거 보수 작업의 일률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관거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 수단을 구비한 신규하고도 진보된 관거 보수 장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89837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 수단을 갖는 관거 보수 장치가 관거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거 보수 장치에 연결되는 바퀴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거 보수 장치를 보수 대상 관거와 인접한 곳으로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거나(예를 들어, 관거 보수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 보수 대상 관거의 유형(예를 들어, 관거 직경, 재질 등)에 부합되는 바퀴로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거 보수 장치의 동력 수단이 방수 처리되어 있어 습윤 상태에서도 관거 보수 장치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로서,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를 둘러싸고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메인 바디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와 구동 연결되는 복수의 바퀴부,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주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른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 수단을 갖는 관거 보수 장치가 관거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거 보수 장치에 연결되는 바퀴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거 보수 장치를 보수 대상 관거와 인접한 곳으로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거나(예를 들어, 관거 보수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 보수 대상 관거의 유형(예를 들어, 관거 직경, 재질 등)에 부합되는 바퀴로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거 보수 장치의 동력 수단이 방수 처리되어 있어 습윤 상태에서도 관거 보수 장치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로부터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거 보수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로부터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는 메인 바디(210), 샤프트(220), 복수의 바퀴부(230), 동력 발생부(240) 및 컨트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210)는 원통형 본체(211) 및 커버(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바디(210)는 종래의 관거 보수를 위한 에어 패커(packer)의 특성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에어 패커는 비굴착식 보수 공법(trenchless technology)에 이용되는 패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210)의 원통형 본체(211)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원통형 본체(211)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 중심에서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 형태의 지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원통형 본체(211)의 재질은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21)는 위의 원통형 본체(2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디(210)의 커버(21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그 외주면에는 관거 보수를 위한 소정의 보수재(미도시됨, 예를 들어, 몰탈)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커버(212)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게 되면, 위의 커버(212) 외주면이 관거 내 손상 부위에 압착되어 보수재가 주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바디(210)는 위의 커버(212)에 주입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커버(212)의 팽창 및 수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214)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 주입구(214)와 연결되는 연결관(미도시됨)을 통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210)는 커버(212)의 외주면을 덮는 제1 위치와, 보수하고자 하는 위치로 메인 바디(210)가 도달 시 보수 작업을 위해 위의 커버(212)의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메인 바디(210)로부터 이탈되는(또는 슬라이딩) 위치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지지판(미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220)는 메인 바디(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후술할 복수의 바퀴부(230) 및 동력 발생부(240)에 구동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210)의 내부에는 그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샤프트 프레임(221)을 포함할 수 있고, 샤프트(220)는 위의 샤프트 프레임(221)에 의하여 메인 바디(21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 프레임(221)의 양단 각각에는 샤프트 프레임(2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구체적으로는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22)(이러한 지지부는 ㅣ자 또는 ㄱ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가 결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지지부(220)에는 샤프트(220)를 지지하기 위한 관통홀(223)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관통홀(223)에 위의 샤프트(220)가 끼워짐으로써(또는 삽입되어), 샤프트(220)가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관통홀(223)은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을 포함하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고, 그 형상의 크기는 샤프트(220)가 통과될 수 있는(즉, 그 형상 단면의 크기는 샤프트(220) 단면의 크기(또는 직경)과 유사하거나 소정 수준 이상 클 수 있다.) 크기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의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 원통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의 샤프트 프레임(221)의 양단에는 후술할 복수의 바퀴부(230)와 탈착되고 샤프트(220)와의 구동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탈착 가이드홈(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 가이드홈(224)은 앞서 살펴본 샤프트 프레임(221) 및 그 샤프트 프레임(221)의 양단에 결합되거나 형성되는 샤프트 지지부(222)로부터 샤프트 프레임(2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탈착 가이드홈(224)은 내부에 소정의 단차(224a)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바퀴부(230)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예를 들어, 원통형)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탈착 가이드홈(224)은 복수의 바퀴부(230)의 결합 시 제한된 탈착 공간을 제공하여 원활한 탈착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220)는 위의 열거된 내용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복수의 바퀴부(230) 각각에 샤프트(220)가 각각 연결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20)는 복수의 바퀴부(230) 중 메인 바디(210)의 일단에 장착되는 하나의 바퀴부(230a)와 구동 연결되는 제1 구동축(미도시됨) 및 복수의 바퀴부(230) 중 메인 바디(210)의 타단에 장착되는 다른 하나의 바퀴부(230b)와 구동 연결되는 제2 구동축(미도시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의 제1 구동축은 위의 제2 구동축과 동시에 작동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바퀴부(230)는 메인 바디(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메인 바디(210)를 지지하고 샤프트(220)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바퀴부(230, 230a, 230b)는 샤프트(2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조축(232) 및 그 보조축(232)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한 쌍의 바퀴(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의 보조축(232)과 샤프트(220)가 구동 연결됨에 따라 위의 적어도 한 쌍의 바퀴(233)(예를 들어, 이러한 바퀴는 우레탄 재질로 된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퀴부(230, 230a, 230b) 각각은, 일단에 샤프트(220)의 단부와 맞물리는 장착 기어(231a)가 배치되고, 타단에 제1 베벨 기어(231b)가 배치되는 제1 보조축(231)(예를 들어, 종래의 커플러(coupler)와 유사할 수 있다), 및 축 상에 제1 베벨 기어(231b)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232a)가 배치되고 양단에 바퀴(23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축(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프트(2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장착 기어(231a), 제1 베벨 기어(231b), 제2 베벨 기어(232a) 및 한 쌍의 바퀴(233) 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바퀴부(230, 230a, 230b) 중 하나의 바퀴부(230a)는, 일단에 샤프트(220)의 단부와 맞물리는 장착 기어(231a)가 배치되고, 타단에 제1 베벨 기어(231b)가 배치되는 제1 보조축(231), 및 축 상에 제1 베벨 기어(231b)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232a)가 배치되고, 양단에 바퀴(23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축(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바퀴부(230, 230a, 230b) 중 다른 하나의 바퀴부(230b)는, 일단에 샤프트(220)의 단부와 맞물리는 장착 기어(231a)가 배치되고, 타단에 제1 헬리컬 기어(미도시됨)가 배치되는 제1 보조축(231), 및 축 상에 제1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는 제2 헬리컬 기어(미도시됨)가 배치되고, 양단에 바퀴(23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축(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프트(2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장착 기어(231a), 제1 베벨 기어(231b), 제2 베벨 기어(232a) 및 한 쌍의 바퀴(233)와, 장착 기어(231a), 제1 헬리컬 기어, 제2 헬리컬 기어 및 다른 한 쌍의 바퀴(233) 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바퀴부(230, 230a, 230b) 각각은, 일단에 샤프트(220)의 단부와 맞물리는 장착 기어(231a)가 배치되고, 타단에 제1 헬리컬 기어(미도시됨)가 배치되는 제1 보조축(231), 및 축 상에 제1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는 제2 헬리컬 기어(미도시됨)가 배치되고, 양단에 바퀴(23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축(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프트(2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장착 기어(231a), 제1 헬리컬 기어, 제2 헬리컬 기어 및 한 쌍의 바퀴(233) 순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바퀴부(230)의 기어 유형은 위의 열거된 내용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유형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바퀴부(230)는 고정 볼트 또는 고정 핀과 같은 소정의 장착 수단(234)에 의해 메인 바디(210)에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장착 수단(234)이 해제되는 경우에 복수의 바퀴부(230)와 메인 바디(210)가 분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수단(234)이 위의 열거된 내용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끼움 결합, 스크루 결합, 핀 결합, 리벳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부(240)는 앞서 살펴본 샤프트(220)에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바퀴부(23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동력은 솔레노이드 밸브, 모터 등과 같은 전기 공압, 전기 유압 또는 전기 기계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방식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발생부(240)는 그 구동축과 샤프트(220)가 서로 나란하거나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220) 상에는 동력 발생부(240)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력 발생부(240)의 구동축 상에는 제1 베벨 기어(241)가 배치되고, 샤프트(220)의 축 상에는 제2 베벨 기어(225)가 위의 제1 베벨 기어(241)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동력 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샤프트(22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력 발생부(240)의 구동축 상에는 제1 헬리컬 기어(미도시됨)가 배치되고, 샤프트(220)의 축 상에는 제2 헬리컬 기어(미도시됨)가 위의 제1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동력 발생부(24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샤프트(220)로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력 발생부(240)와 샤프트(220) 사이의 기어 유형이 위의 열거된 내용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기어 유형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발생부(24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와 밀폐될 수 있는 방수 부재(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발생부(240)는 방수 부재를 통해 내부의 전기 권선 영역이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오염 물질이 전기 권선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동력 발생부(240)는 방수 기능을 가진 공지의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방수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250)는 동력 발생부(240)의 출력을 조절하여 메인 바디(2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발생부(240)가 모터(240)인 경우에, 컨트롤러(2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LTE 다이렉트(LTE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통해 모터(240)의 가속, 감속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메인 바디(2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제어되는 경우에, 컨트롤러(250)와 메인 바디(210)(또는 동력 발생부(240))를 연결하는 유선 통신망 라인(예를 들어, 케이블)은 메인 바디(210)의 주행 속도, 컨트롤러(250)와 메인 바디(210)(또는 동력 발생부(240))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210) 또는 동력 발생부(240)는 메인 바디(210)의 주행 속도 또는 컨트롤러(250)와 메인 바디(210)(또는 동력 발생부(2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위의 라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릴(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릴에 위의 라인이 감기거나 풀리는 속도가 조절(예를 들어, 탄성 또는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라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는 관거 내 파손 부위를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한 영상 모듈(예를 들어, 카메라) 및 감지 모듈(예를 들어,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거 보수 장치의 작동 과정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200)의 작동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바퀴부(230)가 소정의 장착 수단(234)(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메인 바디(210)에 장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50)에 의해 동력 발생부(240)로부터 동력이 인가되면, 동력 발생부(240)와 샤프트(220) 사이에 맞물리는 기어(예를 들어, 베벨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를 통해 샤프트(220)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고, 샤프트(220)와 복수의 바퀴부(230) 사이에 맞물리는 기어(예를 들어, 베벨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를 통해 복수의 바퀴부(220)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바디(210)가 주행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위의 소정의 장착 수단(234)(예를 들어, 볼트)이 메인 바디(210)로부터 제거되면, 복수의 바퀴부(230)가 메인 바디(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종래의 관거 보수 장치
200: 본 발명에 따른 관거 보수 장치
210: 메인 바디
220: 샤프트
230: 바퀴부
240: 동력 발생부
250: 컨트롤러

Claims (7)

  1.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를 둘러싸고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메인 바디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고 상기 샤프트와 구동 연결되는 복수의 바퀴부,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 및
    상기 동력 발생부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주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는, 관거 보수를 위한 보수재가 결합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커버의 팽창 및 수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가 포함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의 구동축은 상기 샤프트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의 구동축 상에 제1 베벨 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 상에 제2 베벨 기어가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상기 샤프트로 전달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바퀴부는,
    일단에 상기 샤프트의 단부와 맞물리는 장착 기어가 배치되고, 타단에 제1 베벨 기어가 배치되는 제1 보조축, 및
    축 상에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가 배치되고, 양단 각각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축을 포함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는 그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되는 샤프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프레임에는 상기 복수의 바퀴부의 탈착 시 제한된 탈착 공간을 제공하여 원활한 탈착을 유도하기 위한 탈착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KR1020190164053A 2019-10-21 2019-12-10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KR102250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64 2019-10-21
KR20190130964 2019-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217A true KR20210047217A (ko) 2021-04-29
KR102250308B1 KR102250308B1 (ko) 2021-05-11

Family

ID=7572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53A KR102250308B1 (ko) 2019-10-21 2019-12-10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3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37Y1 (ko) 2005-04-13 2005-07-14 윤용판 검도용 안면보호구 결속밴드
KR100747725B1 (ko) * 2006-12-22 2007-08-08 탑환경주식회사 가지관 보수장치
KR100758723B1 (ko) * 2006-05-30 2007-09-14 주식회사 한강개발 하수관로용 차량의 바퀴 장착구조
KR20170127161A (ko) * 2016-05-11 2017-11-21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자동 보수 로봇 장치 및 그에 의한 하수관 보수 시스템
KR101868989B1 (ko) * 2018-01-24 2018-06-19 나정환 관경 멀티형 물막이 겸용 하수관로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37Y1 (ko) 2005-04-13 2005-07-14 윤용판 검도용 안면보호구 결속밴드
KR100758723B1 (ko) * 2006-05-30 2007-09-14 주식회사 한강개발 하수관로용 차량의 바퀴 장착구조
KR100747725B1 (ko) * 2006-12-22 2007-08-08 탑환경주식회사 가지관 보수장치
KR20170127161A (ko) * 2016-05-11 2017-11-21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하수관 자동 보수 로봇 장치 및 그에 의한 하수관 보수 시스템
KR101868989B1 (ko) * 2018-01-24 2018-06-19 나정환 관경 멀티형 물막이 겸용 하수관로 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308B1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8597B1 (en) A device for gripping and handling elongated cylindrical bodies, such as pipes or the like
KR20090073405A (ko) 주행성능과 중심일체성이 향상된 배관 작업 로봇
KR101355808B1 (ko) 단축식 관로 보수기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CA26546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cables and jackets in a non-inspectable pipe
KR20060096387A (ko) Pvc 튜브를 이용한 하수관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그 공법
KR101267432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2250308B1 (ko) 자주식 관거 보수 장치
KR20170127161A (ko) 하수관 자동 보수 로봇 장치 및 그에 의한 하수관 보수 시스템
US5662432A (en) Pipe insertion machine and method
US20210129419A1 (en) Mechanized inverter for pipe liners
KR102339876B1 (ko) 맨홀내 하수관 접합부 비굴착 보수 장치 및 공법
KR100778275B1 (ko) 강관 외면 용접 로봇의 자동주행장치
KR20210030294A (ko) 상수도관 장비이동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JP2007332540A (ja) 下水管修復装置および下水管修復方法
KR100358586B1 (ko) 수밀시험과 씨씨티브이(cctv)조사를 병행하는 하수도의 비굴착에 의한 지수 및 보강공사 장치
KR102062043B1 (ko) 고확장성을 가진 관로 보수용 패커 장치
KR102227886B1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47725B1 (ko) 가지관 보수장치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100344869B1 (ko) 2개의 공구를 장착한 관로 보수 로봇
KR100835869B1 (ko) 기계식 윈치를 이용한 비 굴착식 관 보수방법
JP7116406B1 (ja) 配管補修装置
DE19605949A1 (de) Schachthaspel
KR19990064400A (ko) Gl-lc 비굴착 하수도 보수장치
KR101163723B1 (ko) 흄관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