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129A -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129A
KR20210047129A KR1020190130824A KR20190130824A KR20210047129A KR 20210047129 A KR20210047129 A KR 20210047129A KR 1020190130824 A KR1020190130824 A KR 1020190130824A KR 20190130824 A KR20190130824 A KR 20190130824A KR 20210047129 A KR20210047129 A KR 2021004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lips
dimethicone
silico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534B1 (ko
Inventor
박성민
우영화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실리콘 엘라스토머,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중 수형(W/S)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던 필름형성제가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종래 고함량으로 포함되었던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낮고 휘발성 저분자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 내 포함시킴으로써 실리콘중수 제형의 장점인 벨벳 느낌의 부드럽고 매트한 사용감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수분 함량을 가져 보습력이 우수한 개선된 효과가 나타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water-in-silicone formulation for lips}
실리콘 엘라스토머,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중 수형(W/S)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용 화장품으로서 매트 타입의 제형은 광이 나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발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선명하고 밝은 색상 표현에 한계가 있으며, 매트한 제형으로 인해 입술이 쉽게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는 발색력이 높고 보습감이 있으며 외관적으로 독특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립 제품이 선호되고 있어, 선명한 색상 발현이 어렵고 건조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품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매트타입의 제형을 유지하면서도 보습감을 제공하는 립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 실리콘 중수 입술용 화장료에 필름형성제를 배제하고,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일 양상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중 수형(W/S)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중수형(W/S)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폴리올,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중수형(W/S)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W/S 제형으로 제조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중수형 유화제 및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여, 광이 나지 않는 자연스러운 발색과 8시간 이상의 보습 지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내에 포함됨으로써 입술에 도포되는 경우 부드러운 실키한 사용감 및 촉촉한 사용감을 가능케하고, 무광의 낮은 광택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겔, 페이스트 또는 파우더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메치콘,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종래 실리콘 중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는 40.0 중량% 이상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사용함으로써 포함되는 수분 함량에 제한이 있었으나, 일 양상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범위를 종래보다 적은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기존 제품과 동일하게 끈적임이 적고 보송한 마무리감을 가지지만 수분 함량이 높은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예를 들면 1 내지 40중량%, 5 내지 35중량%, 7 내지 30중량%, 10 내지 25중량%, 또는 15 내지 2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높아지면 입술 골 끼임 현상이 심해지고, 휘발성 오일이 빠르게 휘발되지 않아 입술에서 화장이 묻어나오는 현상이 심해지고, 수분의 함량이 제한되어 보습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7중량% 또는 10±1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적당한 정도의 휘발도의 측면에서 필름형성제 없이도 우수한 건조속도와 입술 피부에 대한 밀착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실리콘 오일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겔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휘발성을 갖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헥사데카메틸헵타실록산,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 트리메치콘, 및 페닐 트리메치콘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W/S 유화제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중량%, 1 내지 15중량 %, 3 내지 10 중량%, 또는 9±1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W/S 유화제는,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유화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개질 실리콘 또는 폴리글리세린 개질 실리콘, 예컨대 PEG-3 디메치콘, PEG-10 디메치콘, PEG-9 메틸에테르 디메치콘,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은 입술 피부에 대한 밀착감과 보습감을 부여해줄 수 있다.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60%, 20-50%, 또는 30-50%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글리세롤(글리세린), 폴리글리세롤-3,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은 비휘발성 오일 또는 휘발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오일은 휘발성 실리콘오일, 휘발성 탄화수소계오일, 휘발성 에스테르계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휘발성 탄화수소계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비휘발성 오일"은 실온 및 대기압에서, 적어도 수시간 동안 남아있는 오일을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오일은 비휘발성 실리콘오일, 비휘발성 탄화수소계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필름형성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기존의 실리콘중수 립 메이크업 화장료가 고함량 엘라스토머와 필름형성제를 사용하여 매트한 타입의 제형을 가지지만 묻어나옴이 심하고 건조속도가 느렸으나, 일 양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제품과 동일하게 끈적임이 적고 보송한 마무리감을 가지나, 기존 제품의 단점인 느린 건조속도와 묻어나옴을 대폭 개선하여 발림성 및 높은 정도의 보습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및/또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예를 들면0.01 내지 1중량%, 또는 0.1 내지 1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색소 또는 안료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염료 또는 안료의 함량은 사용되는 성분 및 목적하는 색상의 강도에 따라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색소는 유기색소, 수상색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의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의 유기 안료 및 진주 안료 등의 착색용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틴트, 립파렛트 및 립라이너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던 필름형성제가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종래 고함량으로 포함되었던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낮고 휘발성 저분자 실리콘 오일을 조성물 내 포함시킴으로써 실리콘중수 제형의 장점인 벨벳 느낌의 부드럽고 매트한 사용감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수분 함량을 가져 보습력이 우수한 개선된 효과가 나타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건조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도포 이후 색모래를 뿌린 이후 시간경과에 따라 색모래가 남아있는지 확인한 결과(도 1A) 및 이를 정량화하여 그래프화 한 결과(도 1B)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조성물을 도포한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도포 전 후의 광택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과 같이 매트 타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디실록산 - 15 30 -
디메치콘 15.0 10 10 10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40.0 10 10 10
유상색소 4.0 4.0 4.0 4.0
PEG-10 디메치콘 2.0 2.0 2.0 2.0
세틸 PEG/PPG 10/1 디메치콘 3.0 3.0 3.0 3.0
이소도데칸/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Isododecane/
Disteardimonium Hectorite)
4.0 4.0 4.0 4.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glycerine) 3.0 3.0 3.0 3.0
마그네슘 설페이트(Magnesium sulfate) 0.8 0.8 0.8 0.8
수상색소 0.5 0.5 0.5 0.5
정제수(Purifi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1은 상기 표 1의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랑한 후 실온에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500rpm 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및 3은 상기 표 1의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실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500rpm 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수상과 유상을 혼합 후 호모 믹서(Homo Mixer)를 사용하여 6000rpm 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입술용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기재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20 ~ 35 세 사이의 전문 여성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사전정보에 대한 고지없이 블라인드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이후 바를 때 느끼는 사용감에 관한 수분감, 매트함, 묻어나옴의 전반적인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지표는 5점 만점으로 확인 하였으며, 이후 10명의 평가점수의 평균을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제형 수분감 매트함 묻어나옴
비교예 1 ●○○○○ ●●●○○ ●●●●○
실시예 1 ●●●○○ ●●●○○ ●●○○○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 종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함량이 현저히 높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매트하나, 수분감이 거의 없는 사용감이 나타나며, 입술이 도포 이후 묻어나오는 정도가 현저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 1의 경우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고함량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매트함과 동시에 수분감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조성물은 도포한 이후 거의 묻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비교예 3의 조성물에 대해서도 사용감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휘발성 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감면에서 매트함이 나타나지 않아 매트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제품으로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종래 고함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함유 없이도 실시예 1 조성물은 매트하면서도 수분감까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입술용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건조 속도 확인
비교예 1과 실시예 1 조성물의 건조속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조가죽에 각 조성물을 도포한 이후 색모래를 뿌려 조성물 내 휘발성 용매가 날아가는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고, 상기 도 1A의 픽셀수를 분석하여 모래의 색상 픽셀 수 / (전체 제품의 컬러 픽셀 + 모래의 색상 픽셀) 를 하여 전체 색상대비 모래가 어느정도나 차지하는지를 % 로 나타낸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은 빠른 시간 내에 모래의 색상 픽셀이 줄어들면 접착에 관여하는 휘발성 용매가 빠른 속도로 휘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으로서 도 1A 및 B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조성물은 색모래를 뿌린 이후 30초에도 부착되어 있는 색모래의 수가 확연하게 많은 것을 확인하여 매트한 사용감의 조성물로 활용하기 어려운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1의 조성물은 비교예 1보다 색모래를 뿌린 30초 이후에도 부착되어 있는 색모래수가 적고, 도포 1분 이후에는 색모래가 거의 남아있지 않음을 확인하여 동시에 휘발성 오일의 건조 속도 역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입술용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수분도 확인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입술용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수분도를 평가하였다. 20 ~ 35세 남녀 5명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보습력을 측정 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시험 방법은 하박 내측 2 cm × 2 cm 시험부위 세정 및 10분간 항온항습실(22±2℃, 40-60% RH) 대기 후, 시험부위의 무도포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 8 ㎕를 도포 후 흡수시켜 제품 도포 직후, 0.5 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경과 후의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3회 측정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도의 변화율을 산출한 뒤, 사용전 값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측정기기로는 Corneometer (CK electronic, Germany)를 사용하였고,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무도포한 경우의 피부 수분도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25A.U를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 도포 0.5 시간 이후에는 수분도가 다소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8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무도포한 경우와 유사한 정도의 피부 수분도가 최종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한 직후부터 피부 수분도가 현저히 높아지고, 도포 0.5시간 이후에는 38.0 A.U로 현저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도포 8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도 28.5 A.U로 도포한 직후와 동일한 정도의 피부 수분도가 나타나 실시예 1 조성물은 피부 수분도가 증가한 상태로 8시간 동안 보습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보습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입술용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력 감소 확인
종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함량이 현저히 높은 비교예 1의 조성물과 실시예 1에 대한 광택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4x8 cm 의 동일한 면적의 인조가죽에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각각 도포하고, 도포 전후의 광택력을 측정하였다(측정 기기: micro-TRI-gloss, BYK Gardner, GERMANY). 제품을 도포하기 전후에 광택력을 3번씩 측정하였고, 최종적인 광택력 확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종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함량이 현저히 높은 비교예 1의 조성물과 유사하게, 고함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함량 없이도 실시예 1 조성물은 도포 전 후의 광택도가 유사한 정도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은 고 함량이 실리콘 엘라스토머 포함 없이도 광택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입술에 도포 시 매트한 질감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입술용 화장료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확인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온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ml PET 바이알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조성물 10g을 충전시킨 후, 5℃, 37℃, 45℃, 및 -20-45℃ 사이클 조건의 항온조에 4주 방치하여 안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25℃ 37℃ 45℃ Cycle
(-20℃~ 45℃)
실시예 1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비교예 2 안정 안정 용매 맺힘 용매 맺힘
상기 표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조성물은 모든 조건에서 4주 간 제형분리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휘발성 오일이 과다 포함된 비교예 2 조성물은 37℃ 이후에서부터 제형이 분리되어 용매가 맺히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실시예 1 조성물이 고온에서도 현저한 제형안정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실리콘 엘라스토머;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중 수형(W/S)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일, 폴리올,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디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헥사데카메틸헵타실록산,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 트리메치콘, 및 페닐 트리메치콘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W/S 유화제는 PEG-3 디메치콘, PEG-10 디메치콘, PEG-9 메틸에테르 디메치콘,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이소데칸/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글리세린(글리세롤), 폴리글리세린-3,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필름형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5 내지 35% 실리콘 엘라스토머;
    5-15%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1-15% 실리콘중수형(W/S) 유화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0824A 2019-10-21 2019-10-21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2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24A KR102321534B1 (ko) 2019-10-21 2019-10-21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24A KR102321534B1 (ko) 2019-10-21 2019-10-21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29A true KR20210047129A (ko) 2021-04-29
KR102321534B1 KR102321534B1 (ko) 2021-11-04

Family

ID=7572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824A KR102321534B1 (ko) 2019-10-21 2019-10-21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22A (ko) 2022-10-17 2024-04-24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372A (ko) * 2005-06-20 2006-1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젤 타입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88267B1 (ko) * 2010-11-23 2016-12-20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입술용 보습 조성물
KR20170012056A (ko) * 2015-07-22 2017-02-02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035A (ko) * 2017-04-18 2018-10-26 코스맥스 주식회사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518A (ko) * 2017-04-19 2018-10-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372A (ko) * 2005-06-20 2006-1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젤 타입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88267B1 (ko) * 2010-11-23 2016-12-20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입술용 보습 조성물
KR20170012056A (ko) * 2015-07-22 2017-02-02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035A (ko) * 2017-04-18 2018-10-26 코스맥스 주식회사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518A (ko) * 2017-04-19 2018-10-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534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115B1 (ko)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6474084B2 (ja) シリコーン微粒子及び不揮発性油を含む仕上げ剤組成物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262178A (zh)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US10383811B1 (en) Sunscreen emulsion comprising silane-treated oxide
KR20140060756A (ko) 광택감, 광택 지속력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0880A (ko)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KR102321534B1 (ko)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6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7350269B2 (ja) 光沢感と色移りの程度が改善された唇用化粧料組成物
KR20140078149A (ko)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모공 및 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8891A (ko)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99035B1 (ko) 투명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밀착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6618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86079B1 (ko)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3077B1 (ko) 수중실리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7751A (ko) 수중 실리콘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8347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