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066A -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066A
KR20210047066A KR1020190130665A KR20190130665A KR20210047066A KR 20210047066 A KR20210047066 A KR 20210047066A KR 1020190130665 A KR1020190130665 A KR 1020190130665A KR 20190130665 A KR20190130665 A KR 20190130665A KR 20210047066 A KR20210047066 A KR 2021004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locking member
level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13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066A/en
Publication of KR2021004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0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 maintaining device of an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which can maintain a level of an elevator car without respect to a load applied to the elevator car. The level maintaining device of an elevator comprises a wedge-type locking member, a driving device, and a clamping member.

Description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Elevator level maintenance device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level maintenance device.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승객이나 화물을 싣는 카(리프트, 케이지 라고도 함), 카의 상, 하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 출입 도어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In general, elevator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ars (also referred to as lifts and cages) that carry passengers or cargo, driving devices for moving up and down the car, and entrance doors.

승강기(10)는 상하로 이동하며, 승객이나 화물을 싣는 카(11; 리프트, 케이지 라고도 함), 카(11)의 상부와 균형추(14)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12), 카(11)의 측벽과 연결되어 카(11)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 카(11)의 하방에 완충부재(3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elevator 10 moves up and down, and a car 11 for loading passengers or cargo (also referred to as a lift, cage), a wire rope 12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11 and the counterweight 14, and the car 11 A guide rail 13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car 11 to guide the upward movement of the car 11, and a buffer member 30 may be provided below the car 11.

카(11) 내에 사람 또는 사물이 탑승하고, 카(11)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2)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진다. 카(11)의 양측벽 측면 몸체는 가이드레일(13)에 의하여 위치가 가이드되어 카(11)가 가속되어 움직이는 과정에서도 카(11)의 좌우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person or an object is boarded in the car 11, and transport is performed by a wire rope 12 connected to the car 11. The body of the side walls of both sides of the car 11 is guided by the guide rail 13 so th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car 11 may not be separated even when the car 11 is accelerated and moved.

와이어로프(12)는 카(11)와 균형추(14) 사이를 연결하며, 모터(15)와 제어반(16)에 의하여 카(11)의 속도를 제어한다.The wire rope 12 connects the car 11 and the counterweight 14, and controls the speed of the car 11 by the motor 15 and the control panel 16.

또는 카 이동을 위한 구동 방식으로, 유압 실린더 작동 방식의 유압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때에도 카와 구동 장치와의 연결 매개체로 대부분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고 있다. Alternatively, as a driving method for moving the car, a hydraulic type of a hydraulic cylinder operating method may be used, but in this case, a wire rope is mostly used as a connecting medium between the car and the driving device.

그런데, 승객이나 화물을 싣는 카가 와이어 로프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카에 실리는 하중에 따라 와이어 로프에 신축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승강장과 카의 정지 레벨 차(단차)를 최대한 줄인다 하더라도 승하차 과정에서의 하중 변화로 인한 와이어 로프의 신축 현상은 막을 방법이 없다. However, since the car carrying passengers or cargo is suspended from the wire rope, the wire rope must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load on the car. Even if the stop level differenc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car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ire rope due to the change in load during the boarding process.

이러한 와이어 로프 신축 현상은 승객용보다는 하중의 변화가 큰 화물용에서 주로 문제가 된다. This wire rope stretching phenomenon is a problem mainly in the cargo use of a large change in the load than the passenger use.

카가 클 경우, 화물 적재 방법에 따른 좌우 레벨의 편차, 지게차 사용 시 진출입 과정에서의 하중 변화로 인한 심한 레벨차, 대차를 이용한 방식에서 카 진출입 과정에서의 레벨 차이로 인한 충격 발생 등은 싣는 제품에 따라 아주 큰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유리 재료의 제품 운반 시에 단차로 인한 승하차 시의 충격으로 제품에 손상을 줄 수도 있어, 기존 방식의 승강기로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When the car is large, the deviation of the left and right level according to the cargo loading method, severe level difference due to the change in load during the entry/exit process when using a forklift, and the occurrence of impact due to the level difference during the entry/exit process in the method using a bogie, etc. It can also cause a very big problem. For example, when transporting a product made of glass material, it may damage the product due to the impact of getting on and off due to a step difference, so it is often impossible to use it as a conventional elevator.

따라서, 카가 승강장에 멈추었을 때 카의 레벨을 승강장 레벨에 맞추어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ca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latform when the car stops at the platform.

특허 1)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16-0064527Pat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6-0064527 특허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0514Pat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2030514

본 발명은, 승강기 카에 실리는 하중에 무관하게 승강기 카의 레벨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level of an elevator car regardless of the load on the elevator car.

본 발명은, 승강기 카에 설치되어 승강로를 향해 직선 이동 가능한 쐐기형 록킹 부재; 승강기 카에 설치되며, 쐐기형 록킹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승강로에 설치되며, 쐐기형 록킹 부재를 상, 하에서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 wedge-shaped locking member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and capable of linearly moving toward a hoistway; A dr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and moving the wedge-shaped locking member; And a clamping member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clamping and fixing the wedge-shaped locking member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록킹 부재는, 내각이 제1 각도를 가지는 전단부,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가지는 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mber provides a level maintaining apparatus of an elevator, wherein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front end having a first angle and a rear end having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클램핑 부재는, 후단부와 맞물리도록 후단부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member provides a level maintain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ing member ha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so as to engage with the rear en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클램핑 부재의 폭은 록킹 부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amping member has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lock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구동 장치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device provides a level maintaining device of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는, 와이어 로프를 보조해 승강기가 승강장에 정지할 때, 레벨 유지 장치가 작동하여 승강로와 카의 높이를 고정함으로써 하중에 관계없이 승강기와 승강장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다. In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vator stops at the platform by assisting the wire rope, the level maintaining device operates to fix the height of the hoistway and the car so that the level of the elevator and the platform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load. You can keep it.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가 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가 구비하는 록킹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의 클램핑 부재와 록킹 부재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의 클램핑 부재와 록킹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elevator,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r;
3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lamp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ing member and a locking member of an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by the controller in the elevator level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가 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ar, and FIG. 3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승강기의 카(100)에는 록킹 장치(200)가 설치된다. 록킹 장치(200)는 카(100)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다른 부품들의 배치와 공간 활용을 고려하여 카(100)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무방하다. 록킹 장치(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킹 부재와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A locking device 200 is installed in the car 100 of the elevator. The locking device 200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car 100, but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 100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of other parts and space utilization. This is because the locking device 200 must include a locking member and a driving device as described later.

한편, 록킹 장치(200)는 카(10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야 한다. 카(100)에서 승강로(300) 측으로 돌출되면서, 카(100)를 고정시켜 카(100)의 레벨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Meanwhile, the locking device 200 must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car 100. This is because while protruding from the car 100 toward the hoistway 300, the car 100 is fixed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car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4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는 카(100; 도 3 참조)에 설치되는 록킹 장치(200)와 승강로(300; 도 3 참조)에 설치되는 클램핑 부재(310)를 포함한다. 록킹 장치(200)는 크게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록킹 부재(210)와 록킹 부재(210)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220)로 이루어진다.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includes a locking device 200 installed in the car 100 (see FIG. 3) and a clamping member 310 installed in the hoistway 300 (see FIG. 3). The locking device 200 is largely composed of a locking member 210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lamping member 310 and a driving device 220 that drives the locking member 210.

구동 장치(220)는 록킹 부재(210)를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하거나 클램핑 부재(310)로부터 인출하는 직선 운동을 시켜줄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나, 강한 힘을 부여할 수 있으며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은 유압 실린더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device 220 may be any device as long as it can perform a linear motion of inserting the locking member 210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or drawing it out from the clamping member 310, but can impart a strong force.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aulic cylinder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ess risk of failure.

구동 장치(220)를 카(10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2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A bracket 120 for fixing the driving device 220 to the car 1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유압 실린더가 전진하는 경우, 유압 실린더에 고정된 록킹 부재(210)도 전진하며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되고, 유압 실린더가 후퇴하는 경우 록킹 부재(210)도 클램핑 부재(310)로부터 인출된다. When the hydraulic cylinder advances, the locking member 210 fixed to the hydraulic cylinder also advances and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and when the hydraulic cylinder retreats, the locking member 210 is also taken out from the clamping member 310.

이때, 클램핑 부재(310)는 상, 하 한쌍이 배치되며, 클램핑 부재(310)를 승강로(300)에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320)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air of upper and lower clamping members 310 may be disposed, and a separate bracket 320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fixing the clamping member 310 to the hoistway 3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가 구비하는 록킹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가 구비하는 록킹 부재(210)는 클램핑 부재(310; 도 4 참조)와 맞물리는 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납작한 패널 형상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쐐기형이다. 이는, 카(100)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 하 방향의 움직임만 고정하면 되며, 전후, 좌우 방향의 카의 유동은 적재하는 화물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수인가능한 움직임이기 때문이다. The locking member 210 provided in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dge-shaped end engaged with the clamping member 310 (see FIG. 4 ). It has a flat panel shape and is wedge-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is is because,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car 100, only the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needs to be fixed, and the movement of the car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 sufficiently acceptable movement because an impact is not applied to the loaded cargo.

이때, 록킹 부재(210)의 단부는, 제1 각도를 가지는 전단부(212),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가지는 후단부(214)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 장치(220)에 연결되는 연결부(216)가 후단부(214)의 뒷쪽에 위치한다. 연결부(216)는 일반적인 박판 형태로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형태이다. 연결부(216)의 뒷쪽에는 구동 장치(2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218)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단부(212)와 후단부(214)는 상하 대칭형태이며, 전단부(212)와 후단부(214)는 연결부(216)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때 전단부(212)의 상면과 하면을 연장한 가상의 선이 만나 이루는 각도를 제1 각도, 후단부(214)의 상면과 하면을 연장한 가상의 선이 만나 이루는 각도를 제2 각도라고 정의한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210 includes a front end 212 having a first angle and a rear end 214 having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In addition, a connection portion 216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220 is located behind the rear end portion 214. The connection part 216 is a general thin plate shape and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parallel to each other. A coupling hole 218 for coupling with the driving device 22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216. At this time, the front end 212 and the rear end 214 have a vertical symmetrical shape, and the front end 212 and the rear end 214 have an obliqu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216. At this time, the angle formed by the virtual line extend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212 is defined as the first angl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virtual line extend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214 is defined as the second angle. d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의 클램핑 부재와 록킹 부재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lamp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클램핑 부재(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 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클램핑 부재(310)의 내면(312)은 록킹 부재(210)의 후단부(214)와 접촉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후단부(214)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진다. 여기서, 후단부(214)에 대응하는 각도란, 후단부(214)와 동일한 각도 또는 후단부(214)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차이만을 가지는 각도를 의미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lamping member 3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and lower intervals. The inner surface 312 of the clamping member 310 ha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214 so that it can contact and engage the rear end 214 of the locking member 210. Here,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portion 214 means the same angle as the rear end portion 214 or an angle having only a very small difference capable of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rear end portion 214.

승강기, 특히 화물용 승강기의 경우 카(100)가 크기 때문에, 제조 공차가 발생하거나, 화물 적재, 화물 이동시의 변형으로 인해 클램핑 부재(310)의 설치 위치와, 록킹 부재(210)의 설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elevator, especially a cargo elevator, since the car 100 is large, manufacturing tolerances occur, or due to deformation during loading or moving carg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lamping member 310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210 Deviation may occur.

이러한 위치의 편차는 록킹 부재(210)를 쐐기형으로 형성하고, 후단부(214)보다 전단부(212)의 각도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높이 차가 발생하더라도 전단부(212)의 안내에 의해 클램핑 부재(310) 내로 무리없이 삽입된다. 또한 삽입 후에는 후단부(214)와 클램핑 부재(310)의 내면(312)이 접촉함으로써, 접촉 정밀도를 높이고 클램핑력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록킹 부재(210)의 인출 시에는 아주 쉽게 인출할 수 있다. This positional deviation is caused by forming the locking member 210 in a wedge shape and forming a larger angle of the front end 212 than the rear end 214, so that even if a height difference occur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front end 212 It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without difficulty by the guidance of. In addition, after insertion, the rear end portion 214 and the inner surface 312 of the clamping member 3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contact accuracy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clamping force. On the contrary, when the locking member 210 is withdrawn, it can be withdrawn very easily.

만약 록킹 부재와 클램핑 부재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록킹 부재의 원활한 삽입 인출을 위해 록킹 부재와 클램핑 부재의 수용부 사이에 갭이 필요하며, 이 갭으로 인해 카의 레벨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I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lamping member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gap is required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lamping member for smooth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locking member, and this gap makes it impossible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car.

또한 록킹 부재와 클램핑 부재가 원뿔형으로 형성될 경우, 삽입 시 록킹 부재와 클램핑 부재 사이의 갭은 발생하지 않으나, 록킹 부재와 클램핑 부재가 정 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삽입이 어렵다. 따라서 위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밀 가공이 필요하며, 화물 적재나 카 이동시 변형 방지를 위해 상당한 강성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제작 비용이 상당히 높다.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clamping member are formed in a conical shape, a gap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clamping member does not occur during insertion, but it is difficult to insert wh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clamping member are not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refore, precision processing is required to minimize positional deviati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for this is considerably high because considerable rigidity must be maintained to prevent deformation when loading a cargo or moving a ca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의 클램핑 부재와 록킹 부재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ing member and a locking member of an elevator level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클램핑 부재(310)의 폭(B)은 록킹 부재(210)의 폭(b)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카(100)의 좌, 우 위치 편차에 따른 록킹 부재(210)의 위치 편차를 클램핑 부재(310)가 수용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width B of the clamping member 310 is larger than the width b of the locking member 210. Accordingly, the clamping member 310 can accommodate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locking member 21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al deviations of the car 100.

한편, 화물 적재 용량에 따라 록킹 부재(210)의 폭(b)을 조정함으로써, 카(100)의 레벨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면압을 맞출 수 있어, 표준화된 설계 및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록킹 부재(210)의 다른 치수 요소는 모두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폭(b)만을 조절함으로써 면압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승강로에 설치된 클램핑 부재(310)는 교체할 필요 없이, 록킹 부재(210)의 폭 만을 조정함으로써 손쉽게 카(100)의 레벨 유지에 필요한 면압을 맞출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adjusting the width (b) of the locking member 210 according to the cargo loading capacity, it is possible to match the surface pressure required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car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tandardized design and manufacturing are possible. 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rface pressure by adjusting only the width b while all other dimensional elements of the locking member 210 are kept constant. Therefore, the clamping member 310 installed in the hoistway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and by adjusting only the width of the locking member 210, the surface pressure required for level maintenance of the car 100 can be easily met.

또한, 록킹 부재(210)의 형상과, 록킹 부재(210)와 클램핑 부재(310)의 폭 차이에 의해 록킹 부재(210)와 클램핑 부재(310)가 위치와 형상이 정밀도를 갖출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위치 편차를 줄이기 위한 필요 이상의 강성이 요구되지 않고, 가공 및 제작 정밀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작 원가를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locking member 210 and the clamping member 310 need not have precis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locking member 210 and the width of the locking member 210 and the clamping member 3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more rigidity than necessary to reduce the positional deviation is not required, and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precision do not need to be increased.

본 발명의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는 쐐기 형상 록킹 부재(210)의 제조, 설치 및 조정이 쉽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오랫동안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level maintain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install, and adjust the wedge-shaped locking member 210,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so that the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는 록킹 부재(210)의 클램핑(삽입 및 인출)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치 편차로 인한 간섭, 충격, 하중에 의한 끼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강기의 고장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성능 유지를 위한 유지관리비가 거의 없거나 아주 낮다. In addition, the level maintaining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terference, impact, jamming due to load, etc. due to positional deviation that may occur during clamping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locking member 210. Does not cause breakdown. Therefore, there is little or very low maintenance cost for maintaining performan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by a controller in an elevator level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의 록킹 장치(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위치 감지센서(230)가 설치될 수 있다. 정위치 감지센서(230)는 승강기의 카(100)의 정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실시예에 따라 LED 같은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만약 승강기의 카(100)가 정위치를 기설정한 일정 편차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표시수단을 점등시킨다. 또한 정위치 감지센서(230)는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400)에 입력한다. 컨트롤러(400)는 예를 들어 록킹 장치(200)에 설치된 4개의 정위치 감지센서(230)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4개의 정위치 감지센서(230) 모두 승강기의 카(100)가 정위치를 기설정한 일정 편차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했다고 판단하면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220)에 의해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된다. 실시예에 따라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되도록 컨트롤러(400)가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는 기준은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00)는 조정된 기준에 따라 4개의 정위치 감지센서(230) 중에 2개 이상의 정위치 감지센서(230)가 승강기의 카(100)가 정위치를 기설정한 일정 편차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했다고 판단하면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220)에 의해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된다.Referring to FIG. 8, at least one fixed position sensor 230 may be installed in the locking device 200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The exact position detection sensor 230 is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car 100 of the elevator is in the correct position,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means such as an LED, so that if the car 100 of the elevator has a preset position, a certain devia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out of error, the display means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in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The controller 400 is,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four fixed position detection sensors 230 installed in the locking device 200, all of the four fixed position detection sensors 230, the car 100 of the elevator is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etected as deviating from a preset predetermined deviation or more, the lock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by the driving device 220 by controlling the lock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ference for controlling the locking device 200 by the controller 400 so that the lock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may be adjust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djusted reference, the controller 400 has two or more fixed position sensors 230 among the four fixed position sensors 230 according to the adjusted referen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etected as being out of position, the locking device 200 is controlled so that the lock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by the driving device 220.

또한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조작부(500)를 설치하여, 예를 들어 관리자가 컨트롤러(400)가 승강기 레벨 유지 장치의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0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정위치 감지센서(230)가 승강기의 카(100)가 정위치를 기설정한 일정 편차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했다고 판단하면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220)에 의해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operation unit 5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an administrator sets a condition for the controller 400 to control the locking device 200 of the elevator level maintaining device. I can. For example, if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fixed position detection sensors 230 set according to the set condition detects that the car 100 of the elevator has deviated from the fixed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eviation or more, the locking device 200 The lock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by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220.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관리자는 조작부(500)를 통해 컨트롤러(400)가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220)에 의해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조작부(500)를 통해 컨트롤러(400)가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220)에 의해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 장치(200)에 설치된 4개의 정위치 감지센서(230) 모두 승강기의 카(100)가 정위치를 기설정한 일정 편차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하여 점등하면 관리자는 조작부(500)를 통해 컨트롤러(400)가 록킹 장치(200)를 제어하여 구동 장치(220)에 의해 록킹 부재(210)가 클램핑 부재(310)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locking device 2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500 so that the lock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by the driving device 22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locking device 200 through the operation unit 500 so that the locking member 210 is pulled out from the clamping member 310 by the driving device 220. For example, if all of the four fixed position detection sensors 230 installed in the locking device 200 detect that the car 100 of the elevator is out of the fixed position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eviation and light it, the manager can use the operation unit 500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locking device 200 so that the locking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clamping member 310 by the driving device 220.

Claims (6)

승강기 카에 설치되어 승강로를 향해 직선 이동 가능한 쐐기형 록킹 부재;
승강기 카에 설치되며, 쐐기형 록킹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승강로에 설치되며, 쐐기형 록킹 부재를 상, 하에서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A wedge-shaped locking member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and capable of linearly moving toward the hoistway;
A dr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and moving the wedge-shaped locking member; And
A clamping member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clamping and fixing the wedge-shaped locking member up and down.
제1 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는, 내각이 제1 각도를 가지는 전단부,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를 가지는 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front end having a first angle and a rear end having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제2 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는, 후단부와 맞물리도록 후단부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lamping member ha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so as to engage with the rear end.
제1 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의 폭은 록킹 부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evel maintaining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clamp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의 폭은 카의 적재 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level maintaining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locking memb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ading capacity of the car.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레벨 유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device is a level maintaining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aulic cylinder.
KR1020190130665A 2019-10-21 2019-10-21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KR202100470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65A KR20210047066A (en) 2019-10-21 2019-10-21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65A KR20210047066A (en) 2019-10-21 2019-10-21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066A true KR20210047066A (en) 2021-04-29

Family

ID=7572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665A KR20210047066A (en) 2019-10-21 2019-10-21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06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27A (en) 2014-11-28 2016-06-08 권회왕 Emergency multi-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KR102030514B1 (en) 2019-03-29 2019-10-10 김구현 Elevator for easy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27A (en) 2014-11-28 2016-06-08 권회왕 Emergency multi-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KR102030514B1 (en) 2019-03-29 2019-10-10 김구현 Elevator for easy mainte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3081B1 (en) Multi-car elevator
KR102126932B1 (en) Elevator device
US20160046464A1 (en) Multicar self-propelled elevator system
US20110042168A1 (en) Elevator system with elevator cars which can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N110914183A (en) Elevator system
US20180086604A1 (en) Elevator car wall for access to hoistway
EP3275824A1 (en) Traveling cable sway prevention
US11059698B2 (en) Elevator safety gear assembly
CN110775790A (en) Elevator door control for passenger exit in a multi-door elevator
KR20210047066A (en) Apparatus for keeping the level of an elevator
CN1264349A (en) Elevator device
JP2016204125A (en) Both car elevator
KR102330511B1 (en) Ropeless elevator system
KR102330456B1 (en) Ropeless elevator system
CN108698792B (en) Elevator device
KR102330510B1 (en) Ropeless elevator system
JPH0539173A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self-advancing elevator
WO2016103318A1 (en) Elevator device
KR101617209B1 (en) elevator door breakaway prevention apparatus
CN113272239A (en) Elevator system
JP2006044889A (en) Elevator device for evacuation
US11542123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motorized module
KR20210085853A (en) Ropeless elevator system
EP3608278B1 (en) Scalable elevator car frame
KR102445143B1 (en) Ropeless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