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001A -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001A
KR20210047001A KR1020190130502A KR20190130502A KR20210047001A KR 20210047001 A KR20210047001 A KR 20210047001A KR 1020190130502 A KR1020190130502 A KR 1020190130502A KR 20190130502 A KR20190130502 A KR 20190130502A KR 20210047001 A KR20210047001 A KR 20210047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augmentation
implant
breast
surgery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상
Original Assignee
김병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상 filed Critical 김병상
Priority to KR102019013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001A/ko
Publication of KR2021004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6Breast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은 보형물을 삽입하기 전에 보형물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박리한 후 보형물이 들어갈 위치의 후면에 의료용 실리콘 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METHOD FOR IMPROVING CAPSULAR CONTRACTURE ACCORDING TO BREAST AUGMENTATION SURGERY}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가슴 성형을 위한 유방확대술은 크게 보형물의 종류에 따라 나눌 수 있다. 그 중 코히시브젤은 수술 후 보형물을 둘러싼 백이 손상되더라도 모양이 그대로 유지되며 촉감이 좋고 모양이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과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안전상의 이유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식염수백 또는 실리콘백을 대체하여 가슴성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8년 09월 19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3873호는 "임플란트용 텍스처드 표면"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유방확대 수술 후 구형구축에 의한 부작용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피막 형성 공간을 크게 유지하여 유방확대 수술 후 유방이 최대한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유방확대 수술 후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은 보형물을 삽입하기 전에 보형물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박리한 후 보형물이 들어갈 위치의 후면에 의료용 실리콘 시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에 의하면, 유방확대 수술 후 구형구축에 의한 부작용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에 의하면, 피막 형성 공간을 크게 유지하여 유방확대 수술 후 유방이 최대한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에 의하면, 유방확대 수술 후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방확대술에 의해 보형물이 삽입된 유방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백 스크린과 함께 보형물이 삽입된 유방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방확대술에 의해 보형물이 삽입된 유방의 단면도이다.
가슴 성형을 위한 유방확대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히시브젤은 표면의 재질에 따라 스무스 타입과 텍스쳐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스무스 타입은 얇고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 보형물로 움직임이 자연스럽다. 반면에 텍스쳐 타입은 비교적 거친 보형물로 구형구축의 위험이 적고 수술 후 마사지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텍스쳐 타입의 보형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발표 내용에 의해, 텍스쳐 타입의 보형물은 판매가 중단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스무스 타입의 보형물이 텍스쳐 타입 보형물의 수요를 대체하게 되는데, 유방확대 수술 후 스무스 타입은 부드러운 표면으로 인해 구형구축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스무스 타입은 텍스쳐 타입에 비해 보형물의 주변에 피막이 딱 맞게 형성되어, 유방의 촉감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환자는 구형구축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후 가슴 마사지를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보형물 주변의 피막이 크게 형성되도록 해야 하지만, 이는 환자에게 수반되는 고통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은 수술 시 백 스크린을 배치하고 보형물을 삽입함으로써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백 스크린과 함께 보형물이 삽입된 유방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 유방확대 수술을 받은 환자의 보형물 후방에는 백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은,
수술이 수행될 부위를 절개하는 단계,
보형물 및 백 스크린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충분히 박리된 공간 내에 백 스크린을 삽입하는 단계,
백 스크린의 전면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단계,
절개된 부위를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스크린은 보형물이 삽입되기 전에, 보형물이 삽입되는 위치의 후방 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백 스크린은 삽입되는 보형물보다 면적이 더 클 수 있다. 백 스크린은 의료용 실리콘 재질의 시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형물이 삽입되는 공간이 박리된 상태로 크게 유지될 수 있으며, 결국, 피막이 보형물의 둘레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유방이 딱딱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만져지는 유방의 촉감을 최대한 부드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환자에게 마사지를 하지 않더라도 피막을 크게 만들어, 마사지 시 수반되는 수술 부위에 대한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이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것.
KR1020190130502A 2019-10-21 2019-10-21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KR20210047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02A KR20210047001A (ko) 2019-10-21 2019-10-21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02A KR20210047001A (ko) 2019-10-21 2019-10-21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001A true KR20210047001A (ko) 2021-04-29

Family

ID=7572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02A KR20210047001A (ko) 2019-10-21 2019-10-21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dya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ectoral breast reconstruction with Braxon dermal matrix: first multicenter European report on 100 cases
Hunstad et al. Subfascial breast augmentation: a comprehensive experience
Niechajev et al. Prospective study comparing two brands of cohesive gel breast implants with anatomic shape: 5-year follow-up evaluation
TWI439258B (zh) 可變黏膠之形穩性胸部植入物
KR200493305Y1 (ko) 유방 보형물
TW201828887A (zh) 用於乳癌放射性治療之輔具
Hendricks Complete submuscular breast augmentation: 650 cases managed using an alternative surgical technique
KR20210047001A (ko) 유방확대 수술에 따른 구형구축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
Kim et al. Immediate direct-to-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using anatomical implants
Huang et al. Personalized reconstruction of traumatic orbital defects based on precise three-dimensional orientation and measurements of the globe
Francis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facial and palatal defect-a case report
ALEXANDER IMPROVEMENT OF FACIAL SYMMETRY AFTER OPERATIVE RELIEF OF BONY ANKYLOSIS OF THE JAW AT THE AGE OF 10 YEARS Case Report
CURTIN et al. Improved techniques for the successful silicone reconstruction of the external ear
Nakai Reconstruction of microtia: Pursuing a natural appearance
Liao et al. Pre-expanded intercostal perforator super-thin skin flap
Busse et al. Sterile acellular dermal collagen as a treatment for rippling deformity of breast
EP3524200A3 (en) Soft tissue balancing in articular surgery
Kaira et al. Prosthetic management of ocular defects: A case series
Biswal et al. Post-transabdominal Preperitoneal Mesh Hernioplasty Seroma Formation and Its Management: A Case Report
Aggarwal et al. Surgical reconstruction or prosthetic rehabilitation following orbital exenteration: The clinician's dilemma
Persoff Achieving symmetry in the tissue-expanded breast reconstruction
RU2320301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й культи для эвисцерации
Disa Operative Techniques in Breast Surgery, Trunk Reconstruction and Body Contouring
Xiao et al. Using a remnant ear to reconstruct the tragus in total ear reconstruction
Prithviraj et al. Reconstruction of exenterated orbit using combined surgical and prosthetic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