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934A -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934A
KR20210046934A KR1020190130348A KR20190130348A KR20210046934A KR 20210046934 A KR20210046934 A KR 20210046934A KR 1020190130348 A KR1020190130348 A KR 1020190130348A KR 20190130348 A KR20190130348 A KR 20190130348A KR 20210046934 A KR20210046934 A KR 2021004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beehive
young
activity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566B1 (ko
Inventor
이경용
윤형주
고현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3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5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등을 통한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뒤영벌의 활동(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을 판단함으로써, 뒤영벌의 활동 패턴(뒤영벌은 이동 통로로 들어가더라도 다시 밖으로 나오거나, 제1 이동 통로로 들어갔다가 제2 이동 통로를 통해 다시 밖으로 나오는 등 뒤영벌의 활동 패턴이 다양함)을 볼 때 보다 정확하게 뒤영벌의 활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뒤영벌의 활동량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뒤영벌류의 생태 및 작물적용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이용될 수 있고, ICT를 통한 스마트 온실 농업에서 수분 및 착과를 시켜주는 벌의 활동량 센싱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 벌통 제작을 위한 중요한 센서로 사용할 수 있고, 벌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특정해주는 지표로 삼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ctivity of bumblebee}
본 발명은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뒤영벌의 활동을 감지하고,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뒤영벌의 활동량은 작물의 착과에 직결되는 요소이다. 뒤영벌의 활동량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을 위하여,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벌통의 출입구에서 각각의 개체의 출입수를 세는 방법을 통해 측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법은 장기간 측정이 어렵고,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0-0060912호 (김재한) 2000. 10. 16. 특허문헌 1은 게이트 통과 객체의 방향 검출 및 통보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객체의 이동 여부와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등을 통한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는,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여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벌통의 복수개의 출입구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의 내부에서의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와 이격되고, 상기 벌통의 상기 복수개의 출입구가 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설치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제공받은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과 가장 먼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과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거나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은,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여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장치의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벌통의 복수개의 출입구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벌통의 상기 복수개의 출입구가 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설치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의 내부에서의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과 가장 먼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과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거나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 결과를 상기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등을 통한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뒤영벌의 활동(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을 판단함으로써, 뒤영벌의 활동 패턴(뒤영벌은 이동 통로로 들어가더라도 다시 밖으로 나오거나, 제1 이동 통로로 들어갔다가 제2 이동 통로를 통해 다시 밖으로 나오는 등 뒤영벌의 활동 패턴이 다양함)을 볼 때 보다 정확하게 뒤영벌의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뒤영벌의 활동량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뒤영벌류의 생태 및 작물적용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이용될 수 있고, ICT를 통한 스마트 온실 농업에서 수분 및 착과를 시켜주는 벌의 활동량 센싱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 벌통 제작을 위한 중요한 센서로 사용할 수 있고, 벌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특정해주는 지표로 삼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에서 뒤영벌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한 활동량 측정 장치의 구현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에서 뒤영벌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는 경우에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뒤영벌 활동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100)(이하 '활동량 측정 장치'라 한다)는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등을 통한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센싱부(110), 촬영부(130), 저장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벌통의 복수개의 출입구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을 통해 벌 이동 통로 각각의 내부에서의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한다. 여기서, 센싱 모듈(111)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물체의 존부(즉, 뒤영벌의 움직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벌통이 2개의 출입구를 구비하는 경우, 2개의 출입구 각각에 벌 이동 통로가 설치되고, 벌 이동 통로 각각에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벌통은 2개의 출입구를 구비하고, 각각의 벌 이동 통로에는 2개의 센싱 모듈(111)이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물론, 벌통이 구비한 출입구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되는 센싱 모듈(111)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모듈(111)이 적외선 센서인 경우, 본 발명은 센서의 거리 값으로 뒤영벌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의 측정 순서(① -> ② 또는 ② -> ①)를 통해 뒤영벌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110)는 복수의 센싱 모듈(111)을 통해 획득한 센싱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촬영부(130)는 센싱부(110)와 이격되고, 벌통의 복수개의 출입구가 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설치되는 촬영 모듈(131)을 포함하며, 촬영 모듈(131)을 통해 영상을 촬영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에서 뒤영벌을 식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을 흑백으로 변환하고, 뒤영벌과 배경을 구분하기 위해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배경에 해당하는 영역을 찾아 제거하며, 제거 후 남은 이미지에서 뒤영벌의 형태(픽셀 크기, 가로/세로 비율 등)에 맞는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130)는 촬영 모듈(131)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저장부(150)는 활동량 측정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활동량 측정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센싱 동작, 촬영 동작, 뒤영벌 활동 감지 동작, 뒤영벌 활동량 측정 동작 등과 같은 활동량 측정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활동량 측정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센싱 정보, 영상 정보, 감지 결과, 뒤영별 활동량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싱부(110)를 통해 제공받은 센싱 정보와 촬영부(130)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70)는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1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 확인하고, 2차적으로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 확인하는, 센싱 정보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2단계에 거쳐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벌통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111)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벌통의 출입구과 가장 먼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111)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①과 센서 ② 모두 감지 안됨" -> "센서 ① 먼저 감지" -> "센서 ② 감지" -> "센서 ①과 센서 ② 모두 감지 안됨" 과정과 같이 확인되는 경우, 본 발명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은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낸다. 제1 영역은 벌통의 출입구가 포함된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이다.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정보를 통해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 &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의 제1 영역(①)에 뒤영벌 마리 수 증가" ->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의 제1 영역(①)에 뒤영벌 마리 수 감소 & 제2 영역(②)에 뒤영벌 마리 수 증가" ->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의 제2 영역(②)에 뒤영벌 마리 수 감소" 과정과 같이 확인되는 경우, 본 발명은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1차적으로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 확인하고, 2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 확인하는, 영상 정보와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2단계에 거쳐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과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정보를 통한 뒤영벌 움직임 없음 &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의 제1 영역(①)에 뒤영벌 마리 수 감소" 과정과 같이 확인되는 경우, 본 발명은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벌통의 출입구와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111)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벌통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111)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를 통한 뒤영벌 들어가는 것 확인" -> "센서 ①과 센서 ② 모두 감지 안됨" -> "센서 ② 먼저 감지" -> "센서 ① 감지" -> "센서 ①과 센서 ② 모두 감지 안됨" 과정과 같이 확인되는 경우, 본 발명은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거나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 결과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의 구현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한 활동량 측정 장치의 구현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벌통의 2개의 출입구 각각에 설치된 2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에 2개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센서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벌통의 2개의 출입구가 화면에 중앙에 오도록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구성 ①은 메인보드로서, 저장부(150)와 제어부(170)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성 ②는 메인보드 케이스이다. 구성 ③은 적외서 거리센서 및 지지대로서, 센싱부(110)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성 ④는 벌 이동 통로이다. 구성 ⑤는 시스템 프레임이다. 구성 ⑥은 카메라 모듈로서, 촬영부(130)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성 ⑦은 카메라 지지대이다. 구성 ⑧은 높낮이 조절 다리이다. 구성 ⑨는 벌통이다.
그러면,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을 통해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의 내부에서의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한다(S110).
그리고,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촬영 모듈(131)을 통해 영상을 촬영한다(S130).
그러면,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을 통해 제공받은 센싱 정보와 촬영 모듈(131)을 통해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한다(S150).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벌통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111)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벌통의 출입구과 가장 먼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111)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과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벌통의 출입구와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111)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벌통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111)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111)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거나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 결과를 활동량 측정 장치(100)에 저장하고, 활동량 측정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1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 확인하고, 2차적으로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 확인하는, 센싱 정보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2단계에 거쳐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활동량 측정 장치(100)는 1차적으로 영상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 확인하고, 2차적으로 센싱 정보를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 확인하는, 영상 정보와 센싱 정보를 조합하여 2단계에 거쳐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뒤영벌의 활동 패턴(뒤영벌은 이동 통로로 들어가더라도 다시 밖으로 나오거나, 제1 이동 통로로 들어갔다가 제2 이동 통로를 통해 다시 밖으로 나오는 등 뒤영벌의 활동 패턴이 다양함)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뒤영벌의 활동(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지/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지)을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한 센싱 정보와 카메라 등을 통한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뒤영벌의 활동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활동량 측정 장치,
110 : 센싱부, 111 : 센싱 모듈,
130 : 촬영부, 131 : 촬영 모듈,
150 : 저장부, 170 : 제어부

Claims (16)

  1.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여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벌통의 복수개의 출입구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의 내부에서의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와 이격되고, 상기 벌통의 상기 복수개의 출입구가 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설치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제공받은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과 가장 먼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과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8. 제1항에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거나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9.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여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장치의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벌통의 복수개의 출입구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벌통의 상기 복수개의 출입구가 화면의 중앙에 오도록 설치되는 촬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벌 이동 통로 각각의 내부에서의 뒤영벌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센싱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센싱 정보와 상기 촬영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벌통에서 나가는 뒤영벌과 상기 벌통으로 들어가는 뒤영벌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과 가장 먼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증가된 이후,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 대비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보다 감소되고 제2 영역의 뒤영벌 수가 이전과 동일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영상 정보의 모든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벌통의 상기 출입구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의 미리 설정된 일부 영역인,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5. 제13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다가,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센싱 모듈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벌통의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센싱 모듈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벌 이동 통로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싱 모듈 전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16. 제9항에서,
    상기 뒤영벌 감지 및 뒤영벌 활동량 측정 단계는,
    상기 벌통에서 뒤영벌이 나가거나 상기 벌통으로 뒤영벌이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 결과를 상기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뒤영벌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방법.
KR1020190130348A 2019-10-21 2019-10-21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3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348A KR102334566B1 (ko) 2019-10-21 2019-10-21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348A KR102334566B1 (ko) 2019-10-21 2019-10-21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34A true KR20210046934A (ko) 2021-04-29
KR102334566B1 KR102334566B1 (ko) 2021-12-03

Family

ID=7572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348A KR102334566B1 (ko) 2019-10-21 2019-10-21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556A (ko) 2021-12-03 2023-06-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912A (ko) 1999-03-22 2000-10-16 김재한 게이트 통과 객체의 방향 검출 및 통보 장치
KR20160141224A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성광 수정벌 관리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1961670B1 (ko) * 2017-10-20 2019-03-26 대한민국 곤충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912A (ko) 1999-03-22 2000-10-16 김재한 게이트 통과 객체의 방향 검출 및 통보 장치
KR20160141224A (ko) * 2015-05-29 2016-12-08 주식회사 성광 수정벌 관리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1961670B1 (ko) * 2017-10-20 2019-03-26 대한민국 곤충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556A (ko) 2021-12-03 2023-06-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566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533B2 (en) Method for automatic behavioral phenotyping
KR101984983B1 (ko) 야생동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Ohayon et al. Automated multi-day tracking of marked mice for the analysis of social behaviour
US202100564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product purchased by user and intelligent shelf system
US10290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2648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observing piglet birth
CN103235932B (zh) 出入口人数统计方法和装置
CN106778555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奶牛反刍咀嚼、吞咽次数统计方法
CN110991222A (zh) 一种物体状态监测、母猪发情监测方法、装置及系统
CN110604915A (zh) 立定跳远测试的方法及装置
US20200293768A1 (en) Recognition apparatus, recognition method, and recognition program
CN115223105A (zh) 基于大数据的风险信息监控分析方法及系统
CN106054278B (zh) 一种头部三维数据采集及身份识别的安检门及方法
KR20210046934A (ko) 뒤영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2016509A (zh) 人员站位异常提醒方法及装置
KR102675185B1 (ko) 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10064157A (ko) 어류의 질병여부를 판단하고 포획할 수 있는 어류질병 감지장치
KR20230026006A (ko) 축사 내 승가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20190075253A (ko) 열화상 이미지를 활용한 가축 질병 감지 시스템
WO2016186327A1 (ko) 공간행동 의미분석 시스템
KR20220010374A (ko) 스마트 엣지 디바이스 기반의 생육 분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3556A (ko) 벌의 활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1798493A (zh) 一种基于双目的公交客流量统计系统
WO2021109458A1 (zh) 对象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6168332B (zh) 跛行检测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