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602A - 상품의 진열대 - Google Patents

상품의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602A
KR20210046602A KR1020210044717A KR20210044717A KR20210046602A KR 20210046602 A KR20210046602 A KR 20210046602A KR 1020210044717 A KR1020210044717 A KR 1020210044717A KR 20210044717 A KR20210044717 A KR 20210044717A KR 20210046602 A KR20210046602 A KR 2021004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support
front mounting
center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희
Original Assignee
한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희 filed Critical 한준희
Priority to KR102021004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602A/ko
Publication of KR2021004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품 진열대는,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부; 및 상기 진열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진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전방 거치부;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및 상기 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방 걸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품의 진열대 {Display stand for arranging merchandise thereon}
본 발명은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진열대는, 상품을 여러 사람에게 보이기 위하여 죽 벌여 놓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금속,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기존의 상품 진열대는, 통상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복수의 수직 지지대와, 이 복수의 수직 지지대 사이에 가로 질러 놓이는 수평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비자가 상품을 볼 수 있도록 상품 판매자 등은 이 수평 지지대에 상품을 진열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상품 진열대는 수직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가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볼트공,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 수단이 요구되므로 상품 진열대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요즘 사회에서 통상적인 형태를 한 기존의 상품 진열대로는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소비자의 눈을끌 수 있는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부; 및 상기 진열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진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전방 거치부;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및 상기 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방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중심 받침부; 및 상기 중심 받침부의 양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양측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받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후방 거치부 각각은 앞부분이 낮고 뒷부분이 높도록 경사진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방 거치부는 제1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후방 거치부는 제2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후방 거치부와 상기 상방 걸이부는 제3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거치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가 각각 절곡되고 난 자리에 제1 및 제2 빈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상기 전방 거치부 중 상기 제1 및 제2 빈공간 사이에 위치한 부위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분리 구획부는 제4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4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심 받침부의 상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양측 받침부는 제5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상부 덮개부는 제6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5 및 제6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진열부와 지지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로 전방 거치부, 후방 거치부, 상방 걸이부, 중심 받침부, 양측 받침부, 상부 덮개부 등을 만들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상당히 세련되고 심플한 심미감을 소비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를 기준으로 전방 거치부와 후방 거치부를 포함하는 진열부를 제공하므로, 상품의 진열 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방 걸이부를 포함하는 진열부를 제공하므로, 상품을 이에 걸어 상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품 진열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품 진열대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품 진열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상품 진열대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진열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열부(110)와 지지부(120)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진열부([0022] 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진열부(110)는 상품 진열대(100)의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곳으로, 전방 거치부(111),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112), 그리고 상방 걸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거치부(111)는 지지부(120)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방 거치부(111)는 소비자에 의해 상품이 제대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하방으로 조금 경사져 구비될 수 있다. 후방 거치부(112)는 전방 거치부(111)와 일체를 이루며 전방 거치부(111)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후방 거치부(112)는 소비자에 의해 상품이 제대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전방 거치부(111)의 경사진 만큼 상방으로 조금 경사져 구비될 수 있다.
상방 걸이부(113)는 후방 거치부(112)와 일체를 이루며 후방 거치부(112)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전방 거치부(111)와 후방 거치부(112)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의 진열 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방 걸이부(113)를 포함하는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을 이에 걸어 상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와 전방 거치부(111)는 제1 절취선(L1)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 거치부(111)와 후방 거치부는 제2 절취선(L2)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 거치부(112)와 상방 걸이부(113)는 제3 절취선(L3)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절취선(L1)(L2)(L3)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절취선(L1)(L2)(L3)은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판금 가공하거나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 등을 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112)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112a)(112b)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 거치부(111)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112a)(112b)가 각각 절곡되고 난 자리에 제1 및 제2 빈공간(X1)(X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전방 거치부(111) 중 제1 및 제2 빈공간(X1)(X2) 사이에 위치한 부위와 일체를 이루며 전방 거치부(111)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구획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구획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진열되는 상품이 분리
구획부(130)를 통해 구분되므로 상품의 진열이 보다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거치부(111)와 분리 구획부(130)는 제4 절취선(L4)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절취선(L4)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제4 절취선(L4)은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판금 가공하거나 레이저 커팅 등을 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지지부(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20)는 진열부(110)와 일체를 이루며 진열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는 중심 받침부(121), 양측 받침부(122), 그리고 상부 덮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받침부(121)는 전방 거치부(111)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양측 받침부(122)는 중심 받침부(121)의 양단과 일체를 이루며 중심 받침부(121)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덮개부(123)는 중심 받침부(121)의 상단과 일체를 이루며 중심 받침부(121)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받침부(121)와 양측 받침부(122)는 제5 절취선(L5)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심 받침부(121)와 상부 덮개부(123)는 제6 절취선(L6)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제5 및 제6 절취선(L5)(L6)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및 제6 절취선(L5)(L6)은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를 판금 가공하거나 레이저 커팅 등을 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양측 받침부(122)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받침부(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양측 받침부(122)가 전방으로 쏠리는 힘을 지지하고, 후방으로 쏠리는 힘은 후방 받침부(124)가 지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진열대(100)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대(100)는 [0033]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열부(110)와 지지부(12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그리고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눈을 끌 수 있는 형태를 갖출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단일 플레이트로 전방 거치부(111), 후방 거치부(112), 상방 걸이부(113), 중심 받침부(121), 양측 받침부(122), 상부 덮개부(123) 등을 만들 수 있으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상당히 세련되고 심플한 심미감을 소비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전방 거치부(111)와 후방 거치부(112)가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의 진열 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방 걸이부(113)를 포함하는 진열부(110)를 제공하므로, 상품을 이에 걸어 상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상품 진열대 110: 진열부
111: 전방 거치부 112: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112a: 제1 후방 거치부 112b: 제2 후방 거치부
113: 상방 걸이부 120: 지지부
121: 중심 받침부 122: 양측 받침부
123: 상부 덮개부 124: 후방 받침부
130: 분리 구획부 L1: 제1 절취선
L2: 제2 절취선 L3: 제3 절취선
L4: 제4 절취선 L5: 제5 절취선
L6: 제6 절취선 X1: 제1 빈공간
X2: 제2 빈공간

Claims (6)

  1. 중심부를 이루며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부; 및 상기 진열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진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전방 거치부;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 및 상기 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후방 거치부에 대해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방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방 거치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중심 받침부; 및 상기 중심 받침부의 양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양측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받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후방 거치부 각각은 앞부분이 낮고 뒷부분이 높도록 경사지는 상품 진열대.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방 거치부는 제1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후방 거치부는 제2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거치부와 상기 상방 걸이부는 제3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
  3.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방 거치부는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거치부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거치부가 각각 절곡되고 난 자리에 제1 및 제2 빈공간을 가지고, 상기 상품 진열대는, 상기 전방 거치부 중 상기 제1 및 제2 빈공간 사이에 위치한 부위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방 거치부에 대해 상
    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분리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4. 제3항에서,
    상기 전방 거치부와 상기 분리 구획부는 제4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
  5.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심 받침부의 상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중심 받침부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상품 진열대.
  6. 제5항에서,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양측 받침부는 제5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받침부와 상기 상부 덮개부는 제6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 및 제6 절취선을 통해 상기 절곡이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
KR1020210044717A 2021-04-06 2021-04-06 상품의 진열대 KR20210046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717A KR20210046602A (ko) 2021-04-06 2021-04-06 상품의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717A KR20210046602A (ko) 2021-04-06 2021-04-06 상품의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602A true KR20210046602A (ko) 2021-04-28

Family

ID=7572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717A KR20210046602A (ko) 2021-04-06 2021-04-06 상품의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66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794A (en) Adjustable length pegboard sign holder
US7128221B2 (en) Adjustable cantilevered shelf
US11576503B2 (en) Tiered display unit
US8016131B2 (en) Display tray
US8499941B2 (en) Gravity-fed retail display hook
US7261214B2 (en) Store lead-in fixture for a product dump table
US20040195192A1 (en) Display assembly
US8511485B2 (en) Modular wave shaped merchandiser rack
US6070744A (en) Display assembly
KR20210046602A (ko) 상품의 진열대
US4105125A (en) Z shelf bracket stocking and display device
US9795229B2 (en) Display fixture divider
KR101699759B1 (ko) 상품 진열대
EP1476055B1 (en) Product displaying rack
JPS5847910Y2 (ja) 冷蔵シヨ−ケ−ス等の表示板取付装置
JP3807694B2 (ja) 陳列棚用表示具
JP3904662B2 (ja) 陳列棚用表示具
CN218899036U (zh) 一种陈列盒
JP3960821B2 (ja) 表示スタンド
KR200343489Y1 (ko) 진열대
JP3462789B2 (ja) 物品陳列構造
JP2002209687A (ja) 商品陳列棚における表示装置
US20090114779A1 (en) Merchandising storage and display device
KR200253137Y1 (ko) 상품 판매대용 걸이구
KR200202607Y1 (ko) 다단식 상품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