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364A -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 Google Patents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364A
KR20210046364A KR1020190129996A KR20190129996A KR20210046364A KR 20210046364 A KR20210046364 A KR 20210046364A KR 1020190129996 A KR1020190129996 A KR 1020190129996A KR 20190129996 A KR20190129996 A KR 20190129996A KR 20210046364 A KR20210046364 A KR 2021004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ttern
magnet
accessory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789B1 (ko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이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훈 filed Critical 이용훈
Priority to KR102019012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9/00Garment suspend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F19/00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 마주보게 폴딩구조로 절첩되어 양측에 극성을 달리하여 배열된 자석수단(10)을 통한 접합력이 작동되면서 의류(40)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50) 등에 대해 물품 모양을 잡아주기 위한 길이 조정 및 고정할 수 고정핀 기능과 함께, 소품의 외측이나 소품 자체의 전체적 모양이 보기에 좋은 액세서리 문양이나 형태로서 장식품 기능까지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서로 극성을 달리하게 배치되어 접합력이 작동되는 한쌍의 자석수단(10), 중간의 접힘부위(24) 공간 양쪽으로 각각 상기 자석수단(10)이 삽입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고 결속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자석안착부(22)가 형성된 자석틀내피(20)와, 내측 양쪽으로 상기 자석틀내피(20) 양측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고 장식 효과가 발휘되는 문양(31)이 형성된 문양장식외피(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Accessory with fixation pin}
본 발명은 반팔 및 긴팔 셔츠와 같은 의류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 등의 길이조정이나 고정수단으로써 장식 기능을 발휘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마주보게 폴딩구조로 절첩되어 양측에 극성을 달리하여 배열된 자석수단을 통한 접합력이 작동되면서 의류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나 가방 등에 대해 물품 모양을 잡아주기 위한 길이 조정 및 고정 마감할 수 고정핀 기능과 함께, 소품의 외측이나 소품 자체의 전체적 모양이 보기에 좋은 액세서리 문양이나 형태로서 장식품 기능까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멋을 추구함은 사람의 본능적인 욕구이며, 이 같은 멋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채 및 질감을 갖는 의류가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의류의 색상이나 디자인과 잘 조화되어 보다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 및 패션감을 부각시키기 위한 용도로 각종 장식물이 독자적으로 또는 의류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있다.
통상 장식물은 여러가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형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있으며, 그밖에 모피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질감을 느끼게 하는 제품 등 다양한 형태와 소재를 갖고 있다. 이 같은 장식물은 그 소재에 따라 각기 다른 미감을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패션감각에 맞추어 장식물이 부착된 의류 등을 선택하거나, 독립적인 장식물을 여러 가지 구비하고 있다가 착용한 의류 등에 잘 조화되는 적합한 장식물을 선택하여 착용하게 된다.
장식물 또는 장식 소품중 먼저, 금속 및 플라스틱 소재의 장식물은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의 특성상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형상이 정형화된 고형체인 관계로 의류의 일부이든 별도로 착용한 것이든 착용 후 행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작은 부피로 성형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금속(또는 플라스틱) 장신구는 차가우면서 절제된 느낌을 주는 것이므로 세련되고 정돈된 느낌의 패션연출에 적합하나, 활동적이고 화사한 분위기의 패션 연출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머리 장신구로는 헤어 밴드, 헤어 핀, 집게 핀, 포니테일 밴드, 바나나핀 등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장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큐빅이나 크리스탈, 보석 등이 사용되기도 하며, 리본 또는 캐릭터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장식으로는 꽃 모양의 장식도 있다.
꽃 모양의 장식은 모양이 복잡하기 때문에 자연스런 꽃 모양을 구현하기가 어렵고, 일반적으로 직물이나 천을 이용하여 꽃 모양을 장식하기는 하지만, 직물이나 천 등은 핫멜트 등을 이용하여 머리 장신구에 부착되기 때문에 외력에 쉽게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피 소재의 장식물은 의류 재질과 유사한 질감을 갖는 소재의 특성상, 화사한 이미지 연출에 적합한 동시에 의류와의 조화감이 우수하다. 또한 모피소재는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절곡될 수 있어, 모피 장식물은 제작부피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모피소재의 장식물은 모자나 목도리와 같이 비교적 큰 부피를 갖는 소품형태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며, 의류의 일부를 이루기도 하고, 브로치 형태로 가공되어 의류나 각종 소품 등의 적정위치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패션 감각을 뽐낼 수 있도록 제공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브로치형으로 가공되는 모피 장식물은 대부분 방울 형상 등의 단조로운 형태를 벗어나지 하는 것이었으며, 이렇게 단조롭게 가공된 모피 장식물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하기 위해서는 각 장식물에 개별적인 염색을 시행하는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모피 장식물은 단색상으로 이루어져 미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었고, 이렇게 단조로운 모피 장식구에 의해서는 다양한 패션의 연출에 한계가 따르는 것이었다.
또한 모피 장식물이 의류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의류를 화려하게 하고 고급화하면서 패션화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의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의류의 소매 끝단, 바지 끝단 또는 옷깃 등에 모피 장식물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존에는 띠모양으로 재단된 모피재를 단순히 상하로 접어 봉재한 다음 의류의 소매 끝단, 바지 끝단 또는 옷깃 등에 모피 장식물을 부착했기 때문에, 모양이 단조롭고 밋밋하여 큰 장식 효과를 얻게 하는데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으며, 특히 탈부착에 있어 그 사용이 불편하고 대상물에 대한 고정성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의류용 스트랩(Strap)은 브래지어나 란제리 및 수영복과 같은 의류의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코자 어깨에 걸쳐져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류용 어깨끈은 어깨에 걸쳐지는 밴드와, 이 밴드의 양 끝단에 설치된 연결고리와, 상기 밴드의 소정부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길이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를 의복에 형성된 고정고리에 걸림 고정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어깨끈은 설치되는 의류와 동일한 재질 또는 유사한 섬유재질로 제작되는데, 섬유재질 자체가 갖는 불충분한 강도와 탄성때문에 스트랩이 의류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랩의 폭을 소정 넓이 이상으로 넓게 형성하여 착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고자 내부에 탄성을 갖도록 탄성재를 내설할 경우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섬유재질 자체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여름철에 어깨부분을 노출시키는 경우에 어깨끈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며, 특히 여름철에 해변가에서 수영복을 입고 태양에 어깨를 노출시켜 피부를 선탠할 경우 어깨끈이 햇빛을 차단하므로서 어깨에 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3986호(여성용 속옷 어깨끈의 길이 고정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283호(스트랩 액세서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278호(자석 수용막 또는 하우징을 구비한 단추 고정부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2156호(자석이 부착된 의류 개구부 닫힘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17338호(자석을 구비한 패션바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7014호(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5163호(장갑용 기능성 액세서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1868호(의복용 바지의 밑단 장식밴드)
본 발명은 지금까지 셔츠나 넥타이 등과 같은 각종 의류 관련 물품에 대해 길이 조절 및 고정수단으로써 적용되었던 전통적인 핀 구조나 단추 및 벨크로파스너 또는 고정력이 취약한 붙박이 구조의 고정핀이나 단순한 장식 소품이 갖는 탈부착 동작의 제반 불편한 점을 구조적으로 개선시킨 새로운 형태 및 작동구조의 장식 소품으로 적용시키고자 개발된 것으로, 사용시 마주보게 대상 물품에 대해 폴딩구조로 절첩되어 양측에 극성을 달리하여 배열된 자석수단을 통한 접합력이 작동되면서 대상 물품인 의류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 등에 대해 물품 모양을 잡아주기 위한 길이 조정 및 고정할 수 고정핀 기능이 기본적으로 발휘되면서, 동시에 소품의 외측이나 소품 자체의 전체적 모양이 보기에 좋은 액세서리 문양이나 형태로서 장식품 기능까지도 함께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은, 기본적으로 서로 극성을 달리하게 배치되어 접합력이 작동되는 한쌍의 자석수단과, 중간의 접힘부위 공간 양쪽으로 각각 상기 자석수단이 삽입 안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결합 형성된 자석틀내피와, 상기 자석틀내피 양측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고 장식 효과가 발휘되는 문양이 형성된 문양장식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자석틀내피는 자석수단이 부식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내구성이 보호되면서 중간의 접힘부위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되도록 실리콘 연질로써 구성되되, 상기 접힘부위 양쪽으로 상기 자석수단이 해당 투입부위를 통해 삽입 결속되어 해당 자석안착부에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고 결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접힘부위 양쪽의 내부로 일체 구조로서 밀봉 처리된다.
특히, 자석틀내피는 상기 문양장식외피의 문양과는 별도로 장식 효과를 갖기 위한 다양한 문양이 기본적으로 외측에 또는 전체적으로 내외측 모두에 걸쳐 인쇄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석틀내피는 중간의 접힘부위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이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부위에 중간의 요홈된 접힘중간부와 함께 양쪽으로 접힘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문양장식외피는 장식 효과를 갖기 위한 다양한 문양이 기본적으로 외측에 또는 전체적으로 내외측 모두에 걸쳐 인쇄 또는 형성되되, 형성되는 문양 또는 자체 질감에 의한 장식 효과가 높아질 수 있도록 직물 재질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문양장식외피는 장식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한 문양이나 별도의 부가장식이 자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문양과 함께 별도의 부가장식이 추가적으로 일체 구조로써 구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원리의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은, 반팔 및 긴팔 셔츠 등의 의류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 등의 길이조정이나 고정수단으로서 장식 기능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마주보게 폴딩구조로 절첩되어 양측에 극성을 달리하여 배열된 자석수단을 통한 접합력이 작동되면서 의류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 등에 대해 길이조정 및 고정할 수 고정핀 기능과 함께, 제품 외측이나 제품 형태가 보기에 좋은 액세서리 문양이나 형태로서 장식품 기능까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새로운 고정핀 기능의 장식 소품으로서 그 작용효과가 기대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식 소품은 고정핀 기능이 필요한 의류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에 폭넓게 적용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셔츠의 소매, 하단, 주머니, 카라 등에 사용함으로서 미적 효과를 높힐 수 있으며, 소매를 접거나 롤링업한 부분에서는 접힌 부분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넥타이의 넥타이핀 대응으로 사용 가능하고, 물품 자체의 독특한 미적 효과와 함께 넥타이의 고정 효과가 가능하며, 가방에 적용할 경우, 가방의 닫히는 부분 양쪽에서 자석 혹은 철을 장착하고 해당 제품을 통해 가방이 닫히는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미적 효과, 고정 기능, 쉬운 탈부착으로 인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적용 가능한 곳에 액세서리 포인트로 사용 가능하며, 패션용 소품 뿐만 아니라 판촉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의 구성원리를 보인 분리상태 사시도.
도 2과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구성하는 자석수단과 자석틀내피 간의 펼침된 상태 사시도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구성하는 자석틀내피의 양쪽 자석안착부에 자석수단이 삽입 결속되어 접힘동작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구성하는 자석수단이 내측 양쪽으로 삽입 결속된 자석틀내피가 문양장식외피의 양쪽 내피삽입부에 삽입 결속되어 폴딩구조로 접힘동작된 상태의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구성하는 자석틀내피의 접힘부위에 접힘동작이 좀더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접힘중간부 양쪽으로 접힘돌기가 돌출된 상태의 평면 구조도와 측단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수단이 자석안착부에 결합된 자석틀내피가 폴딩구조로 접힘동작된 상태의 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구성하는 자석수단이 자석틀내피 내부에 일체 구조로 결합되어 밀봉처리된 상태의 평면 구조도와 측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로서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을 구성하는 자석틀내피에 별도의 문양이 인쇄 또는 형성된 상태의 내부쪽 및 외부쪽 평면 구조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 소품의 내측 구성으로 자석수단이 결속된 자석틀내피가 외측에 문양이 인쇄 또는 형성되고 특정 형태로 형성 돌출된 문양장식외피의 내측 양쪽으로 틈새 형성된 내피삽입부로 삽입 결속되는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 예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장식 소품이 반팔 및 긴팔 셔츠 등의 의류의 밑단 또는 의류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으로 사용된 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기재사항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구성원리를 보인 분리상태도와 함께,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자석수단과 자석틀내피 간의 펼침상태 및 측단면 구조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착용시 의류의 모양을 잡아주며 폴딩이 가능한 연질의 자석틀내피(20) 양쪽으로 접힘 동작시 서로 마주보면서 접합력이 발생되어 고정 결속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극성을 달리하여 자석수단(10)이 부드러운 연질의 내부구조인 자석틀내피(20)에 설치 구성되면서 상기 자석틀내피(20)는 다양한 문양이나 장식을 형성하게 되는 경질의 외부구조인 문양장식외피(30)에 설치 구성되는데, 제품 사용시 이들 자석틀내피(20) 및 문양장식외피(30) 중간의 접힘부위(24)(33)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접히면서 서로 맞주보는 극성을 달리하게 배열시킨 양쪽의 자석수단(10)에 의해 접합력이 발휘되어 간단하게 접합된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는 폴딩구조로 구성된다.
즉, 내부구조인 자석틀내피(20)는 그 바깥쪽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별도의 장식 효과가 발휘되는 장식수단 및 보호수단으로 문양장식외피(30)가 설치 결합되는데, 이들 안쪽의 내부구조인 자석틀내피(20)와 바깥쪽의 외부구인 문양장식외피(30)는 각각 중간의 접힘부위(24)(33) 양쪽으로 주머니 형태의 자석안착부(22)와 내피삽입부(32)가 형성된다. 특히 양쪽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상기 자석수단(10)은 접합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극성을 달리하는 영구자석을 각각 구성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한쪽은 영구자석으로 구성하고 다른 한쪽은 자성체로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자석틀내피(20)는 중간의 접힘부위(24) 공간 양쪽으로 형성되는 자석안착부(22)의 구조를 보면, 상기 양쪽의 자석안착부(22)로 삽입 끼움되는 자석수단(10)이 쉽게 이탈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해당 투입부위(21)가 각각 중간의 접힘부위(24) 쪽에서 바깥쪽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형성하면서 해당 자석수단(10) 형태에 맞게 막혀진 안착부위(23)가 형성되며, 중간의 접힘부위(24)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되면서 상기 자석수단(10)이 부식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내구성이 보호되도록 실리콘 연질로써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석수단(10)을 넣을 수 있는 실리콘틀인 자석틀내피(20)의 자석안착부(22)가 상기 자석수단(10)을 넣는 부분을 좁아지게 만들어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하는 구조로서 유연한 재질로 인해 구조적으로 폴딩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모양을 잡아주며 동시에 오염물로부터 자석수단(10)을 보호하여 녹이 스는 현상도 줄어줄 수 있도록 하고, 외부구조인 직물재질의 문양장식외피(30) 원단에 자석수단(10)을 직접 결합하여 제작할 때 발생되는 자력에 의한 생산의 어려움도 실리콘재질의 물성적인 특성으로 인해 감소하게 하며, 기본적으로 자석수단(10)이 쉽게 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석틀내피(20)가 내부구조로 결속되어 일체의 폴딩구조로서 접힘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깥쪽의 외부구조인 문양장식외피(30)는, 내측 양쪽으로 상기 자석틀내피(20) 양측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중간의 접힘부위(33) 양쪽으로 주머니 형태의 내피삽입부(32)가 형성되고, 특히 연질의 내부구조인 자석틀내피(20)와 별도로 도 1 또는 도 15 및 도 16의 사용상태 예시도면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표면에 자체적으로 장식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문양(31)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13 내지 도 15의 응용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별도의 부가장식(34)이 자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문양(31)과 함께 별도의 부가장식(34)이 추가적으로 일체 구조로써 구성되는 등의 다양한 장식 구성으로 본 발명 제품의 외부구조인 문양장식외피(3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자석틀내피(20)는 양쪽의 자석안착부(22)로 삽입 끼움되는 자석수단(10)이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도록 투입부위(21)가 각각 중간의 접힘부위(24) 쪽에서 바깥쪽으로 좁아지면서 해당 자석수단(10) 형태에 맞게 안착부위(23)가 형성되되, 중간의 접힘부위(24)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되면서 상기 자석수단(10)이 부식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내구성이 보호되도록 실리콘 연질로써 구성된다.
특히, 문양장식외피(30)는 장식 효과를 갖기 위한 다양한 문양(31)이 기본적으로 외측에 또는 전체적으로 내외측 모두에 걸쳐 인쇄 또는 형성되되, 형성되는 문양(31) 또는 자체 질감에 의한 장식 효과가 높아질 수 있도록 내부구조인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구성되는 자석틀내피(20)와 달리 직물 재질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과 함께 장식핀 기능을 최대한 높힐 수 있도록 상기 문영장식외피(30) 자체가 별도의 다양한 장식 형태인 부가장식(34)이 부가되거나 일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문양장식외피(30)는 다양한 섬유 원단 혹은 인형 등 액서서리 소품들을 사용하여 자석수단(10)이 포함된 내부구조인 자석틀내피(20)를 감싸게 되며, 이는 자석틀내피(20)와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기에 사용자의 취량 및 상황에 따라 변경이 자유로울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상단 및 하단을 절반 가까이 접은 후에 양쪽 재봉 후 뒤집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제작 자체도 매우 수월해질 수 있고, 특히 본 발명 제품의 전체적인 형태 및 모양을 잡아주는데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의류를 포함한 다양한 곳에 사용함에 미적 효과의 장식성과 함께 고정핀으로서 고정기능이 함께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은 기본적으로 자석수단(10)이 내측 양쪽으로 삽입 결속되어 일체 구조화되도록 중간의 접힘부위(24) 양쪽으로 별도의 자석안착부(22)를 구성시키지 않고, 도 9 및 도 10의 응용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석수단(10)이 자석틀내피(20) 자체 내부에 밀봉 처리되어 결합 고정된 일체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석틀내피(20)는 중간의 접힘부위(24)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이 구조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도 7 및 도 10의 발전된 응용 실시예의 측단면구조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접힘부위(24)에 중간의 요홈된 접힘중간부(25)와 함께 상기 접힘중간부(25) 양쪽으로 접힘돌기(26)가 돌출 형성되어 도 8의 접힘상태 단면구조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중간의 접힘중간부(25)에 의해 정확하게 반으로 폴딩되는 자석틀내피(20)가 양쪽의 마주보는 이들 접힘돌기(26)에 의해 보다 확실하고 접힘동작이 안정되게 접힘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을 적용시킨 유연한 재질로서 구조적으로 부드럽고 정확한 폴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오염물로부터 자석수단(10)을 보호하는 자석틀내피(20)를 구성시킴에 있어, 문양장식외피(30)의 문양(31)과는 별도로 장식 효과를 갖기 위한 다양한 문양(27)이 기본적으로 외측에 또는 전체적으로 내외측 모두에 걸쳐 인쇄 또는 형성되어 제품 전체의 장식효과를 보다 배가시키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품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은 도 15 내지 도 17의 다양한 사용상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팔 및 긴팔 셔츠와 같은 의류의 밑단이나 접힘부분 또는 넥타이 등의 길이조정이나 고정수단으로써 장식품 기능과 고정핀 기능이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다. 미설명한 도면부호 40과 50은 실시예로서 적용시킨 의류와 넥타이를 샘플로 도시한 것이다.
10 : 자석수단 20 : 자석틀내피
21 : 투입부위 22 : 자석안착부
23 : 안착부위 24 : 접힘부위
25 : 접힘중간부 26 : 접힘돌기
27 : 문양 30 : 문양장식외피
31 : 문양 32 : 내피삽입부
33 : 접힘부위 34 : 부가장식
40 : 의류 50 : 넥타이

Claims (6)

  1. 서로 극성을 달리하게 배치되어 접합력이 작동되는 한쌍의 자석수단(10)과,
    중간의 접힘부위(24) 공간 양쪽으로 각각 상기 자석수단(10)이 삽입 안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결합 형성된 자석틀내피(20)와,
    상기 자석틀내피(20) 양측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고 장식 효과가 발휘되는 문양(31)이 형성된 문양장식외피(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틀내피(20)는 자석수단(10)이 부식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내구성이 보호되면서 중간의 접힘부위(24)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되도록 실리콘 연질로써 구성되되, 상기 접힘부위(24) 양쪽으로 상기 자석수단(10)이 해당 투입부위(21)를 통해 삽입 결속되어 해당 자석안착부(22)에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고 결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접힘부위(24) 양쪽의 내부로 일체 구조로서 밀봉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틀내피(20)는 상기 문양장식외피(30)의 문양(31)과는 별도로 장식 효과를 갖기 위한 다양한 문양(27)이 기본적으로 외측에 또는 전체적으로 내외측 모두에 걸쳐 인쇄 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틀내피(20)는 중간의 접힘부위(24)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접힘 동작이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부위(24)에 중간의 요홈된 접힘중간부(25)와 함께 양쪽으로 접힘돌기(26)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양장식외피(30)는 장식 효과를 갖기 위한 다양한 문양(31)이 기본적으로 외측에 또는 전체적으로 내외측 모두에 걸쳐 인쇄 또는 형성되되, 형성되는 문양(31) 또는 자체 질감에 의한 장식 효과가 높아질 수 있도록 직물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문양장식외피(30)는 장식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한 문양(31)이나 별도의 부가장식(34)이 자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문양(31)과 함께 별도의 부가장식(34)이 추가적으로 일체 구조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KR1020190129996A 2019-10-18 2019-10-18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KR102401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96A KR102401789B1 (ko) 2019-10-18 2019-10-18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96A KR102401789B1 (ko) 2019-10-18 2019-10-18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64A true KR20210046364A (ko) 2021-04-28
KR102401789B1 KR102401789B1 (ko) 2022-05-26

Family

ID=7572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996A KR102401789B1 (ko) 2019-10-18 2019-10-18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78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68B1 (ko) 1999-06-18 2002-01-29 안영표 의복용 바지의 밑단 장식밴드
KR20020095462A (ko) * 2002-11-22 2002-12-26 안영표 의류 장식용 결착구
JP2004060136A (ja) * 2002-07-30 2004-02-26 Michiko Tsuruto 女性用下着の肩紐安定装置付アクセサリ−
KR200400283Y1 (ko) 2005-08-23 2005-11-03 유승태 스트랩 액세서리
KR20110002156U (ko) 2009-08-26 2011-03-04 양원동 자석이 부착된 의류 개구부 닫힘 장치
KR20120095163A (ko) 2011-02-18 2012-08-28 손종욱 장갑용 기능성 액세서리
KR20130005278A (ko) 2010-03-08 2013-01-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기기 및 전자 시스템
KR20150007014A (ko) 2013-07-10 2015-01-20 김제열 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KR20170083986A (ko) 2015-08-10 2017-07-19 김진숙 여성용 속옷 어깨끈의 길이 고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17338A (ko) 2016-08-09 2018-02-21 이화숙 자석을 구비한 패션바지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68B1 (ko) 1999-06-18 2002-01-29 안영표 의복용 바지의 밑단 장식밴드
JP2004060136A (ja) * 2002-07-30 2004-02-26 Michiko Tsuruto 女性用下着の肩紐安定装置付アクセサリ−
KR20020095462A (ko) * 2002-11-22 2002-12-26 안영표 의류 장식용 결착구
KR200400283Y1 (ko) 2005-08-23 2005-11-03 유승태 스트랩 액세서리
KR20110002156U (ko) 2009-08-26 2011-03-04 양원동 자석이 부착된 의류 개구부 닫힘 장치
KR20130005278A (ko) 2010-03-08 2013-01-1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기기 및 전자 시스템
KR20120095163A (ko) 2011-02-18 2012-08-28 손종욱 장갑용 기능성 액세서리
KR20150007014A (ko) 2013-07-10 2015-01-20 김제열 모피 장식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장신구
KR20170083986A (ko) 2015-08-10 2017-07-19 김진숙 여성용 속옷 어깨끈의 길이 고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17338A (ko) 2016-08-09 2018-02-21 이화숙 자석을 구비한 패션바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789B1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6928A (en) Versatile garment attachment and article of clothing
US20070294806A1 (en) Garment Decoration
US9009866B2 (en) Convertible garment cuff
US20100293700A1 (en) "EXTENDITZ" referred herein as "removably-attached clothing accessory", aka " ... garment accessory". aka "accessory"
US20060162040A1 (en) Garment having a fixed cuff
WO2002007545A1 (en) Decorative embellishment for clothing
US20080276347A1 (en) Shirt collar including loops for securing a neck accessory
WO2008073913A1 (en) Garment display window and related method
US20180055120A1 (en) Functional Decorative Brooch Skirt Weights
US8713713B2 (en) Necktie assembly
KR101121007B1 (ko) 다용도 스카프
KR102401789B1 (ko) 고정핀 기능을 갖는 장식 소품
KR100825205B1 (ko) 의류용 장신구
KR20090012902A (ko) 바스트 탑
US20190059459A1 (en) Decorative attachment for a bra
US20140130312A1 (en) Alteration Clips
KR20210155902A (ko) 멜빵 탈부착 양면 랩 스커트 방식의 한복치마
KR100953838B1 (ko) 기능성 양 복상의
JP2005253761A (ja) ネック服飾品
JP3161979U (ja) 男女兼用ツーアンドワンコート衣服
US10806220B2 (en) Fabrics fasten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JP3054304U (ja) 装飾バンド
KR101132915B1 (ko) 와이셔츠 카라 보호 및 장식용 방향 캡
KR101018834B1 (ko) 모피장식물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장식물 및상기 장식물을 포함하는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