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128A -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6128A KR20210046128A KR1020190129446A KR20190129446A KR20210046128A KR 20210046128 A KR20210046128 A KR 20210046128A KR 1020190129446 A KR1020190129446 A KR 1020190129446A KR 20190129446 A KR20190129446 A KR 20190129446A KR 20210046128 A KR20210046128 A KR 202100461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ialog
- command
- application device
- interactive softwa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4—Interactive programming, sentence on screen filled in by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여기에는 제1 다이얼로그 유닛, 제2 다이얼로그 유닛, 응용 장치, 및 다운로드 변환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은 특정한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에 대응하며, 제1 다이얼로그 박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1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에 로그인하여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를 통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은 상기 특정한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에 대응하며, 제2 다이얼로그 박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응용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정보 장치의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로그인하여 상기 제2 다이얼로그 박스를 통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한다.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는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 중의 진술을 기계의 명령으로 변환한 후 상기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리적 기계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을 응용해 다양한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은 이미 사물인터넷의 중요한 추세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응용해 집 내부의 다른 공간에 있는 조명이나 기타 전자 장치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제어 응용은 사용자가 클라우드에서 관련 전자 장치의 APP을 다운로드한 다음, 이러한 APP을 선택 및 조작하여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와 같은 근거리의 각종 검출 툴을 사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종류가 다양하고 통일된 제어 형식이 없기 때문에 각 제조업체는 자체 제품에 속하는 APP을 개별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APP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전자 장치마다 대응하는 APP을 설치해야 한다. 같은 공간의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반드시 각종 다른 형식의 APP을 다운로드해 각각의 전자 장치를 제어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휴대폰에 각종 다양한 APP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APP마다 서로 다른 제어 방식을 따르므로 사용자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APP마다 다양한 제어 명령이 존재해 사용자가 조작하기에도 상당히 불편하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대폰 상의 대화형 소프트웨어 또는 커뮤니티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다이얼로그나 자료를 전송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이러한 대화형 소프트웨어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에 이미 상당히 익숙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규한 소통 방법, 즉 대화형 소프트웨어나 커뮤니티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직접 원격의 응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APP을 별도로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술한 선행기술의 단점을 해결해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원래의 대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다양한 응용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이한 브랜드 또는 유형의 응용 장치도 본 발명의 APP을 설치해 변환하기만 하면 클라우드의 다이얼로그 유닛에 연결하여 사용자와 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명령을 제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명령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 그 외 동일한 다이얼로그 박스를 응용하여 상이한 응용 장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 안에 각종 다른 유형 및 다른 브랜드의 전자 장치를 동일한 다이얼로그 박스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예를 들어 가족, 같은 사무실의 동료, 같은 공장의 근로자)는 모두 동일한 다이얼로그 박스 내에서 동시에 해당 명령에 대응하는 공간의 각 전자 장치의 실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APP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 사람과 여러 장치가 동일한 다이얼로그 박스 내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해당 작업 공간의 기계적 상태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다이얼로그 박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다이얼로그 박스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냈다. 아래 설명 중의 대화형 소프트웨어에는 라인, 위챗,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대화형 소프트웨어가 포함되며 QQ, 페이스북 등과 같이 다이얼로그 기능이 있는 커뮤니티 소프트웨어도 포함된다. 이러한 대화형 소프트웨어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은 특정한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50)에 대응한다.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은 제1 다이얼로그 박스(12),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4) 및 제1 출력 유닛(16)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통해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에 로그인하여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12)를 통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은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PDA, 노트북 등과 같은 제1 전자 정보 장치(70)에 위치한다. 상기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50)은 예를 들어, 라인, 위챗, 인스타그램, QQ, 페이스북 등이다.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은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에 신호가 연결되고, 상기 특정한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50)에 대응한다.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은 제2 다이얼로그 박스(22),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4) 및 제2 출력 유닛(2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 중의 상기 제2 다이얼로그 박스(22)는 가상 유닛, 즉 양자간 다이얼로그를 진행할 수 있는 가상 연결일 수 있으며, 실제로 휴대폰 상에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은 서버,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등과 같은 제2 전자 정보 장치(40) 내에 위치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자 정보 장치(40)는 클라우드 형태로 클라우드 장치를 형성하여, 복수의 상이한 응용 장치가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으로 진입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할 수 있다.
응용 장치(30)는 상기 제2 전자 정보 장치(40)의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에 로그인하여 상기 제2 다이얼로그 박스(22)를 통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할 수 있다.
다운로드 변환기(42)는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 내의 진술을 기계 명령으로 변환한 다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42)는 스크리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이 다이얼로그 진술을 수신하면, 먼저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42)로 전송하여 상기 진술이 수용 가능한 명령인지 확인하고, 그렇다면 상기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해 응용 장치(30)로 전송한다. 응용 장치(30)가 수용할 수 없는 명령인 경우, 명령 오류의 명령(86)을 반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으로 반송되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12)에 상기 명령 오류의 명령(86)이라고 표시한다.
업로드 변환기(44)는 상기 응용 장치(30) 및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에 연결되며, 상기 응용 장치(30)로부터의 기계 명령을 상기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이 수용 가능한 진술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응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운로드 시, 사용자는 상기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의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을 통해 진술 명령(80)을 하달한다(전원이 켜진 경우 점등). 상기 진술 명령은 상기 제1 출력 유닛(16), 즉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통해 클라우드에 위치한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으로 전송된 후,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42)를 통해 기계 명령(82)으로 변환되고, 상기 기계 명령(82)은 다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기계단 APP(32)으로 전송된다. 상기 응용 장치(30)는 상기 기계 명령(82)을 실행하며, 이는 도면에서 점등의 방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기계 명령(82)이 완료되면, 상기 응용 장치(30)도 상기 기계단 APP(32)에서 작동 완료 명령(84)을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의 상기 업로드 변환기(44)로 전송하여 기계 형식의 명령을 진술형의 문장으로 변환하고, 상기 문장은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12)에 상기 진술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장에서 상기 응용 장치(30)의 상황을 알 수 있다. 전체 조작 과정이 일반적으로 대화형 소프트웨어 또는 커뮤니티 소프트웨어의 다이얼로그를 응용하는 것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명령 제안 유닛(60)을 더 포함하며, 다운로드 변환기(42)가 변환된 진술이 상기 응용 장치(30)에서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명령 제안 유닛(60)으로 진입하고, 응용 프로그램 설계의 논리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수용 가능한 명령(복수개일 수 있고, 텍스트 또는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도 있음)을 찾아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20)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하고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이 수용 가능한 명령을 만든 다음, 상기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응용 장치(30)로 전송한다.
기계단 APP(32)은 상기 응용 장치(3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변환기로부터 기계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기계 명령에 따라 상기 응용 장치가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에서 대화 그룹을 형성하고, 그룹 내에 복수개의 상기 응용 장치(30) 및 복수의 사용자(90, 91, 92)를 추가할 수 있다. 각 사용자(90, 91, 92)는 자신의 제1 전자 정보 장치(70)의 제1 다이얼로그 유닛(10)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12)에 진입해 대화 그룹을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90, 91, 92)는 복수개의 응용 장치(30)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든 사용자는 복수개의 상기 응용 장치(30)의 상태를 알 수 있어,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개의 상기 응용 장치(30)를 동시에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아키텍처의 본 발명에 대화 그룹의 일부 사용자가 상기 응용 장치(30)를 조작할 권한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 방식은 상기 각 사용자가 다이얼로그 진행 시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42)에 상기 응용 장치(30)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명령이 하달되면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42)에서 상기 각 사용자에게 상기 응용 장치(30)를 조작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가능한 실시예 중 하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동등한 수준의 실시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 제1 다이얼로그 유닛, 제2 다이얼로그 유닛, 응용 장치, 및 다운로드 변환기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은 특정한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에 대응하며, 제1 다이얼로그 박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1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에 로그인하여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를 통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하고;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은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에 신호가 연결되고, 상기 특정한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에 대응하며, 제2 다이얼로그 박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응용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정보 장치의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로그인하여 상기 제2 다이얼로그 박스를 통해 다이얼로그를 진행하고; 및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는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 내의 진술을 기계의 명령으로 변환한 다음, 상기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업로드 변환기는 상기 응용 장치 및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응용 장치로부터의 기계 명령을 상기 대화형 소프트웨어 유닛이 수용 가능한 진술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명령 제안 유닛을 더 포함하며, 다운로드 변환기가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에서 전송된 다이얼로그 진술이 변환을 거친 후 상기 응용 장치에서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명령 제안 유닛으로 진입하고, 응용 프로그램 설계의 논리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수용 가능한 명령을 찾아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하고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이 수용 가능한 명령을 만든 다음, 상기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응용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설계의 논리가 찾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수용 가능한 명령은 복수개의 텍스트 또는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기계단 APP은 상기 응용 장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변환기로부터 기계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기계 명령에 따라 상기 응용 장치가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에서 대화 그룹을 형성하고, 각 사용자는 자신의 제1 전자 정보 장치의 제1 다이얼로그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박스에 진입해 대화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그룹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응용 장치를 추가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응용 장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모든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응용 장치의 실제 상태를 알 수 있어, 복수의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응용 장치를 동시에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소프트웨어는 라인(line), 위챗, 인스타그램(Instagram), QQ의 다이얼로그 유닛, 페이스북(FACEBOOK)의 다이얼로그 유닛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얼로그 박스는 가상 유닛, 즉 양자간 다이얼로그를 진행할 수 있는 가상 연결이며, 실제로 휴대폰 상에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은 클라우드 장치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는 스크리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다이얼로그 유닛이 다이얼로그 진술을 수신하면, 먼저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로 전송하여 상기 진술이 수용 가능한 명령인지 확인하고, 그렇다면 상기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해 응용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에서 변환 시 상기 진술이 상기 응용 장치가 수용할 수 없는 명령인 경우, 명령 오류의 명령을 반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제1 다이얼로그 유닛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제6항에 있어서,
대화 그룹의 일부 사용자가 상기 응용 장치를 조작할 권한을 갖도록 설정하며, 그 방식은 상기 각 사용자가 다이얼로그 진행 시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에 상기 응용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명령이 하달되면 상기 다운로드 변환기에서 상기 각 사용자에게 상기 응용 장치를 조작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446A KR20210046128A (ko) | 2019-10-17 | 2019-10-17 |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446A KR20210046128A (ko) | 2019-10-17 | 2019-10-17 |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6128A true KR20210046128A (ko) | 2021-04-28 |
Family
ID=7572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9446A KR20210046128A (ko) | 2019-10-17 | 2019-10-17 |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6128A (ko) |
-
2019
- 2019-10-17 KR KR1020190129446A patent/KR2021004612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6479B1 (ko) | 사물인터넷 제어방법, 단말 및 피제어 기기 | |
KR102528104B1 (ko) | 기기 인터랙티브 방법, 장치, 기기, 시스템 및 매체 | |
US10983502B2 (en) | Remote management device and remote management method | |
WO2017051171A1 (en) | Private access to human interface devices | |
JP2013172459A (ja) | モバイル端末を遠隔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 |
CN109783165B (zh) | 基于虚拟化移动架构的移动通信装置及其输入法切换方法 | |
KR20130005544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20210046128A (ko) | 대화형 소프트웨어를 응용해 물리적 기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
CN201985899U (zh) | 控制转接装置与控制转接系统 | |
CN103533085A (zh) | 一种远程控制计算机的方法及系统 | |
CN111479007A (zh) | 应用谈话性软体控制实体机械的机构 | |
WO2018196136A1 (zh) | 用于遥控移动设备的遥控装置和遥控移动套装 | |
US20190213003A1 (en) | Method, system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s | |
TW202029719A (zh) | 應用談話性軟體控制實體機械的機構 | |
US2015018164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bridging an input signal from a human interface device between a computer and a mobile device | |
US20140333538A1 (en) | Input device and configuration setting system thereof | |
KR100853783B1 (ko)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프로젝터 연동 시스템 | |
WO2020010655A1 (zh) | 一种计算机的回控系统及方法 | |
CN104317606A (zh) | 远程操作系统 | |
TWM589294U (zh) | 應用談話性軟體控制實體機械的機構 | |
KR20230077832A (ko) | 원격 가상 입력 어플리케이션 | |
CN103092331A (zh) | 二人机接口装置主机间的无线传输方法、系统及其装置 | |
US11736366B2 (en) | Remote GUI for simple network devices | |
KR20130017478A (ko) | 블루투스를 이용한 입력장치 공유기 | |
KR101147297B1 (ko) | 키 값 변경이 용이한 프리젠테이션용 휴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