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918A -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918A
KR20210045918A KR1020200109104A KR20200109104A KR20210045918A KR 20210045918 A KR20210045918 A KR 20210045918A KR 1020200109104 A KR1020200109104 A KR 1020200109104A KR 20200109104 A KR20200109104 A KR 20200109104A KR 20210045918 A KR20210045918 A KR 20210045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parts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166B1 (ko
Inventor
조미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86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207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프로
Priority to KR1020200109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1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7Recovery of volatiles by distillation or st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증가시키면서 고도의 집중상태에 이르게 함으로써 청소년의 학습능력 및 기억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perfume composition that improves the emotional comfort of the brain}
본 발명은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에게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뇌기능이며, 뇌세포의 활성도가 왕성할 때 정신력 및 집중력이 높아지게 된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뇌기능이 저하되고 집중력이 약화되며,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하여도 기억 기능이 감퇴되거나 집중력이 저하된다. 집중력 저하는 강박감, 스트레스, 우울증 또는 치매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호르몬인 카테콜아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분비될 경우 집중력이 저하되며, 스트레스 호르몬이 30분 이상 지속될 경우 뇌의 에너지가 떨어지고 그로 인하여 집중력이 저하되게 된다.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는 흔히 발생되는 것이므로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집중력 저하를 개선하는 제품들에 대한 연구 및 소비자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집중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는 제품 중 하나가 방향제이다. 경제가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웰빙 또는 힐링에 대한 욕구 또한 증가되어 화장실과 같은 악취 공간 뿐만 아니라, 일반 사무실, 가정, 업소 및 차량 등 다양한 공간에서의 방향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트레스 해소나 치료 효과를 위한 용도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향제의 경우 초기에는 향의 발산력이 우수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기의 감소가 감소하여 제품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고, 방향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두통을 유발하거나, 신경과민, 환각, 마취, 무기력, 뇌경색 등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방향제의 일부 성분 중 하나인 메탄올의 경우 인체 내에서 독성물질인 포름알데히드로 산화되는데, 인체에 포름알데히드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없어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신경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고, 방향제의 다른 성분 중 하나인 이소프로필알코올의 경우 두통과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방향제의 또 다른 성분 중 하나인 벤젠의 경우 높은 농도에 노출되면 마취된 것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낮은 농도라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혈액에 문제가 생겨 빈혈, 백혈병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방향제의 또 다른 성분 중 하나인 글리옥산의 경우 눈에 심한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피부 자극 및 알레르기성 피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방향제의 또 다른 성분 중 하나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경우암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방향제 성분들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심신 안정, 피로회복, 스트레스 해소 등을 통해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994-000357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604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증가시키면서 고도의 집중상태에 이르게 함으로써 청소년의 학습능력 및 기억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제한은 낮은 수치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제한은 더 높은 수치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주어진 모든 수치제한은 더 좁은 수치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범위 내의 더 놓은 모든 수치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새로운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0 내지 90 중량부, 라벤더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레몬 오일 1 내지 2 중량부, 바질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버가못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쟈스민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 내지 2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 내지 2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2 중량부, 티트리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파촐리 오일 1 내지 2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파인 스카치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편백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및 숯 0.1 내지 0.5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들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라도 제외되는 경우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이란, 본 발명에 의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집중력 향상의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혼합물」이란, 정제수, 에탄올, 라벤더 오일, 레몬 오일, 바질 오일, 버가못 오일, 쟈스민 오일, 로즈마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만 캐모마일 오일, 히비스커스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티트리 오일, 일랑일랑 오일, 파촐리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파인 스카치 오일, 편백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및 숯이 혼합되어 포함된 것으로서, 각각의 성분이 순차적으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 각각의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배합 비율을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이 과대하게 들게 되며 효능이 비용에 비해 상승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고, 상기 배합비율 미만일 경우에는 방향제로서의 효과가 미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합 비율 내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벤더 오일, 레몬 오일, 바질 오일, 버가못 오일, 쟈스민 오일, 로즈마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만 캐모마일 오일, 히비스커스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티트리 오일, 일랑일랑 오일, 파촐리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및 파인 스카치 오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으며, 시판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라벤더 오일」이란, 라벤더의 꽃과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심신의 이완, 스트레스 완화와 숙면을 도와주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레몬 오일」이란, 레몬의 신선한 껍질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몸과 마음에 활력을 주며, 인체 시스템을 보호하고 감정을 고양시키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바질 오일」이란, 바질의 꽃과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머리를 맑게 해주어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높여주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버가못 오일」이란, 버가못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가못 오일에는 마음을 진정시킴과 동시에 고양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불안, 우울, 신경긴장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냉각작용과 기운을 북돋아 주는 작용이 결합하여 교감신경계작용을 감소시키므로 노여움, 실망감 등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쟈스민 오일」이란, 쟈스민의 꽃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자궁을 건강하게 하여 월경전증후군, 월경통 완화에 도움을 주며, 출산 시 사용하면 통증을 줄여주고 자궁 수축을 원활히 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로즈마리 오일」이란, 로즈메리의 잎과 꽃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몸과 마음을 자극하여 두뇌활동 활성화와 순환을 돕고, 활력을 주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페퍼민트 오일」이란, 페퍼민트의 잎과 꽃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피로와 두통을 완화하며,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로만 캐마모일 오일」이란, 로만 캐모마일의 꽃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심리 진정효과가 뛰어나고, 신체의 경련을 감소시켜 두통, 요통, 생리통 등의 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히비스커스 오일」이란, 히비스커스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혈압이 조절되고 콜레스테롤이 완화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유칼립투스 오일」이란,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의 잎과 잔가지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면역계를 강화시키고 기침, 가래 등 호흡계 질환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티트리 오일」이란, 티트리의 잎과 잔가지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류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면역력을 증가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일랑일랑 오일」이란, 일랑일랑 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달콤하고 진한 꽃향이 나며 베이스 노트에 속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파촐리 오일」이란, 파촐리의 말린 잎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서, 스트레스, 긴장, 우울감을 완화시키고, 소화 기능의 정상화를 돕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클라리세이지 오일」이란, 클라리세이지 오일은 긴장상태를 이완시키면서도 피곤한 사람들의 활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파인 스카치 오일」이란, 구주소나무의 잎과 어린 가지, 솔방울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 몸과 마음을 상쾌하게 하고 호흡기 관련 증상과 통증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에센셜 오일」이란,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 꽃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한 휘발성의 유기화합물을 통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편백 추출물」이란, 편백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편백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다양한 오일들과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집중력 향상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블루베리 추출물」이란, 블루베리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다양한 오일들과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집중력 향상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숯」이란, 향 포집제 역할을 수행하는 분말가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2 내지 88 중량부, 라벤더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레몬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바질 오일 0.08 내지 0.12 중량부, 버가못 오일 0.08 내지 0.12 중량부, 쟈스민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티트리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파촐리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파인 스카치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편백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및 숯 0.2 내지 0.4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5 중량부, 라벤더 오일 0.8 중량부, 레몬 오일 1.5 중량부, 바질 오일 0.1 중량부, 버가못 오일 0.12 중량부, 쟈스민 오일 0.8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6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5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8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3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5 중량부, 티트리 오일 0.7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8 중량부, 파촐리 오일 1.2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8 중량부, 파인 스카치 오일 0.6 중량부, 편백 추출물 1.5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5 중량부 및 숯 0.3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중량부」란,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으며, g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증제는 잔탄검 또는 겔란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잔탄검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증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용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액상의 디퓨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방향제」란, 특정 공간에 사용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좋은 냄새 발산시켜 공간 이용자의 기분을 상쾌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성분 함유 제품을 의미하며, 용어 「디퓨저」란, 전동식 에어펌프에 의한 공기의 압력으로 에센셜 오일을 공기중에 확산시키는 기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은 전술한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기능의 부여, 예를 들면,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점증제」란, 향료 조성물의 점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장기간 균일한 휘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편백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정제수 500 내지 1500 mL와 20 내지 50 mm 길이로 절단된 편백나무 가지와 잎 100 내지 300 g을 증류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2) 100 내지 180℃의 온도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증류 추출하는 단계;
(3) 증류 추출액을 여과하고,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루베리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블루베리 과실을 30 내지 60℃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2) 건조된 블루베리 과실 100 g 당 1 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3 내지 6시간 동안 2번의 환류 추출하는 단계;
(3) 환류 추출액을 여과하고,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0 내지 90 중량부, 라벤더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레몬 오일 1 내지 2 중량부, 바질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버가못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쟈스민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 내지 2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 내지 2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2 중량부, 티트리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파촐리 오일 1 내지 2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5 내지 1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및 숯 0.2 내지 0.4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S-3)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10 내지 15℃에서 7일 내지 14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숙성된 혼합용액을 300 내지 600 mm의 필터페이퍼로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2 내지 88 중량부, 라벤더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레몬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바질 오일 0.08 내지 0.12 중량부, 버가못 오일 0.08 내지 0.12 중량부, 쟈스민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티트리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파촐리 오일 1.2 내지 1.8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6 내지 0.8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5 중량부, 라벤더 오일 0.8 중량부, 레몬 오일 1.5 중량부, 바질 오일 0.1 중량부, 버가못 오일 0.12 중량부, 쟈스민 오일 0.8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6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5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8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3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5 중량부, 티트리 오일 0.7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8 중량부, 파촐리 오일 1.2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8 중량부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6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상기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2 내지 1.8 중량부 및 숯 0.2 내지 0.4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5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5 중량부 및 숯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 첨가되는 편백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정제수 500 내지 1500 mL와 20 내지 50 mm 길이로 절단된 편백나무 가지와 잎 100 내지 300 g을 증류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2) 100 내지 180℃의 온도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증류 추출하는 단계;
(3) 증류 추출액을 여과하고,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 첨가되는 블루베리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블루베리 과실을 30 내지 60℃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2) 건조된 블루베리 과실 100 g 당 1 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3 내지 6시간 동안 2번의 환류 추출하는 단계;
(3) 환류 추출액을 여과하고,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점증제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10 내지 15℃에서 10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증가시키면서 고도의 집중상태에 이르게 함으로써 청소년의 학습능력 및 기억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벤더 오일, 레몬 오일, 바질 오일, 버가못 오일, 쟈스민 오일, 로즈마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만 캐모마일 오일, 히비스커스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티트리 오일, 일랑일랑 오일, 파촐리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및 파인 스카치 오일은 (주) 아로마하우스(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기타 시약들은 시그마 알드리치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 : 편백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1000 mL와 30 mm 길이로 절단된 편백나무 가지와 잎 150 g을 증류 추출기에 투입한 후, 16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증류 추출하였다.
증류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한 후,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편백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블루베리 추출물의 제조
구입한 블루베리 과실 300 g을 40℃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3 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2번의 환류 추출을 진행하였다.
환류 추출 후 얻어진 환류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한 후,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블루베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 집중력 향상용 방향제 조성물의 제조
반응기에 정제수 100 g을 첨가한 후, 에탄올 85g, 라벤더 오일 0.8 g, 레몬 오일 1.5 g, 바질 오일 0.1 g, 버가못 오일 0.12 g, 쟈스민 오일 0.8 g, 로즈마리 오일 0.6 g, 페퍼민트 오일 1.5 g, 로만 캐모마일 오일 0.8 g, 히비스커스 오일 1.3 g, 유칼립투스 오일 1.5 g, 티트리 오일 0.7 g, 일랑일랑 오일 0.8 g, 파촐리 오일 1.2 g, 클라리세이지 오일 0.8 g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6 g을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5 g, 블루베리 추출물 1.5 g 및 숯 0.3 g를 첨가하고, 잔탄검 0.05 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10 내지 15℃에서 10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용액을 500 mm의 필터페이퍼로 여과하여 집중력 향상용 방향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라벤더 오일과 쟈스민 오일이 제외된 방향제용 조성물의 제조
반응기에 정제수 100 g을 첨가한 후, 에탄올 85g, 라벤더 오일 0.8 g, 레몬 오일 1.5 g, 바질 오일 0.1 g, 버가못 오일 0.12 g, 쟈스민 오일 0.8 g, 로즈마리 오일 0.6 g, 페퍼민트 오일 1.5 g, 로만 캐모마일 오일 0.8 g, 히비스커스 오일 1.3 g, 유칼립투스 오일 1.5 g, 티트리 오일 0.7 g, 일랑일랑 오일 0.8 g, 파촐리 오일 1.2 g, 클라리세이지 오일 0.8 g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6 g을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5 g, 블루베리 추출물 1.5 g 및 숯 0.3 g를 첨가하고, 잔탄검 0.05 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10 내지 15℃에서 10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용액을 500 mm의 필터페이퍼로 여과하여 집중력 향상용 방향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라벤더 오일과 로즈마리 오일이 제외된 방향제용 조성물의 제조
반응기에 정제수 100 g을 첨가한 후, 에탄올 85g, 레몬 오일 1.5 g, 바질 오일 0.1 g, 버가못 오일 0.12 g, 쟈스민 오일 0.8 g, 페퍼민트 오일 1.5 g, 로만 캐모마일 오일 0.8 g, 히비스커스 오일 1.3 g, 유칼립투스 오일 1.5 g, 티트리 오일 0.7 g, 일랑일랑 오일 0.8 g, 파촐리 오일 1.2 g, 클라리세이지 오일 0.8 g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6 g을 첨가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5 g, 블루베리 추출물 1.5 g 및 숯 0.3 g를 첨가하고, 잔탄검 0.05 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10 내지 15℃에서 10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용액을 500 mm의 필터페이퍼로 여과하여 집중력 향상용 방향제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험예에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 집중력 개선에 대한 패널 테스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방향제 조성물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약 20 m2의 밀폐된 공간에 방향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디퓨저 형태의 방향제를 설치하고 30분 동안 집중력 개선에 대한 패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이 때, 모든 시험은 블라인드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피험자가 스코어링을 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향제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모든 피험자들은 일상의 스트레스가 해소됨을 느낄 수 있었으며, 머리가 맑아지고 심신이 안정됨으로써 고도의 집중상태에 이르는 것이 가능하다고 평가하였으나,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방향제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피험자들은 쾌적함을 느끼기 어렵고, 기분전환이 되지 않아 집중을 하는데 있어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방향제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5 중량부, 라벤더 오일 0.8 중량부, 레몬 오일 1.5 중량부, 바질 오일 0.1 중량부, 버가못 오일 0.12 중량부, 쟈스민 오일 0.8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6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5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8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3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5 중량부, 티트리 오일 0.7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8 중량부, 파촐리 오일 1.2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8 중량부, 파인 스카치 오일 0.6 중량부, 편백 추출물 1.5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5 중량부 및 숯 0.3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뇌의 쾌적성을 증가시키고 심신을 안정시켜 고도의 집중을 가능하게 함을 확인하였다.
집중력 개선 정도
0점 전혀 집중이 되지 않았다.
1점 집중이 조금 되는 듯 하나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다.
2점 집중이 조금 되었다.
3점 집중이 되었다.
4점 고도의 집중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피험자
스코어
3 1 2
3 1 0
4 0 1
4 1 0
3 1 0
4 1 0
4 2 1
4 1 0
3 0 1
4 0 1
3 1 1
3 0 2
4 1 0
4 0 1
3 0 0
3 1 1
4 2 0
3 1 1
4 2 0
4 1 0
평균 3.6 0.9 0.6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S-1)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80 내지 90 중량부, 라벤더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레몬 오일 1 내지 2 중량부, 바질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버가못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쟈스민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로즈마리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페퍼민트 오일 1 내지 2 중량부, 로만 캐모마일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히비스커스 오일 1 내지 2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 내지 2 중량부, 티트리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일랑일랑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파촐리 오일 1 내지 2 중량부, 클라리세이지 오일 0.5 내지 1 중량부 및 파인 스카치 오일 0.5 내지 1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교반된 교반액에 편백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블루베리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및 숯 0.2 내지 0.4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S-3) 상기 혼합된 혼합액을 10 내지 15℃에서 7일 내지 14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숙성된 혼합용액을 300 내지 600 mm의 필터페이퍼로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편백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이고,
    (1) 정제수 500 내지 1500 mL와 20 내지 50 mm 길이로 절단된 편백나무 가지와 잎 100 내지 300 g을 증류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2) 100 내지 180℃의 온도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증류 추출하는 단계;
    (3) 증류 추출액을 여과하고,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4)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블루베리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인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블루베리 과실을 30 내지 60℃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b) 건조된 블루베리 과실 100 g 당 1 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3 내지 6시간 동안 2번의 환류 추출하는 단계;
    (c) 환류 추출액을 여과하고,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d) 감압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KR1020200109104A 2019-10-16 2020-08-28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9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04A KR102294166B1 (ko) 2019-10-16 2020-08-28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632A KR102152076B1 (ko) 2019-10-16 2019-10-16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109104A KR102294166B1 (ko) 2019-10-16 2020-08-28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632A Division KR102152076B1 (ko) 2019-10-16 2019-10-16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918A true KR20210045918A (ko) 2021-04-27
KR102294166B1 KR102294166B1 (ko) 2021-08-27

Family

ID=7572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04A KR102294166B1 (ko) 2019-10-16 2020-08-28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16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570A (ko) 1992-08-14 1994-03-12 김영설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KR20020059507A (ko) * 2001-01-08 2002-07-13 손 경 식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20030090223A (ko) *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 아로마휴먼텍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JP2005198854A (ja) * 2004-01-16 2005-07-28 Nippon Kodo Co Ltd 消臭、抗菌用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2831A (ko) * 2005-04-28 2006-11-02 김중길 공기청정 지속성이 우수한 아로마 오일을 함유한 청향제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470B1 (ko) * 2011-12-05 2012-06-22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편백 나노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83301A (ko) * 2012-01-12 2013-07-22 이용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86041B1 (ko) 2014-03-31 2015-01-23 주식회사 자연인 기억력 증진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20180031311A (ko) * 2016-09-20 2018-03-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긴장완화용 블루베리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20583A (ko) * 2017-08-21 2019-03-04 이정권 향이 오래 지속되는 방향제
KR20190058091A (ko) * 2017-11-21 2019-05-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58851A (ko) * 2017-11-22 2019-05-30 오순지 식물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성 위생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570A (ko) 1992-08-14 1994-03-12 김영설 개량된 방향제 조성물
KR20020059507A (ko) * 2001-01-08 2002-07-13 손 경 식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20030090223A (ko) *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 아로마휴먼텍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JP2005198854A (ja) * 2004-01-16 2005-07-28 Nippon Kodo Co Ltd 消臭、抗菌用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2831A (ko) * 2005-04-28 2006-11-02 김중길 공기청정 지속성이 우수한 아로마 오일을 함유한 청향제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470B1 (ko) * 2011-12-05 2012-06-22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편백 나노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83301A (ko) * 2012-01-12 2013-07-22 이용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86041B1 (ko) 2014-03-31 2015-01-23 주식회사 자연인 기억력 증진 한방 방향제 조성물
KR20180031311A (ko) * 2016-09-20 2018-03-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긴장완화용 블루베리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20583A (ko) * 2017-08-21 2019-03-04 이정권 향이 오래 지속되는 방향제
KR20190058091A (ko) * 2017-11-21 2019-05-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58851A (ko) * 2017-11-22 2019-05-30 오순지 식물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성 위생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166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elan et al. Potential use of essential oils i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hair products: A review
KR102152076B1 (ko) 집중력 향상용 항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70134195A1 (en) Topical Analgesic for Sensitive Skin
JPH04149136A (ja) 鎮静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WO2002051428A1 (fr) Composition de parfum stimulant le systeme sympathique
CN111480647A (zh) 一种杀菌类天然植物精油香薰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757733B2 (ja)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US20070178061A1 (en) Therapeutic blended oil composition and method
CN104042523A (zh) 天然植物保健按摩精油
CN110403869A (zh) 一种植物舒缓复合精油及其制备方法
KR20110000216A (ko) 솔잎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향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CN104434697A (zh) 一种驱蚊止痒、护肤安神的固体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100843680B1 (ko) 스트레스완화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US20040137089A1 (en) Skin treatment
CN102885883B (zh) 淋巴排毒复方精油
KR20060112831A (ko) 공기청정 지속성이 우수한 아로마 오일을 함유한 청향제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692B1 (ko) 정서안정용 향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형향료조성물
KR20210045918A (ko) 뇌의 정서적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항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45919A (ko) 심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E20109044U1 (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20120025740A (ko) 항균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액
CN102860942A (zh) 眼部护理复方精油
KR20030090223A (ko)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