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812A - Fire Detection Assembly - Google Patents

Fire Detection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812A
KR20210045812A KR1020190129278A KR20190129278A KR20210045812A KR 20210045812 A KR20210045812 A KR 20210045812A KR 1020190129278 A KR1020190129278 A KR 1020190129278A KR 20190129278 A KR20190129278 A KR 20190129278A KR 20210045812 A KR20210045812 A KR 2021004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ion
fire
sensor
assembly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2905B1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벨
Priority to KR102019012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05B1/en
Publication of KR2021004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fire detection assembly which can improve fire detection efficiency. The fire detection assembly includes: a body portion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fire detection; and an assembly body having a cover portion which airtightly shields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nsing body having a sensing body portion contact-coupled to one area of the body portion in some areas and disposed to have a separation interval from one area of the body portion in remaining areas, and a fire sensing sensor arranged and coup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ortion in a part of the sensing body portion and detecting a fire.

Description

화재감지 조립체{Fire Detection Assembly}Fire Detection Assembly

본 발명은 화재감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화재감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etection assembly capable of smoothly flowing air for accurately detecting a fire.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감지센서가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되어 감지본체에 결합되어 있다. 화재를 효율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센서는 길게 형성된다.In general fire detectors, a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long rod and is coupled to the detection body. In order to detect fire efficiently, the detection sensor is formed long.

그러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의 감지센서는 감지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나 외부충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파손 가능성이 높다. 감지센서가 파손되면 화재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감지센서를 소형화하였으나 소형화된 감지센서가 감지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가운데 화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감지본체와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감지본체에 부딪치는 공기는 유동방향이 굴곡되어 소형화된 감지센서를 지나치게 되므로 화재에 의한 공기흐름이 감지센서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감지센서에서의 화재 감지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detection sensor of a general fire detector is coupled to the detection body, it is exposed to external shock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If the detection sensor is dama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detect a fire.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detection sensor has been miniaturized, but when the flow of air due to fire is made up of the detection body and the detection sensor while the miniaturized detection sensor is coupled to the detection body, the air hitting the detection body is bent in the direction of flow, resulting in miniaturization. Since the detection sensor is excee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 detection efficiency in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deteriorated because the air flow due to the fire is not made smoothly by the detection sens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감지가 원활하도록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는 화재감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detection assembly capable of smoothly flowing air capable of detecting fire so that fire detection is smoo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는,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일부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감지본체부와, 상기 감지본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갖는 감지몸체를 포함한다. 감지몸체가 조립본체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감지몸체와 조립본체 사이로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시에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흐름이 감지센서 주변으로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 fire det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body portion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fire detection; And a sensing body part that is contact-coupled with one region of the main body in a partial region, and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one region of the main body in the remaining region, and is dispos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sensing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It is combined and includes a detection body having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fire. Since the sensing body is arranged at intervals from the assembly body, the air flow between the sensing body and the assembly body can be made smoothly, so even in the event of a fire, the air flow that can detect the fire can be made smoothly around the detection sensor. As a result, fire det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영역에 결합면을 갖는 입체형상이며,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결합부; 및 상기 대향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보호하는 센서보호부를 가지면 감지본체부가 이격간격을 형성하며 본체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센서로의 공기유동이 원할하게 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the body portion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coupling surface in the one region,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shielding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ensing body portion includes: a facing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contact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pposite surface towar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nsor protection unit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unit to protect the fire detection sensor from external impact, the sensing main unit may form a spaced apart and be coupled to the main unit. This is desirable because the air flow to the detection sensor can be smooth.

그리고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호 이격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한 쌍의 접촉결합부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면 화재감지력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pair having a mutually spaced apart,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air disposed on the pair of contact coupling portions to improve fire detection power.

여기서,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면 화재감지센서를 양측에서 효율적으로 외부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protection unit is provided in at least a pair of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e detection sensor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fire detection sensor can be efficiently protected against external shock from both sides.

그리고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슬롯과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면 센서보호부에 의해 화재감지센서로의 원활한 공기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protection unit prevents smooth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by the sensor protection unit when at least one of a flow slot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a lengthwise direction for the flow of air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forme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몸체가 조립본체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감지몸체와 조립본체 사이로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시에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흐름이 감지센서 주변으로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ing body is arranged at a spaced apart from the assembly body, the air flow between the sensing body and the assembly body can be made smoothly, so that even in the event of a fire, the air flow that can detect the fire is smoothly around the detection sensor. It can be made, and thereb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re det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화재감지 조립체로의 공기흐름 예시도.
도 3 은 감지몸체의 예시도.
도 4는 센서보호부의 변형 예시도.
도 5는 접촉결합부의 변형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assembly.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ensing body.
Figure 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sensor protection unit.
Figure 5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1)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e detection assembly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조립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화재감지 조립체(1)로의 공기흐름 예시도이며, 도 3 은 감지몸체(20)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센서보호부(213)의 변형 예시도이며, 도 5는 접촉결합부(212)의 변형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ion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assembly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detection body 20, and FIG. 4 is a sensor A modified example of the protection part 213 is shown, and FIG. 5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act coupling part 212.

화재감지 조립체(1)는 조립본체(10)와 감지몸체(20)를 갖는다. The fire detection assembly 1 has an assembly body 10 and a detection body 20.

조립본체(10)는 본체부(11)와 덮개부(12)를 갖는다. 본체부(11)는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본체부(11)는 일영역에 결합면을 갖는 입체형상이다. 본체부(11)는 적어도 하나의 면부를 갖는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The assembly body 10 has a body portion 11 and a cover portion 12. The main body 11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fire detection. The main body 11 i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n engaging surface in one area. The body portion 11 has a shape having at least one surface portion, and preferably has a hexahedral shape.

덮개부(12)는 본체부(11)의 수용공간을 기밀하게 차폐한다. 덮개부(12)는 본체부(11)의 일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본체부(11) 내부의 수용공간을 기밀하게 한다. 덮개부(12)와 본체부(11)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ver 12 airtightly shields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11. The cover portion 12 has the same size as the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and is fastened by fastening bolts to seal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body portion 11. 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ver portion 12 and the body portion 11.

감지몸체(20)는 본체부(11)의 결합면에 결합된다. 감지몸체(20)는 감지본체부(21)와 화재감지센서(22)를 갖는다. The sensing body 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detection body 20 has a detection body 21 and a fire detection sensor 22.

감지본체부(21)는 일부 영역에서 본체부(11)의 일영역의 결합면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본체부(11)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감지본체부(21)는 대향면(211), 접촉결합부(212) 및 센서보호부(213)를 갖는다. The sensing body 21 is contact-coupled with a mating surface of one region of the main body 11 in some regions, and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one region of the main body 11 in the remaining regions. The sensing body 21 has an opposite surface 211, a contact coupling part 212, and a sensor protection part 213.

대향면(211)은 본체부(11)의 일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본체부(11)의 결합면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면(211)은 본체부(11)의 결합면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대향면(211)은 평면일 수도 있고 본체부(11)의 결합면을 마주보고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opposing surface 211 is disposed to face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size as the coup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facing surface 211 is disposed opposite to the coup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facing surface 211 may be flat or may be provided in a convex shape facing the coup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11.

접촉결합부(212)는 대향면(211)에서 이격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접촉결합부(212)는 대향면(211)에서 본체부(11)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접촉결합부(212)는 대향면(21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대향면(211)에 대하여 계단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접촉결합부(212)는 계단상의 말단면은 본체부(11)의 결합면에 면접촉하며 체결볼트 내지 체결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접촉결합부(212)는 본체부(11)의 결합면에 면접촉하지 않고 결합될 수도 있다.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surface 211 in parallel with a spaced apart.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pposite surface 211 towar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The contact coupling part 212 may be provided in a step shape with respect to the opposite surface 211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surface 211.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212 has a step-shaped end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and is coupl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fastening bolt or a fastening screw.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212 may be coupled without making surface contact with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센서보호부(213)는 대향면(211)의 배면으로부터 본체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재감지센서(22)를 보호한다. 센서보호부(213)는 화재감지센서(2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보호부(213)는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슬롯(213-1)과 관통공(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보호부(213)는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보호부(213)는 또한 소방법 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1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211 to protect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from external impa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is provided in at least a pair of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may have at least one of a flow slot 213-1 and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through a lengthwise direction for the flow of air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3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as much as possible.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3 also has a strength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fire fighting law.

센서보호부(213)는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를 보호하기 위하여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 사이와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감지본체부(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 사이의 센서보호부(213)가 감지본체부(21)로부터 가장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며, 한 쌍의 화재감지센서(22)의 외측에 배치되는 센서보호부(213)는 가운데 배치된 센서보호부(213)보다는 낮게 형성된다. 또한 3개의 센서보호보(213)의 말단을 연결하는 선을 그었을 때 화재감지센서(22)보다 높게 그어질 수 있도록 센서보호부(212)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3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e detection sensors 22 and outside the pair of fire detection sensors 22 in order to protect the pair of fire detection sensors 22. )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between the pair of fire detection sensors 22 is formed to protrude the highest from the detection body part 21, and the sensor protection part ( 213 is formed lower than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line connecting the ends of the three sensor protection beams 213 is drawn,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2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it can be drawn higher than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화재감지센서(22)는 감지본체부(21)의 일부 영역에 본체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한다. 화재감지센서(22)는 열감지센서로 마련되며, 한 쌍의 접촉결합부(212)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is arranged and coup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11 in a partial area of the detection body 21 to detect a fire.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is provided as a heat detection sensor,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disposed on a pair of contact coupling portions 212.

도 2는 화재감지 조립체(1)로의 공기흐름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assembly 1.

도 2 (a)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가 이격간격 없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이다. 주변 공기가 유동되는 경우 하단영역에 배치된 조립본체(11)에 부딪치는 공기는 아래 또는 위를 향해 그 흐름을 바꾸게 된다. 이에 의해 다른 공기의 흐름도 감지본체(21)를 향해 유동하던 공기도 그 흐름을 바꿀 수도 있게 된다. 조립본체(11)에 부딪치는 공기 중 조립본체(11) 하단에 부딪치는 공기는 조립본체(11) 상단에 부딪치는 공기와 합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큰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감지본체(21)를 향해 좌측으로 유동하던 공기와 섞이면 그 공기의 방향은 감지본체(21)를 향하기 것보다는 좌상방을 향해 이동할 수도 있게 된다. 이렇듯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가 이격간격 없는 경우의 공기흐름은 감지몸체(20)의 상측에 배치된 화재감지센서(22)가 화재를 감지하는데 좋지 않은 흐름이 된다.Figure 2 (a)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are coupled without a gap. When the ambient air flows, the air hitting the assembly body 11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changes its flow downward or upward. As a result, the flow of air that has flowed toward the sensing body 21 of another air flow can also be changed. Among the air hitting the assembly body 11, the air hitting the bottom of the assembly body 11 merges with the air hitting the top of the assembly body 11 and moves upward to form a large flow. When mixed with the air flowing to the left toward ), the direction of the air may move toward the upper left rather than toward the sensing body 21. In this way, when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are not spaced apart, the air flow becomes a poor flow for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body 20 to detect a fire.

도 2 (b)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가 이격간격을 갖고 결합된 상태의 예시이다. 조립본체(1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던 공기는 조립본체(11)에 부딪친 후 흐름을 상방과 하방으로 바꾸게 된다. 상방으로 흐름을 바꾼 공기흐름은 조립본체(11)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다가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의 이격간격을 따라 빠르게 이동된다. 이는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의 이격간격이 다른 주변의 공간보다 좁은 공간이므로 빠르게 이동되어 흐름을 맞추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조립본체(11)에 부딪친 후 상방으로 이동되던 공기흐름은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의 사이 이격간격으로 이동되었으므로 감지본체(21)를 향해 좌측으로 유동하던 공기의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되며 화재 발생 시 유동되는 공기를 화재감지센서(22)가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다. Figure 2 (b)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are coupled with a spaced apart. The air flowing from the right to the left of the assembly body 11 hits the assembly body 11 and then changes the flow upward and downward. The air flow, which has changed the flow upward, moves along the outer side of the assembly body 11 and then rapidly moves along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This is because the space between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is narrower than other surrounding spaces, so that they move quickly and try to match the flow. As a result, the air flow that was moved upward after hitting the assembly body 11 was moved at a spaced interval between the detection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so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o the left toward the detection body 21 was changed. Do not change. For this reason, the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is smooth,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efficiently detects the air flowing when a fire occurs, so that the fire can be accurately and quickly determined.

도 4는 센서보호부(213)의 변형 예시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3.

센서보호부(213)의 단면 형상이 유선형으로 마련되어 센서보호부(213)들 사이를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 적체되지 않고 부드럽게 유동하게 되므로 화재감지센서(22)가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is streamlined, and when air flows between the sensor protection parts 213, it does not accumulate and flows smoothly. Can be discriminated.

도 5는 접촉결합부(212)의 변형 예시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act coupling part 212.

접촉결합부(212)의 단면형상이 유선형으로 마련되었으며, 중간 영역이 연장되어 형성되지 않고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 사이의 이격간격으로 공기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212 is provided in a streamlined shape, and the intermediate region is formed to penetrate without extending and forming. Accordingly, the flow of air can be made more smoothly at a spaced interval between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Deformable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상기의 조립본체(11)는 직육면체로 나타나 있지만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영역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assembly body 11 is shown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an intermediate region may be formed through it in order to make the air flow more smoothly.

상기의 유동슬롯(213-1)은 센서보호부(213)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 사이의 이격간격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The flow slot 213-1 is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protection part 213, but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ide from the spaced gap between the sens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

상기의 화재감지 조립체(1)로 인하여, 감지몸체(20)가 조립본체(10)로부터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감지몸체(20)와 조립본체(10) 사이로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 시에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흐름이 화재감지센서(22) 주변으로 원활하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Due to the above fire detection assembly (1), the detection body (20) is disposed with a spaced apart from the assembly body (10), so that the air flow between the detection body (20) and the assembly body (10) can be made smoothly. Even when a fire occurs, an air flow capable of detecting a fire can be made smoothly around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thereby improving fire detection efficiency.

감지본체부(21)가 이격간격을 형성하며 본체부(11)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화재감지센서(22)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22)는 한 쌍의 접촉결합부(212)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화재감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센서보호부(213)가 화재감지센서(2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어 화재감지센서(22)를 양측에서 효율적으로 외부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유동슬롯(213-1)과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센서보호부(213)에 의해 화재감지센서(22)로의 원활한 공기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detection body 21 forms a spaced apart and can be coupled to the body 11, whereby the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can be smooth.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may be provided in a pair disposed on the pair of contact coupling portions 212 to improve fire detection power.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3 is provided in at least a pair of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can be efficiently protected against external shock from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reduce obstruction of smooth air flow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22 by the sensor protection unit 213 by at least one of the flow slot 213-1 and the through hole.

1 : 화재감지 조립체 10 : 조립본체
11 : 본체부 12 : 덮개부
20 : 감지몸체 21 : 감지본체부
22 : 화재감지센서 211 : 대향면
212 : 접촉결합부 213 : 센서보호부
1: fire detection assembly 10: assembly body
11: main body 12: cover
20: sensing body 21: sensing body
22: fire detection sensor 211: facing surface
212: contact coupling part 213: sensor protection part

Claims (5)

화재감지 조립체에 있어서,
화재감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일부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에 접촉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영역과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감지본체부와, 상기 감지본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갖는 감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In the fire detection assembly,
A body portion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fire detection; And
In some regions, the body is contact-coupled to one region of the main body, and in the remaining regions, a sensing body i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one reg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ensing body is dispos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sensing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o be coupled. And a detection body having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f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영역에 결합면을 갖는 입체형상이며,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결합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결합부; 및
상기 대향면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보호하는 센서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i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coupling surface in the one region,
Further comprising a cover for shielding the receiving space,
The sensing body unit,
A facing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coup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contact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pposite surface towar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ire detection assembly comprising a sensor protection unit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to protect the fire detection sensor from external impa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결합부는, 상호 이격간격을 갖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한 쌍의 접촉결합부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ct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pair having a mutually spaced interval,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a fire detectio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disposed on the pair of contact coupling por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protection unit,
Fire detectio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t least one pair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fire detection sensor interposed therebetwee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호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슬롯과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protection unit,
A fire detectio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flow slot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a lengthwise direction for the flow of air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formed.
KR1020190129278A 2019-10-17 2019-10-17 Fire Detection Assembly KR102302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78A KR102302905B1 (en) 2019-10-17 2019-10-17 Fire Detection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78A KR102302905B1 (en) 2019-10-17 2019-10-17 Fire Detectio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12A true KR20210045812A (en) 2021-04-27
KR102302905B1 KR102302905B1 (en) 2021-09-17

Family

ID=7572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278A KR102302905B1 (en) 2019-10-17 2019-10-17 Fire Detection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320A (en) * 2012-04-17 2013-10-28 Hochiki Corp Sensor system, sensor and detachment tool
KR20180075538A (en) * 2015-10-26 2018-07-04 호치키 코포레이션 Alarm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2320A (en) * 2012-04-17 2013-10-28 Hochiki Corp Sensor system, sensor and detachment tool
KR20180075538A (en) * 2015-10-26 2018-07-04 호치키 코포레이션 Alar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905B1 (en)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088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EP1327966B1 (en) Light scattering type smoke sensor
KR102281998B1 (en)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KR20210045812A (en) Fire Detection Assembly
US9228862B2 (en) Structure for ultrasonic transducer
JP6396678B2 (en) Battery pack
KR102432323B1 (en) pressure sensor
JP5417800B2 (en) Packing
WO2017126294A1 (en) Optical range-finding device
CA2831347C (en) Module for processing geophysical data comprising two connectors each forming one half-shell and being arranged to form a shell in which an electronic board is placed, connector and sub-assembly corresponding.
JP2008175745A (en) Air flow meter
JP2016070198A (en) Compressor
JP2019160674A (en) Photoelectronic sensor
JPWO2018025434A1 (en)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sensor module
KR102154210B1 (en) Apparatus for observating infrared 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499149B1 (en) Differential heat detector
CN112285687B (en) Radar system
JP7415986B2 (en) Dust control equipment and monitoring equipment
US8916814B2 (en) Multi-directional rolling member sensor switch
KR200355561Y1 (en) A fire detector having a sensor guard
CN205454304U (en) Waterproof plug
KR20230065166A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age capture device
KR101667769B1 (en) Sensor module for thermal observation device
KR100373127B1 (en) Sturcture for protecting a wirering of connector
JP6660552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