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232A -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232A
KR20210045232A KR1020190128722A KR20190128722A KR20210045232A KR 20210045232 A KR20210045232 A KR 20210045232A KR 1020190128722 A KR1020190128722 A KR 1020190128722A KR 20190128722 A KR20190128722 A KR 20190128722A KR 20210045232 A KR20210045232 A KR 2021004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extractor
hole
generating articl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396B1 (ko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12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396B1/ko
Priority to US17/278,717 priority patent/US20220295880A1/en
Priority to CN202080005691.8A priority patent/CN113015450A/zh
Priority to CA3110638A priority patent/CA3110638C/en
Priority to PCT/KR2020/013923 priority patent/WO2021075819A1/en
Priority to JP2021521983A priority patent/JP7182704B2/ja
Priority to EP20859672.6A priority patent/EP3833200A4/en
Priority to UAA202101881A priority patent/UA127813C2/uk
Publication of KR2021004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hand held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각초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및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공동 및 공동과 수용부를 연통하며 각초부를 노출시키는 홀부를 포함하는 추출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xtractor}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추출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홀부가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또는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카트리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부에 탈착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추출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외면을 감싸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달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출기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후 발생하는 잔여물들이 침착될 수 있다. 열의 전달 효율 감소 및 잔여물들의 침착이 반복될 경우, 사용자에게 흡입되는 에어로졸의 향미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잔여물들은 위생 및 건강 면에서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홀부가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확장되는 외주면을 갖는 통공이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각초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공동 및 상기 공동과 상기 수용부를 연통하며 상기 각초부를 노출시키는 홀부를 포함하는 추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홀부는 상기 추출기의 외주에 복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홀부들은 서로에 대하여 동일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홀부는 상기 홀부의 둘레를 따라 일 측에서 만곡된 라운드부를 갖고,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홀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추출기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홈부와 결합하고, 상기 추출기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홈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구(球) 형상을 갖는 도트(dot) 가이드부일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단부를 마주보는 상기 추출기의 저면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기 저면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되는 외주면은 상기 통공의 일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다른 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의 최대 직경의 길이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직경 길이의 0.4 내지 0.9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며, 일 단부가 각초부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홀부가 형성된 추출기를 포함한다. 추출기의 홀부는 추출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추출기 외부에서 생성된 열이 홀부를 통하여 추출기 내부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추출기 내부로의 효율적인 열 전달은 생성된 에어로졸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무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가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추출기 내부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각초 찌꺼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의 침착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열 효율을 감소시키고, 생성된 에어로졸의 향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홀부를 통하여 추출기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추출기 내부의 접근을 통하여 사용자는 추출기에 침착된 잔여물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추출기는 경사진 외주면을 갖는 통공을 포함한다. 경사진 외주면을 갖는 통공을 통과한 기류는 경사진 외주면을 따라 추출기 내부에서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출기 내부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부로의 압력 손실이 방지되고 기류 경로가 확장되어 기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후 추출기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부로 확장되며 유입된 기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가열되어 생성된 에어로졸과 효과적으로 혼합되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향미가 향상되고 무화량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추출기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 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추출기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 삽입 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추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추출기에 대한 기류 유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추출기에 대한 기류 유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각초부(31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수용되는 수용부(210), 수용부(21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가열하는 히터(220), 및 수용부(210)에 탈착 가능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삽입되는 공동(110) 및 공동(110)과 수용부(210)를 연통하며 각초부(310)를 노출시키는 홀부(120)를 포함하는 추출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수용하는 수용부(210)와, 수용부(21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가열하는 히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때 수용부(210)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의 공동(110)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 및 수용부(2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가열하는 히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20)는 수용부(210)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220)의 열은 수용부(210)로 전달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은 히터(220)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이후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히터(220)는 예를 들어 전기 저항성 히터(220)일 수 있다. 히터(22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22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22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히터(220)는 유도 가열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22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은 유도 가열식 히터(2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20)의 형상 및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22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수용부(210)에 탈착 가능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수용부(210)로부터 추출하는 추출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기(100)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삽입되는 공동(110)이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110)은 추출기(10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때 공동(110)은 원통형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추출기(100)의 공동(110)의 형상 및 크기는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과 접촉할 수 있다. 추출기(100) 및 공동(110)의 형상 및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기(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추출기(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분리되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추출기(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내의 수용부(210)에 수용된 채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일 단부는 각초부(310)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은 각초를 포함하는 각초부(310)를 일 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각초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담배(tobacco)일 수 있다. 각초부(31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는데, 각초부(310)는 예를 들어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는 각초부(3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추출기(100)의 외주면에는 공동(110)과 수용부(210)를 연통하는 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부(120)는 추출기(1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홀부(120)는 추출기(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110)과 홀부(120)가 삽입되는 수용부(210)를 연통할 수 있다. 수용부(210)의 공기, 열 등은 홀부(120)를 통하여 추출기(100)의 공동(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구성 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히터(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히터(2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추출기(100)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100)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삽입 시 정면도이다.
추출기(100)의 홀부(120)는 추출기(100)의 외주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홀부(120)들은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홀부(120)는 도 2a와 같이 2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2 개의 홀부(120)는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2 개의 홀부(120)는 추출기(100)의 외주면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추출기(100)의 공동(110)에 삽입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공동(110)에 삽입되었을 때, 홀부(120)를 통하여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부분은 각초부(310)에 한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공동(110)에 삽입되면, 추출기(100)의 홀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소정 부분이 홀부(120)를 통하여 수용부(210)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홀부(120)를 통하여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소정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각초부(310)에 한정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각초부(310)만이 추출기(100)의 홀부(120)를 통하여 수용부(210)로 노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각초부(310)의 길이는 추출기(100)의 홀부(12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추출기(100)의 공동(110)에 삽입되었을 때, 각초부(310)는 홀부(12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100)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추출기(100)의 다른 양태에서 홀부(120)는 홀부(120)의 둘레를 따라 일 측에서 만곡된 라운드부(130)를 가질 수 있다. 라운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공동(110)에 삽입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홀부(120)를 통하여 추출기(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라운드부(130)는 홀부(120)의 둘레 일부를 따라 홀부(120)의 중심에 대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130)는 각 홀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운드부(130)는 홀부(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130)의 개수는 홀부(12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라운드부(130)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일 단부는 추출기(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부(120)를 통과하여 추출기(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라운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공동(110)에 삽입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홀부(120)를 통하여 추출기(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레를 따라 일 측에서 만곡된 라운드부(130)는 홀부(120)의 일 측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감소된 홀부(120)의 직경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홀부(120)를 통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100)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추출기(10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삽입 시의 단면도이다.
추출기(100)의 또 다른 양태에서 추출기(10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140)가 형성되고, 수용부(210)에는 가이드부(140)와 결합하는 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추출기(100)의 외주면에는 추출기(100)를 수용부(210)에 유지하는 가이드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b와 같이 수용부(210)에는 가이드부(140)와 결합하는 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100)가 수용부(210)에 장착될 때 가이드부(140)와 홈부(23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와 홈부(230)의 결합을 통하여 추출기(100)는 수용부(210)에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홈부(230)에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홈부(230)와 결합할 수 있다. 추출기(100)가 수용부(210)에 장착될 때 가이드부(140)는 홈부(230)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수용부(210) 내에는 가이드부(140)와 접촉하는 레일부(미도시)가 수용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부(2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한 후 홈부(23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40)는 추출기(100)가 수용부(210)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추출기(1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구(球) 형상을 갖는 도트(dot) 가이드부(140)일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구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140)의 형상, 개수, 위치 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추출기(100)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추출기(100)의 또 다른 양태에서 추출기(100)의 저면(150)에는 통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추출기(100)의 저면(150)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공동(110)에 삽입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일 단부인 각초부(310)를 마주보는 추출기(100)의 일 면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삽입되었을 때, 추출기(100)의 저면(150)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일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흡입할 때, 추출기(100)의 저면(150)에 형성된 통공(155)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으로 삽입된 공기는 이후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추출기(100)의 단면도이다. 추출기(100)의 통공(155)은 저면(15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156)을 가질 수 있다. 저면(150)의 일 측은 저면(150)을 기준으로 추출기(1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저면(150)의 타 측은 저면(150)을 기준으로 추출기(10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55)은 추출기(100)의 저면(15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156)을 가질 수 있다. 즉, 통공(155)의 외주면의 직경은 저면(15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통공(155)의 확장되는 외주면(156)은 통공(155)의 일 부분에 형성되고, 통공(155)의 다른 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55)의 일 부분은 통공(155)의 다른 부분보다 저면(150)의 타 측에 가까운 부분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저면(15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156)이 통공(155)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즉, 통공(155)의 외주면의 직경은 저면(15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통공(155)의 크기, 형상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통공(155)이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156)을 구비함에 따라 통공(155)은 최대 직경을 소정 부분에 가질 수 있다. 이때 통공(155)의 최대 직경 길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직경 길이의 0.4 내지 0.9일 수 있다.
도 7a는 종래의 추출기(100)에 대한 기류 유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추출기(100)에 대한 기류 유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종래의 추출기(1000) 및 추출기(1000) 내부로의 기류 유입을 살펴보면, 종래의 추출기(1000)의 저면(1500)에는 통공(15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추출기(1000)의 저면(1500)에 형성된 통공(1550)의 직경은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종래의 추출기(1000)에서 통공(1550)은 동일한 직경의 원통면을 외주면으로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공(1550)을 통과한 기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에 고루 확장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가열되어 생성된 에어로졸과의 효과적인 혼합이 어려워,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향미가 떨어지고 무화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추출기(100) 및 추출기(100) 내부로의 기류 유입을 살펴보면,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추출기(100)의 저면(150)에는 통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공(155)은 추출기(100)의 저면(150)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156)을 가질 수 있다.
확장되는 외주면(156)을 구비하는 통공(155)을 통과한 기류는 경사진 외주면을 따라 추출기(100) 내부에서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출기(100) 내부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 내부로의 압력 손실이 방지되고 기류 경로가 확장되어 기류 유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후 추출기(10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 내부로 확장되며 유입된 기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이 가열되어 생성된 에어로졸과 효과적으로 혼합되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향미가 향상되고 무화량이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수용되며, 일 단부가 각초부(310)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구성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외주면에 홀부(120)가 형성된 추출기(100)를 포함한다. 추출기(100)의 홀부(120)는 추출기(100)의 내부(공동)와 외부(수용부)를 연통할 수 있다. 홀부(120)를 통하여 추출기(100) 외부에서 생성된 열이 홀부(120)를 통하여 추출기(100) 내부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추출기(100) 내부로의 효율적인 열 전달은 생성된 에어로졸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무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300)의 가열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홀부(120)를 통하여 추출기(100)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추출기(100) 내부의 접근을 통하여 사용자는 추출기(100)에 침착된 잔여물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잔여물의 용이한 청소를 통하여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잔여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침착된 잔여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및 위생 상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추출기 110: 공동
120: 홀부 130: 라운드부
140: 가이드부 150: 저면
155: 통공 156: 확장되는 외주면
2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210: 수용부
220: 히터 300: 에어로졸 생성 물품
310: 각초부

Claims (11)

  1. 각초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되는 공동 및 상기 공동과 상기 수용부를 연통하며 상기 각초부를 노출시키는 홀부를 포함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부는 상기 추출기의 외주에 복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홀부들은 서로에 대하여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부는 상기 홀부의 둘레를 따라 일 측에서 만곡된 라운드부를 갖고,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홀부를 통하여 상기 추출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홈부와 결합하고,
    상기 추출기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홈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구(球) 형상을 갖는 도트(dot) 가이드부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공동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 단부를 마주보는 상기 추출기의 저면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저면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할수록 확장되는 외주면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되는 외주면은 상기 통공의 일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다른 부분에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외주면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최대 직경의 길이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직경 길이의 0.4 내지 0.9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되며, 일 단부가 각초부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90128722A 2019-10-16 2019-10-16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6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722A KR102363396B1 (ko) 2019-10-16 2019-10-16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7/278,717 US20220295880A1 (en) 2019-10-16 2020-10-13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jector
CN202080005691.8A CN113015450A (zh) 2019-10-16 2020-10-13 包括排出器的气溶胶生成装置
CA3110638A CA3110638C (en) 2019-10-16 2020-10-13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jector
PCT/KR2020/013923 WO2021075819A1 (en) 2019-10-16 2020-10-13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jector
JP2021521983A JP7182704B2 (ja) 2019-10-16 2020-10-13 排出器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EP20859672.6A EP3833200A4 (en) 2019-10-16 2020-10-13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EJECTOR
UAA202101881A UA127813C2 (uk) 2019-10-16 2020-10-13 Пристрій для генерування аерозолю, що містить витяга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722A KR102363396B1 (ko) 2019-10-16 2019-10-16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232A true KR20210045232A (ko) 2021-04-26
KR102363396B1 KR102363396B1 (ko) 2022-02-15

Family

ID=7536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722A KR102363396B1 (ko) 2019-10-16 2019-10-16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95880A1 (ko)
EP (1) EP3833200A4 (ko)
JP (1) JP7182704B2 (ko)
KR (1) KR102363396B1 (ko)
CN (1) CN113015450A (ko)
UA (1) UA127813C2 (ko)
WO (1) WO20210758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0167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REMOVABLE INSERTION HEATING COMPARTMENT
KR20190029780A (ko) * 2015-02-06 2019-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발생 장치용 개선된 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3030A (ja) * 1999-11-01 2001-05-18 Kuken Kogyo Co Ltd 吹出口装置
JP4436610B2 (ja) * 2003-02-28 2010-03-24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KR101257597B1 (ko) * 2009-02-23 2013-04-26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기
PT2782463T (pt) * 2011-11-21 2016-08-02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rator para um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JP6143596B2 (ja) * 2013-07-30 2017-06-07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遠心送風機及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US10039321B2 (en) * 2013-11-12 2018-08-07 Vmr Products Llc Vaporizer
GB2527597B (en) * 2014-06-27 2016-11-23 Relco Induction Dev Ltd Electronic Vapour Inhalers
JP6982568B2 (ja) * 2015-10-22 2021-12-1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および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カプセル
US20170119048A1 (en) * 2015-10-30 2017-05-0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0314334B2 (en) * 2015-12-10 2019-06-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CN107136572B (zh) * 2016-05-27 2018-06-19 深圳市赛尔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气流加热组件
KR20180114825A (ko) *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451028A (zh) * 2018-01-22 2018-08-28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EP3995006A4 (en) * 2019-07-03 2024-01-03 Shenzhen Relx Tech Co Ltd VAPOR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780A (ko) * 2015-02-06 2019-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발생 장치용 개선된 추출기
WO2019030167A1 (en) * 2017-08-09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REMOVABLE INSERTION HEATING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27813C2 (uk) 2024-01-10
JP2022509007A (ja) 2022-01-20
EP3833200A4 (en) 2021-11-10
EP3833200A1 (en) 2021-06-16
CN113015450A (zh) 2021-06-22
JP7182704B2 (ja) 2022-12-02
KR102363396B1 (ko) 2022-02-15
US20220295880A1 (en) 2022-09-22
WO2021075819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852B1 (ko) 흡연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KR102581033B1 (ko) 외부 하우징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255263B1 (ko) 흡연 가능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CN111050580B (zh) 气溶胶生成装置
JP6878684B2 (ja) 着脱自在で挿入可能な加熱区画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RU2727289C2 (ru) Картридж, карман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ман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который возможно курить
DK3145341T3 (en) INDUCTIVE HEATER AND AEROSOL GENERATION SYSTEM
CN114766724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180134974A (ko) 흡연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CN112040797A (zh) 可充电电子烟
KR20220002389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CN111163653A (zh) 一种气溶胶生成装置
WO2017194751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smokable material
EP4173500A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N110891438B (zh) 气溶胶生成装置
KR10263774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45232A (ko)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0786555A (zh) 一种便于提取加热不燃烧卷烟的加热装置
CN113056213A (zh) 吸烟工具
RU28006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извлекатель
CA3110638C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