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684A -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684A
KR20210044684A KR1020200112032A KR20200112032A KR20210044684A KR 20210044684 A KR20210044684 A KR 20210044684A KR 1020200112032 A KR1020200112032 A KR 1020200112032A KR 20200112032 A KR20200112032 A KR 20200112032A KR 20210044684 A KR20210044684 A KR 20210044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source device
control signal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448B1 (ko
Inventor
노재명
Original Assignee
노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명 filed Critical 노재명
Priority to KR102020011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부를 통해 다수의 열원 장치가 동작하는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각 열원 장치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입력부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출력부를 통해 운전 대상 각 열원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EXHAUST STATIC PRESS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에서 사용되는 압력이나 유량 등을 최적의 공급 조건으로 유지하고, 사용되는 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조건에 맞도록 열원 장치를 제어하는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수 제어 시스템은 부하에서 사용되는 압력이나 유량 등을 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조건에 맞도록 열원 장치를 제어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여러대의 열원 장치1(20), 열원 장치2(21) 내지 열원 장치n(22)으로 구성된 다수의 열원 장치는 각각 제1 제어장치(10), 제2 제어 장치(10a), 제n 제어 장치(10b)를 통해 각각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n 제어 장치(10, 10a, 10b)는 각각 제1 열원장치 제어신호와, 제2 열원장치 제어신호 및 제n 열원장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n 제어 장치(10, 10a, 10b)는 변경되는 열원 장치의 대수가 증가할 수록 2n 만큼 인터록을 위한 처리하기 위한 인터록 처리부(12, 12a, 12b)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인터록 처리부(12, 12a, 12b)는 제어 대수가 늘어날수록 2n 만큼 인터록 처리 프로그램도 설치되야만 하여 대수 증가에 따른 구성 시간이 요구되고, 인터록 처리 프로그램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록 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구성된 경우 에러 발생에 대한 문제점이 있으며, 대수의 수량 변경때 마다 검증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트(Bit) 처리방식은 대수를 증가하면 서로간의 인터록이 무한히 증가하여 로직이 복잡하게 구성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대수의 제어를 위해 개발되는 프로그램을 최소화하고 표준화가 요구된다.
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54549(발명의 명칭: 열원기 운전대수 제어장치, 열원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하에서 사용되는 압력이나 유량 등을 최적의 공급 조건으로 유지하고, 사용되는 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조건에 맞도록 열원 장치를 제어하는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은 모니터링부를 통해 다수의 열원 장치가 동작하는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각 열원 장치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입력부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대상 열원 장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출력부를 통해 운전 대상 각 열원 장치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상태 정보가 각 열원 장치의 운전 조건, 운전 상태, 고장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상태 정보가 일정한 비트 길이를 갖는 워드(Word)로 출력되고, 비트는 각 열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제어부가 상기 제어 신호로 운전 대상 열원 장치를 제어한 후,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부하 상태에 따른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방법은 a) 제어부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다수의 열원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분석,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입력부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생성된 제어 신호를 운전 대상 각 열원 장치로 출력하여 대수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a) 단계의 상태 정보가 각 열원 장치의 운전 조건, 운전 상태, 고장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는 상태 정보가 일정한 비트 길이를 갖는 워드(Word)로 출력되고, 비트는 각 열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된 제어 신호로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대수 제어를 실행한 후, 모니터링부를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대상 열원 장치의 부하 상태에 따른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정 제어 신호를 운전 대상 열원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하에서 사용되는 압력이나 유량 등을 최적의 공급 조건으로 유지하고, 사용되는 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조건에 맞도록 열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 장치의 대수 변경시 변경된 대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추가 대수 제어를 위한 각 열원 장치별로 프로그램의 추가 및 검증없이 한번의 제어를 통해 대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드(Word) 처리 방식을 통해 최대 64대에 대한 프로그램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검증된 프로그램으로 대수 변경시 변경된 대수에 대한 정보만 입력하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및 검증없이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수 제어를 통해 에너지 절감, 각 장비의 균등한 운전, 안정된 공급 및 트러블 대책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은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으로 구성된 다수의 운전 대상 열원장치(100)와, 모니터링부(200)와, 제어부(300)와, 저장부(400)와, 입력부(500)와, 출력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원장치(100)는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으로 구성되고, 부하에 대하여 압력을 공급하거나, 물 등의 냉각용 또는 가열용의 열매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압축기, 냉동기, 각종 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는 예를 들면, 공조기로 구성될 수 있고, 열매체에 대하여 방열 또는 흡열 등을 수행한 다음, 열매체를 상기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의 동작 여부와, 운전 조건 및 운전 상태를 감지하여 일정한 비트 길이(예를 들면, 64Bit)를 워드(Word)로 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즉,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으로부터 출력되는 온/오프 정보를 감지하여 일정 비트 길이로 이루어진 워드 단위에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열원 장치(100) 전체의 현재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상태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현재 운전 상태를 나타내고, '열원 장치 1'의 현재 운전 상태는 첫 번째 비트인 '0Bit' 자리에, '열원 장치 2'의 현재 운전 상태는 '1Bit' 자리에, 열원 장치 n의 현재 운전 상태는 '63Bit' 자리에 표시하여 현재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운전 조건에 따른 정보, 열매체의 단위 시간당 공급량 정보, 운전 상태 정보, 운전 횟수 정보, 운전 시간 정보 및 고장 상태 정보 등을 모니터링하여 워드 단위의 각 비트에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다수의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이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모니터링부(200)에서 수집된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부(400)에 저장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열원장치 1(110), 열원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의 운전 조건에 따른 열원 장치의 동작과, 그에 따른 운전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및 고장 상태를 포함한다.
즉, 각 열원 장치의 현재 상태와 처리 능력에 대한 정보를 모두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신속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입력부(500)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 예를 들면, 2대의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400)에 저장된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대상 열원 장치 1 내지 n(110, 120, 130)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총 운전 대수가 입력되면, 운전 대상 열원 장치들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현재 운전중인 열원 장치 1(110)과 열원 장치 2(120)의 운전 상태와 부하 상태에 따른 열매체의 유량, 온도, 온도차 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운전 대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 대상인 열원 장치 1(110)과, 열원 장치 2(120)로 변경 생성된 제어 신호가 출력되도록 출력부(600)의 열원장치 1 출력(610)과 열원 장치 2 출력(62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1차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해 운전 대상 열원 장치 1(110) 및 열원 장치 2(120)를 제어한 다음,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대상인 열원 장치 1(110) 및 열원 장치 2(120)의 부하 상태에 따른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일정한 비트 길이를 워드로 하여, 그것을 단위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연산 등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최대 64대의 연동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전체, 예를 들면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제어 상태 값을 한 개의 자료형(데이터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자료형마다 의미하는 상태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첫 번째 열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태 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1번 비트 정보를 읽어오고, 예를 들어 세 번째 열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태 정보에서 세 번째 열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 3번 비트 정보를 읽어옴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00 ~ 63까지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고, 이는 1 ~ 64개의 연동 운전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설정된 대수의 변경에 따라 운용되는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워드(Word) 처리 방식을 통해 최대 64대에 대한 프로그램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0)는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수집된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온/오프 정보와, 운전 조건에 따른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의 단위 시간당 공급량과, 운전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및 고장 상태를 실시간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 시작, 운전 대상 열원 장치(100)의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10) 내지 열원 장치 n(120)의 운전 대수 변경 정보 등을 입력받아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스위치,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00)는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동작과 운전 상태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열원 장치 1 내지 n(110, 120, 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열원 장치 1 출력(610), 열원 장치 2 출력(620) 내지 열원 장치 n 출력(630)으로 이루어지고, 밸프, 펌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수 제어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이 동작하는 운전 상태를 확인(S100)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운전에 따른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저장부(400)에 저장(S200)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각 열원 장치 1 내지 n(110, 120, 130)의 운전 조건, 운전 상태, 고장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입력부(500)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S300)한다.
상기 S300 단계의 판단 결과,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이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400)에서 검색한다.
또한, 상기 검색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열원 장치, 예를 들면, 변경 대수가 'n'개인 경우,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현재 운전 상태와 부하 상태에 따른 열매체의 유량, 온도, 온도차 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운전 대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S400)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S40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운전 대상인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장치 n(130)으로 출력하여 대수 제어가 실행되도록 한다(S500).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로 운전 대상인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대수 제어를 실행한 다음,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실시간 수집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 수집한 각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대상인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의 부하 상태에 따른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제어 신호를 각각 열원 장치 1(110), 열원 장치 2(120) 내지 열원 장치 n(130)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에서 사용되는 압력이나 유량 등을 최적의 공급 조건으로 유지하고, 사용되는 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조건에 맞도록 열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열원 장치의 대수 변경시 변경된 대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추가 대수 제어를 위한 각 열원 장치별로 프로그램의 추가 및 검증없이 한번의 제어를 통해 대수 변경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워드 처리 방식을 통해 최대 64대에 대한 프로그램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거, 초기 검증된 프로그램으로 대수 변경시 변경된 대수에 대한 정보만 입력하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및 검증없이 동작할 수 있으며, 대수 제어를 통해 에너지 절감, 각 장비의 균등한 운전, 안정된 공급 및 트러블 대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열원장치
110 :열원장치 1
120 : 열원장치 2
130 : 열원장치 n
200 : 모니터링부
300 : 제어부
400 : 저장부
500 : 입력부
600 : 출력부
610 : 열원장치 1 출력
620 : 열원장치 2 출력
630 : 열원장치 n 출력

Claims (8)

  1.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다수의 열원 장치(110, 120, 130)가 동작하는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입력부(500)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가 출력부(600)를 통해 운전 대상 각 열원 장치(110, 120, 1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운전 조건, 운전 상태, 고장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일정한 비트 길이를 갖는 워드(Word)로 출력되고, 비트는 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어 신호로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를 제어한 후,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부하 상태에 따른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제어 시스템.
  5. a) 제어부(300)가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다수의 열원 장치(110, 120, 130)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분석,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300)가 입력부(500)로부터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운전 대수의 변경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가 입력되는 변경 대수에 대응하는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300)가 생성된 제어 신호를 운전 대상 각 열원 장치(110, 120, 130)로 출력하여 대수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태 정보는 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운전 조건, 운전 상태, 고장 상태, 운전 횟수, 운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대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일정한 비트 길이를 갖는 워드(Word)로 출력되고, 비트는 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제어부(300)가 상기 제어 신호로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를 제어한 후,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수집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의 부하 상태에 따른 보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정 제어 신호를 운전 대상 열원 장치(110, 120, 130)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제어 방법.
KR1020200112032A 2019-10-15 2020-09-03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8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32A KR102585448B1 (ko) 2019-10-15 2020-09-03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84 2019-10-15
KR1020200112032A KR102585448B1 (ko) 2019-10-15 2020-09-03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684 Division 2019-10-15 2019-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84A true KR20210044684A (ko) 2021-04-23
KR102585448B1 KR102585448B1 (ko) 2023-10-06

Family

ID=7573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32A KR102585448B1 (ko) 2019-10-15 2020-09-03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86B1 (ko) * 1996-12-20 1999-05-01 김광호 멀티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17118A (ko) * 2012-04-17 2013-10-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정유량 펌프 대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4549B1 (ko) 2013-12-03 2018-06-08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열원기 운전대수 제어장치, 열원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86B1 (ko) * 1996-12-20 1999-05-01 김광호 멀티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17118A (ko) * 2012-04-17 2013-10-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정유량 펌프 대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4549B1 (ko) 2013-12-03 2018-06-08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열원기 운전대수 제어장치, 열원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448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71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ent interaction with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2265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0317863B2 (en) HVAC and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deconstructed media flow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703225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ent interaction with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0924262B2 (en) Method for processing dynamic data by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method
US7181509B2 (en) Storage configuration 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156996B2 (en) Building analysis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based interpretations
US11092352B2 (en) Central plant control system with computation reduction based on stranded node analysis
US20100298985A1 (en) Customer equipment profile system for hvac controls
Sabuncuoglu et al. Analysis of serial production lines: characterisation study and a new heuristic procedure for optimal buffer allocation
CN117413147A (zh) 精密空调的动态预测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11741165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emantic model integration
KR20210089458A (ko) 빌딩 설비 에너지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215644B2 (ja) 熱源機の台数制御装置および熱源機の台数制御方法
KR20210044684A (ko) 대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Economic MPC of nonlinear systems with nonmonotonic Lyapunov functions and its application to HVAC control
US20220333810A1 (en) Model sharing system, model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15029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feedback control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JP7260770B2 (ja) ポンプ台数制御装置、ポンプ台数制御方法、ポンプ台数制御プログラム
Panainte et al. FPGA-area allocation for partial run-time reconfiguration
CN104597999A (zh) 一种散热方法及装置
CN113465109B (zh) 多联机的低能耗待机控制方法及装置、介质
AU2010227069B2 (en) Customer equipment profile system for HVAC controls
US11954154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emantic model integration
US20240070942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audiovisual dynamic and interactive fault presentation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