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552A -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552A
KR20210044552A KR1020190127852A KR20190127852A KR20210044552A KR 20210044552 A KR20210044552 A KR 20210044552A KR 1020190127852 A KR1020190127852 A KR 1020190127852A KR 20190127852 A KR20190127852 A KR 20190127852A KR 20210044552 A KR20210044552 A KR 2021004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lens
region
area
op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552A/en
Publication of KR2021004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comprises: an optical unit for refracting light; and a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tical unit.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rib has a first area having a first surface roughness and a second area hav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an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formed from the optical unit towar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rib. Moreover, the second area can be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first area.

Description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and a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camera modules are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구비되는데, 최근 카메라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해 렌즈의 수가 증가되고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크기는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with a lens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Recently, the number of lenses is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is in a trend of becoming smaller.

즉, 카메라 모듈의 크기는 줄어드는 한편 렌즈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렌즈 간의 광축을 정렬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is decreasing and the number of lenses is increasing,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align the optical axes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또한,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빛 반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빛 반사의 경우 이미지 형성과 관련이 없는 빛으로 촬영된 이미지에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unintended light reflection occurs inside the camera module, and in the case of unintended light reflection, a flare or ghost phenomenon may be caused in an image photographed with light that is not related to image 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의도하지 않은 빛 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capable of preventing a flare phenomenon due to unintended light reflection, and a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 면에는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1 영역과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2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학부로부터 상기 리브의 최외측면을 향하여 교대로 반복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unit that refracts light; And a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tical unit, wherein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surface roughness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ib,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The second regions are alternately formed from the optical unit toward the outermost side of the rib,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first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을 따라 배치되고,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이미지 센서에 두 번째로 가깝게 배치된 렌즈의 리브의 상측 면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로부터 상기 광축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리브보다 상기 광학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리브에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1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리브에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2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along an optical axis, each having an optical unit that refracts light and a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tical unit; And a lens barrel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lenses,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rib of the lens disposed second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close to the image sensor includes a first rib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rib. A first region including a second rib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rom the first rib, the first rib being disposed closer to the optical unit than the second rib, and having a first surface roughness on the first rib Is provided,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is provided in the second rib,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formed to be rough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는 의도하지 않은 빛 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ns and the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a flare phenomenon due to unintended light ref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propose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ddition, change, or deletion of components. It will be said to be within the rang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along an optical axis.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lens barrel 2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ptical axis.

복수의 렌즈는 6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광축을 따라 배치된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 제4 렌즈(L4),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lenses may include 6 or more lense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lenses include a first lens L1, a second lens L2, a third lens L3, and a fourth lens L4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 side toward the image side. And a fifth lens L5 and a sixth lens L6.

제1 렌즈(L1)는 물체(또는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 렌즈(L6)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The first lens L1 means the lens closest to the object (or subject) side, and the sixth lens L6 means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ensor.

다만, 렌즈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lenses.

각 렌즈는 광학부(10)와 리브(20)를 포함한다.Each lens includes an optical unit 10 and a rib 20.

광학부(10)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The optical part 10 may be a part in which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lens is exhibited. For example, light reflected from an object (or subject) may pass through the optical unit 10 and be refracted.

리브(20)는 렌즈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2), 다른 렌즈 또는 스페이서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리브(20)는 광학부(10)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rib 20 may have another configuration, for example, a configuration that fixes the lens to the lens barrel 2, another lens, or a spacer. The rib 20 extends around the optical portion 1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tical portion 10.

서로 인접한 렌즈들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렌즈의 리브(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스페이서와 접촉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Spacers may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len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rib 20 of each lens may be in contact with the spacer. The spacer can maintain a gap between the lenses and block unnecessary light.

각 스페이서에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Each spacer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absorbing layer to block unnecessary light. The light absorbing layer may be a black film or black iron oxide.

스페이서는 물체 측으로부터 이미지 센서를 향하여 배열된 제1 스페이서(SP1), 제2 스페이서(SP2), 제3 스페이서(SP3), 제4 스페이서(SP4), 제5 스페이서(SP5) 및 제6 스페이서(SP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rs include a first spacer SP1, a second spacer SP2, a third spacer SP3, a fourth spacer SP4, a fifth spacer SP5, and a sixth spacer arranged from the object side toward the image sensor. SP6).

제1 스페이서(SP1)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스페이서(SP2)는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스페이서(SP3)는 제3 렌즈(L3)와 제4 렌즈(L4) 사이에 배치되고, 제4 스페이서(SP4)는 제4 렌즈(L4)와 제5 렌즈(L5) 사이에 배치되고, 제5 스페이서(SP5)는 제5 렌즈(L5)와 제6 렌즈(L6) 사이에 배치된다. 제6 스페이서(S6)도 제5 렌즈(L5)와 제6 렌즈(L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6 스페이서(SP)는 제5 스페이서(SP5)와 제6 렌즈(L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pacer SP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L1 and the second lens L2, the second spacer SP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ens L2 and the third lens L3, The third spacer SP3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lens L3 and the fourth lens L4, the fourth spacer SP4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lens L4 and the fifth lens L5, The fifth spacer SP5 is disposed between the fifth lens L5 and the sixth lens L6. The sixth spacer S6 may also be disposed between the fifth lens L5 and the sixth lens L6. Also, the sixth spacer S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fth spacer SP5 and the sixth lens L6.

제5 스페이서(S5)는 복수의 스페이서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스페이서(S5)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다른 스페이서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The fifth spacer S5 may have the largest thickness among the plurality of spacers.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fth spacer S5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thicker than that of other spacer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금형에 수지재를 주입하여 사출성형된다.Th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is injection-molded by injecting a resin material into a mold.

각 렌즈는 물체측 면(S1, 물체측을 향하는 면)과 상측 면(S2,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면)을 포함한다. 물체측 면(S1)의 중심과 상측 면(S2)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른 렌즈와의 광축이 정렬되기 어렵고,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이 악화되므로, 사출성형된 렌즈의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의 동심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Each lens includes an object side surface (S1, a surface facing the object side) and an image side surface (S2, a surface facing the image sensor). If the center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center of the image-side (S2) do not match, the optical axis with other lenses is difficult to align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deteriorated. ) And the concentricity of the upper side (S2) need to be accurately measured.

한편, 물체(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은 렌즈를 통과하며 굴절되는데, 이때 의도하지 않은 빛의 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빛의 반사는 이미지 형성과 관련이 없는 빛으로서 촬영된 이미지에 플레어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Meanwhile, light reflected from an object (or subject) passes through the lens and is refracted. In this case, unintended reflection of light may occur. Unintended reflection of light is light that is not related to image formation and causes flare in the captured image.

일 예로, 렌즈의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을 통과한 빛이 렌즈의 리브(20)의 상측 면(S2)에서 반사된 후에 렌즈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에서 재차 반사되어 렌즈의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을 통과할 수 있다.As an example, after light passing through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part 10 of the lens is reflected from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lens,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of the lens ) Is reflected again and may pass through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optical part 10 of the lens.

이와 같이 렌즈의 내부에서 난반사된 빛은 이미지 형성과 관련이 없는 빛으로서 촬영된 이미지에 플레어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As such, the diffusely reflected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lens is light that is not related to image formation and causes a flare phenomenon in the captured image.

일반적으로, 렌즈의 내부에서 난반사된 빛으로 인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렌즈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은 표면처리를 통해 표면 거칠기를 크게 형성한다. 표면처리는 부식, 화학적익 에칭 또는 물리적인 연삭 등을 의미할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a flare phenomenon due to light diffusely reflected from the inside of the lens,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lens form a large surface roughness through surface treatment. Surface treatment may mean corrosion, chemical etching, or physical grinding.

따라서, 렌즈의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더라도, 렌즈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을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반사된 빛이 산란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light is reflected inside the lens, the reflected light can be scattered by roughly forming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lens, thereby preventing a flare phenomenon. You can do it.

그러나, 이와 같이 렌즈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에 표면처리를 하더라도, 특정한 렌즈에서는 여전히 플레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even if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lens, a flare phenomenon may still occur in a specific lens.

일 예로, 렌즈의 물체측 면(S1)의 유효반경(ER1)보다 렌즈의 상측 면(S2)의 유효반경(ER2)이 더 클 경우(즉, 렌즈의 리브(20)의 상측 면(S2)의 길이(R2)가 렌즈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의 길이(R1)보다 작을 경우), 렌즈의 내부에서 반사된 빛을 충분히 산란시킬 수 없어 여전히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ffective radius E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lens is larger than the effective radius ER1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lens (that is,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lens) When the length R2 of the lens is smaller than the length R1 of the object 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of the len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side of the lens cannot be sufficiently scattered, and a flare phenomenon may still occur.

유효반경(Effective Radius)이란 빛이 실제로 통과하는 각 렌즈의 일면(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즉, 물체측 면(S1)의 유효반경은 각 렌즈의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의 반경을 의미하고, 상측 면(S2)의 유효반경은 각 렌즈의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의 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Effective Radius means the radius of one side (object side and image side) of each lens through which light actually passes. That is, the effective radius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means the radius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part 10 of each lens, and the effective radius of the image-side surface S2 is the optical part 10 of each lens. It may mean the radius of the upper surface (S2)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렌즈의 물체측 면(S1)의 유효반경(ER1)보다 렌즈의 상측 면(S2)의 유효반경(ER2)이 더 클 경우에도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flare even when the effective radius E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lens is larger than the effective radius ER1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lens.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이 볼록하게 형성된다.1 to 3, some of the plurality of lenses of the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ncav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unit 10, and The upper surface S2 of the portion 10 is formed to be convex.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물체측 면(S1)의 유효반경(ER1)보다 상측 면(S2)의 유효반경(ER2)이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some of the lenses of the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ive radius E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more than the effective radius ER1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It is largely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리브(20)의 상측 면(S2)의 길이(R2)가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의 길이(R1)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In addition, some of the lenses of the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ength 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and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 Is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R1. Here, the length means the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이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보다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in some of the plurality of lenses of the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optical part 10 is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urface S1.

여기서, 상기 일부의 렌즈는 복수의 렌즈 중 이미지 센서에 두 번째로 가깝게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부의 렌즈는 상측에 배치된 렌즈의 리브와의 간격이 복수의 렌즈 중에서 가장 크게 형성된 렌즈일 수 있다.Here, some of the lenses may be lenses that are secondly disposed close to the image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In addition, some of the lenses may be lenses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ribs of the lenses disposed on the image side is the largest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의 렌즈는 제5 렌즈(L5)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some of the lenses may mean a fifth lens L5.

도 2를 참조하면, 제5 렌즈(L5)는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ifth lens L5 includes an object-side surface S1 and an image-side surface S2.

도 2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것은 제5 렌즈(L5)의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을 의미하고, 얇은 선으로 표시된 것은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과 상측 면(S2)을 의미한다.In FIG. 2, the bold line indicates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optical unit 10 of the fifth lens L5, and the thin line indicates the rib of the fifth lens L5. It means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upper surface (S2) of (20).

리브(20)의 상측 면(S2)은 광학부(10)의 상측 면(S2)에서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 리브(20)의 상측 면(S2)은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의 끝단에서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리브(23) 및 제1 리브(23)로부터 광축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2 리브(22)를 포함한다. 제1 리브(23)가 제2 리브(22)보다 광학부(10)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S2 of the optical part 10. As an example,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extends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from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S2 of the optical unit 10 to the optical axis. It includes a second rib 22 extending vertically. The first rib 23 is located closer to the optical part 10 than the second rib 22.

리브(20)의 상측 면(S2)에는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1 영역(NCA2)과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2 영역(CA2)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영역(NCA2)과 제2 영역(CA2)은 광학부(10)로부터 리브(20)의 최외측면을 향하여 교대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A first region NCA2 having a first surface roughness and a second region CA2 hav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For example, the first area NCA2 and the second area CA2 may be alternately formed from the optical unit 10 toward the outermost side of the rib 20.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은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에서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은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의 끝단에서 광축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extends from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unit 10. For example,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may extend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rom the end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unit 10.

리브(20)의 물체측 면(S1)에는 제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3 영역(NCA1)과 제4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4 영역(CA1)이 형성된다.A third area NCA1 having a third surface roughness and a fourth area CA1 having a fourth surface roughness are formed on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제1 영역(NCA2)과 제2 영역(CA2)은 표면 조도(표면 거칠기)가 상이하고, 제3 영역(NCA1)과 제4 영역(CA1)은 표면 조도(표면 거칠기)가 상이하다.The first region NCA2 and the second region CA2 have different surface roughness (surface roughness), and the third region NCA1 and the fourth region CA1 have different surface roughness (surface roughness).

일 예로, 제2 영역(CA2)은 제1 영역(NCA2)보다 더 거칠게 형성되고, 제4 영역(CA1)은 제3 영역(NCA1)보다 더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area CA2 may be rougher than the first area NCA2, and the fourth area CA1 may be rougher than the third area NCA1.

제1 영역(NCA2)과 제3 영역(NCA1)은 서로 대응되는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고, 제2 영역(CA2)과 제4 영역(CA1)은 서로 대응되는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rea NCA2 and the third area NCA1 may have surface roughnes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area CA2 and the fourth area CA1 may have surface roughnes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2 영역(CA2)과 제4 영역(CA1)은 부식처리를 한 영역일 수 있고, 화학적인 에칭 또는 물리적인 연삭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CA2)과 제4 영역(CA1)은 반사된 빛을 산란시킬 수 있다.The second area CA2 and the fourth area CA1 may be areas subjected to corrosion treatment, and may be formed by chemical etching or physical grinding. Accordingly, the second area CA2 and the fourth area CA1 may scatter the reflected light.

따라서, 제5 렌즈(L5)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빛의 반사가 발생하더라도 반사된 빛이 한점에 모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unintended reflection of light occurs inside the fifth lens L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lected light from being collected at a single point,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 flare.

제1 영역(NCA2)과 제3 영역(NCA1)은 표면처리가 되지 않거나, 표면처리가 되었더라도 제2 영역(CA2) 및 제4 영역(CA1)과는 다른 표면 조도(표면 거칠기)를 가진다. 일 예로, 제1 영역(NCA2) 및 제3 영역(NCA1)은 제2 영역(CA2) 및 제4 영역(CA1)보다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NCA2 and the third region NCA1 have surface roughness (surface roughnes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econd region CA2 and the fourth region CA1 even if the surface treatment is not performed or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first area NCA2 and the third area NCA1 may be formed smoother than the second area CA2 and the fourth area CA1.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에는 제3 영역(NCA1)과 제4 영역(CA1)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A third area NCA1 and a fourth area CA1 may be alternately formed on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of the fifth lens L5.

일 예로, 제5 렌즈(L5)의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의 끝단으로부터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의 끝단(리브(20)의 최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제4 영역(CA1), 제3 영역(NCA1), 제4 영역(CA1)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영역(NCA1)의 양측에 제4 영역(CA1)이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from the end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unit 10 of the fifth lens L5 to the end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of the fifth lens L5 (rib 20) A fourth area CA1, a third area NCA1, and a fourth area CA1 may be sequentially formed towar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most surface of). That is, the fourth area CA1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area NCA1.

제4 영역(CA1)들 중 어느 하나는 제3 영역(NCA1)보다 광학부(1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Any one of the fourth areas CA1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optical unit 10 than the third area NCA1.

즉, 제5 렌즈(L5)의 물체측 면(S1)의 경우, 광학부(10)의 끝단과 인접한 리브(20)에 제4 영역(CA1)이 형성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fifth lens L5, the fourth area CA1 is formed in the rib 20 adjacent to the end of the optical unit 10.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에서 제4 영역(CA1)의 면적은 제3 영역(NCA1)의 면적보다 크다.The area of the fourth area CA1 on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of the fifth lens L5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ird area NCA1.

제4 영역(CA1)들 사이에 형성된 제3 영역(NCA1)은 제1 홈부(21a)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 홈부(21a)의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third area NCA1 formed between the fourth areas CA1 includes a first groove part 21a. In addition, the sidewall of the first groove 21a is formed to be inclined.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상측 면(S2)에는 제1 영역(NCA2)과 제2 영역(CA2)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렌즈(L5)의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의 끝단으로부터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상측 면(S2)의 끝단(리브(20)의 최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을 향하여 제1 영역(NCA2), 제2 영역(CA2), 제1 영역(NCA2), 제2 영역(CA2)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area NCA2 and a second area CA2 may be alternat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fifth lens L5. For example, from the end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optical part 10 of the fifth lens L5 to the end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fifth lens L5 (the outermost part of the rib 20). A first area NCA2, a second area CA2, a first area NCA2, and a second area CA2 may be sequentially formed towar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제1 영역(NCA2)들 중 어느 하나는 제2 영역(CA2)들보다 광학부(1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One of the first areas NCA2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optical unit 10 than the second areas CA2.

일 예로, 제1 영역(NCA2)들 중 어느 하나는 리브(20)의 상측 면(S2) 중 제1 리브(23)에 형성되고, 제1 영역(NCA2)들 중 나머지 하나와 제2 영역(CA2)들은 리브(20)의 상측 면(S2) 중 제2 리브(22)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first regions NCA2 is formed on the first rib 23 of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regions NCA2 and the second region ( CA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rib 22 of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즉, 제5 렌즈(L5)의 상측 면(S2)의 경우, 광학부(10)의 끝단과 인접한 제1 리브(23)에 제1 영역(NCA2)이 형성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upper surface S2 of the fifth lens L5, the first region NCA2 is formed in the first rib 23 adjacent to the end of the optical unit 10.

제5 렌즈(L5)의 경우, 물체측 면(S1)의 유효반경(ER1)보다 상측 면(S2)의 유효반경(ER2)이 더 크고, 리브(20)의 상측 면(S2)의 길이가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의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을 통과한 빛이 리브(20)의 상측 면(S2)에서 반사될 경우 반사된 빛을 충분히 산란시키기 어렵다.In the case of the fifth lens L5, the effective radius E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is larger than the effective radius ER1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and the length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is Since it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unit 10 is reflected from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It is difficult to scatter light enough.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렌즈(L5)의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의 끝단과 인접한 제1 리브(23)에 제1 영역(NCA2, 더 부드럽게 형성된 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 리브(23)로 입사되는 빛이 반사되지 않고 제1 리브(23)를 통과하도록 구성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a first region NCA2 (a surface formed more smoothly) in the first rib 23 adjacent to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S2 of the optical unit 10 of the fifth lens L5 By form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ib 23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rib 23 without being reflected.

제1 리브(23)를 통과한 빛은 제5 렌즈(L5)와 제6 렌즈(L6) 사이에 배치된 제5 스페이서(SP5) 및 제6 스페이서(SP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차단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빛 반사에 의한 플레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rib 23 is blocked by at least one of the fifth spacer SP5 and the sixth spacer SP6 disposed between the fifth lens L5 and the sixth lens L6, the intention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re phenomenon caused by the light reflection that is not.

한편, 제1 리브(23)는 광학부(10)의 상측 면(S2) 끝단에서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각은 제5 렌즈(L5)의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을 통과한 빛이 제5 렌즈(L5)의 상측 면(S2)의 제1 리브(23)에 입사되는 입사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리브(23)는 제1 리브(23)로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 대략 90°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ib 23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t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S2 of the optical unit 10. The inclination angle is the incident angle at which light passing through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part 10 of the fifth lens L5 enters the first rib 23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fifth lens L5.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For example, the first rib 23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approximately 90° with respect to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ib 23.

제5 렌즈(L5)의 리브(20)의 상측 면(S2)에서 제2 영역(CA2)의 면적은 제1 영역(NCA2)의 면적보다 크다.The area of the second area CA2 on the upper surface S2 of the rib 20 of the fifth lens L5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area NCA2.

제2 영역(CA2)들 사이에 형성된 제1 영역(NCA2)은 제2 홈부(22b)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 홈부(22b)의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irst area NCA2 formed between the second areas CA2 includes a second groove 22b. In addition, the sidewall of the second groove 22b is formed to be inclined.

여기서,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리브(20)의 물체측 면(S1)에 형성된 제3 영역(NCA1)과, 상측 면(S2)의 제2 리브(22)에 형성된 제1 영역(NCA2)은 적어도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Here, 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third region NCA1 formed on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and the first region NCA2 formed in the second rib 22 of the upper surface S2. At least some of silver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중첩되는 영역 내에 제1 홈부(21a)와 제2 홈부(22b)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roove portion 21a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22b may be disposed in the overlapping region.

제3 영역(NCA1)과 제1 영역(NCA2)이 광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 내에 제1 홈부(21a)와 제2 홈부(22b)를 배치함으로써, 제5 렌즈(L5)의 동심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Easily measure the concentricity of the fifth lens L5 by arranging the first groove 21a and the second groove 22b in the area where the third area NCA1 and the first area NCA2 overla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do.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4 and 5, a lens assembly 1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along an optical axis.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lens barrel 2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lenses. Each of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ptical axis.

복수의 렌즈는 6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광축을 따라 배치된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 제4 렌즈(L4), 제5 렌즈(L5), 제6 렌즈(L6) 및 제7 렌즈(L7)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lenses may include 6 or more lens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lenses include a first lens L1, a second lens L2, a third lens L3, a fourth lens L4, and a fifth lens disposed along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 side toward the image side. L5), a sixth lens (L6) and a seventh lens (L7).

제1 렌즈(L1)는 물체(또는 피사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7 렌즈(L7)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The first lens L1 means the lens closest to the object (or subject) side, and the seventh lens L7 means the lens closest to the image sensor.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광학부(10)의 물체측 면(S1)이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고 근축 영역의 외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광학부(10)의 상측 면(S2)이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고 근축 영역의 외측에서 볼록하게 형성된다.In some of the lenses,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optical unit 10 is convex in the paraxial region and concave outside the paraxial region, and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optical unit 10 is the paraxial region. Is formed concave in and convex in the outer side of the paraxial region.

근축 영역은 광축을 포함한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paraxial region may mean a very narrow region including the optical axi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물체측 면(S1)의 유효반경(ER1)보다 상측 면(S2)의 유효반경(ER2)이 더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some of the lenses of the lens assembly 1'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ive radius E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than an effective radius ER1 of the object-side surface S1. Is formed larg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의 렌즈는 리브(20)의 상측 면(S2)의 길이(R2)가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의 길이(R1)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some of the lenses of the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R2 of the image-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is the object-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 Is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R1. Here, the length means the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여기서, 상기 일부의 렌즈는 복수의 렌즈 중 이미지 센서에 두 번째로 가깝게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부의 렌즈는 상측에 배치된 렌즈의 리브와의 간격이 복수의 렌즈 중에서 가장 크게 형성된 렌즈일 수 있다.Here, some of the lenses may be lenses that are secondly disposed close to the image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In addition, some of the lenses may be lenses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ribs of the lenses disposed on the image side is the largest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의 렌즈는 제6 렌즈(L6)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4 and 5, some of the lenses may refer to the sixth lens L6.

제6 렌즈(L6)의 리브(20)의 물체측 면(S1)의 제1 영역(CA1) 및 제2 영역(NCA1), 리브(20)의 상측 면(S2)의 제3 영역(CA2) 및 제4 영역(NCA2)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제5 렌즈(L5)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first area CA1 and the second area NCA1 of the object side surface S1 of the rib 20 of the sixth lens L6, and the third area CA2 of the image side surface S2 of the rib 2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area NCA2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lens L5 of the lens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1': 렌즈 조립체
10: 광학부
20: 리브
NCA2: 제1 영역
CA2: 제2 영역
NCA1: 제3 영역
CA1: 제4 영역
1, 1': lens assembly
10: optical unit
20: rib
NCA2: Area 1
CA2: second area
NCA1: Area 3
CA1: Area 4

Claims (10)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 면에는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1 영역과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2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광학부로부터 상기 리브의 최외측면을 향하여 교대로 반복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거칠게 형성되는 렌즈.
An optical unit that refracts light; And
Includes; a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tical unit,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surface roughness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b,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formed from the optical unit toward the outermost side of the rib,
The second region is a lens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측 면은 상기 광학부의 상측 면의 끝단에서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로부터 상기 광축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2 리브를 포함하는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rib includes a first rib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from an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unit and a second rib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rom the first ri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에 상기 제1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리브에는 상기 리브의 최외측면을 향하여 제2 영역,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순서대로 구비되는 렌즈.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egion is provided on the first rib, and a second regio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the second rib toward the outermost side of the ri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물체측 면에는 상기 광학부로부터 상기 리브의 최외측면을 향하여, 제4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4 영역과 제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3 영역이 순서대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3 영역보다 더 거칠게 형성되는 렌즈.
The method of claim 3,
A fourth region having a fourth surface roughness and a third region having a third surface roughness ar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rib towar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rib from the optical unit,
The fourth region is a lens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third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은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상기 제1 영역은 제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2 리브의 상기 제1 영역은 광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렌즈.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region includes a first groove,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rib includes a second groove, and the third region and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rib are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Overlapping l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상측 면의 유효반경은 상기 광학부의 물체측 면의 유효반경보다 큰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An effective radius of an image-side surface of the optical part is larger than an effective radius of an object-side surface of the optical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측 면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리브의 물체측 면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은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A lens having a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i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less than a length of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ri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상측 면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이 상기 광학부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의 절대값보다 큰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A lens in which an absolute value of a radius of curvature of an image-side surface of the optical unit is greater than an absolute value of a radius of curvature of an object-side surface of the optica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물체측 면은 오목하고, 상기 광학부의 상측 면은 볼록한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An object-side surface of the optical part is concave, and an image-side surface of the optical part is convex.
광축을 따라 배치되고,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이미지 센서에 두 번째로 가깝게 배치된 렌즈의 리브의 상측 면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리브 및 상기 제1 리브로부터 상기 광축에 수직하게 연장된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리브보다 상기 광학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리브에 제1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1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리브에 제2 표면 거칠기를 갖는 제2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더 거칠게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along the optical axis, each having an optical unit that refracts light and a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tical unit; And
Includes; a lens barrel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lenses,
The upper surface of the rib of the lens disposed secondly to the image sensor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includes a first rib extending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rib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rom the first rib and,
The first rib is disposed closer to the optical unit than the second rib,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surface roughness is provided in the first rib,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surface roughness is provided in the second rib,
The second region is a lens assembly that is formed to be rougher than the first region.
KR1020190127852A 2019-10-15 2019-10-15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100445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52A KR20210044552A (en) 2019-10-15 2019-10-15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52A KR20210044552A (en) 2019-10-15 2019-10-15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52A true KR20210044552A (en) 2021-04-23

Family

ID=7573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852A KR20210044552A (en) 2019-10-15 2019-10-15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45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108A1 (en) * 2021-05-06 2022-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108A1 (en) * 2021-05-06 2022-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4161A1 (en) Optical system
KR101883033B1 (en) Lens module
KR102416101B1 (en) Optical imaging system
US8570668B2 (en) Imaging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KR102231703B1 (en) Optical imaging system
US8780461B2 (en) Optical lens and lens unit using the same
TWI802260B (en) Optical imaging system
KR102178527B1 (en) Optical imaging system
KR102529722B1 (en) Optical imaging system
US11762164B2 (en)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20136331A (en) Lens assembly
KR102381619B1 (en) Camera module
CN112835246B (en) Spacer ring and camera module
TWI731593B (en) Lens imaging system and camera module
CN116107061A (en) Optical imaging system
KR20210044552A (en)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193716B1 (en) Optical imaging system
KR20230079325A (en) Optical imaging system
KR102535291B1 (en) Optical system
KR20220098597A (en)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70139480A (en) Lens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