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415A -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415A
KR20210044415A KR1020190127531A KR20190127531A KR20210044415A KR 20210044415 A KR20210044415 A KR 20210044415A KR 1020190127531 A KR1020190127531 A KR 1020190127531A KR 20190127531 A KR20190127531 A KR 20190127531A KR 20210044415 A KR20210044415 A KR 2021004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it
blasting
blasting proces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765B1 (ko
Inventor
이강열
구본석
박민석
이양지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24C7/0053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with control of feed parameters, e.g. feed rate of abrasive material or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블라스팅 작업자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기간계 서버,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분석하여,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예를 들어, 블라스팅 작업의 실 투입 인원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블라스팅 작업의 실제 진행시간(실제 작업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 투입 인원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에 최적의 작업자를 배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 그리트 사용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자재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최적의 물량통제/배원 등에 따라, 불필요한 유휴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 등을 폭 넓게 향유하면서, 전체적인 블라스팅 공정 절차를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The system which analyzes a blasting process of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블라스팅 공정(Blasting process)을 관리/분석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스팅 작업자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기간계 서버,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분석하여,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예를 들어, 블라스팅 작업의 실 투입 인원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블라스팅 작업의 실제 진행시간(실제 작업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 투입 인원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에 최적의 작업자를 배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 그리트 사용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자재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최적의 물량통제/배원 등에 따라, 불필요한 유휴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 등을 폭 넓게 향유하면서, 전체적인 블라스팅 공정 절차를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선체 블록을 도장하기에 앞서 이 물질을 제거하고, 철판 표면을 거칠게 하여, 도료 정착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블라스팅 공정(Blasting process)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블라스팅 공정은 예컨대, 6bar~10bar의 공압을 가지는 그리트 분사기기를 통해, 일련의 그리트(Grit)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게 된다.
최근, 선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상기 블라스팅 공정에 대한 기술 또한 빠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24946호(명칭: 선체 외관 블라스팅 장치)(2011.03.0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33518호(명칭: 로봇을 이용한 이중선체블록 내부 상하부 론지 블라스팅 방법)(2012.04.0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46630호(명칭: 선박용 오버 헤드 블러스팅 머신)(2014.04.21.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3162호(명칭: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2014.05.28.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블라스팅 공정 기술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작업자(1) 측에서는 작업복, 안전장비 등을 갖춘 후, 선체 블록(B)의 내부로 들어가서, 그리트 분사기기(2)를 통한 일련의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과 같은 일련의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작업이 진행된 선체 블록의 선종 정보, 작업이 진행된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와 함께 연계시켜, 정량적으로 파악하였으면 좋겠다>는 욕구를 수시로 가지게 된다.
이는, 만약, 상기 욕구가 충족될 경우(즉,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와 함께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경우),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이를 토대로 하여, 예를 들어, 블라스팅 작업의 실 투입 인원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블라스팅 작업의 실제 진행시간(실제 작업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 투입 인원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에 최적의 작업자를 배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 그리트 사용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자재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최적의 물량통제/배원 등에 따라, 불필요한 유휴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경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와 함께 정량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는 전용 시스템>이 전혀 구비/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둡고 밀폐된 블라스팅 작업 특유의 공정 환경 상, 블라스팅 작업자의 블라스팅 작업 현황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확인하거나, 블록별로, 사용되는 그리트 량을 실시간 집계하기도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상술한 이점을 전혀 향유하지 못한 체, 오히려, 유휴 인력의 무분별한 발생, 그리트 부족에 따른 작업 로스(Loss), 작업 인력의 불합리한 배원 등과 같은 각종 심각한 문제점만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24946호(명칭: 선체 외관 블라스팅 장치)(2011.03.0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33518호(명칭: 로봇을 이용한 이중선체블록 내부 상하부 론지 블라스팅 방법)(2012.04.0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46630호(명칭: 선박용 오버 헤드 블러스팅 머신)(2014.04.21.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3162호(명칭: 개폐 밸브를 구비한 선박 블라스팅용 그리트 분사시스템)(2014.05.28.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스팅 작업자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기간계 서버,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분석하여,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고, 이를 통해,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예를 들어, 블라스팅 작업의 실 투입 인원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블라스팅 작업의 실제 진행시간(실제 작업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 투입 인원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에 최적의 작업자를 배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 그리트 사용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자재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최적의 물량통제/배원 등에 따라, 불필요한 유휴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 등을 폭 넓게 향유하면서, 전체적인 블라스팅 공정 절차를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그리트 분사기기에 설치되면서, 그리트의 분사량을 감지하여, 자신이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또는,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그리트 분사정보를 생성하는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상기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통신하면서, 상기 그리트 분사정보를 취득하는 그리트 분사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면서,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또는,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기초정보를 취득하는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분석하여,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또는,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상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그래픽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블라스팅 작업자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기간계 서버,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통신하여,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분석하여,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예를 들어, 블라스팅 작업의 실 투입 인원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블라스팅 작업의 실제 진행시간(실제 작업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 투입 인원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에 최적의 작업자를 배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 그리트 사용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자재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최적의 물량통제/배원 등에 따라, 불필요한 유휴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 등을 폭 넓게 향유하면서, 전체적인 블라스팅 공정 절차를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 블라스팅 공정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의 배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출력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의 세부적인 동작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의 출력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기량정보의 출력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블라스팅 작업자(11) 측에서는 작업복, 안전장비 등을 갖춘 후, 선체 블록(B)의 내부로 들어가서, 그리트 분사기기(12)를 통한 일련의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도,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과 같은 일련의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작업이 진행된 선체 블록의 선종 정보, 작업이 진행된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와 함께 연계시켜, 정량적으로 파악하였으면 좋겠다>는 욕구를 수시로 가지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유/무선 온라인망(20)의 통신 체계 하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를 포함하는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100)을 추가 배치하고, 이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100)을 기간계 서버(30),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예컨대, 스마트 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 등과 통신 연결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예컨대, 유량 감지센서) 측에서는 그리트 분사기기(12)의 에어 유입구 및 그리트 유입구 근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리트의 분사량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자신이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그리트 분사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20) 등을 매개로 하여,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 기간계 서버(30),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 등과 통신 연결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 취득모듈(104), 그리트 분사정보 취득모듈(105),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그래픽 처리모듈(107),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10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측에서는 자신의 정보저장영역에 불라스팅 공정 분석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를 들어,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의 등록정보, 기간계 서버(30)의 등록정보,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의 등록정보, 가이드 프레임(200)(도 4에 도시)의 생성/운영에 필요한 문자/그림/숫자/링크 소스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소스정보, 통신 세션의 생성/운영에 필요한 소스정보 등을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측에서는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를 전산 조작하여,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 측으로부터 일련의 프로그램 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2)에 기 저장되어 있던 운영정보(예컨대, 문자/그림/숫자/링크 소스정보 등)을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00)을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0)을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신에게 필요한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 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 취득모듈(104)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20) 등을 매개로 기간계 서버(30)와 통신을 취하면서. 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B)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B)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등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기초정보를 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그리트 분사정보 취득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20) 등을 매개로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가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를 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B)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B)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등),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가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 등이 취득 완료되면,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상기 블라스팅 기초정보, 그리트 분사정보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B)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B)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등),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가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 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진행시켜, 판독 완료된 내용을 분석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B)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B)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가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가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그리트 분사기기(12)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그리트 분사기기(12)의 총 그리트 분사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그리트 분사기기(12)별 그리트 분사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통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그래픽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106)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판독 완료되면, 그래픽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판독 완료된 내용을 토대로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숫자 등으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렇게 하여, 상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숫자 등으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그래픽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20) 등을 매개로, 해당 유/무선 온라인망(20)에 접속 중인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로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물론, 이러한 전송절차가 완료되면,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 측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숫자 등으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신속하게 외부로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복잡한 절차 없이,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지극히 간단한 전산작업 만으로도,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와 함께 정량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라스팅 작업자(11)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12)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기간계 서버(30),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 등의 통신 인프라 내에,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와 통신하여,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기간계 서버(30)와 통신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 완료된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분석하여,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예컨대,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 등)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토대로 하여, 해당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예를 들어, 블라스팅 작업의 실 투입 인원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블라스팅 작업의 실제 진행시간(실제 작업시간)을 정량적으로 파악/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의 작업 투입 인원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작업 예정 선체 블록에 최적의 작업자를 배원할 수 있게 되는 이점, 그리트 사용 양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자재의 소비를 효과적으로 통제/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 최적의 물량통제/배원 등에 따라, 불필요한 유휴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 등을 폭 넓게 향유하면서, 전체적인 블라스팅 공정 절차를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0) 내에는 앞서 언급한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108)이 추가로 배치된다.
이 경우,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 취득모듈(104), 그리트 분사정보 취득모듈(105)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이들에 의해 취득 완료된 블라스팅 기초정보(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B)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B)의 고유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등), 그리트 분사정보(예컨대,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100a)가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블라스팅 기초정보, 그리트 분사정보 등의 판독이 완료되면,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분석루틴을 진행시켜, 판독 완료된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 작업자의 정량적 기량 포인트가 포함된 작업자 기량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서,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소속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별 작업 목표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12)의 그리트 분사량 정보, 각 블라스팅 작업자(11)가 소지한 그리트 분사기기(12)의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 등을 토대로 하여, 예컨대, <각 블라스팅 작업자(11)가 적정량의 그리트를 소모하면서, 자신에게 부여된 작업구역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을 완료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에 부합되는 업무기량 포인트를 산정/부여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그리트를 과도하게 소모하면서도, 자신에게 부여된 작업구역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을 완료하지 못한 블라스팅 작업자(11)에게는 낮은 수준의 업무기량 포인트가 부여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정량적 기량 포인트가 포함된 작업자 기량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108) 측에서는 그래픽 처리모듈(107)과 통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작업자 기량정보를 그래픽 처리모듈(107)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정량적 기량 포인트가 포함된 작업자 기량정보가 전송 완료되면, 그래픽 처리모듈(107)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작업자 기량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 완료된 내용을 토대로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작업자 기량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숫자 등으로 표현된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그래픽 정보를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4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그래픽 정보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을 통해 출력/표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도 5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를 통해,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정량적 기량 포인트가 포함된 작업자 기량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픽 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숫자 등윽로 표현/출력되는 상황 하에서, 선박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정량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하여, 각 블라스팅 작업자(11)의 업무 기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블라스팅 공정 절차를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블라스팅 공정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B: 선체 블록
1,11: 블라스팅 작업자
2,12: 그리트 분사기기
20: 유/무선 온라인망
30: 기간계 서버
40: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
100: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100a: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
101: 인터페이스 모듈
102: 운영정보 저장모듈
103: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
104: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 취득모듈
105: 그리트 분사정보 취득모듈
106: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
107: 그래픽 처리모듈
108: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
200: 가이드 프레임

Claims (2)

  1. 각 그리트 분사기기에 설치되면서, 그리트의 분사량을 감지하여, 자신이 설치된 그리트 분사기기 정보, 그리트 분사량 정보, 또는, 그리트 분사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그리트 분사정보를 생성하는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상기 그리트 분사량 감지센서와 통신하면서, 상기 그리트 분사정보를 취득하는 그리트 분사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을 매개로 기간계 서버와 통신하면서, 각 블라스팅 작업자의 소속정보, 선체 블록의 소속 선종 정보, 선체 블록의 고유 정보, 또는, 각 블라스팅 작업자별 작업 목표정보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기초정보를 취득하는 블라스팅 공정 기초정보 취득모듈과;
    상기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분석하여, 각 선체 블록에 투입된 작업자의 총 인원수, 사용된 총 그리트의 양, 가동된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대수,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시간, 그리트 분사기기의 총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그리트 분사율,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일일 그리트 사용 양, 또는, 각 그리트 분사기기별 누적 그리트 사용 양을 포함하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 생성모듈과;
    상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상기 블라스팅 공정 분석정보가 표, 그래프, 그림, 문자, 또는 숫자로 표현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블라스팅 공정 그래픽 정보를 상기 유/무선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선박 운영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그래픽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팅 기초정보 및 그리트 분사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내용을 분석하여, 블라스팅 작업자의 정량적 기량 포인트가 포함된 작업자 기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작업자 기량정보를 상기 그래픽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작업자 기량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KR1020190127531A 2019-10-15 2019-10-15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KR10264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531A KR102641765B1 (ko) 2019-10-15 2019-10-15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531A KR102641765B1 (ko) 2019-10-15 2019-10-15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415A true KR20210044415A (ko) 2021-04-23
KR102641765B1 KR102641765B1 (ko) 2024-03-04

Family

ID=7573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531A KR102641765B1 (ko) 2019-10-15 2019-10-15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0290A (zh) * 2022-04-12 2022-07-29 日善电脑配件(嘉善)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化远程控制的喷砂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946A (ko) 2009-09-03 2011-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외판 블라스팅 장치
KR20120033518A (ko) 2010-09-30 2012-04-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이중선체블록 내부 상하부 론지 블라스팅 방법
KR20140003162A (ko)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제공방법
KR20140046630A (ko) 2012-10-09 2014-04-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버 헤드 블러스팅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946A (ko) 2009-09-03 2011-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외판 블라스팅 장치
KR20120033518A (ko) 2010-09-30 2012-04-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이중선체블록 내부 상하부 론지 블라스팅 방법
KR20140003162A (ko)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제공방법
KR20140046630A (ko) 2012-10-09 2014-04-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버 헤드 블러스팅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0290A (zh) * 2022-04-12 2022-07-29 日善电脑配件(嘉善)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化远程控制的喷砂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765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487B1 (en) Computerized virtual paint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system
EP1895376A3 (en) Dynamic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WO2013115520A1 (ko) 건설기계의 연비 정보 제공 시스템
CA2397628A1 (en) Engine monitoring display for maintenance management
CN102081766A (zh) 基于物联网的环境在线监控与智能运营管理系统和方法
KR20210044415A (ko) 선박 블라스팅 공정 분석시스템
Ribeiro et al. Applying standard work in a paint shop of wood furniture plant: A case study
CN114997698A (zh) 一种多功能智能制造梁场管理系统
CN204807371U (zh) 混凝土质量试块现场抽样制作监测仪
CN108051233A (zh) 一种球磨机负荷参数软测量方法
Rostykus et al. Managing ergonomics: Applying ISO 45001 as a model
Singh et al. Process flow improvement through 5S, kaizen and visualization
CN116611684A (zh) 工程项目安全风险动态评估系统及方法
CN108647847A (zh) 施工过程中的物料管理系统及方法
Alkoc et al.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creting operations through simulation models
CN212060213U (zh) 污染场地土壤在线监测系统
CN205581614U (zh) 供水管网实时监控调度系统
KR101059502B1 (ko) 선체 도장 균일 도포와 비접촉 도막 두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1176174B (zh) 一种面向冲压车间的多功能监管系统
Mota et al. A model for the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n activity-based management (ABM)
KR20130007341A (ko) 강재 전처리 부하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7390606B (zh) 一种全程监控的污染物排放总量控制系统
CN113570230B (zh) 一种污染地块修复现场信息化管理方法及系统
Jones Early OR in the steel company of Wales
Liu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industrial engineering to optimize sit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