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915A -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915A
KR20210043915A KR1020190126828A KR20190126828A KR20210043915A KR 20210043915 A KR20210043915 A KR 20210043915A KR 1020190126828 A KR1020190126828 A KR 1020190126828A KR 20190126828 A KR20190126828 A KR 20190126828A KR 20210043915 A KR20210043915 A KR 2021004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gis
temperature
failur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회
권혁수
이용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915A/ko
Publication of KR2021004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스절연개폐기(GIS) 외함의 복수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온도 정보에 의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여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FAULT SECTION OF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설비의 가스절연개폐기(GIS)의 외함 온도변화율을 바탕으로 고장구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설비에 설치되는 가스절연개폐기(GIS)는 불활성 가스인 SF6의 성질을 응용하여 정상상태의 전류개폐뿐 아니라, 단락사고 등의 이상상태에 있어서도 안전하게 운전 개폐하여 계통을 보호한다.
상기 가스절연개폐기는 전력 케이블과의 접속부에 과열이 발생할 경우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 발생 시 변전설비의 정전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스절연개폐기와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의 온도 감지를 위한 접속부에 온도 테이프(Thermo Tape)를 부착한다. 작업자는 순시 점검시 접속부에 부착된 온도 테이프의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접속부의 과열 발생 여부를 감시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접속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접속부의 과열 발생 여부를 감시한다.
하지만, 종래의 가스절연개폐기와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의 과열 감시 방법에서는 육안 또는 측정 장비를 이용한 점검을 수행하기 때문에 점검인력 및 점검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절연개폐기와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의 과열 감시 방법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정 신뢰도가 저하되고, 상시 감시 및 경보 기능이 없어 블라인드 포인트(Blind Point)가 존재하게 되어 급격한 과열 발생시 설비고장에 대한 빠른 대처가 불가능하여 전력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절연개폐기와 전력 케이블의 접속부의 과열 감시 방법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트렌드(Trend) 관리로 인해 관리인력 및 관리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35502호(2012.04.16. 공개, 가스절연개폐기의 전력 케이블 인입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변전설비의 가스절연개폐기(GIS)의 외함 온도변화율을 바탕으로 고장구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는, 가스절연개폐기(GIS) 외함의 복수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온도 정보에 의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여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를, 유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 또는 상기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장 발생 시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함과 아울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게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를 표시하고, 또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 정보를 표시하되, 텍스트, 그래프, 및 GIS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 정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의 시간대별 온도 변화율 정보; 온도 변화율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정보; GIS에 고장 발생 시 대응 조치; GIS의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되는 GIS 맵; 및 GIS의 각 구간별 온도 센서의 대응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은, 센서부를 통해 가스절연개폐기(GIS) 외함의 복수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온도 정보에 의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여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를 측정한 후, 상기 센서부는, 유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온도 정보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시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게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정보 및 온도 변화율 정보를, 텍스트, 그래프, 및 GIS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 정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의 시간대별 온도 변화율 정보; 온도 변화율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정보; GIS에 고장 발생 시 대응 조치; GIS의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되는 GIS 맵; 및 GIS의 각 구간별 온도 센서의 대응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변전설비의 가스절연개폐기(GIS)의 외함 온도변화율을 바탕으로 고장구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 GIS 외함의 표면 온도를 촬영한 사진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 GIS 외함의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그래프 형태로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데이터베이스부(130), 알람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가스절연개폐기(GIS) 외함의 복수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T-sen)를 통해 구간별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T-sen)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T-sen)에서 검출된 온도 정보는 아이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에는 가스절연개폐기(GIS)가 설치된 형태(또는 맵)에 대응하여 온도 센서(T-sen)가 설치된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지정된 시간 단위로 GIS 외함의 각 구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에 대한 온도 변화율을 산출한다. 즉, 지정된 시간 동안에 GIS 외함의 각 구간에 대한 온도 변화율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와 상기 제어부(120) 간에는 별도의 통신 수단(미도시)을 통해 온도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수단은 GIS 외함의 표면 온도를 유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수단은 RFID, NFC, Zigbee,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온도 설정값과 표면 온도를 근거로 GIS 외함의 과열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GIS 외함의 표면 온도가 온도 설정값 이상이면 GIS 외함의 해당 구간에 과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GIS 외함의 과열 발생 판단 결과를 근거로 알람부(140)를 통해 경보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120)는 GIS 외함의 특정 구간이 과열 발생으로 판단되면 부저, 램프 점멸 등을 통해 경보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특정 구간의 GIS 외함이 과열 발생으로 판단하면, 이동 통신망, LAN, WiFi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미도시)에게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미도시)은 랩톱, 데스크톱,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수신한 GIS 외함의 표면 온도를 구간별 및 시간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표시부(150)를 통해 상기 측정된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가 산출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변화율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 및 각 구간별 온도변화율 정보를 텍스트, 그래프 등으로 출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정보(즉,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 각 구간별 온도변화율 정보)를 GIS 맵에 투사하여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GIS 외함의 표면 온도를 기간별 트랜드(Trend), 검색 조건에 따른 특정 시간의 표면 온도를 화면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기저장된 표면 온도를 근거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기간별 트랜드(예를 들면, 년, 월, 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 조건에 따른 특정 시간의 표면 온도를 화면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센서부(110)에 대한 GIS 외함의 표면 온도 측정 주기, 온도 설정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측정 주기, 온도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120)는 온도 측정 주기, 온도 설정값 등을 사용자(또는 관리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의 시간대별 온도 변화율 정보, 및 온도 변화율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GIS에 고장 발생 시 대응 조치, 즉,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장 대응 조치 방법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30)는 GIS 맵(GIS의 3차원 그래픽 이미지)와 각 구간별 온도 센서(T-sen)의 대응 맵을 저장한다.
상기 알람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GIS 외함의 온도 변화율이 설정값 이상인 구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알람부(140)는 부저, 램프 점멸 등을 통해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 발생 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또는 관리자) 단말(미도시)에게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120)의 동작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GIS 외함의 구간별 온도를 검출한다(S101).
예컨대 GIS 외함 표면의 지정된 구간별로 온도 센서(T-sen)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센서부(110)는 상기 온도 센서(T-sen)를 통해 GIS 외함 표면의 지정된 구간별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측정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산출한다(S102).
예컨대 GIS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수십 초 내에 외함 온도가 5도 이상 상승한다. 따라서 GIS 외함 온도 변화율이 설정값 이상 빠르게 상승할 경우 고장 구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120)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즉, 기준 설정값) 이상인지 체크하고(S103),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이상인 구간이 있을 경우(S103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이상인 구간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도 4 참조), 경보를 발생함과 아울러 미리 지정된 대응 조치를 자동으로 실행한다(S104).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구간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구간을 GIS 맵(GIS의 3차원 그래픽 이미지)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또는 관리자)에게 고장 발생 구간을 빠르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 GIS 외함의 표면 온도를 촬영한 사진을 보인 예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GIS 외함의 표면 온도가 높은 것에 의해 고장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구간별로 온도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 설정값 보다 높은 경우에 GIS 내부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4는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있어서, GIS 외함의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그래프 형태로 보인 예시도로서, 다른 구간 대비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높은 B구간을 고장 구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변전설비의 가스절연개폐기(GIS)의 외함 온도변화율을 바탕으로 고장구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도 변화율에 기초하여 고장이 발생한 구간을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고장 대응 조치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고장 발생 시에도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센서부 120 : 제어부
130 : 데이터베이스부 140 : 알람부
150 : 표시부

Claims (12)

  1. 가스절연개폐기(GIS) 외함의 복수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온도 정보에 의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고,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여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를, 유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 또는 상기 온도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장 발생 시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함과 아울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게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를 표시하고, 또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 정보를 표시하되,
    텍스트, 그래프, 및 GIS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 정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의 시간대별 온도 변화율 정보;
    온도 변화율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정보;
    GIS에 고장 발생 시 대응 조치;
    GIS의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되는 GIS 맵; 및
    GIS의 각 구간별 온도 센서의 대응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7. 센서부를 통해 가스절연개폐기(GIS) 외함의 복수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구간별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온도 정보에 의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여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를 측정한 후,
    상기 센서부는,
    유선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온도 정보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시 알람부를 통해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게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변화율이 기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고장이 발생한 구간으로 판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통해 상기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및 시간별 온도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온도 변화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정보 및 온도 변화율 정보를,
    텍스트, 그래프, 및 GIS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 정보;
    GIS 외함의 각 구간별 표면 온도의 시간대별 온도 변화율 정보;
    온도 변화율에 대응하는 고장의 종류 정보;
    GIS에 고장 발생 시 대응 조치;
    GIS의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되는 GIS 맵; 및
    GIS의 각 구간별 온도 센서의 대응 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방법.
KR1020190126828A 2019-10-14 2019-10-14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KR20210043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28A KR20210043915A (ko) 2019-10-14 2019-10-14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28A KR20210043915A (ko) 2019-10-14 2019-10-14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15A true KR20210043915A (ko) 2021-04-22

Family

ID=7573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28A KR20210043915A (ko) 2019-10-14 2019-10-14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9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31B1 (ko) 2023-03-03 2024-03-06 백용호 습도 유지 기능이 구비된 29kV 가스절연 개폐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31B1 (ko) 2023-03-03 2024-03-06 백용호 습도 유지 기능이 구비된 29kV 가스절연 개폐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102271613B1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US10761129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US11948440B2 (en) Electric fire prediction monitoring system and the method including the same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KR102057439B1 (ko)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IoT 가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5517B1 (ko) 스마트 배전선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3915A (ko) 가스절연개폐기의 고장구간 판별 장치 및 방법
KR20190095771A (ko) 배전반의 모니터링 및 부하 제어 시스템
KR20100126874A (ko)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JP6794019B2 (ja) 分電盤の異常通信システム
KR20160067602A (ko) 열화상 감지 센서를 이용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설비의 화재 모니터링 장치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US202001930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sta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xecuting device has been tampered with
CN110676807A (zh) 一种冷镦机电压保护系统
KR102082312B1 (ko) 가스절연개폐기 및 전력 케이블 접속부의 과열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60097680A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1701733B1 (ko) 감시진단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CN109947036A (zh) 用于修改由控制面板接收的输入电压的系统和方法
JP2006017515A (ja) ガスメータ
KR20200003441A (ko) 임시동력 분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비전력 절감 방법
KR101658461B1 (ko) 전자 기기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4848B1 (ko) 서지보호기의 수명을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치
KR102039897B1 (ko) 전류제어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