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897A -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897A
KR20210043897A KR1020190126787A KR20190126787A KR20210043897A KR 20210043897 A KR20210043897 A KR 20210043897A KR 1020190126787 A KR1020190126787 A KR 1020190126787A KR 20190126787 A KR20190126787 A KR 20190126787A KR 20210043897 A KR20210043897 A KR 20210043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ewport
displayed
degree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950B1 (ko
Inventor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Priority to KR102019012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9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에서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1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인 제1영상 내 제1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내 상기 제1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제2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인 제2영상 내 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영상 내 상기 제2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이동링크로 설정하여,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제2영상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360 DEGREE IMAGES}
본 발명은 360도 영상들을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상현실 컨텐츠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디바이스와 컴퓨터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상현실 컨텐츠의 일 예로 360도 영상을 들 수 있다. 360도 영상은 360도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공간의 전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360도 영상은 특정 공간에 대한 제한적인 범위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종래 영상들에 비해 더욱 넓은 범위(전 범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360도 영상들을 연결한 360도 영상 컨텐츠가 게임, 교육, 쇼핑, 부동산 정보 제공 등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360도 영상 컨텐츠는 별도의 전용 제작 툴에 의해서만 제작되고 있으며, 이 제작 툴의 활용에는 많은 전문 지식과 제작 경험이 요구된다. 따라서, 영상 제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수요자들이 자신이 소유한 전자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360도 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60도 영상 컨텐츠를 더욱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직관적이며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에서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1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인 제1영상 내 제1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내 상기 제1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제2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인 제2영상 내 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영상 내 상기 제2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이동링크로 설정하여,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제2영상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될 영상과 연결 지점을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360도 영상들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더욱 쉽게 360도 영상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360도 영상들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택킹 기능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스택킹 기능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될 360도 영상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연결될 360도 영상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뷰포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60도 영상들을 직관적이며 사용자 편의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휴대용 단말기, 서버, 전용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360도 영상들의 연결에 대한 개념도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서로 연결될 360도 영상들은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상(110)은 특정 공간(제1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이며, 제2영상(120)은 특정 공간(제2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이다. 제1공간과 제2공간은 특정 구조물 내에 위치하는 제한된 공간이거나, 거리와 같이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서로 다르거나 같은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은 서로 다르거나 같은 공간들 각각에 대한 360도 영상일 수 있다.
도면 부호 114는 제1영상(110)의 중심 포인트(제1중심 포인트)로서, 제1공간 내에서 제1영상(110)이 촬영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도면 후보 124는 제2영상(120)의 중심 포인트(제2중심 포인트)로서, 제2공간 내에서 제2영상(120)이 촬영된 위치일 수 있다.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은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영상(110) 내에서 제2영상(120)과 연결되는 지점 또는 위치(제1위치, 112)는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 가능한 링크(이동링크)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상(120) 내에서 제1영상(110)과 연결되는 지점 또는 위치(제2위치, 122)는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이동 가능한 링크(이동링크)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은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를 이동링크로 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360도 영상들은 360도 영상들을 스티칭(stitching)하는 방법, 연결될 360도 영상들의 특정 포인트(연결 포인트)들 간을 포인트 대 포인트로 연결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스티칭 방법은 360도 영상 내 특정 영역과 다른 360도 영상 내 특정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여기서, 360도 영상 내 특정 영역은 연결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다른 360도 영상 내 특정 영역도 연결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예만이 표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을 통해 연결되는 360도 영상들은 3개 이상일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2개의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방법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뷰포트(view-port, 116, 126)는 360도 영상들 간을 이동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2영상(120) 내 특정 영역(126)이 표출될 수 있으며,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1영상(110) 내 특정 영역(116)이 표출될 수 있다. 뷰포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에 대한 360도 영상들을 이용하여 거리 뷰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전시회 장소나 박람회 장소의 각 공간들에 대한 360도 영상들을 이용하여 관람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부동산에 대한 360도 영상들을 이용하여 부동산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본 발명이 활용될 수 있다.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먼저, 360도 영상들 중에서 제1영상(110)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1영상(110)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210). 제1영상(110) 내에서 제1위치(1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영상(110) 내에서의 제1위치(112)가 설정 또는 저장될 수 있다(S220).
제1위치(112)가 설정되면, 제2위치(122)를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360도 영상들 중에서, 제1영상(110)과 연결될 제2영상(120)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2영상(120)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230). 이 상태에서, 제2영상(120) 내에서 제2위치(12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영상(120) 내에서의 제2위치(122)가 설정 또는 저장될 수 있다(S240).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가 설정되면, 설정된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를 이동링크로 설정하여,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될 수 있다(S250).
제1위치(112)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 예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3 (a)는 미리 촬영된 360도 영상들을 나타내며, 도 3 (b)는 제1영상(110)을 나타내고, 도 3 (c)는 제1영상(110) 내에서 제1위치(112)가 선택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의 '√' 표시는 사용자 입력을 나타낸다.
미리 촬영된 360도 영상들 중에서, 연결될 제1영상(110)이 선택되면(도 3 (a)), 선택된 제1영상(110)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도 3 (b)). 제1위치(112)는 도 3 (b)와 같이 제1영상(110) 전체가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설정되거나, 도 3 (c)와 같이 제1영상(110)의 일정 영역(뷰포트)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먼저, '선택' 메뉴가 선택되면('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도 3 (b)), 제1영상(110)의 일정 영역(뷰포트)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뷰포트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영상(110)이 회전 이동하여 제1위치(112)가 포함된 제1영상(110) 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3 (c)).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위치(112)를 선택하면, 제1영상(110) 내에서의 제1위치(112)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 (c)의 우측 상부에 표현된 평면도와 관련하여, “1”로 표현된 원은 제1영상(110)을 나타내며, 호는 제1영상(110) 내에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범위(뷰포트)를 나타내고, 직선들은 360도 영상들이 촬영된 공간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평면도가 360도 영상과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제1위치(112)를 설정하는 과정이 더욱 직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위치(122)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일 예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 (a)는 미리 촬영된 360도 영상들을 나타내며, 도 4 (b)는 제2영상(120)을 나타내고, 도 4 (c)는 제2영상(120) 내에서 제1위치(122)가 선택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의 '√' 표시는 사용자 입력을 나타낸다.
미리 촬영된 360도 영상들 중에서, 제1영상(110)과 연결될 제2영상(120)이 선택되면(도 4 (a)), 선택된 제2영상(120)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도 4 (b)).
제2위치(122)는 도 4 (b)와 같이 제2영상(120) 전체가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선택 또는 설정되거나, 도 4 (c)와 같이 제2영상(120)의 일정 영역(뷰포트)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먼저, '선택' 메뉴가 선택되면('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도 4 (b)), 제2영상(120)의 일정 영역(뷰포트)이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뷰포트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영상(120)이 회전 이동하여 제2위치(122)가 포함된 제2영상(120) 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4 (c)).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위치(122)를 선택하면(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제2영상(120) 내에서의 제2위치(122)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 (b) 및 (c)의 우측 상부에 표현된 평면도와 관련하여, “2”로 표현된 원은 제2영상(120)을 나타내고, 제2영상(120) 내에 표현된 호는 제2영상(120) 내에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범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평면도가 360도 영상과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제2위치(122)를 설정하는 과정이 더욱 직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360도 영상들의 연결은 미리 촬영된 360도 영상들을 대상으로 수행되거나(도 2의 순서도), 360도 영상들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S210 단계는 '제1영상(110)을 촬영하고, 촬영된 제1영상(110)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S230 단계는 '제2영상(120)을 촬영하고, 촬영된 제2영상(120)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이 완료된 360도 영상 컨텐츠(제1영상 및 제2영상)에 대한 일 예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 (a)와 같이, 제1위치(112)는 별도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위치(1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시점(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1위치(1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360도 영상이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 (b)와 같이, 제2위치(122)도 별도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위치(12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시점(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제2위치(12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360도 영상이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60도 영상들의 연결을 더욱 사용자 편의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사용자 편의적인 방법들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360도 영상을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스택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 갤러리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60도 영상을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화면에 360도 영상 자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닌, 이 360도 영상을 다른 형태 또는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360도 영상은 아이콘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360도 영상(제1영상)이 아이콘화되면, 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제1영상(110)이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감소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제2영상(1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를 탐색하는 과정, 제1영상(110)을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로 이동시키는 과정 등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택 기능이란, 제1영상(110)을 미리 설정된 스택 영역에 쌓아 두는 기능을 의미한다. 스택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내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으며, 제2위치(122)가 설정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먼저, 제1영상(110) 내 제1위치(1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영상(110)이 아이콘화될 수 있다(S610). 여기서, 제1영상(110)의 아이콘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스택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이 스택 영역에 스택킹될 수 있다(S620). 실시형태에 따라, (스택 영역으로 이동된)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에 대한 선택을 종료(터치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이 추가되는 경우에,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이 스택킹될 수도 있다.
제2영상(120)이 디스플레이되면, 스택된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위치(122)가 설정 또는 저장될 수 있다(S630).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가 설정되면, 설정된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를 이동링크로 설정하여,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될 수 있다(S640).
스택 기능이 적용되는 일 예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가 축소된 제1영상(110)이 제1영상(110)의 아이콘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이 스택 영역(700)으로 이동되면,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이 스택 영역(700)에 스택킹될 수 있다.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콘화된) 스택된 제1영상(110)이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로 이동되면,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가 이동링크로 설정되면서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상(120) 내에서 제2위치(122)를 탐색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된 제2영상(120)을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택 기능이 더 활용되면, 제1영상(110)에 대한 터치 유지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입력 없이도 제2영상(120)을 더욱 쉽게 선택하거나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영상(120) 내에서 제2위치(122)를 더욱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택 기능의 활용은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갤러리 기능이란, 제1영상(110)과 연결 가능한 360도 영상들을 갤러리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갤러리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 내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으며, 제2위치(122)가 설정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먼저, 제1영상(110) 내 제1위치(1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영상(110)이 아이콘화될 수 있다(S810). 여기서, 제1영상(110)의 아이콘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갤러리 영역 내 제2영상(120)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S820), 제2영상(120)이 화면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830).
제2영상(120)이 확대 디스플레이되면,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로 이동시키는(예: 드래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위치(122)가 설정 또는 저장될 수 있다(S840).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가 설정되면, 설정된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를 이동링크로 설정하여,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될 수 있다(S850).
갤러리 기능이 적용되는 일 예가 도 9에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가 축소된 제1영상(110)이 제1영상(110)의 아이콘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영상(110)이 아이콘화되면,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360도 영상들이 갤러리 영역(9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갤러리 영역(900)의 상하 또는 좌우에 이동시키면,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된 360도 영상들이 갤러리 영역(900) 내에서 위치를 변경해가면서 순차적으로 갤러리 영역(9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이 갤러리 영역(900) 내에서 제2영상(120)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도 9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영상(120)이 확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이 확대 디스플레이된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로 이동되면, 제1위치(112)와 제2위치(122)가 이동링크로 설정되면서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상(120) 내에서 제2위치(122)를 탐색하는 과정은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화면의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갤러리 기능이 더 활용되면, 제2영상(120)을 선택하는 과정이 추가적인 화면 전환 없이도 직관적이며 간결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택 기능과 갤러리 기능이 결합된 실시예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화된 제1영상(110)을 스택 영역(700)에 스택킹하고, 갤러리 영역(900)에 디스플레이된 360도 영상들 중에서 제2영상(120)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360도 영상들의 뷰포트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이동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 내에서 하나 이상의 뷰포트를 설정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된 후에 뷰포트를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뷰포트를 설정하는 과정은 제1위치가 설정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뷰포트란, 360도 영상들 간을 이동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뷰포트는 하나의 360도 영상에 대해 하나만 설정되거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뷰포트들은 동일한 360도 영상 내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설정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뷰포트는 진입 또는 이동하는 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으로 자동 설정되거나(디폴트 뷰포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멀티 뷰포트). 이하에서는,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 내에 설정되는 뷰포트들을 제1뷰포트(116, 126)와 제2뷰포트(118, 128)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1뷰포트(116, 126)와 제2뷰포트(118, 128)가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된 경우, 제1뷰포트(116, 126)와 제2뷰포트(118, 128) 중에서, 어느 하나가 먼저 디스플레이 된 후에 다른 하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뷰포트(116, 126)가 먼저 디스플레이되고,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이 회전하면서 제2뷰포트(118, 128)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뷰포트(116, 126)로부터 제2뷰포트(118, 128)까지의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 내 영역은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영상(120)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정된 제1뷰포트(126)와 제2뷰포트(128)에 대한 일 예가 도 11에 나타나 있다.
제1영상(110) 내에 위치하는 이동링크(제1위치, 112)가 선택되면(도 11 (a)),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되면서 제2영상(120)에 설정된 제1뷰포트(126)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도 11 (b)).
제2영상(120)에는 제2뷰포트(128)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영상(120)이 제1뷰포트(126)로부터 회전하여 제2뷰포트(128)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도 11 (c)). 즉, 제2영상(120)이 회전하면서 제2영상(120) 내 제1뷰포트(126)로부터 제2뷰포트(128)까지의 영역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제1뷰포트(116, 126)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제2뷰포트(118, 128)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유도 또는 안내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제1공간(제1영상)으로부터 제2공간(제2영상)을 지나 제3공간(360도 영상인 제3영상)으로 안내하고자 하는 경우,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뷰포트를 제1뷰포트(116, 126)로 설정하고, 제2영상(120) 내에서 제3영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링크가 설정된 영역을 제2뷰포트(118, 128)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한 사용자에게는 제1뷰포트(116, 126)가 먼저 디스플레이된 후에, 제3영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링크가 설정된 제2뷰포트(118, 128)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자연스럽게 제3영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뷰포트(116, 126)와 제2뷰포트(118, 128)가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 내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설정된 경우, 복수 개의 뷰포트들 간에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같은 위치란, 제1뷰포트(116, 126)와 제2뷰포트(118, 128) 중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설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뷰포트(118, 128)가 제1뷰포트(116, 126)와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되 제1뷰포트(116, 126)의 내부에 설정된 경우, 제1뷰포트(116, 126)로부터 제2뷰포트(118, 128)까지 줌-인되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제2뷰포트(118, 128)로부터 제1뷰포트(116, 126)까지 줌-아웃되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영상(120) 내의 서로 같은 위치에 설정된 제1뷰포트(126)와 제2뷰포트(128)에 대한 일 예가 도 12에 나타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뷰포트(126)는 사람이 걷는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들이 포함된 제2영상(120) 내 영역으로 설정되고, 제2뷰포트(128)는 그림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뷰포트(126)가 디스플레이된 후에(도 12 (a)), 줌-인되면서 제2뷰포트(128)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12 (b)). 이와 반대로, 제2뷰포트(128)가 디스플레이된 후에(도 12 (b)), 줌-아웃되면서 제1뷰포트(126)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도 12 (c)).
줌-인/줌-아웃 기능은 360도 영상 내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 중인 그림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제공하고자 하거나, 부동산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줌-인/줌-아웃 기능이 활용될 수 있다.
회전 이동 기능과 줌-인/줌-아웃 기능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뷰포트(116, 126)로부터 제2뷰포트(118, 128)로 줌-인한 후에, 줌-인된 상태에서 제3의 뷰포트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뷰포트(116, 126)로부터 제2뷰포트(118, 128)로의 줌-인' - '제2뷰포트(118, 128)로부터 제3의 뷰포트로의 회전 이동' - '제3의 뷰포트로부터 제4의 뷰포트로의 줌-아웃' - '제4의 뷰포트 내에 설정된 이동링크를 이용하여 제3의 영상으로의 이동'과 같이, 회전 이동 기능과 줌-인/줌-아웃 기능이 복합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영상(110)이 촬영되는 제1공간과 제2영상(120)이 촬영되는 제2공간 사이에 통로 등과 같은 별도의 이동공간(제3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제1영상(110)으로부터 바로 제2영상(120)으로 화면이 전환되면, 촬영 공간의 실제 구조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 시에 제3공간에 대한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촬영 공간의 실제 구조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간에 차이를 완화시킴은 물론, 더욱 유연한 이동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3컨텐츠를 이동링크(112, 122)에 삽입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영상(110)과 제2영상(120)이 연결된 후에 제3컨텐츠를 삽입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3컨텐츠를 삽입하는 과정은 제1위치가 설정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3컨텐츠는 이동링크(112, 12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영상(110) 또는 제2영상(12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컨텐츠가 이동링크에 연결되는 것에는, 제3컨텐츠가 이동링크의 위치에 페이지 디테일링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컨텐츠가 제1영상(110) 내 제1위치(112)에 하위 심도로 삽입되거나 제2영상(120) 내 제2위치(122)에 하위 심도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3컨텐츠가 이동링크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3컨텐츠는 제3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360도 영상, 제3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2D 이미지, 제3공간을 이동하면서 촬영한 동영상, 제3공간을 설명하는 텍스트, 제3공간을 설명하는 음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진입하는 경우의 이동 방향과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진입하는 경우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임을 고려하여, 이동 방향 각각에 대한 제3컨텐츠들이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진입하는 경우, 제1영상(110)으로부터 제2영상(120)으로 이동하면서 촬영된 제3컨텐츠(제1방향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진입하는 경우, 제2영상(120)으로부터 제1영상(110)으로 이동하면서 촬영된 제3컨텐츠(제2방향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8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 도 6 및 도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도 6 및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영상 120: 제2영상
112: 제1위치 122: 제2위치
114: 제1중심 포인트 124: 제2중심 포인트
116, 126: 제1뷰포트 118, 128: 제2뷰포트

Claims (10)

  1. 전자 디바이스에서 360도 영상들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제1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인 제1영상 내 제1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내 상기 제1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제2공간에 대한 360도 영상인 제2영상 내 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영상 내 상기 제2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이동링크로 설정하여,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제2영상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상을 아이콘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 내 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아이콘화된 제1영상을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콘화된 제1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측에 형성된 스택(stack) 영역에 스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 내 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스택된 제1영상을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콘화된 제1영상이 상기 화면의 일측에 형성된 갤러리(gallery) 영역 내에서 상기 제2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 내 제2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아이콘화된 제1영상을 상기 확대 디스플레이된 제2영상 내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또는 상기 제2영상 내 하나 이상의 뷰포트(view-port)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뷰포트는,
    상기 이동링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또는 상기 제2영상으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인,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뷰포트는,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부터 180도 회전된 위치에 자동 설정되는 제1뷰포트; 및
    상기 제1영상 또는 상기 제2영상 중에서 상기 제1뷰포트가 설정된 영상에 설정되며, 상기 제1뷰포트와 다른 위치에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2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뷰포트는,
    상기 제1뷰포트로부터 상기 제1영상 또는 상기 제2영상이 회전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뷰포트는,
    제1뷰포트; 및
    상기 제1영상 또는 상기 제2영상 중에서 상기 제1뷰포트가 설정된 영상에 설정되며, 상기 제1뷰포트 내부에 설정되는 제2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뷰포트는,
    상기 제1뷰포트로부터 줌인(zoom-in)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의 이동공간에 대한 제3컨텐츠를 상기 이동링크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컨텐츠는,
    상기 이동링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또는 상기 제2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컨텐츠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방향 컨텐츠; 및
    상기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방향 컨텐츠를 포함하는,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126787A 2019-10-14 2019-10-14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KR10227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87A KR102275950B1 (ko) 2019-10-14 2019-10-14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87A KR102275950B1 (ko) 2019-10-14 2019-10-14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897A true KR20210043897A (ko) 2021-04-22
KR102275950B1 KR102275950B1 (ko) 2021-07-12

Family

ID=7573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787A KR102275950B1 (ko) 2019-10-14 2019-10-14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795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KR20230089705A (ko) * 2021-12-14 2023-06-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시점 이동에 따른 연속적인 360도 가상현실 영상 획득 및 재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064A (ko) * 2007-12-26 2009-07-0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이동 방법
KR20090070065A (ko) * 2007-12-26 2009-07-0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064A (ko) * 2007-12-26 2009-07-0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이동 방법
KR20090070065A (ko) * 2007-12-26 2009-07-0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795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KR20230089705A (ko) * 2021-12-14 2023-06-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시점 이동에 따른 연속적인 360도 가상현실 영상 획득 및 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950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94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167703B2 (ja)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588542B2 (ja) 情報表示装置
JP5087532B2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14016499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10518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isplay of virtual reality content
JP678739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10607410B2 (en)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of views captured at geographic locations
US10157370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elements of a wizard facility displayed on a user device
JP614986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2275950B1 (ko) 360도 영상 간 연결 방법
US10732706B2 (en) Provis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JP6544996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WO2020194470A1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JP2008293360A (ja) オブジェクト情報表示装置およびオブジェクト情報表示方法
US2022032689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89728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displaying control panel image and information image on a display
US118691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space constructing based on stackable light field
JP2020161107A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KR101895865B1 (ko) 랜드스케이프 동영상 컨텐츠의 적응적 재생 시스템 및 재생방법
CN113961065B (zh) 导航页面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954421A (zh) 兴趣点展示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Hürst et al. Navigating VR Panoramas on Mobile Devices
JP5497915B2 (ja) コンテンツ検索方法
CN117194816A (zh) 三维空间的搜索内容显示方法、ar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