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350A - 광 어댑터 - Google Patents

광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350A
KR20210043350A KR1020190126416A KR20190126416A KR20210043350A KR 20210043350 A KR20210043350 A KR 20210043350A KR 1020190126416 A KR1020190126416 A KR 1020190126416A KR 20190126416 A KR20190126416 A KR 20190126416A KR 20210043350 A KR20210043350 A KR 2021004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holder
present
coupled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휴
정래주
Original Assignee
포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350A/ko
Publication of KR2021004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Abstract

광 어댑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 광 커넥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광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의 내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의 심선을 정렬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는 홀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가 배치되는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 어댑터{Optical Adapter}
본 발명은 광 커넥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광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신호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써,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정보의 전송 상태가 양호하다. 이에, 광통신은 현재, 다양한 통신 및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FTTH(Fiber To The Home)를 기반으로 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서비스 등이 광통신의 대표적인 응용 사례이다.
통상적으로, 광섬유의 단부에는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가 연결되어 있으며, 광섬유는 광 커넥터에 의해 단자함 내 접속부 등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는 광 커넥터와 다른 광 커넥터와의 연결에 의해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광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광섬유와 광섬유 사이의 경계면에서 전송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 커넥터와 다른 광 커넥터는 광 어댑터(Optical Adapter)에 의해 연결된다. 광 어댑터는 광섬유의 심선(Core Wire)을 정렬시킴으로써, 광 커넥터에 의해 연장되는 각각의 광섬유를 안정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1은 종래의 광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광 어댑터에 광 커텍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광 커넥터(120, 125)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광 커넥터(120, 125)는 광 어댑터(130)를 매개로 하여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광 어댑터(130)는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은 내부에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심선이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안내하는 슬리브(미도시) 및 슬리브(미도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광 어댑터(13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슬리브(미도시)는 고정부재(미도시) 내에 결합되며, 고정부재(미도시)는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은 초음파 등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분리되지 않도록 접합된다. 이렇게 조립된 광 어댑터(130)의 양단에 제1 및 제2 광 커넥터(120, 125)가 각각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심선은 광 어댑터(130)의 내부에서 정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광 어댑터(130)는 한번 결합됨에 따라 다시 분리되기 어려운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광 어댑터(130) 내 구성 요소들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광 어댑터(130) 자체를 교환해야하는 비효율성이 존재했다.
한편, 전술한 대로, 슬리브(미도시)는 고정부재(미도시) 내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심선이 정렬되도록 가이드한다. 슬리브(미도시)의 축과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는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 내로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는다. 그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가 손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광 손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광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 광 커넥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광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의 내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의 심선을 정렬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는 홀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가 배치되는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은, 상기 홀더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은, 상기 홀더의 부피보다 더 큰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가 복수 개의 관통공으로 삽입됨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상기 홀더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홀더의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홀더 내에 결합된 슬리브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의 심선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섬유의 심선을 정렬하는 구성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 내의 구성요소 간의 공차를 이용하여, 광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광섬유의 심선을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섬유의 심선을 정렬하는 구성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 내의 구성요소 간의 공차를 이용하여, 광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 어댑터에 광 커텍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에 광 커넥터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에 광 커넥터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어댑터(330)의 양단(즉, A 및 A' 방향)으로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가 각각 결합됨에 따라, 광 어댑터(330)에 의해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는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과의 결합구조에 따라 LC(Lucent Connector)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C(Subscriber Connector 또는 Square Connector), FC(Fiber transmission system Connector) 및 ST(Straight Tip)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배경기술에서 언급하였듯이, 종래의 광 어댑터(130)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슬리브(미도시) 및 고정부재(미도시) 등의 구성요소가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 내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은 초음파 등에 의해 융착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조립된 광 어댑터(130)로 외력을 가하여 제1 및 제2 광 커넥터(120, 125)를 삽입할 경우, 슬리브(미도시) 및 고정부재(미도시) 등은 제1 및 제2 하우징(132, 134) 내에 고정된 채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광 커넥터(120, 125)의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절하여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심선을 교정하고자 하여도 슬리브(미도시) 및 고정부재(미도시)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 광섬유(110, 115)의 심선이 정렬되지 않는 문제가 존재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330)는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의 심선을 정렬하는 구성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의 심선을 정렬하는 구성은 기 설정된 범위의 공차를 갖고 광 어댑터(330)의 내부 구성요소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력 등에 의해 광 어댑터(330) 내로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가 삽입됨에 따라, 슬리브(미도시)가 기 설정된 범위의 공차만큼 조절됨으로써, 제1 광섬유 페룰(320)과 제2 광섬유 페룰(325) 간의 심선이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330)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광섬유 간의 심선을 올바르게 정렬함으로써 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광 어댑터(3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광 어댑터(330)는 하우징(510), 오목부(520), 제1 홈부(530), 제2 홈부(535), 결합부(540), 단차(550) 및 관통공(710)을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내부에 기 설정된 형상의 홈(530, 535)을 구비함으로써,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의 심선을 정렬하는 구성요소(즉,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할 슬리브(1100))가 배치되도록 한다. 하우징(510)의 일측(A 방향) 및 타측(A' 방향)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가 삽입되도록 한다. 하우징(5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오목부(520)는 하우징(510)의 일단(A 방향)의 외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만큼 패인 부분에 해당하며, 오목부(520)로 오목부(5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어댑터 클립(미도시)이 결합된다. 어댑터 클립(미도시)이 오목부(520)와 결합됨으로써, 광 어댑터(330)는 패널 또는 카세트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홈부(530, 535)는 기 설정된 형상으로 구현되며, 제1 및 제2 홈부(530, 535)로 후술할 홀더(미도시)가 안착된다. 여기서, 홀더(미도시)는 슬리브(미도시)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홀더(미도시) 내 구비된 관통공으로 슬리브(미도시)가 삽입된다. 제1 및 제2 홈부(530, 535)는 홀더(미도시)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홈부(530, 530)는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H'자 형태의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홀더(미도시)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홈부(530, 535)의 부피는 홀더(미도시)의 부피보다 더 큰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홈부(530, 535)와 홀더(미도시) 사이에는 기 설정된 범위를 갖는 공차가 발생한다.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가 외력 등에 의해 광 어댑터(330)의 양단(A, A' 방향)으로 삽입될 경우, 홀더(미도시)의 위치는 기 설정된 범위를 갖는 공차만큼 조절될 수 있으며, 홀더(미도시) 내에 삽입된 슬리브(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의 심선이 올바르게 정렬된다.
결합부(540)는 제1 및 제2 홈부(530, 535) 내에 형성된 구성으로써, 후술할 커버(미도시)의 구성요소가 결합된다. 커버(미도시)가 결합부(540)에 결합됨에 따라, 제1 및 제2 홈부(530, 535)는 밀폐된다. 커버(미도시)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차(550)는 결합부(540)에 결합된 커버(미도시)가 더 이상 제1 및 제2 홈부(530, 535) 내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커버(미도시)의 이동을 제한한다.
관통공(710)은 광 어댑터(330)의 일단 및 타단(A 및 A' 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가 관통공(710)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 내에 결합된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은 상호 연결된다. 관통공(710)은 제1 및 제2 광 커넥터(310, 315)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광 어댑터(330)에 형성된 관통공(710)의 갯수를 네 개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 통신 방식에 따라 광 어댑터(330)의 일단 및 타단(A 및 A'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공(710)의 갯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800)는 돌출부(810) 및 오목부(820)를 포함한다.
돌출부(810)는 커버(8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기 설정된 형태의 돌기로서, 결합부(54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돌출부(810)는 '철(凸)'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돌출부(810)에 의해 커버(800)는 결합부(540)에 결합된다.
오목부(820)는 커버(800)의 외측에 기 설정된 깊이만큼 패인 형태로 구성된다. 커버(800)가 결합부(540)와 결합됨에 따라, 오목부(820)로 어댑터 클립(미도시)이 결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분해도이다.
홀더(900)는 슬리브(미도시)를 고정함으로써, 슬리브(미도시)가 하우징(510) 내로 삽입되는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의 심선을 정렬시키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홀더(900)는 후술할 한 쌍의 슬리브(미도시)를 고정한다. 전술한 대로, 홀더(900)는 제1 및 제2 홈부(530, 5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제1 및 제2 홈부(530, 535)에 안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더(900)는 제1 및 제2 홈부(530, 535)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의 공차를 두고, 제1 및 제2 홈부(530, 535)에 안착된다.
홀더(900)는 제1 몸체(910), 제1 돌기(920), 제2 몸체(930), 제2 돌기(940), 제1 돌출부(1010), 제2 돌출부(1020), 제1 측부(1030), 제2 측부(1040), 제3 돌출부(1050), 제4 돌출부(1060), 제3 측부(1070) 및 제4 측부(1080)를 포함한다.
제1 몸체(910)는 제2 몸체(930)와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제2 몸체(930)와 결합된다. 제1 몸체(910)와 제2 몸체(930)가 결합됨으로써 홀더(900)는 기 설정된 형태를 갖는다.
제1 돌기(920)는 제1 몸체(910)의 외측면에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내부에 중공(925)을 구비한다. 제1 돌기(920)가 중공(925)을 구비함에 따라 제1 돌기(920) 내로 슬리브(미도시)가 삽입된다.
제2 몸체(930)는 제2 몸체(910)와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제1 몸체(910)와 결합된다.
제2 돌기(940)는 제2 몸체(930)의 외측면에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된 구성으로서, 내부에 중공(945)을 구비한다. 제2 돌기(940)가 중공(945)을 구비함에 따라 제2 돌기(940) 내로 슬리브(미도시)가 삽입된다.
제1 돌출부(1010)는 제1 몸체(9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제1 돌출부(1010)로 제1 돌출부(10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몸체(930)의 구성요소(즉, 제4 측부(1080))가 결합된다.
제2 돌출부(1020)는 제1 몸체(9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제2 돌출부(1020)로 제2 돌출부(10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몸체(930)의 구성요소(즉, 제3 측부(1070)) 가 결합된다.
제1 측부(1030)는 제1 몸체(9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제1 측부(1030)로 제 1 측부(10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몸체(930)의 구성요소(즉, 제4 돌출부(1060))가 결합된다.
제2 측부(1040)는 제1 몸체(910)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제2 측부(1040)로 제2 측부(10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몸체(930)의 구성요소(즉, 제3 돌출부(1050))가 결합된다.
제3 및 제4 돌출부(1050, 1060)는 각각 제2 몸체(93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3 돌출부(1050)는 제2 측부(1040)와 결합되고, 제4 돌출부(1060)는 제1 측부(1030)와 결합된다.
제3 및 제4 측부(1070, 1080)는 각각 제2 몸체(93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형성된다. 제3 측부(1070)는 제2 돌출부(1020)와 결합되고, 제4 측부(1080)는 제1 돌출부(1010)와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리브(1100)는 홀더(900) 내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의 심선을 가이드하고 정렬한다.
슬리브(1100)는 하우징(1110) 및 중공(1115)을 포함한다.
하우징(1110)은 기 설정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공(1115)을 구비한다. 하우징(1110)이 중공(1115)을 구비함에 따라, 광 어댑터(330)의 일단 및 타단(A, A' 방향)으로 각각 삽입된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320, 325)은 상호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광섬유
115: 제2 광섬유
120, 310: 제1 광 커넥터
125, 315: 제2 광 커넥터
130, 330: 광 어댑터
132: 제1 하우징
134: 제2 하우징
320: 제1 광섬유 페룰
325: 제2 광섬유 페룰
510: 하우징
520, 820: 오목부
530: 제1 홈부
535: 제2 홈부
540: 결합부
550: 단차
710: 관통공
800: 커버
810: 돌출부
900: 홀더
910: 제1 몸체
920: 제1 돌기
925: 중공
930: 제2 몸체
940: 제2 돌기
945: 중공
1010, 1020, 1050, 1060: 제1 내지 제4 돌출부
1030, 1040, 1070, 1080: 제1 내지 제4 측부
1100: 슬리브
1110: 하우징
1115: 중공

Claims (5)

  1. 제1 및 제2 광 커넥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광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의 내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의 심선을 정렬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는 홀더;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가 배치되는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은,
    상기 홀더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형태의 홈은,
    상기 홀더의 부피보다 더 큰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 커넥터가 복수 개의 관통공으로 삽입됨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상기 홀더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홀더 내에 결합된 슬리브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 페룰의 심선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어댑터.
KR1020190126416A 2019-10-11 2019-10-11 광 어댑터 KR20210043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416A KR20210043350A (ko) 2019-10-11 2019-10-11 광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416A KR20210043350A (ko) 2019-10-11 2019-10-11 광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50A true KR20210043350A (ko) 2021-04-21

Family

ID=7574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416A KR20210043350A (ko) 2019-10-11 2019-10-11 광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9293A1 (en) Multi-fiber ferrule-less duplex fiber optic connectors with multi-fiber alignment devices
US4953929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adapter for use therewith
JP4524277B2 (ja) 耐久化された光ファイバコネクタ組立体
US4515434A (en) Fiber optic connector
US6736547B2 (en) Expanded-beam, butt-coupled optical connector
US6149313A (en) Gender selectable fiber optic connector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US20200018905A1 (en) Fiber optic adapter
US20230168435A1 (en) Ferrule-less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multiple optical fibers
US11327229B2 (en) Elastomeric optical fiber alignment and coupling device
US5727101A (en) Monolithic ferrule for receiving and positioning multiple optical fibers and an optical fiber connector incorporating same
US62346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US10025038B2 (en)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CN105676372A (zh) 一种光纤连接头的转接连接器
KR20210043350A (ko) 광 어댑터
JPH1068842A (ja) 光コネクタ
KR100259267B1 (ko) 광화이버 접속자
US11092758B2 (en) Mechanical transfer ferrul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20220099899A1 (en) Fiber optic adapter with integrally molded structures
WO2022081542A1 (en) Fiber positioning arrangement for optical fibers
KR200157680Y1 (ko) 초다심 광케이블용 광화이버 접속자 결속체
JP2014021198A (ja) 中継アダプタおよび光ケーブル
KR19990061184A (ko) 광접속용 초다심 광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