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296A - Temperature sensing module - Google Patents

Temperature sens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296A
KR20210043296A KR1020190126299A KR20190126299A KR20210043296A KR 20210043296 A KR20210043296 A KR 20210043296A KR 1020190126299 A KR1020190126299 A KR 1020190126299A KR 20190126299 A KR20190126299 A KR 20190126299A KR 20210043296 A KR20210043296 A KR 20210043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
filter
casing
temperature sensing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6960B1 (en
Inventor
강승재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2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960B1/en
Publication of KR2021004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75Windows; 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which can accurately measure a temperature of a container for heating and cooking, thereby providing optimal cooking conditions so that taste and texture of food can be excellent, and the cooking device can have a beautiful appearance. The cooking device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 casing portion having a window portion on at least one side; a module unit embedded in the casing portion and receiving an external optical signal through a window unit; and a filter unit disposed on the window unit.

Description

온도 센싱 모듈{TEMPERATURE SENSING MODULE}Temperature sensing module {TEMPERATURE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온도 센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가 안정적으로 구비되어 가열 조리용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으로서, 최적의 조리 조건을 제공하여 조리물의 맛 및 식감이 우수해지도록 할 수 있는 온도 센싱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filter unit is stably provided to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heated cooking container,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cooking condition to provide excellent taste and texture of food. It relates to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that can be adjusted.

가열 조리용 용기 상에 담겨진 음식물 재료를 가열 조리하는 조리 기기로서, 전기를 이용한 전기 레인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레인지는 소위 쿡탑(COOK TOP)이라 불리며 실제 불꽃이 없이도 조리를 행할 수 있어서 안전 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달성하는 장점이 있다.As a cooking appliance for heating and cooking food materials contained in a container for heating cooking, an electric range using electricity is used. Such an electric range is called a so-called COOK TOP, and it is excellent in terms of safety because it can be cooked without an actual flam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achieving a simple and beautiful appearance.

이러한 전기레인지를 사용하여 조리를 할 때, 정해진 레시피를 정확히 재현하는 것은 음식물의 맛과 식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전기 레인지는 화력을 제어함으로서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데, 단순히 화력의 세기만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정확한 온도가 표시되지 아니하여 온도 설정이 어렵다. 또한, 온도가 표시되는 경우에도, 전기 레인지에서 제공되는 온도와 가열 조리용 용기의 온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서 음식물의 맛과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When cooking using such an electric range, accurately reproducing a prescribed recip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terms of taste and texture of food. The electric range can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heating power. When only the intensity of the heating power is displayed, it is difficult to set the temperature because the correct temperature is not displayed. In addi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provided by the electric rang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do not exactly match, so that the taste and texture of the food are deteriorated.

따라서, 가열 조리용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며, 전기레인지의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리 장치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oking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heated cooking container and maintaining the aesthetics of an electric range.

아울러, 가열 조리용 용기의 온도 측정에 사용되는 온도 센싱 장치의 경우,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에 의해서 쉽게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세척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척 과정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 센싱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mperature sensing device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heated cooking container, since it may be easily contaminated by food during the cooking process, cleaning is requir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temperature sens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failures from occurring during the cleaning process.

공개특허 제10-2018-0025727호Publication Patent No. 10-2018-002572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조리용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싱 모듈을 가짐으로서, 최적의 조리 조건을 제공하여 조리물의 맛 및 식감이 우수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미려한 미관을 갖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heated cooking container, thereby providing an optimum cooking condition to provide the taste and texture of foo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oking device that can be made to be excellent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를 구비하되 필터의 오염이 방지되며, 세척 시 필터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온도 센싱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having a filter, but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filter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filter during wash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은, 가열 조리 모듈 상의 일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열 조리 모듈 상의 조리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싱 모듈은, 적어도 일 측에 윈도우부를 갖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윈도우부를 통해 외부의 광학적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부, 및 상기 윈도우부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외부의 광학적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본체, 및 상기 필터 본체를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시키는 필터 데코를 포함한다.I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a position on the heating cooking module to sense a temperature of a cooking container on the heating cooking module,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includes at least A casing part having a window part on one side, a module part built into the casing part and receiving an external optical signal through the window part, and a filter part disposed in the window part, wherein the filter part includes an external optical signal It includes a filter body for filtering the filter, and a filter decor for fixing the filter body to the casing.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윈도우부는, 광학적으로 오픈된 오픈부, 상기 오픈부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 본체가 내삽되는 필터 본체 내삽 홈, 및 상기 필터 본체 내삽 홈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 데코의 적어도 일 부분이 내삽되는 데코 바디 내삽 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ndow portion is formed around an optically open opening, a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formed around the open portion and into which the filter body is inserted, and a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around the filter body, at least of the filter decor. It includes a deco body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ortion is inserted.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데코는, 상기 필터 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으며 상기 데코 바디 내삽 홈 내에 내삽되는 데코 바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decor includes a decor body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코 바디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 본체의 전면이 접착되는 접착면이 구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dhesive surface to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body is adhere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 body.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데코는, 상기 데코 바디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데코 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데코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데코 레그가 삽입되는 레그 고정 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decor includes a decor leg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and extends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window unit includes a leg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decor leg is inserted. Includes.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코 바디와 데코 레그는, 판상의 일 금속 플레이트가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cor body and the decor leg are formed by partially bending a plate-shaped metal plat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코 레그는, 데코 바디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데코 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레그 바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바는, 판상의 일 금속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구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cor leg includes a leg bar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and extends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eg bar i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sisting of a plate-shaped metal plate bent. Has.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코 레그는, 상기 레그 바의 일 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푸트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고정 홈 내에는, 상기 고정 푸트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 돌부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cor leg includes a fixing foot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leg bar and protru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in the leg fixing groove, a locking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fixing foot can be engaged It is equipped.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윈도우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부가 탑재되는 케이싱 베이스, 및 상기 케이싱 베이스 상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부를 덮는 케이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필터 데코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sing portion includes a casing base on which the window portion is provided and the module portion is mounted, and a casing cover coupled to the casing base to cover the module portion, an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asing cover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decor.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 베이스는 상기 윈도우부 상부에 상기 윈도우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상기 윈도우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커버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버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커버와 상기 케이싱 베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 돌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커버 돌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 데코의 상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전방에서 커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sing base includes a loop protruding forward from the window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portion, and the loop includes a through hole positioned in front of the window portion and penetrating vertically, and the casing The cover includes a cov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nd when the casing cover and the casing base are coupled, the cover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to the filter.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ortion of the decor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은, 가열 조리용 용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조리 조건을 제공하여 조리물의 맛 및 식감이 우수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heated cooking container. Therefore, by providing an optimal cooking condition, the taste and texture of the food may be excellent.

또한, 심플한 원반 형태의 온도 센싱 모듈이 평판 형태의 탑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며,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는 정렬부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탑 플레이트 상에 안착되고 정확하게 화구를 향해 배향되어 온도 측정을 수행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는 조리 장치를 달성하며 사용자의 감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mple disk-shaped temperature sensing module is mounted on the flat-shaped top plate, and is stably seated on the top plate by an invisible alignment part and accurately oriented toward the crater to perform temperature measurement, so it has a beautiful appearance. A cooking device having a can be achieved and the user's sensi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은, 필터부를 구비함으로서, 센서부에 입사하는 광이 적절하게 필터링되어, 온도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sensor unit is appropriately filtered, so that temperature measurement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또한, 필터 본체는 필터 고정 데코에 의해서 케이싱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온도 센싱 모듈은, 조리중 음식물에 의해서 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고정 데코가 구비됨으로서, 필터 본체를 안전하게 케이싱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온도 센싱 모듈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body may be stably fixed to the casing portion by the filter fixing decor.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is highly likely to be contaminated by food during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lter fixing decor is provided, the filter body can be safely fixed to the casing, and thus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Failure to occur can be preven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을 갖는 조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을 갖는 조리 장치의 가열 조리 모듈 상에 가열 조리용 용기, 및 온도 센싱 모듈이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도 2 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을 갖는 조리 장치에 포함되는 가열 조리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온도 센싱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을 갖는 조리 장치에 포함되는 가열 조리 모듈 내에 내장되는 리더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을 갖는 조리 장치의 가열 조리 모듈 상에 가열 조리용 용기, 및 온도 센싱 모듈이 놓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을 갖는 조리 장치의 온도 센싱 모듈의 배향 및 그에 의한 온도 센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의 케이싱부의 케이싱 베이스의 전방부(윈도우부가 구비되는 부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 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케이싱 베이스와 케이싱 커버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의 필터 고정 데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와 케이싱부의 결합 구조를 단면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for heating cooking and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re placed on a heating cooking module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It is a drawing.
4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eating cooking included i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ader module built into a heating cooking module included in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heating cooking and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placed on a heating cooking module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ientation of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mperature sensing by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10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front portion (a portion provided with a window portion) of a casing base of a casing portion of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s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asing base and a casing cover.
13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filter fixing decor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lter unit and a ca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30)을 갖는 조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가열 조리 모듈(10) 상에 가열 조리용 용기(20), 및 온도 센싱 모듈(30)이 놓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도 2 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ting cooking module 10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20 for heating cooking and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re placed,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30)을 갖는 조리 장치는, 가열 조리 모듈(10), 온도 센싱 모듈(30)을 포함한다. 아울러, 가열 조리 모듈(10)에 사용되는 가열 조리용 용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oking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cooking module 10 and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used i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가열 조리 모듈(10)은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는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가열 장치는 예컨대 인덕션 장치일 수 있으며,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includes a heating device capable of heating and cooking food. The hea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induction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가열 조리 모듈(10)의 상면에는 소정의 면적의 탑 플레이트(12)가 구비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구(F)가 구비된다. 상기 화구(F) 상에 가열 조리용 용기(20)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화구(F) 상에 놓여진 가열 조리용 용기(20)는 가열 조리용 모듈 내의 가열 장치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A top plate 12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At least one crater F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12. A container 20 for heating cooking may be placed on the crater 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placed on the cooking zone F may be heated by a heating device in the heating cooking module.

도 1 내지 3 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후술하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조리 모듈(10)에는 각종 제어 모듈, 및 통신 모듈 등이 구비되는 전장부(14)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 모듈(10) 내에는 후술하는 리더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3, as shown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may include an electric device 14 including various control modules and communication modules. In addition, a reader module 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i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되는 가열 조리용 용기(20)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heated cooking container 20 included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열 조리용 용기(20)는 음식물 재료가 투입되어 조리될 수 있는 용기이다.The container for heating cooking 20 is a container in which food materials can be added and cooked.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도장부(22)가 구비된다. 도장부(22)는 후술하는 온도 센싱 모듈(30)이 센싱할 수 있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가열 조리 모듈(10)에 의해서 가열 조리용 용기(20)가 가열되면 도장부(22)는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에 따라서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며, 온도 센싱 모듈(30)은 도장부(22)에서 생성된 상기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is provided with a painting part 22. The painting part 22 is a part capable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signal that can b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is heated by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the painting part 22 generates a predetermined signa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and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lver painting part 22 may be sensed.

여기서, 신호라 함은, 예컨대 온도에 따라서 가변하는 가시광선, 적외선 등의 광학적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장부(22)는,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에 따라서, 색변화, 광 파장 변화, 광량 변화 등의 광학적 변화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signal may be an optical signal such as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that varies according to temperature. For example, the painting part 22 may generate a signal by optical changes such as color change, light wavelength change, and light quantity chang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도장부(22)는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외측 둘레면의 하부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장부(22)가 구비되는 부분은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하판부의 외측 둘레면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도장부(22)는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외측 둘레면의 하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 또는 전체에 걸쳐서 코팅된 소정의 코팅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코팅 외에, 소정의 재질로 구성된 부품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ainting part 22 may be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For example, the part where the painting part 22 is provided may be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For example, the painting part 22 may be a predetermined coating coated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or the entire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the coating, parts made of a predetermined material may be combined.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 조리 모듈(10)은 인덕션 가열 장치이며, 가열 조리용 용기(20)는 인덕션 가열 장치에 의해서 발열하는 발열 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하판부는 상기 인덕션 가열 장치에 의해서 발열하는 발열부로 구성되며, 상기 도장부(22)는 상기 발열부의 외측 둘레면부에 코팅되는 소정의 코팅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may be a heating container that generates heat by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In addition, the lower plate portion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includes a heating portion that generates heat by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the painting portion 22 may be a predetermined coating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portion.

상기 도장부(22)가 상기 발열부의 외측 둘레면부에 구비됨으로서,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Since the painting part 2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ing part, accurate temperature measurement may be possible.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되는 온도 센싱 모듈(3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온도 센싱 모듈(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ncluded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이하에서는 온도 센싱 모듈(3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will be described.

온도 센싱 모듈(30)은, 가열 조리 모듈(10)과 별개로(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장치이며, 가열 조리 모듈(10)의 탑 플레이트(12) 상에 놓여져서, 특정한 화구 상에 놓여진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장치이다.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separately (independently) from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and is placed on the top plate 12 of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and heated cooking placed on a specific cooking zone. It is a device capable of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0 for use.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30)은, 케이싱부(100), 모듈부(200), 필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asing part 100, a module part 200, and a filter part 300.

케이싱부(100)는, 케이싱 베이스(110), 케이싱 커버(120), 커버 데코(130), 케이싱 패킹(140)을 포함한다. 아울러 케이싱부(100)는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 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sing unit 100 includes a casing base 110, a casing cover 120, a cover deco 130, and a casing packing 140. In addition, the cas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ans 150 used for coupling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케이싱 베이스(110)는 케이싱부(100)의 하부분을 구성한다. 케이싱 베이스(110)는 바닥면과 측면을 가질 수 있다. The casing base 110 constitutes a lower part of the casing part 100. The casing base 110 may have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케이싱 베이스(110)에는 탑재 공간이 구비된다. 탑재 공간 내에는 후술하는 모듈부(200)를 구성하는 센서부(210), 기판부(220), 및 제1 정렬부(230)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베이스(110)는 상기 센서부(210), 기판부(220), 및 제1 정렬부(230)를 상기 탑재 공간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asing base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The sensor unit 210, the substrate unit 220, and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constituting the module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In addition, the casing base 110 may include a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sensor unit 210, the substrate unit 220, and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in the mounting space.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 베이스(11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베이스(110)에 구비되는 고정용 구조물 및 윈도우부(160)가 성형 가공을 통해 쉽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sing base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herefore, the fixing structure and the window unit 160 provided on the casing base 110 can be easily provided through molding processing.

케이싱 커버(120)는 케이싱부(100)의 상부분을 구성하며, 케이싱 베이스(110)를 덮는다. 따라서, 케이싱 커버(120)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탑재 공간을 덮어서 밀폐시킨다. 케이싱 커버(120)의 하면에도 상기 센서부(210), 기판부(220), 및 제1 정렬부(230)를 상기 탑재 공간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The casing cover 120 constitutes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portion 100 and covers the casing base 110. Accordingly, the casing cover 120 covers and seals the mounting space of the casing base 110. A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sensor unit 210, the substrate unit 220, and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in the mounting space may also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ing cover 120.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 커버(12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커버(120)에 구비되는 고정용 구조물이 성형 가공을 통해 쉽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sing cover 12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herefore, the fix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casing cover 120 can be easily provided through molding processing.

커버 데코(130)는 케이싱 커버(120)에 고정되며, 케이싱 커버(120)의 외면을 덮는다. 커버 데코(130)는 케이싱 커버(120)에 끼워지거나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 데코(130)는 케이싱 커버(120)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The cover decor 130 is fixed to the casing cover 120 and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cover 120. The cover decor 130 may be fitted or bonded to the casing cover 120 to be fixed. The cover decor 130 may cover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casing cover 120.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데코(130)는 예컨대 스테인리스와 같이 내구성,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ver decor 1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stainless stee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는 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쉽게 가공되며 고정용 구조물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ar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are easily processed, and a structure for fixing can be easily provided.

또한, 커버 데코(130)는 내구성, 내열성,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온도 센싱 모듈(30)을 외부의 충격 및 열에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조리 과정에서 가열 조리용 용기(20)에서 고온의 기름, 수분 등이 튀어 온도 센싱 모듈(30) 상에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커버 데코(130)가 스테인리스와 같이 내구성,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됨으로서 온도 센싱 모듈(30)의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decor 1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so that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and heat. In particular, during the cooking process, there may be a case where high temperature oil, moisture, etc., splashes from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and falls onto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nd the cover decor 130 has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Since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따라서, 실시예에 의한 케이싱부(100)는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 케이싱 베이스(110) 및 케이싱 커버(120)와, 내구성,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 커버 데코(130)가 결합되어, 우수한 가공성, 내구성, 내열성, 내식성을 모두 보유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as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casing base 110 and a casing cover 120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a cover deco 130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can all be retained.

케이싱 패킹(140)은 링 형태의 패킹이다. 케이싱 패킹(140)은,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 사이에,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가 서로 맞닿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 패킹(14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 패킹(140)은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 패킹(140)은,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탑재 공간 내부로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Casing packing 140 is a ring-shaped packing. The casing packing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at a position where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abut each other. The casing packing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The casing packing 1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Accordingly, the casing packing 140 prevents moisture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mounting spac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결합 수단(150)은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 사이를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결합 수단(150)은 예컨대 고정용 나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coupling means 150 is a means capable of coupling and fixing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The coupling means 150 may be, for example, a fixing scre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케이싱 베이스(110)의 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측 방향으로 오픈된 부분을 갖는 윈도우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윈도우부(160)를 통해서 상기 탑재 공간 내에 탑재된 센서부(210)가 광학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외부의 광이 상기 윈도우부(160)를 통과하여 센서부(210)에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부(160)에 필터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sing base 110 is provided with a window unit 160 having a portion open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ensor unit 210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may be optically exposed through the window unit 160. That is, external light may pass through the window unit 160 and enter the sensor unit 210.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window unit 160.

윈도우부(16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indow unit 160 will be described later.

모듈부(200)는, 케이싱부(100) 내에 내장되며, 실질적으로 외부 신호의 센싱 및 전달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모듈부(200)는, 센서부(210), 기판부(220), 및 제1 정렬부(arrangement part)(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unit 200 is embedded in the casing unit 100 and is a device that substantially senses and transmits an external signal. The module part 200 may include a sensor part 210, a substrate part 220, and a first alignment part 230.

센서부(210)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탑재 공간 내에 탑재된다. 센서부(210)는 센서 본체(212), 센서 기판(214), 및 센서 홀더(2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1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of the casing base 110.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sensor body 212, a sensor substrate 214, and a sensor holder 216.

센서 본체(212)는 외부의 광학적 신호를 수광하여 센싱하는 일체의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본체(212)는 예컨대 IR 센서 장치일 수 있다. 센서 본체(212)는 상기 케이싱 베이스(110)의 윈도우부(160)를 통해 입사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센서 본체(212)는 수광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 렌즈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윈도우부(160)의 후방(내측)에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부(160)에는 필터부(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센서부(210)에 입사되는 광은 필터부(300)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 센서부(210)에 입사하게 된다.The sensor body 212 may include an integrated sensor device that receives and senses an external optical signal. The sensor body 212 may be, for example, an IR sensor device. The sensor body 212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apable of receiving light incident through the window unit 160 of the casing base 110. That is, the sensor body 212 includes a light-receiving lens, and the light-receiving lens is located behind (inside) the window portion 160 of the casing base 1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in the window unit 160, the light incident on the sensor unit 210 is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00 and then incident on the sensor unit 210. do.

센서 기판(214)은 센서 본체(212)가 탑재되어 연결되는 소정의 기판일 수 있다. 센서 기판(214)은 후술하는 기판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nsor substrate 214 may be a predetermined substrate on which the sensor body 212 is mounted and connected. The sensor substrate 214 may be connected to a substrate portion 220 to be described later.

센서 홀더(216)는 센서 본체(212) 및 센서 기판(214)을 고정시키며, 케이싱부(100)에 고정된다. 센서 홀더(216)는 센서 본체(212) 및 센서 기판(214)을 탑재하여, 센서 본체(212) 및 센서 기판(214) 를 케이싱부(100)에 고정시키는 소정의 고정용 구조물일 수 있다. The sensor holder 216 fixes the sensor body 212 and the sensor substrate 214 and is fixed to the casing part 100. The sensor holder 216 may be a predetermined fixing structure that mounts the sensor body 212 and the sensor board 214 to fix the sensor body 212 and the sensor board 214 to the casing part 100.

기판부(220)는 제1 기판(222), 제2 기판(224), 및 기판 홀더(2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unit 220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222, a second substrate 224, and a substrate holder 226.

제1 기판(222)은 MAIN PWB 일 수 있다. 제1 기판(222)은 센서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222)은 센서부(210)에서 수신한 광학적 신호를 처리하여 각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기판(222)은 후술하는 제2 기판(224)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222 may be a MAIN PWB. The first substrate 222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210. The first substrate 222 may generate various signals by processing the optical signals received by the sensor unit 210. The first substrate 22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second substrate 224 to be described later.

제2 기판(224)은 NFC PWB 일 수 있다. 제2 기판(224)은 제1 기판(222)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외부(에컨대, 전장부(14), 또는 외부의 통신 장치 등)로 전달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판(224)은 상기 제1 기판(222)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ubstrate 224 may be an NFC PWB. The second substrate 224 may process a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substrate 222 to generate a signal tha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eg, the electronic part 14 or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etc.). The second substrate 22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222.

기판 홀더(226)는 제1 기판(222)과 제2 기판(224)을 고정시키는 소정의 구조물이다. 기판 홀더(226)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 홀더(226)의 상면 상에 제1 기판(222)이 결합되고, 기판 홀더(226)의 하면에 제2 기판(224)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판 홀더(226)의 전방부에 센서 홀더(216)가 고정될 수 있다.The substrate holder 226 is a predetermined structure for fixing the first substrate 222 and the second substrate 224. The substrate holder 226 may be configured as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substrate 22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older 226, and the second substrate 22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holder 226. In addition, the sensor holder 216 may be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226.

제1 정렬부(230)는 온도 센싱 모듈(30)을 가열 조리 모듈(10) 상에 부착시키고, 위치 정렬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The first alignment unit 230 is a means for attaching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to the heating and cooking module 10 and aligning the position.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정렬부(230)는 자성을 갖거나, 또는 자성에 의해서 반응하는 마그넷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그넷 부재라 함은 자체적으로 자성을 갖는 일반적인 자석과 같은 부재이거나, 또는 외부 자성에 의해서 반응하여 자력 결합될 수 있는 재질(예컨대 철)로 구성된 부재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may have magnetism or may include a magnet member that reacts with magnetism. That is, the magnet member may be a member such as a general magnet having magnetic properties or may be a member made of a material (eg, iron) capable of being magnetically coupl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magnetism.

상기 마그넷 부재는, 케이싱부(100) 내의 일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부재는, 제1-1 마그넷 부재(232)와 제1-2 마그넷 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그넷 부재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아울러, 제1-1 마그넷 부재(232)와 제1-2 마그넷 부재(234)는 케이싱 베이스(110) 상의 일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1 마그넷 부재(232)와 제1-2 마그넷 부재(234)는 소정의 크기의 제1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The magnet member may be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in the casing part 100. The magnet member may include a 1-1 magnet member 232 and a 1-2 magnet member 234. That i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In addition, the 1-1 magnet member 232 and the 1-2 magnet member 234 may be fixed and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casing base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first magnet member 232 and the first-second magnet member 234 may have a first separation distance of a predetermined size.

가열 조리 모듈(10) 상에 상기 온도 센싱 모듈(30)이 놓여졌을 때, 상기 마그넷 부재의 자력에 의해서 온도 센싱 모듈(30)이 가열 조리 모듈(10) 상에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그넷 부재가 복수 개이며, 선택적으로 자력 결합됨으로서 온도 센싱 모듈(30)의 위치 또는 배향이 선택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placed o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emb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agnet members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position or orient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be selected.

필터부(300)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윈도우부(160)에 배치된다. 필터부(300)는 필터 본체(310) 및 필터 고정 데코(320)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300 is disposed on the window unit 160 of the casing base 110. 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lter body 310 and a filter fixing decor 320.

필터 본체(310)는 윈도우부(160)에 결합됨으로서, 외부에서 센서부(210)로 유입되는 광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한다. 필터 본체(310)는 상기 광을 적절히 필터링 한 후, 센서부(210)로 전달할 수 있는 부재이다. 필터 본체(310)는 예컨대 IR 필터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filter body 310 is coupled to the window unit 160 and is positioned on an optical path of light flowing into the sensor unit 210 from the outside. The filter body 310 is a member that can transmit the light to the sensor unit 210 after appropriately filtering the light. The filter body 310 may be, for example, an IR fil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필터 고정 데코(320)는 필터 본체(310)를 케이싱 베이스(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필터 고정 데코(32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er fixing decor 320 is a member for fixing the filter body 310 to the casing base 110. The filter fixing decor 3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필터부(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specific configuration and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에 포함되는 가열 조리 모듈(10) 내에 내장되는 리더 모듈(4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der module 400 built i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included in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리더 모듈(40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der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리더 모듈(400)은 가열 조리 모듈(10) 내에 탑재된다. 일 예에 의하면, 리더 모듈(400)은 가열 조리 모듈(10)의 상부분에 위치하며, 탑 플레이트(12)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리더 모듈(400)은 가열 조리 모듈(10)의 전방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ader module 400 is mounted i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According to an example, the reader module 40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heating and cooking module 10 and below the top plate 12. In addition, the reader module 400 may be located in a front position of the heating and cooking module 10.

리더 모듈(400)은 리더 기판(410), 리더 장착 홀더(420), 탄동부(430), 및 제2 정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der module 400 may include a reader board 410, a reader mounting holder 420, a bullet part 430, and a second alignment part 440.

리더 기판(410)은 온도 센싱 모듈(30)에서 제공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일체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리더 기판(410)은 신호를 수신 및, 또는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리더 기판(410)은 NFC 리더일 수 있다. 또한, 리더 기판(410)은 가열 조리 모듈(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장치에 대해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The reader board 410 may include an integrated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a wireless signal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The reader board 4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or transmitting a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 signal. For example, the reader substrate 410 may be an NFC reader. In addition, the reader substrate 410 may transmit a signal to a device provided outside the heating and cooking module 10.

리더 장착 홀더(420)는 리더 기판(410)을 탑재하여 가열 조리 모듈(10)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구조물로서, 소정의 패널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리더 장착 홀더(420)는 리더 기판(410)을 탑재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탑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리 모듈의 전장부(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고정 수단(4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is a fixing structure that mounts the reader substrate 410 and fixes it to a position of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and may be a member of a predetermined panel shape.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ounting means for mounting and fixing the reader substrate 410.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422 to be fixed to the electric unit 14 of the cooking module.

또한, 리더 장착 홀더(420)의 적어도 일 위치에는, 후술하는 제2 정렬부(440)의 마그넷 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홈(424)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424 for fixing the magnet member of 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to be described later.

탄동부(430)는 리더 장착 홀더(420)를 탑 플레이트(12) 아래에 밀착시키는 부재이다. 즉, 탄동부(430)에 의해서 리더 장착 홀더(420) 및 리더 장착 홀더(420)에 탑재된 리더 기판(410) 가 탑 플레이트(12) 아래에 밀착할 수 있다. 탄동부(430)는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탄동부(430)는 리더 장착 홀더(420)와 전장부(14)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같은 부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탄동부(430)는 리더 장착 홀더(420) 및 리더 기판(410) 를 상방향으로 밀어 탑 플레이트(12)에 밀착시키는 일체의 수단을 가질 수 있다.The bullet part 430 is a member that closely contacts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under the top plate 12. That is,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and the reader substrate 410 mounted on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by the bullet part 430 may be in close contact under the top plate 12. The bullet part 430 may be a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For example, the bullet part 430 may be a member such as a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leader mounting holder 420 and the electric device 1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llet part 430 may have an integrated means for pushing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and the reader substrate 410 upwar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plate 12.

탄동부(430)는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동부(430)는 리더 장착 홀더(420)의 적어도 2 개의 모서리 위치에 구비되어, 리더 장착 홀더(420)를 전체적으로 부분을 안정적으로 탑 플레이트(12)에 밀착시킬 수 있다.One or more bullet parts 430 may be provided. Preferably, the bullet part 430 is provided at at least two corner positions of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so that a portion of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as a whole may stably contact the top plate 12.

제2 정렬부(440)는 온도 센싱 모듈(30)을 리더 모듈(400) 상에 부착시키고,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is a means for attaching and fixing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on the reader module 400.

예컨대, 제2 정렬부(440)는 리더 장착 홀더(420)의 일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마그넷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넷 부재는, 제2-1 마그넷 부재(442)와 제2-2 마그넷 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그넷 부재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아울러, 제2-1 마그넷 부재(442)와 제2-2 마그넷 부재(444)는 리더 장착 홀더(420)의 일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1 마그넷 부재(442)와 제2-2 마그넷 부재(444)는 소정의 제2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may be a magnet member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The magnet member may include a 2-1 magnet member 442 and a 2-2 magnet member 444. That i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In addition, the 2-1 magnet member 442 and the 2-2 magnet member 444 may be fixed and disposed at one position of the reader mounting holder 42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2-1 magnet member 442 and the 2-2 magnet member 444 may have a second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리더 모듈(400) 상에 상기 온도 센싱 모듈(30)이 놓여지되, 상기 마그넷 부재의 자력에 의해서 온도 센싱 모듈(30)이 리더 모듈(400) 상에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그넷 부재가 복수 개이며, 선택적으로 자력 결합됨으로서 온도 센싱 모듈(30)의 위치 또는 배향이 선택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placed on the reader module 400, but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reader module 400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emb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agnet members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position or orient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be selected.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가열 조리 모듈(10) 상에 가열 조리용 용기(20), 및 온도 센싱 모듈(30)이 놓이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 장치의 온도 센싱 모듈(30)의 배향 및 그에 의한 온도 센싱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ontainer 20 for heating cooking and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re placed o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rient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emperature sensing by the orient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가열 조리 모듈(10)의 탑 플레이트(12)의 특정 화구 상에 가열 조리용 용기(20)가 안착된다. 아울러, 가열 조리 모듈(10)의 탑 플레이트(12) 상에 온도 센싱 모듈(30)이 안착된다.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is mounted on a specific cooking zone of the top plate 12 of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mounted on the top plate 12 of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한편, 이때,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12) 상에는 온도, 제어 신호 등이 표시되는 제어 신호 표시부(16)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 신호 표시부(16)는 상기 리더 모듈(4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 표시부(16)에서 표시되는 각종 신호와 온도 센싱 모듈(30)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으며, 미려한 미관이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a control signal display unit 16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a control signal, etc.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12, and the control signal display unit 16 is the reader module 400 It can be located on the top. Accordingly, various signals displayed on the control signal display unit 16 and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have a sense of unity, and a beautiful appearance may be achieved.

이때, 온도 센싱 모듈(30)은 리더 모듈(400) 상에 위치한다. 또한, 온도 센싱 모듈(30)은, 윈도우부(160) 및 필터부(300)가 구비된 부분이 화구 상에 위치한 가열 조리용 용기(20)를 향하도록 배향된 상태로 안착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located on the reader module 400.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s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window unit 160 and the filter unit 300 is oriented toward the heated cooking vessel 20 located on the cooking area.

이러한 온도 센싱 모듈(30)의 배향은, 온도 센싱 모듈(30)에 구비된 제1 정렬부(230)와 리더 모듈(400)에 구비된 제2 정렬부(440)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렬부(230)와 제2 정렬부(440) 사이의 자력 결합에 의해서 온도 센싱 모듈(30)이 특정한 화구 상에 놓인 가열 조리용 용기(20)를 정확하게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The orient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achiev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provided i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provided in the reader module 400. Can be.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by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remove the heated cooking vessel 20 placed on a specific cooking zone. It can be oriented to face exactly.

아울러,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정렬부(230)와 제2 정렬부(440)는 복수 개의 마그넷 부재를 포함하며, 마그넷 부재 사이의 자력 결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싱 모듈(30)은, 가열 조리 모듈(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화구 중 일부 화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해당 화구 상의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화구(FA, FB, FC)가 구비되며, 온도 센싱 모듈(30)은 어느 하나의 화구 상에 놓인 가열 조리용 용기(20) 방향으로 배향(P1, P2, P3)되어, 해당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and 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magnet members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be oriented in a direction toward some of the plurality of cooking zones provided i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and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on the cooking zone. ha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ree cooking zones (FA, FB, and FC) are provided, and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ted cooking vessel 20 placed on any one of the cooking zones (P1 , P2, P3),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가열 조리 모듈(10)이 작동하여 가열 조리용 용기(20)가 가열되면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도장부(22)가 광학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온도 센싱 모듈(30)은, 상기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도장부(22)에서 발생하는 광학적 신호를 포착하여,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operates and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is heated, the painting part 22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generates an optical signal.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by capturing an opt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ainting part 22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 조리 모듈(10)은 인덕션 가열 장치이며, 가열 조리용 용기(20)는 인덕션 가열 장치에 의해서 발열하는 발열 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하판부는 상기 인덕션 가열 장치에 의해서 발열하는 발열부로 구성되며, 상기 도장부(22)는 상기 발열부의 외측 둘레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장부(22)는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발열부에 구비됨으로서,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정확한 온도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싱 모듈(30)은 상기 도장부(22)에서 발생하는 광학적 신호를 포착하여 온도를 측정함으로서,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 센싱 모듈(30)의 센서부(210)는 상기 도장부(22)와 거의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하여 직선 거리로 온도를 측정하므로, 더욱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heating cooking module 10 may be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may be a heating container that generates heat by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In addition, the lower plate portion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includes a heating portion that generates heat by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the painting portion 22 may be locat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heating portion. Accordingly, the painting part 22 is provided on the heating part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and thus the correct temperature of the heating cooking container 20 can be reflecte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measures the temperature by capturing the opt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ainting part 22, so that accurate temperature measurement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sensor unit 210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s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painting unit 22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at a linear distance, more accurate temperature measurement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장치는, 가열 조리용 용기(20)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조리 조건을 제공하여 조리물의 맛 및 식감이 우수할 수 있다.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20. Therefore, by providing an optimal cooking condition, the taste and texture of the food may be excellent.

또한, 심플한 원반 형태의 온도 센싱 모듈(30)이 평판 형태의 탑 플레이트(12) 상에 안착되며,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는 제1 정렬부(230) 및 제2 정렬부(44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탑 플레이트(12) 상에 안착되고 정확하게 화구를 향해 배향되어 온도 측정을 수행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는 조리 장치를 달성하며 사용자의 감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n the form of a simple disk is mounted on the top plate 12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is stably topped by the first alignment unit 230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440 that are not visible. Since it is seated on the plate 12 and accurately oriented toward the cooking zone to perform temperature measurement,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beautiful appearance can be achieved and the user's sensibility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30)의 케이싱부(100)의 윈도우부(16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indow unit 160 of the casing unit 100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0 은 케이싱부(100)의 케이싱 베이스(110)의 전방부(윈도우부(160)가 구비되는 부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은 케이싱 베이스(11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 는 케이싱 베이스(110)와 케이싱 커버(120)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asing base 110 of the casing portion 100 (a portion in which the window portion 160 is provided),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sing base 110 1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asing base 110 and the casing cover 120.

윈도우부(160)는 오픈부(161),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레그 고정 홈(164), 루프(167), 관통공(1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indow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n portion 161, a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a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a leg fixing groove 164, a roof 167, and a through hole 168. .

오픈부(161)는 케이싱 베이스(110)에 형성되며, 케이싱 베이스(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오픈되는 부분이다. 오픈부(161) 후방에 센서부(210)의 센서 본체(212)가 위치할 수 있다. The open part 161 is formed in the casing base 110 and is a part that penetrate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asing base 110 and opens. The sensor body 212 of the sensor part 210 may be located behind the open part 161.

필터 본체 내삽 홈(162)은 케이싱 베이스(110)에 형성되며, 오픈부(161)의 주변에 형성된다. 필터 본체 내삽 홈(162)은 소정의 형상과 깊이를 갖고 후방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본체 내삽 홈(162)은 사각형의 홈으로 구성된다.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내에 상기 오픈부(161)가 위치한다.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is formed in the casing base 110 and is formed around the open portion 161.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is composed of a groove that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depth and is depressed rearw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groove. The opening portion 161 is located in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데코 바디 내삽 홈(163)은 케이싱 베이스(110)에 형성되며, 필터 본체 내삽 홈(162) 주변에 형성된다. 데코 바디 내삽 홈(163)은 소정의 형상과 깊이를 갖고 후방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데코 바디 내삽 홈(163)은 사각형의 홈으로 구성된다.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내에 상기 필터 본체 내삽 홈(162)이 위치한다.Deco body insertion groove 163 is formed in the casing base 110, is formed around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Deco body insertion groove 163 is composed of a groove that is depressed rearward with a predetermined shape and dep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terior decoration body groove 163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groove.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is located in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레그 고정 홈(164)은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내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깊숙하게 함몰된 홈으로 구성된다. 레그 고정 홈(164)은 2 개 구비되며, 2 개의 레그 고정 홈(164)은 각각 데코 바디 내삽 홈(163)의 양 측부 하부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The leg fixing groove 164 is located in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and is composed of a groove deeply recessed in the rear. Two leg fixing grooves 164 are provided, and the two leg fixing grooves 164 may be respectively located at lower corners of both sides of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고정 홈(164) 내에는 후술하는 고정 푸트(326)가 걸림될 수 있는 소정의 걸림 돌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그 고정 홈(164)은 케이싱부(100) 내부에서 노출되고, 상기 레그 고정 홈(164)을 덮는 소정의 커버(166)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a predetermined locking protrusion 165 through which a fixing foot 326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locked may be provided in the leg fixing groove 164. In addition, the leg fixing groove 164 may be exposed inside the casing part 100 and a predetermined cover 166 covering the leg fixing groove 164 may be provided.

루프(roof)(167)는 상기 윈도우부(160)의 상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프(167)는 상기 오픈부(161),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및 데코 바디 내삽 홈(163)보다 전방으로 일정 폭만큼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루프(167)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68)이 형성된다.A roof 16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unit 160. The roof 167 is a portion protruding forwar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pening portion 161,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and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A through hole 168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loop 167.

케이싱 커버(120)에는 커버 돌부(122)가 구비된다. 커버 돌부(122)는 케이싱 커버(12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이다. 상기 커버 돌부(122)는, 케이싱 커버(120)와 케이싱 베이스(11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루프(167) 위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커버(120)와 케이싱 베이스(11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커버 돌부(122)는 상기 관통공(168)에 투입된다. The casing cover 120 is provided with a cover protrusion 122. The cover protrusion 122 is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sing cover 120. When the casing cover 120 and the casing base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ver protrusion 122 is positioned on the roof 167.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when the casing cover 120 and the casing base 110 are coupled, the cover protrusion 122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168.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300)의 필터 고정 데코(3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터부(30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1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fixing decor 320 of the filt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필터부(300)는 필터 본체(310) 및 필터 고정 데코(320)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lter body 310 and a filter fixing decor 320.

필터 본체(310)는 외부에서 센서부(210)로 유입되는 광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한다. 필터 본체(310)는 상기 광을 적절히 필터링 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후, 센서부로 전달 수 있는 부재이다. 필터 본체(310)는 예컨대 IR 필터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filter body 310 is located on an optical path of light flowing into the sensor unit 210 from the outside. The filter body 310 is a member that can appropriately filter the light to remove noise and then transmit the light to the sensor unit. The filter body 310 may be, for example, an IR fil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필터 본체(310)는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사각형 면체일 수 있다. 필터 본체(310)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윈도우부(160)에 구비되는 필터 본체 내삽 홈(16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내에 필터 본체(310)가 삽입될 수 있다. The filter body 310 may be a square facet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a. The filter body 3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provided in the window unit 160 of the casing base 110. Accordingly, the filter body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필터 고정 데코(320)는 필터 본체(310)를 케이싱 베이스(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필터 고정 데코(32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고정 데코(320)는 필터 본체(3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는 데코 바디(321), 및 상기 데코 바디(321)와 필터 본체(310)를 케이싱 베이스(110)에 고정시키는 데코 레그(3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fixing decor 320 is a member for fixing the filter body 310 to the casing base 110. The filter fixing decor 3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filter fixing decor 320 includes a decor body 321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body 310, and a decor leg 324 fixing the decor body 321 and the filter body 310 to the casing base 110. ) Can be included.

데코 바디(321)는 필터 본체(310)의 전방에 위치하며, 필터 본체(3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데코 바디(321)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오픈부(323)를 구비한다.The decor body 321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lter body 310 and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body 310 from the front. The decor body 321 includes an open portion 32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데코 바디(321)는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사각형 면체일 수 있다. 데코 바디(321)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데코 바디 내삽 홈(16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내에 데코 바디(321)가 삽입될 수 있다.The decor body 321 may be a square facet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a. The decor body 32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of the casing base 110. Accordingly, the decor body 321 may be inserted into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한편, 실시예에 의하면, 데코 바디(321)의 후면에는 접착면(322)이 구비될 수 있다. 접착면(322)에 상기 필터 본체(310)의 전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면(322)에 의해서, 데코 바디(321)가 데코 바디 내삽 홈(163)에 삽입되었을 때, 데코 바디(321)가 케이싱부(100)에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dhesive surface 32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r body 321.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body 310 may be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322. Meanwhile, when the deco body 321 is inserted into the deco body insertion groove 163 by the adhesive surface 322, the deco body 321 may be adhesively fixed to the casing unit 100.

데코 레그(324)는 데코 바디(321)의 후면에 구비된다. The decor leg 324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ecor body 321.

데코 레그(324)는 레그 바(325), 및 고정 푸트(326)를 포함한다. 레그 바(325)는 데코 바디(321)의 후면에 연결되어 데코 바디(321)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바 형태의 부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데코 레그(324)는 데코 바디(321)의 양 측 하부분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The decor leg 324 includes a leg bar 325, and a fixed foot 326. The leg bar 325 is a bar-shaped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321 and extends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321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cor leg 324 may be provided one at each lower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decor body 321.

고정 푸트(326)는 레그 바(325)의 일 면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푸트(326)는 레그 바(325)의 하면 후방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foot 326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leg bar 325 and is a port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xed foot 326 is located behind the lower surface of the leg bar 325, and may be configur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한편,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고정 데코(320)는, 판상의 일 금속 플레이트를 천공하고 절곡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픈부(161)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 부분을 천공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 레그(324)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 부분을 절곡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데코 레그(324)를 구성하는 레그 바(325) 및 고정 푸트(326) 또한, 데코 레그(324)를 구성하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 부분을 각각 절곡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lter fixing decor 320 may be manufactured by perforating and bending a plate-shaped metal plate. For example, the open portion 161 may be formed by perforating a portion of a metal plate. In addition, the decor leg 324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a metal plate. In addition, the leg bar 325 and the fixed foot 326 constituting the decor leg 324 may also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decor leg 324, respectively.

또한, 레그 바(325)는, 데코 바디(321)와 연결되는 판상의 부분이 복수 회 접혀져서 구성되는 (장방형) 입체 구조물일 수 있다. 아울러, 고정 푸트(326) 또한, 연장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전방으로 접혀져서 일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는 입체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레그 바(325)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 bar 325 may be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by folding a plate-shaped portion connected to the decor body 321 a plurality of times. In addition, the fixed foot 326 may also b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is folded forward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Accordingly, the rigidity of the leg bar 325 may be improved.

즉, 필터 고정 데코(320)는, 하나의 판상의 금속 플레이트를 천공 및/또는 절곡 가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고정 데코(320)의 제조가 간단하며,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fixing decor 320 may be configured by drilling and/or bending a single plate-shaped metal plat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of the filter-fixed decor 320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4 및 도 15 는 필터부(300)와 케이싱부(100)의 결합 구조를 단면으로 표시한 도면이다.14 and 15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lter unit 300 and the casing unit 100 in cross section.

이하에서는 필터부(300)와 케이싱부(100)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bination of the filter unit 300 and the cas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먼저, 필터 본체(310)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 본체(310)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필터 본체 내삽 홈(16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내에 필터 본체(3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본체(310)와 필터 본체 내삽 홈(162) 사이에 소정의 부착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양면 테이프와 같은 부착 수단이 필터 본체(310)와 필터 본체(310) 내합 홈 사이에 구비되어, 필터 본체(310)를 필터 본체 내삽 홈(162)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First, the filter body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of the casing base 110.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body 3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of the casing base 110, and the filter body 310 can be inserted into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have.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edetermined attachment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lter body 310 and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For example, an attachment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lter body 310 and the filter body 310 inner groove, so that the filter body 310 may be fixed in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2.

이어서, 필터 데코가 필터 본체(310)의 전방에서 필터 본체(3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으면서 케이싱 베이스(110)에 결합된다. Subsequently, the filter decor is coupled to the casing base 110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body 310 in front of the filter body 310.

이때, 필터 데코의 데코 바디(321)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코 바디(321)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데코 바디 내삽 홈(16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내에 데코 바디(32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코 바디(321)와 데코 바디 내삽 홈(163) 사이, 또는 데코 바디(321)와 필터 본체(310) 사이에 소정의 부착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광투과성 양면 테이프와 같은 부착 수단이 데코 바디(321)와 데코 바디(321) 내합 홈 사이, 또는 데코 바디(321)와 필터 본체(310) 사이에 구비되어, 데코 바디(321)를 데코 바디 내삽 홈(163)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데코 바디(321)의 후면에 접착면(322)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decor body 321 of the filter decor may be inserted into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163 of the casing base 110. As described above, the deco body 3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eco body insertion groove 163 of the casing base 110, and the deco body 321 may be inserted into the deco body insertion groove 163. have.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edetermined attachment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ecor body 321 and the interior groove 163 or between the decor body 321 and the filter body 310. For example, an attachment means such as a light-transmitting double-sided tape is provided between the decor body 321 and the decor body 321 inner groove, or between the decor body 321 and the filter body 310 to decorate the decor body 321 It can be fixed in the body insertion groove 163.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adhesive surface 322 on the back of the decor body 321.

또한, 필터 데코의 데코 레그(324)는 케이싱 베이스(110)의 레그 고정 홈(164) 내에 삽입된다. 데코 레그(324)가 레그 고정 홈(164) 내에 삽입되면, 데코 레그(324)에 구비되는 고정 푸트(326)는 레그 고정 홈(164)의 내부에 걸림 돌부(165)에 걸려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고정 데코(320)가 케이싱 베이스(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or leg 324 of the filter decor is inserted into the leg fixing groove 164 of the casing base 110. When the decor leg 324 is inserted into the leg fixing groove 164, the fixing foot 326 provided in the decor leg 324 may be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65 in the inside of the leg fixing groove 164 to be fitted. . Therefore, the filter fixing deco 32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casing base 110.

상기와 같이 필터 고정 데코(320)를 케이싱 베이스(110)에 결합시킨 후, 케이싱 베이스(110) 상에 케이싱 커버(120)를 결합시킨다. 이때, 케이싱 커버(120)와 케이싱 베이스(110)가 결합되면, 케이싱 커버(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돌부(122)가 케이싱 베이스(110)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관통공(168)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다. 관통공(168)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커버 돌부(122)는 필터 데코의 데코 본체 상부분을 전방에서 덮는다. 따라서, 필터 데코의 상부분은 커버 돌부(122)에 의해서 고정된다. After coupling the filter fixing deco 320 to the casing base 110 as described above, the casing cover 120 is coupled to the casing base 110. At this time, when the casing cover 120 and the casing base 110 are coupled, the cover protrusion 122 located in front of the casing cover 1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68 locat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sing base 110. It penetrates and protrudes downward. The cover protrusion 122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168 and protruding downwardly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deco body of the filter deco from the front. Therefore,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ecor is fixed by the cover protrusion 122.

상기와 같이, 필터 고정 데코(320)의 하부분은, 데코 레그(324)가 케이싱 베이스(110)의 레그 홈 내에 투입됨으로서 케이싱부(100)에 고정된다. 또한, 필터 고정 데코(320)의 상부분은 데코 바디(321)가 케이싱 커버(120)의 커버 돌부(122)에 의해서 덮여짐으로서 케이싱부(100)에 고정된다. 즉, 필터 고정 데코(320)는 상부분과 하부분이 각각 고정됨으로서, 케이싱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fixing deco 320 is fixed to the casing portion 100 by inserting the deco leg 324 into the leg groove of the casing base 110.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fixing deco 320 is fixed to the casing portion 100 as the deco body 321 is covered by the cover protrusion 122 of the casing cover 120. That is, the filter fixing deco 320 may be stably fixed to the casing 100 by fix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필터부(300) 및 필터 고정 구조를 갖는 온도 센싱 모듈(30)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ffect of the filter unit 300 and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having a filter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도 센싱 모듈(30)은, 필터부(300)를 구비함으로서, 센서부에 입사하는 광이 적절하게 필터링되어, 온도 측정이 정확해질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lter unit 300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sensor unit is appropriately filtered, so that temperature measurement can be accurate.

또한, 필터 본체(310)는 필터 고정 데코(320)에 의해서 케이싱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body 310 may be stably fixed to the casing unit 100 by the filter fixing decor 320.

특히, 온도 센싱 모듈(30)은, 조리중 음식물에 의해서 오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국물이 넘쳐 흐르거나 기름이 튀어 각종 오염물이 온도 센싱 모듈(30)에 묻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contaminated by food during cooking. Fo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where soup overflows or oil splashes and various contaminants bury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따라서,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온도 센싱 모듈(30)을 적절히 세척해 주어야 하는데, 만일 필터가 케이싱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세척 과정에서 필터가 파손되거나 케이싱부(100)로부터 이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순히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서 필터를 케이싱부(100)에 고정시킬 경우, 이러한 파손 및 이탈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for accurate temperature measurement, the user must properly clea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If the filter is not stably fixed to the casing 100, the filter may be damag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or the casing 100 You can also deviate from For example, when the filter is simply fixed to the casing 100 by an adhesive or adhesive tape, such breakage and separation may easily occur.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고정 데코(320)가 구비됨으로서, 필터 본체(310)를 안전하게 케이싱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온도 센싱 모듈(30)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lter fixing deco 320 is provided, the filter body 310 can be safely fixed to the casing 100, and thus, failure of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30 can be prevented. I can.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e possessor,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열 조리 모듈
12: 탑 플레이트
14: 전장부
16: 제어 신호 표시부
20: 가열 조리용 용기
22: 도장부
30: 온도 센싱 모듈
100: 케이싱부
110: 케이싱 베이스
120: 케이싱 커버
122: 커버 돌부
130: 커버 데코
140: 케이싱 패킹
150: 결합 수단
160: 윈도우부
161: 오픈부
162: 필터 본체 내삽 홈
163: 데코 바디 내삽 홈
164: 레그 고정 홈
165: 걸림 돌부
167: 루프
168: 관통공
200: 모듈부
210: 센서부
212: 센서 본체
214: 센서 기판
216: 센서 홀더
220: 기판부
222: 제1 기판
224: 제2 기판
226: 기판 홀더
230: 제1 정렬부
232: 제1-1 마그넷 부재
234: 제1-2 마그넷 부재
300: 필터부
310: 필터 본체
320: 필터 고정 데코
321: 데코 바디
322: 접착면
323: 오픈부
324: 데코 레그
325: 레그 바
326: 고정 푸트
400: 리더 모듈
410: 리더 기판
420: 리더 장착 홀더
422: 고정 수단
424: 고정 홈
430: 탄동부
440: 제2 정렬부
442: 제2-1 마그넷 부재
444: 제2-2 마그넷 부재
10: heating cooking module
12: top plate
14: battle book
16: control signal display unit
20: container for heating cooking
22: painting part
30: temperature sensing module
100: casing part
110: casing base
120: casing cover
122: cover protrusion
130: cover decor
140: casing packing
150: coupling means
160: window part
161: open part
162: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163: Deco body interpolation groove
164: leg fixing groove
165: locking protrusion
167: loop
168: through hole
200: module part
210: sensor unit
212: sensor body
214: sensor board
216: sensor holder
220: substrate portion
222: first substrate
224: second substrate
226: substrate holder
230: first alignment portion
232: 1-1 magnet member
234: the 1-2 magnet member
300: filter unit
310: filter body
320: filter fixed decor
321: deco body
322: adhesive side
323: open part
324: Deco Leg
325: leg bar
326: fixed foot
400: reader module
410: leader board
420: reader mounting holder
422: fixing means
424: fixed groove
430: bullet part
440: second alignment portion
442: 2-1 magnet member
444: 2-2 magnet member

Claims (10)

가열 조리 모듈 상의 일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열 조리 모듈 상의 조리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싱 모듈은,
적어도 일 측에 윈도우부를 갖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윈도우부를 통해 외부의 광학적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부, 및
상기 윈도우부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외부의 광학적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본체, 및
상기 필터 본체를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시키는 필터 데코를 포함하는 온도 센싱 모듈.
In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position on the heating cooking module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vessel on the heating cooking module,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A casing portion having a window portion on at least one side,
A module part built into the casing part and receiving an external optical signal through the window part, and
And a filter part disposed on the window part,
The filter unit,
A filter body for filtering an external optical signal, and
Temperature sensing module including a filter decor for fixing the filter body to the ca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광학적으로 오픈된 오픈부,
상기 오픈부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 본체가 내삽되는 필터 본체 내삽 홈, 및
상기 필터 본체 내삽 홈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 데코의 적어도 일 부분이 내삽되는 데코 바디 내삽 홈을 포함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ow part,
Optically open opening,
A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formed around the open portion and into which the filter body is inserted, and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including a decor body insertion groove formed around the filter body insertion groove and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decor is inser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데코는,
상기 필터 본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으며 상기 데코 바디 내삽 홈 내에 내삽되는 데코 바디를 포함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er decor is,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including a decor body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decor body insertion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바디의 후면에는,
상기 필터 본체의 전면이 접착되는 접착면이 구비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back of the deco body,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to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body is adher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데코는,
상기 데코 바디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데코 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데코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데코 레그가 삽입되는 레그 고정 홈을 포함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 decor is,
And a decor leg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and extends to the rear of the deco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window part,
Temperature sensing module including a leg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decor leg is inse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바디와 데코 레그는,
판상의 일 금속 플레이트가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deco body and deco leg,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consisting of a plate-shaped metal plate partially b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레그는,
데코 바디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데코 바디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레그 바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바는,
판상의 일 금속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구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deco leg,
It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deco body and includes a leg bar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deco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g bar,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mposed of a plate-shaped metal plate b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레그는,
상기 레그 바의 일 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푸트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고정 홈 내에는,
상기 고정 푸트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 돌부가 구비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deco leg,
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leg bar and includes a fixed foot protru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leg fixing groove,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fixed foot can be lo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윈도우부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부가 탑재되는 케이싱 베이스, 및
상기 케이싱 베이스 상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부를 덮는 케이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필터 데코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ing part,
A casing base provided with the window part and on which the module part is mounted, and
It is coupled on the casing base and includes a casing cover covering the module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ing cover is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lter dec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베이스는 상기 윈도우부 상부에 상기 윈도우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상기 윈도우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커버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버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커버와 상기 케이싱 베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 돌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커버 돌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 데코의 상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온도 센싱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casing base includes a loop protruding forward from the window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portion,
The loop is located in front of the window portion and includes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The casing cover includes a cov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When the casing cover and the casing base are combined,
The cover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ecor from the front.
KR1020190126299A 2019-10-11 2019-10-11 Temperature sensing module KR102286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299A KR102286960B1 (en) 2019-10-11 2019-10-11 Temperature sens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299A KR102286960B1 (en) 2019-10-11 2019-10-11 Temperature sensin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296A true KR20210043296A (en) 2021-04-21
KR102286960B1 KR102286960B1 (en) 2021-08-09

Family

ID=7574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299A KR102286960B1 (en) 2019-10-11 2019-10-11 Temperature sens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96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372U (en) * 2014-05-28 2015-12-08 엄도현 Infrared detection sensor
KR20170037122A (en)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ssistance device and cooking system
KR20180025727A (en)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372U (en) * 2014-05-28 2015-12-08 엄도현 Infrared detection sensor
KR20170037122A (en)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ssistance device and cooking system
KR20180025727A (en)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960B1 (en)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3106B2 (en) Induction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DE60024321D1 (en) HUMAN MACHINE INTERFACE WITH RELATIVE POSITION SENSOR
CN109915862B (en) Interaction assembly and household appliance
JP2006294284A (en) Electric cooking heater
KR20210043296A (en) Temperature sensing module
JPWO2009001537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190046876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fitted kitchen appliance
US20180363922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ntrol unit
US1088372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KR102250654B1 (en) Cooking apparatus
KR102238460B1 (en) Cooking apparatus
KR102286961B1 (en) Temperature sensing module
JP6184448B2 (en) Component detector
JP4006702B2 (en) Cooking system
KR102261563B1 (en) Temperature sensing module
JP6932073B2 (en) Cooker
KR102299433B1 (en) Cooking apparatus
JP5025704B2 (en) Cooking system
JP6299479B2 (en) Electric rice cooker
JP6384215B2 (en) Electric rice cooker
CN216114197U (en) Cooking device and cooking utensil
KR102506518B1 (en) Table
JP2015228952A (en) Electric rice cooker
CN203839226U (en) Button switch
TH2103003240C3 (en) cooking utens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