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173A -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173A
KR20210043173A KR1020190126018A KR20190126018A KR20210043173A KR 20210043173 A KR20210043173 A KR 20210043173A KR 1020190126018 A KR1020190126018 A KR 1020190126018A KR 20190126018 A KR20190126018 A KR 20190126018A KR 20210043173 A KR20210043173 A KR 2021004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able
biotransmitter
delivery system
mass carriers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268B1 (ko
Inventor
양승윤
임상구
탁은남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268B1/ko
Priority to PCT/KR2020/011746 priority patent/WO2021071097A1/ko
Priority to US17/754,409 priority patent/US20220339417A1/en
Publication of KR2021004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3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having a lu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38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having a channel at the sid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44Micromachined materials, e.g. made from silicon wafer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or comprising nanotechn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베벨팁 및 상기 베벨팁 면에 음각홈을 포함하는 핀; 및 상기 음각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implantable substance delivery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벨팁 면에 음각홈을 포함하여 생체전달물질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생체 내로 목적물질(예를 들어, 약물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고분자와 같은 캐리어를 이용한 전달 시스템과 융합기술을 활용한 전달 디바이스 시스템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고분자를 이용한 전달시스템으로는 고분자와 약물이 접합된 것을 이용하는 방법 및 나노 또는 마이크로크기의 고분자 입자에 약물이 담지된 제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달 디바이스 시스템에는 외과적인 개입이 필요한 이식형 임플란트나 약물 흡수를 촉진하는 다양한 패치 등이 있는데, 최근 고통과 조직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을 이용하여 조직(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목적물질을 전달하는 패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마이크로 니들은 수백 마이크로미터 길이 및 굵기를 갖는 미세바늘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마이크로 니들을 형성하는 고분자 용액에 목적물질을 함께 넣고 원하는 주형에 용액을 채운 다음, 건조하여 체내에서 녹는 마이크로 니들 안에 목적물질들을 넣거나, 비용해성 마이크로 니들에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목적물질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피부 조직에 마이크로 니들을 삽입하여 체내에서 용해 또는 녹이는 과정을 통해 피부 내에 목적물질을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건조과정을 동반한 제조방법은 엑소좀, 단백질 또는 세포와 같이 주변환경에 매우 민감한 생체물질의 변성을 유도할 수 있고 고분자가 빠르게 용해되지 않을 경우, 넓은 부위에 다량의 목적물질을 정량적으로 전달하기 어렵다. 또한, 원하는 위치에 목적물질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니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생체물질을 포함한 다양한 약물을 담지한 고형(하이드로젤 포함)의 약물전달체를 안정적으로 탈착시켜 조직 내에 이식할 수 있는 이식형 약물 전달 기술 및 물질 전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베벨팁 및 상기 베벨팁 면에 음각홈을 포함하는 핀; 및 상기 음각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구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전달물질은, 엑소좀, 단백질, 펩타이드, 스페로이드 세포체, 하이드로겔 또는 건조된 고형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로 구성된, 코어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상기 생체전달물질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변 중 짧은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각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L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L자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각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변 중에서 짧은 변 쪽으로 가까이 위치한 상기 베벨팁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벨팁 면은 45° 내지 80° 각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의 길이는 300㎛ 내지 30㎝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의 길이는 700㎛ 내지 5㎜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의 두께는 200㎛ 내지 3.4㎜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각홈의 직경은 50㎛ 내지 1㎜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각홈의 직경은 100㎛ 내지 500㎛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각홈의 깊이는 50㎛ 내지 2㎜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각홈의 깊이는 100㎛ 내지 7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위한 이식형 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상기 핀의 음각홈에 고분자 용액 내 분산된 생체전달물질을 점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 이후에,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상기 생체전달물질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히알루론산 메타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 즉, 생체전달물질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이식할 수 있고, 이식 중에 생체전달물질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이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체전달물질을 다량의 생체전달물질을 한번에 이식할 수 있어, 정량적 및 대면적으로 이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각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핀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여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코팅된 약물의 동결건조체를 이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량의 생체전달물질을 이식을 위한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세포 생존율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이식 효율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베벨팁 및 상기 베벨팁 면에 음각홈을 포함하는 핀; 및 상기 음각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핀은 끝단에 날면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길이는 300㎛ 내지 3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의 두께는 200㎛ 내지 3.4㎜ 일 수 있다.
상기 베벨팁 면은 상기 핀에서 끝단에 형성된 날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베벨팁 면은 45° 내지 80° 각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각홈은 상기 베벨팁 면에 형성된 홈으로, 음각홈에 생체전달물질을 삽입하여 이식 시에 상기 생체전달물질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각홈의 직경은 50㎛ 내지 1㎜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음각홈의 깊이는 50㎛ 내지 2㎜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700㎛ 일 수 있다.
상기 음각홈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베벨팁 면 상에서 이식하고자 하는 위치에 생체전달물질을 정확하게 이식하기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음각홈의 상기 음각홈의 형태 및 위치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각홈의 형태는,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각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L 자형을 가질 수 있고, (c) 및 (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L자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음각홈의 위치는, 베벨팁 면의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이식하고자 하는 위치에 생체전달물질을 정확하게 이식하기 위해, 상기 음각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의 (c) 및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변 중에서 짧은 변 쪽으로 가까이 위치한 상기 베벨팁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음각홈을 포함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경우, 생체전달물질이 조직에 걸려 탈착되는 것이 더욱 용이해져 정확한 위치에 상기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엑소좀, 단백질, 펩타이드, 스페로이드 세포체, 하이드로겔 또는 건조된 고형체일 수 있고, 구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로 구성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로 인하여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체내 전달율 및 안정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쉘로 인하여 생체전달물질 내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음각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변 중 짧은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로 구성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일인 경우에,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이 상기 가상의 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코어인 생체전달물질이 상기 가상의 선보다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상기 생체전달물질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서 생체전달물질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도, 상기 코팅층으로 인하여,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조직에 삽입하는 경우에, 생체전달물질의 손상 및 떨어짐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이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으로 생기는 턱으로 인해 조직에 쉽게 걸려 상기 생체전달물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도 상기 생체전달물질의 안정적인 탈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상기 핀의 음각홈에 고분자 용액 내 분산된 생체전달물질을 점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 이후에,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용액은, 생체 고분자 용액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히알루론산 메타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일 수 있다.
상기 생체전달물질을 음각홈에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음각홈에 위치된 생체전달물질은, 상기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고분자 용액이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 이후에,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고분자 용액이 둘러싸는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용액이 건조됨에 따라 표면장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체전달물질이 홈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용액을 가교하여 상기 생체전달물질을 감사는 쉘(shell)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UV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식하고자 하는 조직에 삽입 시에 생체전달물질이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상기 생체전달물질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여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고자 하는 조직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조직에서 빼내면서 생체전달물질을 조직 내로 이식하는데, 이 때,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서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이 조직에 걸려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서 분리 및 탈착되고, 상기 분리 및 탈착된 생체전달물질이 조직 내에 안정적으로 이식된다.
종래의 코팅된 이식형 물질 전달체(예를 들어, 니들 등)는, 조직 내에서 상기 코팅한 물질을 녹여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반면, 본 발명은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이 조직에 걸려서 탈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에 이식할 수 있다.
이 때, 조직에 걸리는 생체전달물질은,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로 구성된 코어-쉘(core-shell) 형태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체전달물질 및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층이 조직에 걸려 코팅층과 함께 상기 생체전달물질이 조직 내에 탈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여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a)에서는 전달하고자 하는 물질(즉, 생체전달물질)을 포함한 고분자 용액을 점적시켜 코팅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화된 생체전달물질이 삽입된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동결 건조를 통해 생체전달물질 또는 생체전달물질과 고분자 용액이 잘 고형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음각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에서, (a)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여 생체전달물질을 이식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서 동결건조된 고형물이 피부 삽입시 조직에 걸려 분리 및 탈착되어 조직 내에 안정적으로 이식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길이 및 음각홈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식하고자 하는 대상의 원하는 위치에 단일 혹은 다수의 생체전달물질을 한번에 정량적으로 이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비교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제조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의 제조를 설명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제조하기 위해, 55°각도를 갖는 베벨팁 면 상에 300μm의 음각홈이 형성된 핀을 이용하였다. 생체전달물질로는 스페로이드를 이용하였고, 상기 스페로이드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NIH3T3)를 3차원 배양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스페로이드를 히알루론산 메타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 이하에서 HAMA이라 함)내에 분산시켜 용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음각홈에 스페로이드를 위치시킨 다음, 건조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스페로이드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HAMA 코팅층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세포생존율 평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 있어서, HAMA 코팅 전 후의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제조하고 10분 뒤에 스페로이드를 다시 수거하여 살아있는 세포 및 죽은 세포를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세포는 초록 형광으로 염색하였고, 죽은 세포는 붉은 형광으로 염색하였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도 7을 참조하면, (a)에서 살아있는 세포(Live cell), 죽은 세포(Dead cell) 및 혼합 세포(Merged) 모두 코팅 전 후 동일한 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b)에서도 살아있는 세포(Live cell) 및 죽은 세포(Dead cell)의 세포 생존율 그래프가 서로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생체전달물질은 코팅 및 경화 시에 손상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이식 효율 평가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에 있어서, 이식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제조된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피부와 유사한 강도를 가지는 아가젤(Agar gel) 인공피부에 원하는 위치에 삽입한 후 빼내면서 스페로이드가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이식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식형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이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베벨팁 및 상기 베벨팁 면에 음각홈을 포함하는 핀; 및
    상기 음각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된 생체전달물질을 포함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구형 또는 타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엑소좀, 단백질, 펩타이드, 스페로이드 세포체, 하이드로겔 또는 건조된 고형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생체전달물질이 코어에 위치하고 이를 둘러싸는 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하이드로겔의 쉘로 구성된, 코어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5. 제1항에 있어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상기 생체전달물질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전달물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변 중 짧은 변으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L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L자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은,
    상기 핀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평행한 변 중에서 짧은 변 쪽으로 가까이 위치한 상기 베벨팁 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팁 면은 45° 내지 80° 각도의 경사를 갖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길이는 300㎛ 내지 30㎝ 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길이는 700㎛ 내지 5㎜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두께는 200㎛ 내지 3.4㎜ 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의 직경은 50㎛ 내지 1㎜ 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의 직경은 100㎛ 내지 500㎛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의 깊이는 50㎛ 내지 2㎜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홈의 깊이는 100㎛ 내지 700㎛인,
    이식형 물질 전달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핀의 음각홈에 고분자 용액 내 분산된 생체전달물질을 점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 이후에,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이식형 물질 전달체는 상기 생체전달물질 및 상기 베벨팁의 전부 또는 일부 면을 덮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히알루론산 메타아크릴레이트(Hyaluronic acid meth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형 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190126018A 2019-10-11 2019-10-11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18A KR102290268B1 (ko) 2019-10-11 2019-10-11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0/011746 WO2021071097A1 (ko) 2019-10-11 2020-09-02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7/754,409 US20220339417A1 (en) 2019-10-11 2020-09-02 Implantable substance delivery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18A KR102290268B1 (ko) 2019-10-11 2019-10-11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73A true KR20210043173A (ko) 2021-04-21
KR102290268B1 KR102290268B1 (ko) 2021-08-13

Family

ID=7543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18A KR102290268B1 (ko) 2019-10-11 2019-10-11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9417A1 (ko)
KR (1) KR102290268B1 (ko)
WO (1) WO202107109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955A1 (en) * 2016-08-03 2018-02-08 Verndari, Inc. Microarrays and methods
JP2018506339A (ja) 2015-01-21 2018-03-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及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05073B1 (pt) * 2012-09-13 2021-06-01 Amir Avraham Aplicador configurado para a administração de uma composição de melhoria de pele para uma pele e/ou subcútis de um sujeito, uso de um, microagulha e método para manufaturar uma microagulha
KR101785930B1 (ko) * 2015-12-30 2017-10-16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수분 환경에서 변형 및 변성 억제를 위한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 방법
KR20180046290A (ko) * 2016-10-27 2018-05-08 (주)얼리스킨코리아 마이크로 니들이 구비된 마스크팩 또는 패치
KR102006071B1 (ko) * 2017-08-18 2019-07-3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8033B1 (ko) * 2018-01-18 2021-04-08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이식형 마이크로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6339A (ja) 2015-01-21 2018-03-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及び使用方法
WO2018026955A1 (en) * 2016-08-03 2018-02-08 Verndari, Inc. Microarrays and metho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croneedles for drug and vaccine delivery(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4 (2012)1547-15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1097A1 (ko) 2021-04-15
KR102290268B1 (ko) 2021-08-13
US20220339417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82612A (ja) 細胞移植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AU2013219321B2 (en) Microneedle of short-time dissolution type
KR101224939B1 (ko) 활성 성분의 흡수 속도가 개선된 마이크로니들
KR20210003799A (ko)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사용
CN106659886B (zh) 移植医药设备到神经组织中的方法
JP2022065124A (ja) 組織修復のための間葉細胞結合複合材料
US200500496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adermal cell implantation
KR102238033B1 (ko) 이식형 마이크로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BR112015022625B1 (pt) Aparelho de microestrutura para entrega de agente terapêutico
CA2560616A1 (en) Tissue engineered biomimetic hair follicle graft
WO2002004001A2 (en) A composition for the delivery of live cells and methods of use
CN110582321A (zh) 一种微针装置
NO300488B1 (no) Neurologisk behandlingsanordning
US20230015942A1 (en) Microneedle delivery device with detachable hybrid microneedle depots for localized delivery of cells
Ding et al. Squid suckerin microneedle arrays for tunable drug release
JP2008506701A (ja) 改変された組織マーキング顔料および組織マーキング顔料を改変するための方法
CN101257933A (zh) 组织再生用基材
CA2435709A1 (en) Hair follicle neogenesis by injection of follicle progenitor cells
Chen et al. Microneedle-based technology for cell therapy: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US20040068284A1 (en) Method for stimulating hair growth and ki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mourizi et al. Polymeric and composite-based microneedles in drug delivery: regenerative medicine, microbial infection therapy, and cancer treatment
Lin et al. Biodegradable double-network GelMA-ACNM hydrogel microneedl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210043173A (ko) 이식형 물질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13088A (zh) 一种防脱生发一体核壳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102334072B1 (ko) 경피 전달용 색소 마이크로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