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142A - 가변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가변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142A
KR20210043142A KR1020190125943A KR20190125943A KR20210043142A KR 20210043142 A KR20210043142 A KR 20210043142A KR 1020190125943 A KR1020190125943 A KR 1020190125943A KR 20190125943 A KR20190125943 A KR 20190125943A KR 20210043142 A KR20210043142 A KR 2021004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variable
unit
vertical frame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세영
노정준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142A/ko
Publication of KR2021004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transformable, e.g. from dumb-bell to bar-be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구동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슬라이딩 레일, 상기 베이스부에서 지면에 대해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버티컬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착좌부,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상기 밴딩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티컬 프레임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 회전축 및 상기 이동 회전축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1운동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가변 운동기구 {DEFORMABLE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신체부위의 운동에 활용될 수 있도록 형태가 변하는 가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는 정해진 단위의 무게를 가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서 근육의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근력 운동을 위한 기구 중에는, 대퇴사두근 등의 운동을 위한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기구, 이두근 운동을 위한 암컬(ARM CURL)기구, 대흉근 등 가슴운동을 위한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 또는 버터플라이(BUTTERFLY)기구, 등 근육의 운동을 위한 랫 풀다운(LAT PULL DOWN)기구 다양한 운동기구가 존재한다.
다만, 이러한 각각의 운동기구는 부피가 지나치게 크고 무거우며 운동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 조절시 부상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기구로 다양한 근육 부위의 운동이 가능하고, 안전하게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량 추의 조절없이 안전하게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다양한 부위의 근육 운동이 가능하도록 변형되는 종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지면을 따라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지지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베이스부에서 지면에 대해 상방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 단부에 상기 제1방향을 향해 휘어진 밴딩부를 포함하는 버티컬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착좌부,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상기 밴딩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양 측면에 제3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버티컬 프레임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 회전축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 회전축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손잡이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1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버티컬 프레임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타측은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2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회전축은 상기 제3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회전축은 상기 버티컬 프레임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되, 임의의 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회전축과 상기 밴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좌부는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단부가 상기 착좌부의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되 분지되어 타측 단부에 한쌍의 발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2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풀리 도어 및 상기 풀리 도어의 개폐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에 수납되거나 노출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전달하는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토크 및 감속기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3방향을 따라 레일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운동부의 손잡이는 탈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운동부에는 상기 제1운동부의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를 향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손잡이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운동부의 손잡이는 상기 제1운동부와 동일 평면 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운동부의 손잡이는 복수개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파지부는 상기 제3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 파지부 및 상기 제3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파지부 및 상기 수직 파지부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베이스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고, 지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발판 및 상기 제1발판과 연결되고, 지면과 제2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티컬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착좌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모터 및 감속기를 활용하고 이를 사용자가 제어가능하게 함으로써, 중량추의 조절의 위험성을 회피하고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착좌부, 제1운동부 및 제2운동부의 위치 및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근육 운동이 가능하도록 그 형태가 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다양한 가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착좌부가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가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베이스부(110), 슬라이딩 레일(120), 버티컬 프레임(130), 이동 회전축(150) 및 제1운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지면에 위치하여 가변 운동기구(100)의 기본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부품을 내장할 수 있으며 특히 무거운 부품을 내장하여 가변 운동기구(100)를 지지하는 무게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예를 들어 모터 및 감속기와 같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및 감속기는 주로 금속으로 형성되어 비교적 중량이 있는 부품이므로 베이스부(110) 내부에 배치하여 무게중심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가변 운동기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돌출될수록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지면에 닿아 지지하는 부분의 단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가변 운동기구(100) 지지 구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이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하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방향이란 지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상방을 의미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지면에서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3방향이란, 지면과 평행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베이스부(110)의 폭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향 정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나머지 방향 기준도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레일(120)은 베이스부(110)와 연결되고 지면을 따라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20)은 베이스부(110)와 함께 가변 운동기구(100)의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후술할 착좌부(140)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20)은 제3방향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을 띄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20)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 레일(120) 위에서 이동하는 착좌부(140)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8과 함께 후술한다. 슬라이딩 레일(120)의 제1방향 단부에는 제3방향을 따라 레일 지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변 운동기구(100)가 제3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견고한 지지력 제공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부(14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서 슬라이딩 레일(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착좌부(140)는 슬라이딩 레일(120)의 원호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착좌부(140)는 제2방향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착석할 수도 있고, 제1방향과 반대인 버티컬 프레임(130)을 향하도록 착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프레임(130)은 베이스부(110)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티컬 프레임(130)은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부공간이 베이스부(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버티컬 프레임(130)의 제2방향의 단부에는 제1방향을 향하여 휘어지는 밴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밴딩부(131)에는 후술할 이동 회전축(150)이 위치하는데, 이동 회전축(150)의 위치를 제1방향에 가깝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후술할 제1운동부(160)의 파지를 보다 쉽게 할 수 있고, 운동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효율적으로 운동 부하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회전축(150)은 제3방향을 따라 버티컬 프레임(130)의 밴딩부(13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회전축(150)은 버티컬 프레임(130)의 양측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티컬 프레임(130)의 양측에 돌출된 이동 회전축(150)은 일체형으로 하나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개의 봉이 각각 버티컬 프레임(130)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회전축(150)은 제3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함과 동시에 버티컬 프레임(130) 또는 베이스부(11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동 회전축(150)은 밴딩부(131)에서 버티컬 프레임(130) 및 베이스부(110)를 거치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슬릿 또는 레일과 같은 구조를 배치하여 이동 회전축(15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회전축(150)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후술할 제1운동부(16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착좌부(140)의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부(160)는 일측 단부가 이동 회전축(150)과 결합하고 타측 단부에 손잡이(161)가 배치되는 형태로서, 다양한 형태로 베이스부(110)의 구동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을 통해 베이스부(110)의 구동부(200)에 연결됨으로써 제1운동부(160)가 이동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운동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운동부(160)는 구동부(200)와의 연결 및 분리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제1운동부(160)가 구동부(200)와의 연결상태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큰 저항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제1운동부(160)가 이동 회전축(150)을 바탕으로 회전하여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한 뒤 구동부(200)와 연결되면 운동 부하가 제공되어 제1운동부(160)의 회전에 큰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운동부(160)가 구동부(200)와의 연결상태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큰 저항 없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제1운동부(16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한 뒤 구동부(200)와 연결되면 운동 부하가 제공되어 제1운동부(160)의 슬라이드 이동에 큰 저항을 발생시키거나, 실질적인 슬라이드 이동이 불가능 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제1운동부(160)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고 조작하는 부위로서, 주로 사용자의 상체 운동에 관여할 수 있다. 제1운동부(160)는 운동 부하를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접점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위치의 자유로운 변형이 필요한 부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부(160)의 일측 단부는 이동 회전축(150)과 결합하되 이동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회전축(150) 자체가 버티컬 프레임(130) 및 베이스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1운동부(160) 또한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1운동부(160)가 이동 회전축(150)을 바탕으로 회전 및 슬라이드 운동을 동시 또는 순차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와 손잡이(161)의 사이의 거리를 제1방향 내지 제2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와 손잡이(161) 사이의 각도 또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술한 착좌부(140)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이 결합되면 도 2 내지 도 7과 함께 후술할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회전 결합부(151), 제2운동부(170) 및 디스플레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결합부(151)는 이동 회전축(150)과 버티컬 프레임(130)의 밴딩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151)는 이동 회전축(150)의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예: 제2방향)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티컬 프레임(130) 양측면에 배치된 제1운동부(160)는 회전 결합부(151)를 바탕으로 서로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결합부(151)는 다양한 형태로 베이스부(110)의 구동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방식을 활용하여 베이스부(110)의 구동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 결합부(15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하는 회전 운동에 운동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운동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도 6과 함께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운동부(170)는 일측 단부가 착좌부(140)의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 단부로 연장되되 갈라져 발걸이(171)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운동부(170)는 사용자가 발을 걸어 조작하는 부위로서, 주로 사용자의 하체 운동에 관여할 수 있다. 제2운동부(170)는 일측 단부는 착좌부(140)의 모서리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 회전축을 바탕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타측 단부는 예를 들어 Y형태로 분지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운동부(17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레일(120)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제2운동부(170)는 다양한 형태로 베이스부(110)의 구동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방식을 활용하여 베이스부(110)의 구동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좌부(140) 모서리에 대한 회전 운동에 운동 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00)는 버티컬 프레임(130)의 제1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버티컬 프레임(130)을 바라보며 착좌부(140)에 착석했을 때, 인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운동과정에서 구동부(200)의 운동 부하를 조절하거나, 제1운동부(160)를 제2운동부(170)를 비롯한 가변 운동기구(100)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운동중의 영상 시청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다양한 가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랫 풀다운(lat pull down)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랫 풀 다운(lat pull down) 운동형태는 제1운동부(160)가 이동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구동부(200)와 연결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좌부(140)에 착석한 사용자가 제1운동부(160)의 손잡이(161)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서 랫 풀다운 운동(lat pull down)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이동 회전축(150)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손잡이(16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숄더 프레스(shoulder press)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숄더 프레스(shoulder press) 운동 형태는 제1운동부(160)가 이동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이동 회전축(15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사용자의 어깨 높이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200)와 연결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좌부(140)에 착석한 사용자가 제1운동부(160)의 손잡이(161)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서 숄더 프레스(shoulder press)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이동 회전축(150)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손잡이(16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밴치 프레스(bench press)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밴치 프레스(bench press) 운동 형태는 이동 회전축(150)을 버티컬 프레임(130)의 밴딩부(131)에 위치시키고, 제1운동부(160)가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부(200)와 연결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이동 회전축(15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베이스부(110)에 위치시키고, 제1운동부(160)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부(200)와 연결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좌부(140)에 착석한 사용자가 제1운동부(160)의 손잡이(161)를 제2방향(또는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서 밴치 프레스(bench press)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플랫 밴치 프레스 형태일 수 있고, 도 5는 디클라인 밴치 프레스 형태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착좌부(140)의 위치를 조절하면 인클라인 밴츠 프레스 형태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부(160)의 손잡이(161)는 복수개의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운동부(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 파지부(161b)와 제3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 파지부(161a)가 형성될 수 있다. 밴치 프레스 운동시 사용자가 어느 파지부를 잡고 운동하는지에 따라 운동부위를 미세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파지부(161a)와 수직 파지부(161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방향, 제3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의 위치를 다양화 시켜 사용자의 신체 조건 따라서 파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원하는 운동 부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버터 플라이(butterfly)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butterfly) 운동 형태는 이동 회전축(150)을 버티컬 프레임(130)의 밴딩부(131)에 위치시키고, 제1운동부(160)가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 결합부(151)를 통해 회전시켜 제1운동부(160)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동시킨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200)와 연결시킴으로써 버터플라이(butterfly)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좌부(140)에 착석한 사용자는 제1운동부(160)가 서로 더 가까워 질 수 있도록 모음으로써 버터플라이(butterfly)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운동부(160)의 손잡이(161)는 회전 가능한 형태로 제1운동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운동부(160)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161)는 제1운동부(160)와 동일 평면 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과정에서 사용자의 다른 신체부위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 운동 형태는 제2운동부(170)를 착좌부(140)의 모서리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구동부(200)와 연결시킴으로써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 운동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좌부(140)에 착석한 사용자는 발걸이(171)에 발을 걸고 제2운동부(170)를 회전시킴으로써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 제공한 운동 형태 이외에도 사용자는 제1운동부(160), 제2운동부(170) 및 착좌부(140)를 조작하여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착좌부(140)가 슬라이딩 레일(120)을 따라 이동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좌부(140)의 회전 및 슬라이딩 레일(120) 위의 이동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착좌부(140)를 변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레일(120)의 형태를 살펴보면, 슬라이딩 레일(120)이 베이스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은 제1곡률반경(R1)으로 가지고 점차 제2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20)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제2곡률반경(R2)을 가지고 점차 제2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률반경(R1)과 제2곡률반경(R2)은 슬라이딩 레일(120)의 길이에 따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레일(120)이 원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착좌부(140)는 허리를 세울 수 있는 자세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누워있는 형태까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도 1내지 도 8의 가변 운동기구(100)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내지 도 8의 가변 운동기구(100)와 도 9 내지 도 10의 가변 운동기구(100)는 서로의 기능 및 특징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제1운동부(160)는 손잡이(161)의 형태에 있어 차이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61)는 제1운동부(160)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서 제1운동부(160)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손잡이 결합부(163)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운동 부위에 대응하여 손잡이(161) 위치를 변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제1발판(111) 및 제2발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판(111)은 제3방향에서 바라볼 때, 지면에 대해 제1각도를 이루며 슬라이딩 레일(120)과 베이스부(110)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발판(113)은 제1발판(111)과 연결되고, 버티컬 프레임(130)과 연결되며, 지면에 대해 제2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각도와 제2각도는 서로 다르며, 제2각도가 제1각도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각도의 발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운동 부위에 따라 발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가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리 도어(181) 및 풀리(183)는 나타낸 도면이다. 풀리 도어(181)는 베이스부(110)의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레일(120)을 중심으로 베이스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풀리 도어(181)의 개폐와 함께 풀리(183)가 노출될 수 있으며, 풀리(183)는 케이블을 통해 구동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운동부(160)의 손잡이(161)를 분리하여 풀리(183)에 연결된 케이블과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가변 운동기구 110 : 베이스부
111 : 제1발판 113 : 제2발판
120 : 슬라이딩 레일 121 : 레일 지지부
130 : 버티컬 프레임 131 : 밴딩부
140 : 착좌부 150 : 이동 회전축
151 : 회전 결합부 160 : 제1운동부
161 : 손잡이 163 : 손잡이 결합부
170 : 제2운동부 171 : 발걸이
181 : 풀리 도어 183 : 풀리
200 : 구동부 300 : 디스플레이

Claims (18)

  1.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지면을 따라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지지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베이스부에서 지면에 대해 상방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 단부에 상기 제1방향을 향해 휘어진 밴딩부를 포함하는 버티컬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착좌부;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상기 밴딩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양 측면에 제3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버티컬 프레임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 회전축;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 회전축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손잡이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1운동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버티컬 프레임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연장된 가변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타측은 상기 버티컬 프레임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2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가변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회전축은 상기 제3방향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가변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회전축은 상기 버티컬 프레임 또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되, 임의의 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가변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회전축과 상기 밴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는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착좌부의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되 분지되어 타측 단부에 한쌍의 발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2운동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풀리 도어; 및
    상기 풀리 도어의 개폐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에 수납되거나 노출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 부하를 전달하는 풀리;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토크 및 감속기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3방향을 따라 레일 지지부가 형성된 가변 운동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부의 손잡이는 탈착 가능한 형태인 가변 운동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부에는 상기 제1운동부의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를 향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손잡이 결합부가 형성된 가변 운동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부의 손잡이는 상기 제1운동부와 동일 평면 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가변 운동기구.
  15. 제14상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부의 손잡이는 복수개의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파지부는 상기 제3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 파지부 및 상기 제3방향에 수직하는 수직 파지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파지부 및 상기 수직 파지부는 복수개 형성되는 가변 운동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베이스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고, 지면과 제1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1발판; 및
    상기 제1발판과 연결되고, 지면과 제2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2발판;을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착좌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KR1020190125943A 2019-10-11 2019-10-11 가변 운동기구 KR20210043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43A KR20210043142A (ko) 2019-10-11 2019-10-11 가변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43A KR20210043142A (ko) 2019-10-11 2019-10-11 가변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42A true KR20210043142A (ko) 2021-04-21

Family

ID=7574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943A KR20210043142A (ko) 2019-10-11 2019-10-11 가변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1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995B2 (en) Shoulder flexion apparatus and method
US10252101B2 (en) Exercise machine
US7749137B2 (en) Variable stride exercise device
EP1372794B1 (en) Exercise machine
US8062196B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EP2435141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flexible element
US8047973B2 (en) Weightlifting apparatus for pronation and supination exercises
US20190232104A1 (en) Exercise machine
US10507354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oscillating tilt system
US20040162194A1 (en)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range of motion
RU2403936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силовых упражнений и реабилитации
EP2683451B1 (en) Improved exercise apparatus
US10561891B2 (en) Exercise machine
KR20150082711A (ko) 팔 거치대형 상지재활 훈련장치
EP3659571A1 (en) Joint mobilization apparatus
US11213717B2 (en) Power rowing machine with pivoting weight arm
KR100651259B1 (ko)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CN213724636U (zh) 锻炼装置
KR20210043142A (ko) 가변 운동기구
US20140336017A1 (en) Exercise device
KR20210043143A (ko) 가변 운동기구
US8827876B2 (en) Chest press machine
EP4088786A1 (en) Variable exercise apparatus
TW200526185A (en) Resistance-guided dynamic upper limb training apparatus
KR101468338B1 (ko) 올인원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