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088A -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088A
KR20210043088A KR1020190125818A KR20190125818A KR20210043088A KR 20210043088 A KR20210043088 A KR 20210043088A KR 1020190125818 A KR1020190125818 A KR 1020190125818A KR 20190125818 A KR20190125818 A KR 20190125818A KR 20210043088 A KR20210043088 A KR 2021004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demand
power consump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088A/ko
Publication of KR2021004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01R21/1338Measuring maximum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최대수요전력 설정부,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 사용량 판단부, 및 전력 사용량 판단부를 통해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UM DEMAND CONTROLLING}
본 발명은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대수요전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약전력이 20kW 이상인 경우 전자식 계량기를 통해 15분 간격으로 측정된 평균 전력을 토대로 최대수요전력(피크전력)을 산출한 후, 산출된 최대수요전력에 기반하여 초과사용부가금이 계산된다.
이때, 검침 당월을 포함한 직전 12개월 중 7~9월분, 12~2월분 및 당월분에 측정된 최대수요전력 중 가장 높은 최대수요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1년동안 초과사용부가금 계산에 이용되는 최대수요전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전기 요금을 절감시키기 위해서는 최대수요전력이 지속적으로 관리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전력수용가의 전력요금 절감을 위해 최대수요전력제어기가 보급되고 있지만,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5709호(2018.10.01.)의 '최대수요전력 관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최대수요전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최대수요전력 설정부,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 사용량 판단부, 및 상기 전력 사용량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최대수요전력 설정부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또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알림이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우선 순위를 입력받아,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은 전력 사용량 입력부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단계, 최대수요전력 설정부가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전력 사용량 판단부가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 출력부가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대수요전력 설정부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또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전자 장치 제어부가 상기 알림이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우선 순위를 입력받아,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은 최대수요전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켜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가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 전력 사용량 판단부(300), 알림 출력부(400) 및 전자 장치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 전력 사용량 판단부(300), 알림 출력부(400) 및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전력판매사업자(예: 한국전력공사)에 의해 운영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한 데이터를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는 전자식 계량기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할 수도 있다.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는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는 입력 장치를 통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를 통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또는 디지털 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는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예: 서버)로부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통신 회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로부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할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토대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N% 감소시키기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서버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토대로 사용자의 전력 요금을 N% 절감시키기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여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범위(예: 상기 N%)를 산출할 수 있다.
전력 사용량 판단부(300)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설정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알림 출력부(400)는 전력 사용량 판단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설정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출력부(400)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설정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현재 전력 사용량이 감소될 필요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 또는 현재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유도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출력부(400)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설정된 목표 최대수요전력의 N%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N%는 입력 장치를 통해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알림 출력부(400)는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장치 또는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는 알림이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온오프의 제어 또는 전력 사용량의 제어가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콘, 냉장고, TV 등의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앞서 기재한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알림 출력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이 출력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목표 최대수요전력 이하로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최대수요전력을 목표 최대수요전력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온오프 제어 순서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외부 전자 장치부터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전력 사용량이 큰 외부 전자 장치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여, 전력 사용량이 큰 외부 전자 장치를 우선적으로 오프(off) 시킴으로써 신속하게 목표 최대수요전력 이하로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전력 사용량이 작은 외부 전자 장치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여, 전력 사용량이 작은 외부 전자 장치를 우선적으로 오프(off) 시킴으로써, 전력 사용량이 높은 장치가 우선적으로 오프(off)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우선 순위를 입력받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시각, 빈도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도록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를 통해 우선 순위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평소 사용자의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 패턴(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 시간, 빈도 등)을 학습 및 분석하여, 전자 장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TV)가 특정 시간(예: 오후 9시~오후 10시)에 동작하는 것을 학습하여, 특정 시간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오프(off)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역이 제2지역보다 중요도가 높은 경우, 제2지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우선 순위를 제1지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하여, 제2지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제1지역에 위치한 전자 장치보다 먼저 오프(off)시킴으로써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의 중요도를 우선 순위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지역에 위치한 외부 전자 장치가 보호될 필요성이 높음을 중요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중요도를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고,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 패턴을 학습 및 분석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동시에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대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에어컨을 오프(off) 시키는 명령을 대신하여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높여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별로 그룹화를 수행하여, 외부 전자 장치 그룹 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별로 그룹화를 수행하여, 외부 전자 장치 그룹 간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 및 위치 이외에도, 외부 전자 장치의 사용시간에 학습 및 분석하여 사용시간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를 그룹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평소 사용 시각이 비슷한 외부 전자 장치를 그룹화하여 일괄적으로 그룹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전자 장치 그룹 각각의,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 그룹으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제1 기준값) 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우선 순위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최대수요전력의 N%에 해당하는 값이 기준값(제1 기준값)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값(제2 기준값) 이하이면,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설정된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제2 기준값)은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하여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일정 기준까지 감소함에 따라 오프(off) 시켰던 외부 전자 장치를 온(on) 시킬 수 있는 시작점을 나타내는 값으로,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최대수요전력의 N%에 해당하는 값이 기준값(제2 기준값)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전자 장치는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게 되고,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전자 장치는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설정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전자 장치가 온(on) 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과 현재 전력 사용량이 합산된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 사용량을 목표 최대수요전력과 비교하여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의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목표 최대수요전력이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방법의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입력받는 단계(S100),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단계(S200),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는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최대수요전력 설정부(200)는 입력 장치를 통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를 통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또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는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전력 사용량 판단부(300)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앞서 설정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알림 출력부(400)는 전력 사용량 판단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 제어부(500)가 알림이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S510),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520),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과 기 설정된 기준값(제2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530),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500 단계에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식별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우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우선 순위를 식별하기에 앞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외부(예: 사용자 또는 서버)로부터 우선 순위를 입력받아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S520 단계에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식별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외부 전자 장치를 우선적으로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값(제2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설정된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전자 장치 제어부(500)는,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은 최대수요전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켜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력 사용량 입력부
200: 최대수요전력 설정부
300: 전력 사용량 판단부
400: 알림 출력부
500: 전자 장치 제어부

Claims (20)

  1.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전력 사용량 입력부;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최대수요전력 설정부;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력 사용량 판단부; 및
    상기 전력 사용량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요전력 설정부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또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이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우선 순위를 입력받아,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최대 수요전력 제어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11. 전력 사용량 입력부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단계;
    최대수요전력 설정부가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한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전력 사용량 판단부가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사용량 판단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 출력부가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대수요전력 설정부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또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 제어부가 상기 알림이 출력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각각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우선 순위를 입력받아,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최대 수요전력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전력 사용량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오프(off) 시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우선 순위의 역순으로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이 상기 목표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온(on) 시키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수요전력 제어 방법.
KR1020190125818A 2019-10-11 2019-10-11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43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18A KR20210043088A (ko) 2019-10-11 2019-10-11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18A KR20210043088A (ko) 2019-10-11 2019-10-11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088A true KR20210043088A (ko) 2021-04-21

Family

ID=7574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18A KR20210043088A (ko) 2019-10-11 2019-10-11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0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8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equipment operation in a demand coordination network
US8099194B2 (en) Demand control
US20120151233A1 (en) Network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US2015015449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dict a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KR2019002166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20210135929A (ko) Nr v2x의 모드 2 리소스 선택 절차에서 최소 후보 리소스들의 비율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JP2016520926A (ja) 電子システムの適応的な需要/応答エネルギ管理のための技術
EP3493352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WO2020003427A1 (ja) 電力量設定装置、電力量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16283A (ja) 需要家装置、電力消費管理装置、電力消費管理システム、電力消費管理方法および電力消費管理プログラム
US9323271B2 (en) Electricity management apparatus and electricity management method
JP6079803B2 (ja) デマンドレスポンス制御結果提示装置
KR20210043088A (ko) 최대수요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49960B2 (en) Adaptable power-budget for mobile devices
US10073425B2 (en) Broad area management system, broad area management apparatus, building management apparatus, and broad area management method
JP6212562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媒体を介した自動電力レベルトリミング
CN115347650A (zh) 基于检测设备电压调整的供电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6214013A (ja) Dr情報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361562B2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JP2016171710A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2020178327A (ja) 設定システム
JP2013080336A (ja) エネルギー使用量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169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new product and technology introduction based on work process
CN115654680A (zh) 空调控制方法、空调器、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WO2016147411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