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811A -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 - Google Patents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811A
KR20210042811A KR1020200124986A KR20200124986A KR20210042811A KR 20210042811 A KR20210042811 A KR 20210042811A KR 1020200124986 A KR1020200124986 A KR 1020200124986A KR 20200124986 A KR20200124986 A KR 20200124986A KR 20210042811 A KR20210042811 A KR 2021004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entilation
passage
air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727B1 (ko
Inventor
광저 피아오
윈펑 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푸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푸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푸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butyl or halobuty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를 공개하였고,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는, 송풍기, 발열체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송풍기의 출풍구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중공인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적어도 그 중 하나의 출풍 통로 내에 발열체를 설치하고; 발열체가 설치된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과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동시에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온풍 순환 매트를 더 공개하였고, 온풍 순환 매트는, 매트 본체 및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매트 본체는 3D 그물망 구조를 구비한 송풍 통로층 및 회풍 통로층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는 분리 및 단열 보온 작용을 하는 회풍 차단층이 설치되고; 회풍 차단층에는 회풍 입구가 설치되고; 송풍 장치가 제공하는 바람은 출풍구에서 송풍 통로층으로 진입한 후, 회풍 입구를 거쳐 위로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한다. 본 발명은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열량이 매트 본체 내부에서 더 균일하게 전송되게 하며, 온풍 순환 매트의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BLOWER FOR HOT AIR CIRCULATION MAT AND HOT AIR CIRCULATION MAT}
본 발명은 매트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일자가 2019년 10월 10일인 중국 특허 출원 CN201910958903.3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일상 생활 중, 침대 난방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열 장치는 전기 담요와 온수 매트이다. 그러나 전기 담요는 누전 위험이 존재하고, 부분적 과열, 전자기 방사 등 불안전 요소를 야기하기 쉽다. 온수 매트 또한 누수, 막힘 현상이 존재하고, 방동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주기적으로 물을 보충하여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존재하며, 사용과 정비가 불편하다.
중국 특허 출원 CN208725264U에서는 냉온풍을 이용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온 매트를 공개하였고, 이는 매트 본체, 송풍 관로, 송풍 장치 및 플러그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매트 본체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층 원단, 보온층, 제1입체 망사층, 제2입체 망사층, 라이너층, 표층을 포함한다. 제1입체 망사층과 제2입체 망사층은 통풍에 사용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다공 구조의 송풍 통로층 또는 회풍 통로층에 속한다. 송풍 관로, 제1입체 망사층과 제2입체 망사층의 결합을 통하여 냉온풍의 순환이 형성되고, 송풍 관로는 냉풍 또는 온풍을 매트 본체에 전송하여 냉각 또는 가열을 진행한다. 상기 수단은 상기 전기 담요와 온수 매트에 존재하는 문제를 잘 해결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해결 수단 중 송풍 관로가 수송하는 냉풍 또는 온풍은 송풍 관로를 통하여 직접 제1입체 망사층 내부로 수송된 후, 다시 직접 위로 제2입체 망사층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냉각/가열원 부근의 매트 본체에 온도 과저 또는 과열의 문제가 존재하고,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영향을 미치며, 부분적 과냉각 또는 저온 화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송풍 장치 출풍구 부분의 매트 본체가 부분적 과냉각, 과열로 초래한 일련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국 특허 출원 CN208725264U에서는 제1입체 망사층 하부에 보온층을 더 설치하고, 제2입체 망사층의 상부에 라이너층을 더 설치한다. 라이너층은 주로 효율적인 열전달 및 단열, 열균형 작용을 하고, 송풍 장치의 매트 본체의 전단에 접근하는 라이너층의 두께는 조금 두꺼우며, 전단에서 후단까지의 두께는 점차 얇아진다. 이로 인해 상기 발명 출원은 매트 본체 층수가 많아지고, 구조가 복잡하며, 원가가 월등히 증가된다.
따라서, 새로운 송풍 장치 및 매트를 디자인하여, 종래기술에서의 상기 기술적 결함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기술에서의 상기 기술적 결함을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해결 수단을 이용한다: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는, 송풍기, 발열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송풍기는 입풍구와 출풍구를 가지고, 상기 출풍구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중공인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적어도 그 중 하나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상기 발열체를 설치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동시에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추고; 상기 송풍기 및 발열체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해결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는 제1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일 단부는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상기 온풍 순환 매트 내의 송풍 통로층과 연통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부는 전체적으로 선형 구조이고; 상기 선형 구조의 비교적 작은 구경 단부는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선형 구조의 비교적 큰 구경 단부는 상기 송풍 통로층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바람직한 해결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출풍구는 출풍구 본체, 및 상기 출풍구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풍 통로는 전부 상기 제2연결부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체의 개수는 1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풍구에는 세 갈래의 중공인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그중 한 갈래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출풍구에는 세 갈래의 중공인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중간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 장치는 상단 가리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가리개는 상기 출풍구의 상단 표면에 고정되어, 매트 본체 내부의 상기 출풍구 상단 표면과 인접한 층면이 무너져 상기 출풍구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체는 PTC발열체, 발열 필름, 발열 패드, 또는 발열선 중 적어도 하나이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체는 PTC발열체이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 필름은 폴리이미드 금속 발열 필름이다.
본 발명에 근거하여, 상기 발열 패드는 세라믹 발열 패드, 실리카겔 발열 패드, 운모 발열 패드, MCH발열 패드, 실리콘 전도 발열 패드, 카본 발열 패드, 알루미늄박 발열 패드 등 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발열 패드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온풍 순환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온풍 순환 매트는, 매트 본체, 및 임의의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매트 본체는 3D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송풍 통로층 및 회풍 통로층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통로층과 상기 회풍 통로층 사이에는 상기 송풍 통로층과 회풍 통로층을 분리하고, 동시에 단열 보온 작용을 하는 회풍 차단층이 부설되고; 상기 회풍 차단층에는 회풍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는 상기 송풍 통로층과 연통되고, 상기 송풍 장치가 제공하는 바람은 상기 출풍구에서 상기 송풍 통로층으로 진입 한 후, 상기 회풍 입구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해결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회풍 차단층은 상기 송풍기의 입풍구 위에 회풍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회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회풍 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풍구로 진입하여, 순환 송풍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바람직한 해결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 내에는 다수의 송풍 관로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송풍 관로의 일 단은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송풍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고, 상기 송풍 관로를 통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어, 열량 전송 효율 및 열량 전송 거리를 향상시키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의 상기 송풍 배관의 외부 주변으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춘다.
본 발명의 세번째 바람직한 해결 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은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송풍 통로층 사이에는 송풍 차단층이 부설되며; 상기 송풍 차단층은 상기 회풍 입구 밑에 개구가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송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개구 및 상기 회풍 입구를 통하여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하고;
대응되게, 상기 송풍 장치의 상기 출풍구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그 중 하나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그 중 하나의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각각 나머지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춘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 통로층은 상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 및 하부 송풍 통로층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상기 상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 및 하부 송풍 통로층 사이에는 각각 제1송풍 차단층과 제2송풍 차단층이 부설되고; 상기 제1송풍 차단층과 제2송풍 차단층은 각각 상기 회풍 입구 밑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설치되고; 하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제1개구와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상부 송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과 합류하여, 상기 회풍 입구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하고;
대응되게,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에는 상, 중, 하 세 개 층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중간 한 층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중간 한층의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중간 한층의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 하 두 개 층의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각각 상부 송풍 통로층과 하부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춘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 본체는 상기 송풍 통로층 밑에 부설된 하층, 상기 회풍 통로층 위에 부설된 표층 및 사이드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층, 송풍 통로층, 회풍 차단층, 회풍 통로층 및 표층의 외부 변두리는 상기 사이드 밴드로 감싸준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 본체 일 측의 사이드 밴드 측면 부위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송풍 입구, 및 회풍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입구와 상기 송풍 통로층은 연통되며; 상기 회풍 출구와 상기 회풍 통로층은 연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매트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는 상기 송풍 입구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를 상기 송풍 입구 내부에 삽입하며; 상기 회풍 출구는 상기 송풍 장치의 입풍구와 연통된다.
당업자가 이해하기 쉬운 것은, 상기 하층은 바람직하게 보온 단열 기능을 가진 재료층이다.
당업자가 이해하기 쉬운 것은, 상기 제어부는 종래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흔히 사용되는 전기 담요 및 온수 매트의 온도 제어와 타이머 등 방식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풍 통로 층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제어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송풍기 및 상기 발열체는 각각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 통로층 및 상기 회풍 통로층은 큰 구멍 그물형 해면층, 입체 망사층, POE 고분자 3D 분사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고;
상기 회풍 차단층은 네오프렌 원단층, 침자면층, 방직 원단층, 부직포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EVA층, XPE층, EPE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 차단층은 네오프렌 원단층, 침자면층, 방직 원단층, 부직포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EVA층, XPE층, EPE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층은 네오프렌 원단층, 누비 원단층, EVA복합 원단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고;
상기 표층은 방직 원단층, 누비 원단층, 삼중직 원단층, 가죽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가). 본 발명의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는 적어도 두 갈래의 출풍 통로를 통하여 송풍하고,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의 온도는 발열체가 설치된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의 온도보다 낮으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은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동시에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매트 본체 내부 열량 전달이 더 균일하게 되게 하여, 매트 본체의 입풍 부위의 부분적 온도가 너무 높아 발생하는 저온 화상 위험을 해결할수 있다. 이와 동시에, 차단층 및 하층은 별도로 매트 본체 입풍 부위에서 두께를 늘릴 필요가 없이 부분적 입풍 부위 온도가 너무 높은 문제를 극복하여, 매트 본체 표면이 더 평평하고,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송풍장치는 구조가 치밀하고, 부피가 작으며, 소음이 적고, 작업 효율이 높다.
(나). 본 발명의 온풍 순환 매트는, 송풍 통로층과 회풍 통로층이 상기 회풍 차단층에 의하여 분리되고, 송풍 장치가 제공하는 바람은 출풍구에서 송풍 통로층으로 진입한 후, 회풍 입구를 거쳐 위로 회풍 통로층으로 들어가며, 다시 회풍 통로층을 거쳐 입풍구로 진입한다. 이러한 설치는,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너무 높은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매트 본체 내부의 온도 분포에 대하여 추가 열평형 처리를 진행할 수 있어, 매트 본체 표면의 서로 다른 구역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대한 줄여, 매트 본체 표면의 열량이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게 하여, 편안감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매트 본체 내부의 바람이 원활하게 순환되며, 열량 이용률이 높고, 에너지 소모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동시에, 본 발명의 매트 본체 구조가 간단하기에, 재료비 절감 및 생산 효율 향상에 더 유리하다.
(다). 송풍 통로층과 회풍 통로층은 큰 구멍 그물 해면, 입체 망사 원단, POE 고분자 3D 분사 등 3D 그물망 구조를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원활한 송풍, 회풍 열분산 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매트 본체 표면의 부동한 구역의 온도차를 줄이는 것에 유리하고, 동시에 양호한 지지 및 탄력 성능을 구비하여, 인체 수면 곡선을 완벽하게 구현하며, 인체 편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송풍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는 도1의 좌측면 모식도이다.
도3은 도1의 우측면 모식도이다.
도4는 제1연결부를 설치한 송풍 장치의 좌측면 모식도이다.
도5는 실시예1의 송풍 장치의 구조 모식도(출풍구는 출풍구 본체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함)이다.
도6은 실시예1의 송풍 장치의 출풍구에 상단 가리개를 설치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7은 실시예2의 온풍 순환 매트의 구조 분해 모식도(커버 또는 사이드 층이 없음)이다.
도8은 실시예2의 온풍 순환 매트를 회풍 차단층 위에서 내려본 부감도이다.
도9는 실시예2의 온풍 순환 매트를 상기 송풍 장치의 송풍기 중심에 따라 절개한 절단면 모식도이다.
도10은 실시예2의 온풍 순환 매트의 송풍 장치 출풍구에서의 부분적 확대 모식도(출풍구에 상단 가리개를 설치함)이다.
도11은 실시예2의 온풍 순환 매트의 송풍 장치 출풍구에서의 부분적 확대 모식도(출풍구의 인접한 출풍 통로 사이에 가이드 가리개를 설치함)이다.
도12는 실시예3의 송풍 관로를 설치한 온풍 순환 매트의 구조 설명도 분해도이다. (커버 또는 사이드 층이 없다.)
도13은 실시예3의 온풍 순환 매트의 송풍 장치와 송풍 관로 연결부에서의 부분적 확대 모식도이다.
도14는 실시예3의 온풍 순환 매트의 송풍 장치와 송풍 관로 연결부에서의 부분적 확대 모식도(출풍구는 송풍 관로의 상측과 하측에 가리개를 설치함)이다.
도15는 실시예3의 송풍 관로의 분포 모식도(송풍 배관에 다수의 작은 송풍 구멍을 설치함)이다.
도16은 실시예3의 송풍관로의 분포 모식도이다.
도17은 실시예4의 온풍 순환 매트의 구조 분해 모식도(커버 또는 사이드 층이 없음)이다.
도18는 실시예4의 온풍 순환 매트를 상기 송풍 장치의 송풍기 중심에 따라 절개한 절단면 모식도이다.
도19는 송풍 장치를 매트 본체 밖에 설치한 구조 모식도의 부분적 확대도면이다.
도면에서: 100-매트 본체, 200-송풍 장치;
10-송풍기, 20-PTC발열체 또는 발열체, 30-제어부, 40-제1연결부;
11-출풍구, 12-출풍 통로, 13-입풍구, 14-상단 가리개, 15-가이드 가리개, 111-출풍구 본체, 112-제2연결부, 121-상부 출풍 통로, 122-중간 출풍 통로, 123-하부 출풍 통로; 21-PTC고정틀 프레임;
110-송풍 통로층, 120-회풍 통로층, 130-회풍 차단층, 140-하층, 150-표층, 160-사이드 밴드, 170-온도 감지 센서, 180-송풍 관로, 190-송풍 차단층;
113-상부 송풍 통로층, 114-중간 송풍 통로층, 115-하부 송풍 통로층, 131-회풍 입구, 132-회풍 출구, 161-송풍 입구, 190a-제1송풍 차단층, 190b-제2송풍 차단층, 191-제1개구, 192-제2개구.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에 대하여 더 나아가 설명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에만 사용할 뿐 본 발명의 범위 한정에 사용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 나아가 설명한다.
실시예1.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도1 내지 도4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는,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 순환 매트 내부로 송풍하는데 사용되며, 송풍기(10), PTC발열체(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송풍기(10)는 입풍구(13)과 출풍구(11)를 가지고, 상기 출풍구(11)에는 세개 층의 중공인 출풍 통로(12)가 설치되며, 각각: 상부 출풍 통로(121), 중간 출풍 통로(122) 및 하부 출풍 통로(123)이다. 상기 중간 출풍 통로(122) 내에 하나의 상기 PTC발열체(20)를 설치하고, 상기 송풍기(10)과 PTC발열체(20)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송풍 장치가 온풍을 공급할 때, 상기 PTC발열체(20)가 설치된 중간 출풍 통로(122)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PTC발열체(20)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PTC발열체(20)가 설치되지 않은 상부 출풍 통로(121)와 하부 출풍 통로(123)를 지나는 바람은 동시에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상기 상부 출풍 통로(121)와 하부 출풍 통로(123)를 지나는 바람의 온도는 상기 중간 출풍 통로(122)를 지나는 바람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매트 본체의 입풍 부위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 부위의(즉 상기 출풍구에 인접한 온풍 순환 매트의 온도가 비교적 높은 부위) 높은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어, 매트 내부 열량 전달을 더 균일하게 하며, 매트 본체 입풍 부위의 부분적 온도가 너무 높아 일으킬수 있는 저온 화상 위험을 해결한다. 이와 동시에, 차단층 및 하층은 별도로 매트 본체 입풍 부위에서 두께를 늘려 부분적 입풍 부위의 온도가 너무 높은 문제를 극복하는 필요가 없기에, 매트 본체 표면이 더 평평하고, 편안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송풍 장치는 구조가 치밀하고, 부피가 작으며, 소음이 적고, 작업 효율이 높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 세개 층의 중공인 출풍 통로(12)는 다른 형식의 세 갈래의 송풍 통로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좌우 배치, 즉 각각 좌측 출풍 통로, 중간 출풍 통로 및 우측 출풍 통로로 설치하며, 물론, 세개 층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12)는 종래기술 중 실행 가능한 다른 배치 형식일 수도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풍 통로(12)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고 적어도 두 갈래여야 한다.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출풍 통로(12)의 개수 및 적어도 두 갈래의 출풍 통로(12)의 배치 형식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도(예를 들면 원주 배치이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출풍 통로가 중간에 있으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출풍 통로가 밖에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더 적합한 발열체는 패드형 발열체, 로드형 발열체 또는 나선형 발열선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매트 본체의 입풍 부위의 냉각의 작용을 실현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PTC발열체 (20)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PTC발열체(20)의 개수를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PTC발열체(20)를 서로 다른 출풍 통로(12)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풍구(11)는 적어도 세 갈래의 중공인 출풍 통로를 설치하고, 적어도 그 중 하나의 상기 출풍 통로(12) 내에 상기 PTC발열체(20)를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면, 출풍 통로(12)의 개수가 더 합리적이고, 구조가 간단하며, 가공이 편리하고, 상기 PTC발열체(20)가 설치된 출풍 통로(12) 내의 바람의 온도가 더 낮게 되어, 송풍 장치 및 매트 본체의 입풍 부위의 냉각에 더 유리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PTC발열체(20)의 개수는 1개이고, 상기 PTC발열체의 발열 공율과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 등 파라미터 조정을 통하여 상기 가열된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PTC발열체는 종래기술 중의 다른 발열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발열 필름, 발열 패드 또는 발열선 중의 하나로 대체할수 있다.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된 출풍 통로(12)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동시에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진입한다. 하지만 상호 비하면, PTC발열체는 열저항이 작고, 열 교환 효율이 높으며, 발열에 명화가 없고, 특유의 자체 온도 제한 기능과 비교적 높은 안전성이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필름은 종래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열 필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금속발열 필름, 그래핀 발열 필름 등일 수 있고, 폴리이미드 금속 발열 필름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열 패드는 세라믹 발열 패드, 실리카겔 발열 패드, 운모 발열 패드, MCH발열 패드, 실리콘 전도 발열 패드, 카본 발열 패드, 알루미늄박 발열 패드 등 일 수 있고, 세라믹 발열 패드가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이해하기 쉬운 것은, 상기 제어부(30)는 종래기술 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제어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부품(예를 들면 고무 케이스) 내에 온도 감지 장치를 설치한 제어형 전기 담요의 온도 제어기와 온도 제어 방식일수 있고, 통상적으로 두 가지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데:
(가). 온도 변화에 따라 입력 파워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
(나). 설정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켜고 끄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는 설정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켜고 끄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그 중 한가지 작동 방식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송풍 장치(200)를 가동하고, 상기 매트 본체(100)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1℃ 높은 온도에 미달시, 상기 PTC발열체(20)와 상기 송풍기(10)는 정상 작동하고, 상기 매트 본체(100)는 가열 상태에 있고;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1℃ 높은 온도에 도달시, 상기 PTC발열체(20)와 상기 송풍기(10)는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매트 본체(100)는 냉각 상태에 있으며; 상기 매트 본체(100)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1℃ 낮은 온도로 하강시, 상기 PTC발열체(20)와 상기 송풍기(10)는 작동을 재개하고, 상기 매트 본체(100)은 가열 상태에 있으며; 이렇게 반복적으로 상기 PTC발열체(20)와 상기 송풍기(10)의 작동 상태를 가동, 정지하여, 매트 본체(100)가 비교적 작은 온도차 범위 내에서 상대항온을 유지하게 하여, 편안한 수면에 적절한 최적의 체감 온도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30) 내에 온도 제어 회로 기판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기(10), PTC발열체(20), 및 상기 매트 본체(100) 내에 설치한 온도 감지 센서(170)는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과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매트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매트 본체(100)와 일체가 되도록 할수 있고; 별도의 온도 제어기의 형식으로 상기 매트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선을 통하여 상기 송풍 장치(200)와 연결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0)는 별도의 온도 제어기 형식이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모든 제어는 전부 온도 제어기에 집중되어, 제어 수단을 단순화하였고, 작동이 간편하다.
도2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TC발열체(20)는 PTC고정틀 프레임(21)을 통하여 상기 출풍 통로(12) 내에 고정하여 설치된다.
도3 및 도4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부 바람직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제1연결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40)의 일 단부는 상기 출풍구(11) 내 상기 PTC발열체(20)가 설치된 중간 출풍 통로(122)와 연결되며; 다른 한 단부는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송풍 통로층과 연통된다.
상기 송풍 통로층 내에 송풍 관로를 설치할 시, 상기 제1연결부(40)의 다른 한 단부는 송풍 관로와 연결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부(40)는 전체적으로 선형 구조이고; 상기 선형 구조의 비교적 작은 구경 단부는 상기 PTC발열체(20)가 설치된 송풍 통로와 연결되며, 비교적 큰 구경 단부는 송풍 관로와 연결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상기 송풍 관로의 개수 및 구경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의 비교적 큰 구경 단부의 사이즈 및 모양을 원활하게 배치할 수 있고, 열풍 공급의 효율 및 상기 송풍 관로의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상기 제1연결부(40)는 전체가 직통형과 나팔형일 수도 있고, 이 때, 송풍 관로를 두 줄 또는 여러 줄 적층하여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쉽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종래기술 중의 다른 실행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종래기술에서, 상기 송풍 관로와 상기 제1연결부(40)의 구체적 연결 형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제1연결부(40)의 다른 한 단부 내에 송풍 관로 플러그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관로 플러그 포트와 상기 송풍 관로는 삽입 연결된다는 것을 알기 쉽다.
도5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부 바람직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출풍구(11)는 출풍구 본체(111), 및 상기 출풍구 본체(111)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출풍 통로(12)는 전부 상기 제2연결부(11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112) 내의 상기 PTC발열체(20)가 설치된 출풍 통로(12)는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상기 PTC발열체(20) 또는 상기 제2연결부(112)의 설치와 교체가 필요할 시, 상기 제2연결부(112)만 설치와 분해하면 되기에, 설치와 정비가 더 편리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부(112)의 양단부는 플러그 포트를 가지고, 상기 제2연결부(112)는 플러그 포트를 통하여 상기 출풍구 본체(111)와 제1연결부(40)에 연결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상기 제2연결부(112)의 설치와 분해가 매우 편리해진다.
도6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부 바람직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상단 가리개(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가리개(14)는 상기 출풍구(11)의 상단 표면에 고정한다.
매트 본체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매트 본체 내부의 상기 출풍구(11) 상단 표면과 인접한 층면이 무너져 상기 출풍구(11)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송풍 장치(20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2. 온풍 순환 매트
도5, 도7 내지 도9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풍 순환 매트의 기본 구조는 매트 본체(100) 및 실시예1의 송풍 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출풍구(11)는 출풍구 본체(111) 및 상기 출풍구 본체(111)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 제2연결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출풍 통로(12)는 전부 상기 제2연결부(112) 내에 설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112) 내에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된 출풍 통로(12)는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 중:
상기 매트 본체(100)는 입체 그물망 구조를 가진 송풍 통로층(110) 및 회풍 통로층(120)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회풍 통로층(120) 사이에는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회풍 통로층(120)을 분리하고, 동시에 단열 보온 작용을 하는 회풍 차단층(130)이 설치되며; 상기 회풍 차단층(130)에 회풍 입구(131)를 설치한다.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는 상기 제2연결부(112)를 통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연통되고, 상기 송풍 장치(200)가 제공하는 바람은 상기 출풍구(11)에서 상기 제2연결부(112)를 통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110)으로 진입한 후, 상기 회풍 입구(131)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120)으로 진입한다.
당업자가 이해하기 쉬운 것은, 상기 송풍 장치(200)의 입풍구(13)에 진입하는 바람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일 수도 있고, 상기 회풍 통로층(120)에서 순환하여 돌아온 바람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자 모두 있으며, 즉: 상기 회풍 통로층(120)을 지나는 바람은 소부분이 매트 본체의 외부 환경으로 침투되고, 대부분은 상기 송풍 장치(200)의 입풍구(13)를 거쳐 상기 송풍 통로층(110)으로 순환하여 돌아가며, 소량의 외부 환경의 신선한 공기는 동시에 상기 송풍 장치(200)의 입풍구(13)로 진입하여, 풍량의 보충을 실현한다.
도7 내지 도9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회풍 차단층(130)은 상기 송풍기(10)의 입풍구(13)의 위에 회풍 출구(132)를 설치하고, 상기 회풍 통로층(120)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회풍 출구(132)를 통하여 상기 입풍구(13)로 진입하여, 순환 송풍을 실현한다.
이 때, 상기 송풍 장치(200)는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일 단에 삽입하여 설치된다. 상기 송풍 장치(200)가 제공한 바람은 직접, 빠르게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에 진입할 수 있고, 상기 회풍 통로층(120)을 거쳐 순환되는 회풍은 상기 회풍 차단층(130)의 회풍 출구(132)에서 아래로 상기 송풍기(10)의 입풍구(13)로 흘러 들어가, 순환 송풍을 실현한다. 물론, 도19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장치(200)는 상기 매트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회풍 출구(132)는 사이드 밴드(160) 일 측면에 설치하고, 회풍 관로(도면에 예시 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입풍구(13)와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도9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 본체(100)는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밑에 부설한 보온 단열 기능을 가진 하층(140), 및 상기 회풍 통로층(120)의 위에 부설한 표층(150), 및 사이드 밴드(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층(140), 송풍 통로층(110), 회풍 차단층(130), 회풍 통로층(120) 및 표층(150)의 외부 변두리는 상기 사이드 밴드(160)로 감싸준다.
상기 송풍 장치(200)는 상기 매트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매트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 도19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 본체(100) 일 측의 사이드 밴드(160) 측면 부위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송풍 입구(161), 및 회풍 출구(132)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입구와 상기 송풍 통로층(110)은 연통되며; 상기 회풍 출구(132)와 상기 송풍 장치(100)의 입풍구(13)는 연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송풍 장치(200)는 상기 매트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는 상기 송풍 입구(161)와 연통되거나, 또는 출풍구(11)는 상기 송풍 입구(161)를 거쳐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에 삽입하고, 상기 회풍 출구(132)는 상기 송풍 장치(100)의 입풍구(13)와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도7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회풍 통로층(120)에 온도 감지 센서(170)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온도 제어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170), 상기 송풍기(10) 및 상기 발열체(20)는 각각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과 연결된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170)는 상기 회풍 통로층(12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에 피드백하여, 상기 매트 본체(100)의 온도 측정과 제어에 유리하다.
상기 제어부(30)는 종래 온도 제어 기술 중 통상적인 타이머 기능을 가진 온도 제어기이다. 본 실시예가 사용한 온도 제어기는 타이창 다펑 전자기 유한회사(太倉大豊電器有限公司)에서 생산한 모델 넘버가 MOT-6320B인 온도 제어형 온도 제어기이다. 구체적인 작동 절차는 다음과 같다:
1)"전원" 버튼을 누르면 온도 제어기가 켜 짐과 동시에, 송풍 장치(200)를 가동하여 작동을 시작하며, 다시 "전원" 버튼을 누르면 온도 제어기가 꺼지고, 송풍 장치(200)는 작동을 멈춘다.
2)온도 제어기가 켜진 상태에서 "기능" 버튼을 누르면 온도 지시등이 켜지고, 이때 "+", "-" 버튼을 눌러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온도 설정 완료 3초 후 온도 제어기는 현재 온도 표시로 되돌아 간다. 설정 온도가 현재 온도보다 높을 때, 온도 제어기는 가열을 시작하고, 이때 가열지시등이 켜지고; 설정 온도가 현재 온도보다 낮을 때, 온도 제어기는 가열을 정지하고, 가열 지시등이 꺼진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켜고 꺼지면서 상대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3) "기능" 버튼을 누른 후 타이머 지시등이 켜지고, 이때 "+", "-" 버튼을 눌러 타이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타이밍 시간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 3초 후 온도 제어기는 현재 온도 표시로 되돌아 간다. 타이밍 시간이 지난 후, 온도 제어기는 가열을 정지하고 "--"로 표시한다.
4) 메모리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매번 가동시 이전에 설정한 온도와 시간 설정값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매번 잠들기 전의 반복 설정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5) 온도와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수 있다. 감기, 찜질 등 시나리오에서, 설정 온도 등을 적절하게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바디 난방 제품 필수 기능으로서의 더 간편한 설정과 작동을 실현하였고,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 건강 바디 난방 제품을 필수로 하는 사람들에게 더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도10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에 상기 상단 가리개(14)를 설치한다. 상기 상단 가리개(14)는 상기 출풍구(11)의 상단 표면에 고정한다. 매트 본체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매트 본체 내부의 상기 출풍구(11) 상단 표면과 인접한 층면이 무너져 상기 출풍구(11)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송풍 장치(20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도11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가리개14와 유사하게, 서로 인접한 송풍 통로(12)사이에 밖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가리개(15)를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가리개(15)는 상기 송풍 통로의 바람을 유도하여, 송풍이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상기 회풍 통로층(120)은 종래기술 중 입체 그물망 구조를 가진 재료층을 사용하여, 통풍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고, 동시에 일정한 지지 경도를 소유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상기 회풍 통로층(120)은 큰 구멍 그물형 해면층, 입체 망사층, POE 고분자 3D 분사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다.
상기 회풍 차단층(130)은 종래기술 중 통상적인 바람막이, 단열 및 보온 효과를 가진 재료층을 사용한다.
상기 회풍 차단층(130)은 바람직하게 네오프렌 원단층, 침자면층, 방직 원단층, 부직포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EVA층, XPE층, EPE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층(140)은 바람직하게 종래기술 중 보온 단열 기능을 가진 재료층을 사용하고; 상기 하층(140)은 네오프렌 원단층, 누비 원단층, EVA복합 원단층, 해면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다.
상기 표층(150)은 종래기술 중 통상적인 표층이고, 예를 들면 화학섬유 원단층, 순면 원단층이다. 상기 표층(150)은 바람직하게 방직 원단층, 누비 원단층, 삼중직 원단층, 가죽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층(140)의 하부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POE 고분자 3D 분사층은 POE 플라스틱 장치 압출 생산라인에서 생산 제조하여 얻은 탄성 재료층이고, 그 내부는 매우 풍부한 불규칙적으로 엉켜져 있는 분사형 구멍 구조를 가지고, 뛰어난 탄성 복원 성능을 가지고, 통상적으로 탄성 매트리스 제조에 사용된다.
입체 망사층은 더블 니들 바 경편 망사이고, 상하 두개 층의 경편 망사와 중간에 이들을 연결하는 폴리 단사로 구성된 입체 그물형 구조이다. 통상적으로, 상하 양면은 폴리이고, 중간 연결사는 폴리 단사이며, 두께는 보통 2~20mm이다. 그 특유의 양면 그물망 및 중간 3D "X-90도" 단사 지지 구조로 형성된 수백만 개 지지점은, 내부 공기가 자유롭게 흐르는 펀칭 모양 입체 구조 및 양호한 지지와 탄성 복원 성능을 나타낸다.
EVA층: EVA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초산 아세테이트)공중합체이고, 일종 발포 재료이며, 유아용 바닥 매트, 보온 매트 등에 널리 사용된다.
XPE층: XPE는 화학가교 폴리에틸렌 발포 재료이다. XPE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에 가교제와 발포체를 추가하여 고온 연속 발포를 거쳐 만들어진 폴리에틸렌 발포 재료층이다.
EPE층: EPE는 발포 폴리에틸렌이고, 발포비닐이라고도 부르는, 비가교 폐공 구조이다. EPE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여 압출 생성한 고거품 폴리에틸렌층이다.
EVA복합 원단층은 EVA 재료와 원단 등 재질을 접착하거나 초음파 등 기술을 사용하여 일체로 복합한 원단층이다.
해면 복합 원단층은 해면과 원단 등 재질을 접착하거나 초음파 등 기술을 사용하여 일체로 복합한 원단층이다.
본 실시예의 온풍 순환 매트는, 사용시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1) 상기 제어부(30)를 통하여 상기 송풍 장치(200)를 가동하고, 상기 발열체(20)를 발열시키며, 상기 발열체(20)에 의하여 가열된 온풍과 가열을 거치지 않은 자연풍은 각자의 출풍 통로(12)를 따라 상기 송풍 통로층(110)으로 진입한 후, 상기 회풍 입구(131)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120)에 진입한다. 온풍은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회풍 통로층(120)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열량의 균일 분포를 실현하고, 상기 회풍 통로층(120)을 거친 후의 바람은 대부분 회풍 출구(132)를 통하여 상기 입풍구(13)에 진입하여, 순환 송풍을 실현한다.
(2) 상기 제어부(30)는 온도 감지 센서(170)를 통하여 상기 회풍 통로층(120) 내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다시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의 온도 제어 모듈을 통하여, 상기 발열체(20)와 송풍기(10) 작동의 가동, 정지를 제어하여, 상기 매트 본체(100)의 온도를 제어한다.
실시예3. 온풍 순환 매트
도12 및 도13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본 구조는 실시예2와 동일하고 구별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에 다수의 송풍 관로(180)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송풍 관로(180)의 일 단부는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12)와 연통된다.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12)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고, 상기 송풍 관로(180)를 통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부로 공급되어, 열량 전달 효율과 열량 전달 거리를 향상시키고;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12)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부의 상기 송풍 관로(180)의 외곽으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춘다.
도14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에 상기 상단 가리개(14) 및 하단 가리개(16)를 설치한다. 상기 상단 가리개(14) 및 하단 가리개(16)는 각각 상기 출풍구(11)의 상단 표면과 하단 표면에 고정한다. 매트 본체의 재질이 통상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를 통하여, 매트 본체 내부의 상기 출풍구(11) 상단 표면과 인접한 층면이 무너져 상기 출풍구(11)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상기 매트 본체 내부의 상기 출풍구(11) 하단 표면과 연결된 층면이 볼록 튀어나와 상기 출풍구(11)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송풍 장치(200)의 송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 위험을 줄인다.
당업자는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부의 열량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기 쉽다.
도15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송풍 관로(180)의 관벽에 다수의 송풍 구멍을 설치한다. 당업자는 상기 매트 본체(200)의 사이즈 및 상기 매트 본체(200) 표면의 부동한 구역의 온도 분포 상황에 따라, 상기 송풍 배관(180)의 구경, 개수 및 길이, 그리고 매 한조 상기 송풍 구멍마다의 위치 및 상기 송풍 구멍의 구경을 원활하게 배치하여, 상기 매트 본체(200)의 부동한 구역의 열량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상기 매트 본체(2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를 최소화할수 있다.
도16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기 송풍 관로(180)의 말단은 온풍 출구를 가지고, 상기 매트 본체(200)의 사이즈 및 상기 매트 본체(200) 표면의 부동한 구역의 온도 분포 상황에 따라, 상기 송풍 관로(180)의 구경, 개수 및 길이를 원활하게 배치하여, 상기 매트 본체(200) 부동한 구역의 열량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상기 매트 본체(2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를 최소화할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가지 상황의 결합일 수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 중 다른 실행 가능한 형식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풍 관로(180)의 모양과 재료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리카겔 호스 또는 플라스틱 호스를 상기 송풍 관로(180)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싱글 캐비티 배관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더블 캐비티 배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온풍 순환 매트는, 사용시 다음과 같이 작동할수 있다:
(1) 상기 제어부(30)를 통하여 상기 송풍 장치(200)를 가동하고, 상기 발열체(20)를 발열시키며, 발열체(20)를 지나 가열된 온풍은 출풍 통로(12)를 따라 상기 송풍 배관(180)으로 진입하고, 상기 송풍 배관(180)을 거쳐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로 수송되며, 상기 출풍구(11)와의 거리가 멀수록, 수송되는 열풍량은 더 많다. 가열되지 않은 자연풍은 그의 출풍 통로(12)를 따라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 상기 송풍 관로(180)의 외곽에 진입한 후, 상기 회풍 입구(131)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120)으로 진입한다. 온풍은 상기 회풍 통로층(120)내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유동 분포되고, 상기 회풍 통로층(120)을 지난 후의 바람은 대부분 회풍 출구(132)를 통하여 상기 입풍구(13)로 진입하여, 순환 송풍을 실현한다.
(2) 상기 제어부(30)는 온도 감지 센서(170)를 통하여 상기 회풍 통로층(120) 내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측하고, 다시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의 온도 제어 모듈을 통하여, 상기 발열체와 송풍기 작동의 가동, 정지를 제어하여, 상기 매트 본체(100)의 온도를 제어한다.
실시예4. 온풍 순환 매트
도17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본 구조는 실시예2와 동일하고 구별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 통로층(110)은 상부 송풍 통로층(113), 중간 송풍 통로층(114) 및 하부 송풍 통로층(115)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상기 상부 송풍 통로층(113), 중간 송풍 통로층(114) 및 하부 송풍 통로층(115) 사이에는 각각 제1송풍 차단층(190a)과 제2송풍 차단층(190b)이 부설되며; 상기 제1송풍 차단층(190a)과 제2송풍 차단층(190b)은 각각 상기 회풍 입구(131) 밑에 제1개구(191)와 제2개구(192)를 설치하고; 하부 송풍 통로층(115), 중간 송풍 통로층(114)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제1개구(191)와 제2개구(192)를 통하여, 상기 상부 송풍 통로층(113)을 지나는 바람과 합류하여, 상기 회풍 입구(131)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120)에 진입한다.
대응되게,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에는 상, 중, 하 세 개의 층이 중공인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20)는 중간 한 층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된 중간 한층의 상기 출풍 통로(122)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중간 한층의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되지 않은 상, 하 두 개 층의 상기 출풍 통로(121, 123)를 지나는 바람은 각각 상부 송풍 통로층(113)과 하부 송풍 통로층(115)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춘다.
물론, 당업자는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층수는 제한되지 않고 적어도 두개 층이라는 것을 알기 쉽다.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층수를 합리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인접한 두개 층의 송풍 통로층(110) 사이에는 송풍 차단층이 부설되며; 상기 송풍 차단층의 상기 회풍 입구(131) 밑에 개구가 설치되고; 적어도 두개 층의 송풍 통로층(110)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개구 및 회풍 입구(131)를 통하여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120)에 진입한다.
대응되게,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12)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20)는 그 중 하나의 상기 출풍 통로(12)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12)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그 중 하나의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발열체(20)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각각 나머지 상기 송풍 통로층(110)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춘다.
설명이 필요한것은, 상기 송풍차단층은 종래기술 중 통상적인 바람막이, 단열 및 보온 효과를 가진 재료층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 네오프렌 원단층, 침자면층, 방직 원단층, 부직포층, 해면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EVA층, XPE층, EPE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다.
실시예5. 온풍 순환 매트의 온도 측정 시험
종래기술에서,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단과 말단 사이의 온도차는 통상적으로 10℃보다 크지 않으면 가열 균일 효과가 비교적 좋다고 할수 있고, 5℃보다 크지 않으면 가열 균일 효과가 매우 좋다고 할수 있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에서, 상기 송풍 통로층(110)과 회풍 통로층(120)은 전부 입체 망사층을 사용한다. 상기 매트 본체(100)의 길이Х너비Х두께는 200Х100Х4cm이고; 상기 송풍 장치(200)의 출풍구(11)는 출풍구 본체와 제2연결부로 구성되고; 제2연결부 내에 상, 중, 하 세개 층의 출풍 통로를 설치하고, PTC발열체는 중간 출풍 통로 내에 설치하며, PTC발열체가 설치된 중간 출풍 통로에서 불어 나오는 열풍의 온도는 80℃이고, 풍속은 4.5m/s이다.
실시예3은 6개의 송풍 배관(180)을 사용하고, 매 하나의 송풍배관(180)의 내경은 10mm, 외경은 13mm, 길이는 135cm~145cm이며; 매 하나의 송풍 배관(180)의 배관벽에는 4~6세트의 송풍 소공이 설치되고, 송풍 소공의 구경은 4mm이며, 매 세트는 두 개의 구멍이다. 상기 송풍 배관(180)은 싱글 캐비티 실리카겔 호스이다.
실시예4의 송풍 통로층(110)은 상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과 하부 송풍 통로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 장치(200)는 상기 매트 본체(100)의 입풍단 좌측에 설치하고, 온도 감지 센서(170)는 매트 본체(200)의 가운데 중간 부위에 설치하며, 상기 매트 본체(100)의 표면에는 이불을 펴고, 시험 환경 온도는 26℃이고, 상기 제어부(30)의 설정 온도는 50℃이다. 상기 송풍 장치를 30분 및 60분간 가동 한 후, 다수의 센서가 있는 온도 측정기로 상기 매트 본체(100)의 표면의 부동한 구역의 온도를 측정하고, 결과는 표1 및 표2에 예시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1에서 보아낼 수 있듯이, 30분간 송풍 한 후,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의 세가지 온풍 순환 매트는 전부 온풍 순환 매트의 가열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고, 입풍단 좌측의 온도는 39-40℃ 범위내에 있으며, 송풍 통로에서 불어 나오는 열풍 온도 80℃보다 훨씬 작고, 이러한 온도 조건은 인체에 저온 화상을 완전히 일으키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의 세가지 온풍 순환 매트의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는 비교적 작다.
표1의 데이터 계산에서 알수 있듯이, 실시예2의 입풍단과 말단의 최대 온도차는 10℃이고; 실시예3의 입풍단과 말단의 최대 온도차는 5℃이며; 실시예4의 입풍단과 말단의 최대 온도차는 9℃이다. 실시예2의 중간, 우측의 온도 값은 전부 실시예3 및 실시예4보다 낮다. 이로써 실시예3과 실시예4의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가 더 작고, 실시예3의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가 가장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0분간 송풍 후, 실시예3의 온풍 순환 매트의 온도 분포는 비교적 좋은 효과에 도달하였다.
표2에서 보아낼 수 있듯이, 60분간 송풍 후,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의 세가지 온풍 순환 매트는 전부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가열을 실현할 수 있고, 입풍단 좌측의 온도는 46-48℃ 범위에 있으며, 송풍 통로에서 불어 나온 열풍 온도는 80℃보다 작다. 실시예2 내지 실시예4의 세가지 온풍 순환 매트의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는 비교적 작다.
표2의 데이터 계산에서 알수 있듯이, 실시예2의 입풍단과 말단의 최대 온도차는 18℃이고, 실시예3의 입풍단과 말단의 최대 온도차는 5℃이며, 실시예4의 입풍단과 말단의 최대 온도차는 10℃이다. 실시예2의 중간, 우측의 온도 값은 전부 실시예3 및 실시예4보다 낮다. 이로써 실시예3과 실시예4의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는 더 작고, 실시예3의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 사이의 온도차가 가장 작으며, 송풍 시간의 연장에 따라 실시예3의 매트 본체(100)의 전체 온도는 상승하지만, 최대 온도차는 기본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3의 상기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의 온도차가 가장 작고, 종래 조건에서는 바람직한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3의 가열시간은 바람직하게 30-60분간으로 제어하면, 매트 본체의 가열 온도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3을 60분간 가열한 온도는 진드기 제거에 적합하다.
물론, 당업자는 상기 회풍 차단층(130)과 상기 송풍 차단층(190)이 두꺼울수록 그 단열 성능이 더 좋고 상기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동한 구역의 온도차가 더 작다는 것을 알기 쉽다. 향후 회풍 차단층과 송풍 차단층 재질 성능의 향상과 개선에 따라, 상기 회풍 차단층(130)과 상기 송풍 차단층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얇은 상황에서 양호한 단열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면, 실시예2와 실시예4는 송풍 배관을 설치하는 해결 수단이 필요 없어, 구조가 더 간단하게 되고, 원가가 더 낮게 되며, 양호한 가열 효과를 실현할 수 있기에, 더 우수한 해결 수단이 아니라고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온풍 순환 매트는, 제습 진드기 제거시 온도 값을 45℃로 설정할 것을 권장하고, 수면시 설정 온도는 32~35℃로 설정하며 37℃를 초과하지 않을 것을 권장하며, 이는 입풍단 부분 온도 과열로 일으키는 저온 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풍 순환 매트는, 상기 송풍 통로층(110)의 입풍단 온도를 효과적으로 적절한 온도 범위로 낮출 수 있어, 상기 매트 본체(100) 표면의 부분 온도 과열로 일으키는 저온 화상을 방지할수 있기에, 인체 생명 안전을 확보하며, 인체 편안감을 최대한 향상시킨다. 동시에 본 발명의 매트 본체의 구조가 간단하여, 재료 원가를 줄일수 있고 생산 효율을 높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3의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단, 가운데 및 말단의 온도차는 전부 더 적절하여, 매트 본체 표면의 열량이 더 균형적이고, 편안감을 더 향상시키며; 내부 순환이 원활하여, 열에너지 이용률을 더 향상시키고, 에너지 소모를 더 낮춘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지만, 이는 범례로만 하고,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의 어떠한 본 발명에 대한 동등한 수정과 대체는 전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의 균등한 변환과 수정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하여야 한다.

Claims (18)

  1. 송풍기, 발열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송풍기는 입풍구와 출풍구를 가지고, 상기 출풍구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중공인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적어도 그 중 하나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상기 발열체를 설치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동시에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온풍 순환 매트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추고; 상기 송풍기 및 발열체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일 단부는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와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상기 온풍 순환 매트 내의 송풍 통로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전체적으로 선형 구조이고, 상기 선형 구조의 비교적 작은 구경 단부는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선형 구조의 비교적 큰 구경 단부는 상기 송풍 통로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풍구는 출풍구 본체, 및 상기 출풍구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풍 통로는 전부 상기 제2연결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풍구에는 세 갈래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중간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단 가리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 가리개는 상기 출풍구의 상단 표면에 고정되어, 매트 본체 내부의 상기 출풍구 상단 표면과 인접한 층면이 무너져 상기 출풍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PTC발열체, 발열 필름, 발열 패드 또는 발열선 중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8. 매트 본체,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하나의 항의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매트 본체는 3D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송풍 통로층 및 회풍 통로층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통로층과 상기 회풍 통로층 사이에는 상기 송풍 통로층과 회풍 통로층을 분리하고, 동시에 단열 보온 작용을 하는 회풍 차단층이 부설되고; 상기 회풍 차단층에는 회풍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는 상기 송풍 통로층과 연통되고, 상기 송풍 장치가 제공하는 바람은 상기 출풍구에서 상기 송풍 통로층으로 진입 한 후, 상기 회풍 입구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풍 차단층은 상기 입풍구 위에 회풍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회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회풍 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풍구로 진입하여, 순환 송풍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통로층 내에는 다수의 송풍 관로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송풍 관로의 일 단은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송풍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고, 상기 송풍 관로를 통하여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어, 열량 전송 효율 및 열량 전송 거리를 향상시키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의 상기 송풍 배관의 외부 주변으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통로층은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두 개의 송풍 통로층 사이에는 송풍 차단층이 부설되며; 상기 송풍 차단층은 상기 회풍 입구 밑에 개구가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의 송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개구 및 상기 회풍 입구를 통하여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하고;
    대응되게,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그 중 하나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그 중 하나의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각각 나머지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통로층은 상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 및 하부 송풍 통로층으로 구성되고; 인접한 상기 상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 및 하부 송풍 통로층 사이에는 각각 제1송풍 차단층과 제2송풍 차단층이 부설되고; 상기 제1송풍 차단층과 제2송풍 차단층은 각각 상기 회풍 입구 밑에 제1개구와 제2개구가 설치되고; 하부 송풍 통로층, 중간 송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은 상기 제1개구와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상부 송풍 통로층을 지나는 바람과 합류하여, 상기 회풍 입구를 거쳐 위로 상기 회풍 통로층으로 진입하고;
    대응되게, 상기 송풍 장치의 출풍구에는 상, 중, 하 세 개 층의 중공인 상기 출풍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발열체는 중간 한 층의 상기 출풍 통로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가 설치된 중간 한층의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중간 한층의 상기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발열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 하 두 개 층의 상기 출풍 통로를 지나는 바람은 각각 상부 송풍 통로층과 하부 송풍 통로층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송풍 통로층의 입풍 부위의 높은 온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는 상기 송풍 통로층 밑에 부설된 하층, 상기 회풍 통로층 위에 부설된 표층 및 사이드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층, 송풍 통로층, 회풍 차단층, 회풍 통로층 및 표층의 외부 변두리는 상기 사이드 밴드로 감싸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 일 측의 사이드 밴드 측면 부위에는 적어도 두 갈래의 송풍 입구, 및 회풍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 입구와 상기 송풍 통로층은 연통되며; 상기 회풍 출구와 상기 회풍 통로층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풍 통로 층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제어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 상기 송풍기 및 상기 발열체는 각각 상기 온도 제어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통로층 및 상기 회풍 통로층은 큰 구멍 그물형 해면층, 입체 망사층, POE 고분자 3D 분사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고;
    상기 회풍 차단층은 네오프렌 원단층, 침자면층, 방직 원단층, 부직포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EVA층, XPE층, EPE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차단층은 네오프렌 원단층, 침자면층, 방직 원단층, 부직포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EVA층, XPE층, EPE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은 네오프렌 원단층, 누비 원단층, EVA복합 원단층, 스폰지 복합 원단층, 에어로젤 원단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이고;
    상기 표층은 방직 원단층, 누비 원단층, 삼중직 원단층, 가죽층 중 하나 또는 다수 층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순환 매트.
KR1020200124986A 2019-10-10 2020-09-25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 KR102434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958903.3A CN112648672A (zh) 2019-10-10 2019-10-10 一种暖风循环垫用供风装置及暖风循环垫
CN201910958903.3 2019-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811A true KR20210042811A (ko) 2021-04-20
KR102434727B1 KR102434727B1 (ko) 2022-08-19

Family

ID=7534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986A KR102434727B1 (ko) 2019-10-10 2020-09-25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92395B2 (ko)
KR (1) KR102434727B1 (ko)
CN (1) CN1126486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3651A (zh) * 2022-01-27 2023-03-21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一种通风复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650U (ja) * 1981-12-14 1983-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風発生装置
CN208725264U (zh) * 2017-10-17 2019-04-12 朴光哲 利用冷暖风降温或加热的冷暖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8373B2 (ja) 2005-05-31 2007-08-29 清史 高木 温度調整マット
US20110041246A1 (en) 2009-08-20 2011-02-24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temperature regulated cushion structure
TWI636752B (zh) 2017-03-30 2018-10-01 郭春富 墊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650U (ja) * 1981-12-14 1983-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風発生装置
CN208725264U (zh) * 2017-10-17 2019-04-12 朴光哲 利用冷暖风降温或加热的冷暖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92395B2 (ja) 2022-06-28
JP2021062204A (ja) 2021-04-22
KR102434727B1 (ko) 2022-08-19
CN112648672A (zh)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081B2 (en) Climate controlled mattress system
RU2600306C2 (ru) Многозональная матрасная опора с управляемой температурой
CA2338970A1 (en) Cooling pillow, cooling clothes and cooling helmet
TWM550087U (zh) 空調床墊
WO2001015573A1 (fr) Literie, coussin, matelas, chaise, vetements et chaussures refroidis
KR102434727B1 (ko) 온풍 순환 매트용 송풍 장치 및 온풍 순환 매트
JP2008289654A (ja) 温度調節マットレス
CN209932130U (zh) 一种智能温控床
US20060198617A1 (en) Portable bed warmer
CN211021178U (zh) 一种智能空调鞋
CN208176408U (zh) 一种蓄热枕装置
CN211177013U (zh) 一种暖风循环垫用供风装置及暖风循环垫
TWM608590U (zh) 透氣溫控床墊機構
KR101428518B1 (ko) 상부 및 하부 통기성 구조체를 구비한 공기 대류구조의 온열매트
CN207837300U (zh) 一种空调被袋
CN212489270U (zh) 一种结合石墨烯加热层的智能温控床垫
CN215838056U (zh) 温控床铺通道连接结构及多功能智能温控床铺
CN111466754A (zh) 一种智能温控的被子
CN215738028U (zh) 石墨烯智能控温床暖垫控制系统
CN219109072U (zh) 一种床板单元、床板通风系统及电动床
CN212755119U (zh) 一种带有加湿器的水暖水冷两用毯
CN219995550U (zh) 基于人体分区温度可调的供暖装置
CN212755118U (zh) 一种水暖水冷两用毯
CN215226274U (zh) 一种通风坐垫
JPS5911328Y2 (ja) 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