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726A -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 Google Patents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726A
KR20210042726A KR1020190125643A KR20190125643A KR20210042726A KR 20210042726 A KR20210042726 A KR 20210042726A KR 1020190125643 A KR1020190125643 A KR 1020190125643A KR 20190125643 A KR20190125643 A KR 20190125643A KR 20210042726 A KR20210042726 A KR 2021004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wire
outer sleeve
inner support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승필
이현주
이승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2726A/en
Publication of KR2021004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7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increase a local compression forc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lectric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sleeve having a space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accommodated is provided, and a bind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to a predetermined depth. 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sleev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electric wire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includes: the outer sleeve (11) in which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 wire is formed; and an inner support (12)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outer sleeve (11),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11).

Description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Crimping sleeve to prevent separation of electric w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본 발명은 전선을 연결하는 부위에 적용되는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되는 전선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압착력이 증가시킨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applied to a portion connecting wir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crimping sleeve that prevents the detachment of the wire with increased local crimping force in order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선의 직선연결, 분기연결 또는 터미널연결 등을 위해 전선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압착 슬리브가 사용되고 있다.A crimping sleeve is used in the area where the wires are connected for straight line connection, branch connection, or terminal connection of wires.

상기 압착 슬리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는 서로 연결되는 전선의 형태,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가 고정되는 부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압착 슬리브(10)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A형 압착 슬리브(10)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의 역할을 하면서 바로 구조물 등에 고정될 수 있는 단말 터미널(130)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이하, '단말 터미널'도 포함).The compression sleeve is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rimping sleeves 110 and 120 are in the form of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shaped crimping sleeve 10 or Fig. 2 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portion to which the crimping sleeves 110 and 120 are fixed. It may be formed as the A-type compression sleeve 10 as show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erminal terminal 130 that can be directly fixed to a structure or the like while serving as a sleeve (hereinafter, also includes a'terminal terminal').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는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력에 의해 내부에서 전선을 고정한다.The crimping sleeves 110, 120, and 130 fix the wires from the inside by a crimping force that compresses the wires.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는 이종(異種) 또는 이형(異形)의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 종종 전선이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계통사고를 전파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crimping sleeves 110, 120, and 130 connect different or different types of electric wires, a phenomenon in which the electric wires are often separated from the crimping sleeves 110, 120, and 130 occurs. However, this has a problem that a system accident is propagated or a safety accident occur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압착 슬리브(110)(120)(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압착력을 가지므로, 압착력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mpression sleeves 110, 120, and 130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the same compression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compression force.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는 알루미늄, 구리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단일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는 길이 방향에 동일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착력을 늘이는 것은 전선의 손상, 시공상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었다.The compression sleeves 110, 120, and 130 are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such as aluminum and copper, and are manufactured using a single material, and the compression sleeves 110, 120, and 130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the same mechanical strength. Therefore, increasing the crimping forc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wire has a limitation due to damage to the wire, difficulties in construction, and the like.

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에 별도의 구성요소를 추가하는 경우, 전선의 결속력은 향상될 수는 있으나, 상기 압착 슬리브(110)(120)(130)의 구조가 복잡해져, 시공절차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Or,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a separate component is added to the crimping sleeve 110, 120, 130, the binding force of the wire may be improved, but the crimping sleeve 110, 120, 1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procedure becomes complicated.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압축 슬리브 탈락방지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the'compression sleeve drop-off prevention device'.

KR 10-2012-0012263 A (2012.02.09)KR 10-2012-0012263 A (2012.02.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결속된 전선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서포트에 의해 반복되면서 국부적으로 압착력을 높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repeated by an internal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bound wires, and a crimping sleeve that prevents separation of the wires with locally increased crimping for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re is a purpose to provide.

이와 같이, 전선이 압착 슬리브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전선의 이탈로 인한 전력게통의 사고,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a phenomenon in which the wire is separated from the crimping sleeve is prevented, an accident of a power distribution and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wire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는, 전선의 연결부위에서 전선의 외부를 감싸는 압착 슬리브에 있어서,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측면에는 정해진 깊이로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rimping sleev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wire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an outer sleeve in which a space in which the wire is accommodated is formed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ind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결속홈은 상기 전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nd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wire.

상기 결속홈은 상기 외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nd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eatedly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상기 결속홈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nd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piral.

상기 결속홈은 상기 전선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nd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상기 결속홈은 상기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된 소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꼬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nd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twis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disposed at the outermost of the wire.

상기 외부 슬리브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내부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lectric wire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outer sleev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support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외부 슬리브 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outer sleeve.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외부 슬리브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in a form expos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leeve.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전선과 수직한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is dispos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wire to pressurize a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외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eatedly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상기 내부 서포트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o press the side of the wire.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전선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된 소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꼬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twis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disposed at the outermost of the wire.

상기 외부 슬리브와 상기 내부 서포트가 접하는 면에 주석 또는 아연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in or zinc is applied to a surface where the outer sleeve and the inner support are in contact.

한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은, 압출 다이스에 외부 슬리브를 장착하는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 슬리브에 삽입될 내부 서포트를 준비하는 내부 서포트 준비 단계와, 상기 내부 서포트와 상기 외부 슬리브를 상기 압출 다이스를 통하여 압출시키는 압출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includes an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of mounting an outer sleeve on an extrusion die, an inner support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n inner support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and the inner support. And an extrusion step of extruding the outer sleeve through the extrusion die.

상기 압출 단계는, 상기 내부 서포트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부피비로 압착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 서포트를 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rus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pport is extruded by adjusting the compression speed in a volume ratio so that the inner supports are arranged at intervals.

상기 압출 단계는 정해진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rus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extruding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상기 압출 단계 이후, 상기 압출 다이스를 통과한 압착 슬리브를 정해진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extrusion ste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compression sleeve passed through the extrusion di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열처리 단계는 500

Figure pat00001
내지 600
Figure pat00002
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treatment step is 500
Figure pat00001
To 600
Figure pat00002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eatment with.

상기 열처리 단계 이후에는 상기 압착 슬리브를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compression sleeve to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은, 외부 슬리브를 준비하는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 슬리브에 내부 서포트가 삽입될 삽입홈을 형성하는 서포트홈 형성 단계와, 상기 삽입홈에 상기 내부 서포트는 삽입하는 내부 서포트 삽입 단계와, 상기 내부 서포트가 삽입된 외부 슬리브의 단부를 굽혀 상기 굽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n outer sleeve to prepare an outer sleeve, a step of forming a support groove to form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inner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And a step of inserting an inner support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step of bending the end of the outer sleeve into which the inner support has been inserted.

상기 서포트홈 형성 단계는 태핑기로 상기 외부 슬리브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support groove, a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leeve with a tapping machine.

상기 내부 서포트 삽입 단계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내부 서포트를 삽입하여 고온가압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inserting the inner support, the inner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high-temperature pressure welding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내부 서포트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이면서 국부적으로 압착력이 증가되므로, 압착 슬리브로부터 전선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nce the crimping force is increased locally and repetitive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by the internal support, the phenomenon that the wire is separated from the crimping sleeve is prevented.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C형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A형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C형 슬리브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A형 슬리브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A형 슬리브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단말터미널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C형 슬리브의 내부에 내부 서포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A형 슬리브의 내부에 내부 서포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A형 슬리브의 내부에 내부 서포트가 구비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중에서 단말터미널의 내부에 내부 서포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중 압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중 열처리와 절단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shaped slee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type slee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nding groove is formed inside a C-shaped sleeve amo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nding groove is formed in an A-type sleeve amo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binding groove is formed in an A-type sleeve amo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inding groove is formed inside a terminal terminal among a crimping sleeve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support is provided inside a C-shaped sleeve among crimping sleeve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support is provided inside an A-type sleeve among crimping sleeve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inner support is provided inside an A-type sleeve amo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ternal support is provided inside a terminal terminal amo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imping proces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treatment and cutting proces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10)(20)(30)는,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측면에는 정해진 깊이로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홈(11a)(21a)(21a')(31a)이 형성된다.The crimping sleeve 10, 20, and 30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sleeve in which a space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has a predetermined depth. A binding groove (11a) (21a) (21a') (31a) is formed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또는 본 발명의 압착 슬리브(10)(20)(30)는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슬리브(11)(21)(21')(31)와,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내부 서포트(12)(22)(22')(32)를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crimping sleeves 10, 20, and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outer sleeve 11, 21, 21', 31 in which a space in which an electric wire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the outer sleeve 11 ( 21) (21') (31)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electric wire by reinforcing the strength,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the inner support (12) ( 22) (22') (32).

먼저,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측면에는 정해진 깊이로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홈(11a)(21a)(21a')(31a)이 형성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in an example in which a binding groove (11a) (21a) (21a') (31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to wrap the wire to a predetermined depth. It will be described.

외부 슬리브(11)(21)(21')(31)는 압착 슬리브(10)(20)(3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부에는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전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는 서로 연결되는 전선의 형태, 상기 압착 슬리브(10)(20)(30)가 고정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leeves 11, 21, 21', 31 form the outer shape of the compression sleeves 10, 20, 30. A space for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is formed inside the outer sleeve 11, 21, 21 ′, and 31 so that the electric wi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in. The outer sleeves 11, 21, 21 ′ and 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ortion to which the compression sleeves 10, 20, and 30 are fixed.

결속홈(11a)(21a)(21a')(31a)은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측면에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홈(11a)(21a)(21a')(31a)에 의해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측면이 불연속적인 면이 되므로, 본 발명의 압착 슬리브(10)(20)(30)에 전선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속홈(11a)(21a)(21a')(31a)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결속력이 추가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어, 전선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홈(11a)(21a)(21a')(31a)이 형성된 부위에서는 결속력이 낮아지지만, 그 나머지 부위(결속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결속력이 향상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binding grooves 11a, 21a, 21a', 31a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becomes a discontinuous surface by the binding grooves 11a, 21a, 21a', 31a, the crimping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When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20) (30), the portion where the binding grooves (11a) (21a) (21a') (31a) are not formed presses the side of the wi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binding force. There is an effect, and it can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electric wire falls out. In other words, the binding force is lowered in the portion where the binding grooves 11a, 21a, 21a', 31a are formed, but the binding force is improved in the remaining portions (the portion where the binding groove is not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wire I can.

도 4 내지 도 7에는 내부에 결속홈(11a)(21a)(21a')(31a)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착 슬리브(10)(20)(30)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4 to 7 show a specific shape of the crimping sleeve 10, 20,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inding grooves 11a, 21a, 21a', 31a are formed therein.

도 4에는 압착 슬리브(10)가 C자 형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ression sleeve 10 is formed in a C-shape.

외부 슬리브(11)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태로 형성된다.The outer sleeve 11 is formed in a C shape with one side open.

결속홈(11a)은 상기 외부 슬리브(11)의 내측면에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홈(11a)은 상기 외부 슬리브(11)의 내측면을 따라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홈(11a)을 상기 외부슬리브(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The binding groove (11a)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11). The binding groove 11a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wire inserted therein. In addition, the binding groove (11a) is formed repeatedly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11).

상기 외부 슬리브(11)이 내측면이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되, 상기 상기 결속홈(11a)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의 결속력이 상대적으로 강해지면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한다.The outer sleeve 11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with the inner side thereof, and the binding force of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11a is not formed is relatively strong,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electric wire.

도 5에는 압착 슬리브(20)가 A형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ression sleeve 20 is formed in an A-shape.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슬리브(21)가 영문 소문자 'a'자 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인 부위에서 전선이 결속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leeve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glish lowercase letter'a', and the electric wire is bound at a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단면이 원형인 부위에서 내측면에 결속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홈(21a)은 전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외부 슬리브(2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슬리브(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binding groove (21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inding groove 21a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wire, and is repeatedly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21.

마찬가지로, 상기 외부 슬리브(21)이 내측면이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되, 상기 상기 결속홈(21a)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의 결속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전선의 이탈을 방지한다.Similarly, the outer sleeve 21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with the inner side thereof, but since the binding force of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21a is not formed is relatively strong, the separation of the electric wire is prevented.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슬리브(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속홈(21a')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 binding groove 21a ′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21 ′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상기 외부 슬리브(21')는 기본적으로 앞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형태를 갖지만, 결속홈(21a')은 나선형의 형태를 갖도록 한다. The outer sleeve 21 ′ basically has a shape as described in FIG. 5, but the binding groove 21a ′ has a spiral shape.

특히, 상기 결속홈(21a')은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소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꼬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전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홈(21a')은 복수로 형성되어, 둘레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inding groove (21a') is formed in a form twis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disposed on the outermost edge of the w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separation more firmly. In addition, the binding groove (21a') is formed in a plurality, it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압착 슬리브(20)(20')는 길이방향을 절개된 절개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선의 굵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 crimping sleeves 20 and 20 ′ shown in FIGS. 5 and 6 are formed with cut grooves (not provided with reference numeral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도 7에는 단말 터미널(3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 터미널(30)은 전선을 결속하는 압착 슬리브(30)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조물에 장착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7 shows a terminal terminal 30. The terminal terminal 30 is form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mounted on a structure while performing the role of a crimping sleeve 30 for binding electric wires.

상기 단말 터미널(30)도 외부 슬리브(31)의 내측면에 결속홈(31a)이 형성된다.The terminal terminal 30 also has a binding groove 3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31.

여기서, 외부 슬리브(31)는 상기 단말 터미널(3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전선이 결속되는 공간이 형성된다.Here, the outer sleeve 3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terminal terminal 30, and a space in which the wires are bound is formed.

또한, 상기 외부 슬리브(31)의 내측면에 내측면의 불연속성을 부여하는 결속홈(31a)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홈(31a)은 A형 압착 슬리브(30)와 같이, 링타입 또는 나선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례로서, 도 7에는 상기 결속홈(31a)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a binding groove 31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leeve 31 to provide discontinuity of the inner side. The binding groove 31a may be formed in a ring type or a spiral type, like the A-type compression sleeve 30, and as an example,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inding groove 31a is formed in a spiral shape.

한편,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내부 서포트(12)(22)(22')(32)가 설치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supports 12, 22, 22', 32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s 11, 21, 21', and 31 ar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외부 슬리브(11)(21)(21')(31)는 압착 슬리브(10)(20)(3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부에는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전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는 서로 연결되는 전선의 형태, 상기 압착 슬리브(10)(20)(30)가 고정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leeves 11, 21, 21', 31 form the outer shape of the compression sleeves 10, 20, 30. A space for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is formed inside the outer sleeve 11, 21, 21 ′, and 31 so that the electric wi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in. The outer sleeves 11, 21, 21 ′ and 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ortion to which the compression sleeves 10, 20, and 30 are fixed.

내부 서포트(12)(22)(22')(32)는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에 인서트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종래기술의 압착 슬리브에서 압착 강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서, 전선의 결속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는 바,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를 이용하여 상기 전선을 감싸, 압착 슬리브(10)(20)(30)가 전선을 결속하는 결속력을 높이도록 한다.Inner support (12) (22) (22') (32) is,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the outer sleeve (11) (21) (21) ') It is formed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31).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crimping strength in the crimping sleeve of the prior art, so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f the wire, and the wire is wrapped using the inner support 12, 22, 22 ′, 32, The compression sleeves 10, 20, and 30 increase the binding force that binds the electric wires.

즉,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는 기본적으로 선재(線材)로 제공되어,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가 위치하는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압착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상기 전선에 대한 체결력이 높아지도록 한다.That is, 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is basically provided as a wire rod, and 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is basically provided as a wire, so that the inside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The support 12, 22, 22 ′ and 32 are localized to increase the compressive force at the location where the support 12, 22, 22 ′, 32 is located, so that the fastening force for the electric wire is increased.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는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가 상기 전선에 대한 압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는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 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을 재질로 하고,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는 구리 또는 그 합금을 재질로 할 수 있다.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is for reinforcing the pressure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against the electric wire, and the outer sleeve 11 ) (21) (21') (31) is made of a material to reinforce the strength. That is, the inner supports 12, 22, 22', 32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outer sleeves 11, 21, 21', 31. For example,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is made of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and 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is made of copper or its alloy. Alloy can be used as a material.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는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에 인서트되되,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인서트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가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내측면에 노출되어, 상기 전선의 외측면에 접합으로써,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가 직접 상기 전선의 외측면을 감싸 상기 압착 슬리브(10)(20)(3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and the outer sleeve (11) (21) (21') It can be inserted in a form exposed to the inner side of (31). 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is ex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and bonded to the outer side of the electric wire. The inner support 12, 22, 22 ′, 32 may directl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leeve 10, 20, 30.

한편,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와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가 접하는 면에는 주석 또는 아연 등을 코팅하거나 도포함으로써,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와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and 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coating or applying tin or zinc, etc.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outer sleeve 11, 21, 21', 31 and the inner support 12, 22, 22', 32.

아울러, 상기 외부 슬리브(11)(21)(21')(31)의 외측면에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의 위치를 각인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현장에서 전선의 결속시 압착 부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s of the inner supports 12, 22, 22' and 32 may be mark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 sleeves 11, 21, 21', and 31 by engraving or the like. By easily grasping the positions of the internal supports 12, 22, 22', 32,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crimped area when the wires are bound in the field.

도 8 내지 도 11에는 내부에 상기 내부 서포트(12)(22)(22')(32)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압착 슬리브(10)(20)(30)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8 to 11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the compression sleeves 10, 20, and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supports 12, 22, 22 ′, 32 are provided therein.

도 8에는 압착 슬리브(10)가 C자 형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ression sleeve 10 is formed in a C-shape.

외부 슬리브(11)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태로 형성된다.The outer sleeve 11 is formed in a C shape with one side open.

내부 서포트(12)는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C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과 수직한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서포트(12)는 상기 외부 슬리브(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어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내부 서포트(12)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12)가 설치된 부위에서는 국부적으로 압착력이 증가하여, 전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support 12 is formed in a C-shape to pressurize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and is dispos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wire to pres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inner supports 12 are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11 and are repeatedly disposed. Since the inner supports 12 are arranged at intervals, local pressure is increased in a portion where the inner supports 12 are installed,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도 9에는 압착 슬리브(20)가 A형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rimping sleeve 20 is formed in an A-shape.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슬리브(21)가 영문 소문자 'a'자 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인 부위에서 전선이 결속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leeve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glish lowercase letter'a', and the electric wire is bound at a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내부 서포트(22)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수직한 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 서포트(22)는 상기 외부 슬리브(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서포트(22)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국부적으로 압착력이 증가하여, 전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ner support 2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disposed on a vertical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In addition, the inner support 22 is arranged in plural at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21, so that the pressure bonding force is increased locally at the portion where the inner support 22 is formed, thereby preventing wire separation. have.

도 10에는 압착 슬리브(20')에서 내부 서포트(22')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support 22' is formed in a spiral shape in the compression sleeve 20'.

도 10의 압착 슬리브(20')에서 외부 슬리브(21')는 앞서 살펴본 예와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 내부 서포트(22')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내부 서포트(22')는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소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꼬여져 상기 전선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서포트(22')는 복수로 형성되어, 둘레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서포트(22')가 다중 나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mpression sleeve 20 ′ of FIG. 10, the outer sleeve 21 ′ has the same shape as the previous example, but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support 22 ′ is formed in a spiral shape is shown. Particularly, the inner support 22 ′ is twis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disposed at the outermost edge of the wire to prevent damage to the wir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separation of the wire. In this case, the inner support 22 ′ may be formed in plural and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inner support 22 ′ may be formed in a multi-helix structure.

한편, 도 9와 도 10에는 상기 압착 슬리브(20)(20')의 길이방향을 절개된 절개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선의 굵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부위에서는 상기 외부 슬리브(21)(21')와 상기 내부 서포트(22) (22')에도 절개된 상태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FIGS. 9 and 10, incision grooves (not provided with reference numeral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imping sleeves 20 and 20 ′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In the portion where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the outer sleeve 21 and 21 ′ and the inner support 22 and 22 ′ are also cut.

도 11에는 단말 터미널(3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 터미널(30)은 전선을 결속하는 압착 슬리브(30)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조물에 장착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In Fig. 11, the terminal terminal 30 is shown. The terminal terminal 30 is form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mounted on a structure while performing the role of a crimping sleeve 30 for binding electric wires.

상기 단말 터미널(30)도 외부 슬리브(31)의 내부에 내부 서포트(32)가 인서트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terminal terminal 30 is also formed in a form in which an inner support 3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31.

외부 슬리브(31)는 상기 단말 터미널(3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전선이 결속되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outer sleeve 3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terminal terminal 30, and a space in which the wires are bound is formed.

내부 서포트(32)는 상기 외부 슬리브(31)의 내부에 인서트된다. 상기 내부 서포트(32)는 A형 압착 슬리브(30)와 같이, 링타입 또는 나선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내부 서포트(32)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inner support 3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31. Like the A-type compression sleeve 30, the inner support 32 may be formed in a ring type or a spiral type.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support 32 is formed in a spiral shape.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2 to 14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은, 압출 다이스에 외부 슬리브를 장착하는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S110)와, 상기 외부 슬리브(11)에 삽입될 내부 서포트(12)를 준비하는 내부 서포트 준비 단계(S120)와, 상기 내부 서포트(12)와 상기 외부 슬리브(11)를 상기 압출 다이스를 통하여 압출시키는 압출 단계(S130)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ression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S110) of mounting an outer sleeve to an extrusion die, and an inner support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n inner support 12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11 (S120) and an extrusion step (S130) of extruding the inner support 12 and the outer sleeve 11 through the extrusion die.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S110)는 압출 다이스(51)의 일측에 외부 슬리브(11)를 장착한다. 상기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S110)에서의 상기 외부 슬리브(11)는 통형(筒形)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압출 다이스(51)이 일측에 장착된다.In the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S110), the outer sleeve 1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xtrusion die 51. The outer sleeve 11 in the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S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extrusion die 51 is mounted on one side.

내부 서포트 준비 단계(S120)는 상기 외부 슬리브(11)에 삽입될 내부 서포트(12)를 준비한다. 상기 내부 서포트(12)는 압출 다이스(51)에 대하여 상기외부 슬리브(11)와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step of preparing the inner support (S120), the inner support 12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11 is prepared. The inner support 12 may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er sleeve 11 with respect to the extrusion die 51.

압출 단계(S130)는 상기 외부 슬리브(11)와 상기 내부 서포트(12)는 상기 압출 다이스(51)를 이용하여 압출시킨다. 상기 외부 슬리브(11)와 상기 내부 서포트(12)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중 압착 실린더(52)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압착 실린더(52)는 상기 압출 다이스(51)로부터 배출된 압출체(압착 슬리브의 반제품)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 서포트(12)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이는 완성된 압착 슬리브에서 내부 서포트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과 동일함), 부피비를 이용하여 압착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In the extrusion step (S130), the outer sleeve 11 and the inner support 12 are extruded using the extrusion die 51. A double compression cylinder 52 may be applied to pressurize the outer sleeve 11 and the inner support 12. The double compression cylinder 52 is arranged so that the internal supports 12 ar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extruded body (semi-finished product of the compression sleeve) discharged from the extrusion die 51 (this is the internal support in the completed compression sleeve). It is the same as those arranged at intervals), and the compression speed is adjusted using the volume ratio.

또한, 상기 압출 단계(S130)에서는 압출 다이스(51) 등의 압출 장치를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출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외부 슬리브(11)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상기 내부 서포트(12)가 구리 또는 그 합금인 경우, 450℃ 내지 500℃를 유지하면서 압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extrusion step (S130), an extrusion device such as an extrusion die 51 is extrud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the outer sleeve 11 is made of aluminum or its alloy, and the inner support 12 is made of copper or its alloy, it is extruded while maintaining 450°C to 500°C.

열처리 단계(S140)는 상기 압출 단계(S130)를 통과한 압출체를 열처리 장치(61)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한다. 예를 들어, 외부 슬리브(11)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상기 내부 서포트(12)가 구리 또는 그 합금인 경우, 500℃ 내지 600℃가 될 수 있다.In the heat treatment step (S140), the extruded body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trusion step (S13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ough a heat treatment device 61 to perform heat treatment. For example, when the outer sleeve 11 is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and the inner support 12 is copper or an alloy thereof, it may be 500°C to 600°C.

이후, 상기 압출체는 커터(71)를 통하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후(S150), 마감처리하여 압착 슬리브(10)가 완성된다.Thereafter, the extruded body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cutter 71 (S150), and then finished to complete the compression sleeve 10.

도 15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15 to 18 illu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 슬리브(11)보다 내부 서포트(12)의 용융점이 높아 압출이 불가능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압착 슬리브(10)를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슬리브(11)가 구리 또는 그 합금을 재질로 하고, 내부 서포트(12)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을 재질로 하는 경우, 압출이 불가하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압착 슬리브(10)를 제조한다.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inner support 12 is higher than the outer sleeve 11 and extrusion is impossible, the compression sleeve 10 may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15. For example, when the outer sleeve 11 is made of copper or an alloy thereof, and the inner support 12 is made of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extrusion is not possible, so a method as shown in FIG. 10) is prepared.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S210)는 외부 슬리브(11)를 준비한다. 압출에 의해 압착 슬리브를 제조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板形)으로 형성된 외부 슬리브(11)를 준비한다.The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S210) prepares the outer sleeve 11. Unlike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by extrusion, in this embodiment, an outer sleeve 11 formed in a plate shape is prepared.

서포트홈 형성 단계(S220)는 상기 외부 슬리브(11)에 내부 서포트(12)가 삽입될 삽입홈(41a)을 형성한다. 태핑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슬리브(11)의 일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삽입홈(41a)을 형성한다(도 16 참조).In the step of forming a support groove (S220), an insertion groove 41a into which the inner support 12 is to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outer sleeve 11.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41a are formed at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outer sleeve 11 using a tapping machine or the like (see FIG. 16).

내부 서포트 삽입 단계(S230)는 상기 삽입홈(41a)에 상기 내부 서포트(12)는 삽입한다. 상기 삽입홈(41a)에 상기 내부 서포트(12)를 삽입하여 고온가압 용접함으로써, 상기 삽입홈(41a)에 상기 내부 서포트(12)를 삽입할 수 있다(도 17 참조).In the step of inserting the inner support (S230), the inner support 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a. By inserting the inner support 12 into the insertion groove 41a and performing high-temperature pressure welding, the inner support 1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a (see FIG. 17).

이후, 굽힘 단계(S240)에서 상기 내부 서포트(12)가 삽입된 상기 외부 슬리브(11)의 단부를 굽혀 원하는 형태의 압착 슬리브가 되도록 한다.Thereafter, in the bending step (S240), the end of the outer sleeve 11 into which the inner support 12 is inserted is bent to form a compression sleeve having a desired shape.

10, 20, 20', 40 : 압착슬리브
30 : 단말 터미널
11, 21, 21', 31, 41 : 외부슬리브
11a, 21a, 21a', 31a, 41a : 결속홈
41a : 삽입홈
12, 22, 22' 32, 42 : 내부서포트
51 : 압출 다이스
52 : 이중 압착 실린더
61 : 열처리 장치
71 : 커터
110, 120 : 압착슬리브
130 : 단말 터미널
S110 :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
S120 : 내부 서포트 준비 단계
S130 : 압출 단계
S140 : 열처리 단계
S150 : 절단 단계
S210 :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
S220 : 서포트홈 형성 단계
S230 : 내부 서포트 삽입 단계
S240 : 굽힘 단계
10, 20, 20', 40: compression sleeve
30: terminal terminal
11, 21, 21', 31, 41: outer sleeve
11a, 21a, 21a', 31a, 41a: binding groove
41a: insertion groove
12, 22, 22' 32, 42: internal support
51: extrusion die
52: double crimping cylinder
61: heat treatment device
71: cutter
110, 120: compression sleeve
130: terminal terminal
S110: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S120: Internal support preparation stage
S130: Extrusion step
S140: heat treatment step
S150: cutting step
S210: External sleeve preparation step
S220: Support groove formation step
S230: Step of inserting the inner support
S240: bending stage

Claims (24)

전선의 연결부위에서 전선의 외부를 감싸는 압착 슬리브에 있어서,
내부에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측면에는 정해진 깊이로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결속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In the crimping sleeve that wraps the outside of the wire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An outer sleeve is provided in which a space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accommodated is formed,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a binding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to surround the electric wire at a predetermined dep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상기 전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binding groove is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상기 외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binding groove is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repeatedly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binding groove is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pir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상기 전선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4,
The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상기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된 소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꼬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4,
The binding groove is a crimp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be twis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disposed at the outermost of the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슬리브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내부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1,
Compressed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wire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outer sleev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support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외부 슬리브 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support is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outer slee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외부 슬리브의 내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외부 슬리브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support is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in a form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lee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전선과 수직한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support is dispos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wire and pressurizes a sid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외부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반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ner support is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repeatedly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lee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support is formed in a spiral shap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pressurizing the side surface of the wi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전선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ner support is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는 상기 전선의 최외곽에 배치된 소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꼬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ner support is a crimp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twis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re disposed at the outermost of the wi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슬리브와 상기 내부 서포트가 접하는 면에 주석 또는 아연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7,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tin or zinc is applied to a surface where the outer sleeve and the inner suppo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압출 다이스에 외부 슬리브를 장착하는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 슬리브에 삽입될 내부 서포트를 준비하는 내부 서포트 준비 단계와,
상기 내부 서포트와 상기 외부 슬리브를 상기 압출 다이스를 통하여 압출시키는 압출 단계를 포함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An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of mounting the outer sleeve on the extrusion die,
An inner support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n inner support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sleev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comprising an extrusion step of extruding the inner support and the outer sleeve through the extrusion di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단계는,
상기 내부 서포트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부피비로 압착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 서포트를 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extrusion ste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pport is extruded by adjusting the compression speed in a volume ratio so that the inner supports are arranged at interval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단계는 정해진 온도 범위를 유지하면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extrusion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us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단계 이후,
상기 압출 다이스를 통과한 압착 슬리브를 정해진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After the extrusion ste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further comprising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crimping sleeve passing through the extrusion di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500℃ 내지 600℃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heat treatment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eatment at 500 ℃ to 600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 이후에는 상기 압착 슬리브를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ing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further comprising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crimping sleeve to a predetermined length.
외부 슬리브를 준비하는 외부 슬리브 준비 단계와,
상기 외부 슬리브에 내부 서포트가 삽입될 삽입홈을 형성하는 서포트홈 형성 단계와,
상기 삽입홈에 상기 내부 서포트는 삽입하는 내부 서포트 삽입 단계와,
상기 내부 서포트가 삽입된 외부 슬리브의 단부를 굽히는 굽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An outer sleev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n outer sleeve, and
A support groove forming step of forming an insertion groove into the outer sleeve into which an inner support is to be inserted,
An inner support inserting step of inserting the inner support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bending step of bending an end of the outer sleeve into which the inner support is insert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홈 형성 단계는 태핑기로 상기 외부 슬리브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In the step of forming the support groov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ion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n electr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leeve with a tapping machin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포트 삽입 단계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내부 서포트를 삽입하여 고온가압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착 슬리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In the step of inserting the inner suppor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rimp sleev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ire, characterized in that high-temperature press-welding by inserting the inner support into the insertion groove.

KR1020190125643A 2019-10-10 2019-10-10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KR202100427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43A KR20210042726A (en) 2019-10-10 2019-10-10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43A KR20210042726A (en) 2019-10-10 2019-10-10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26A true KR20210042726A (en) 2021-04-20

Family

ID=7574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43A KR20210042726A (en) 2019-10-10 2019-10-10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272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634A (en) * 2021-06-10 2022-12-19 한국전력공사 Sleeve for connecting wi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263A (en) 2010-07-30 2012-02-09 한국전력공사 Defection Prevention Device of Compression Slee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263A (en) 2010-07-30 2012-02-09 한국전력공사 Defection Prevention Device of Compression Slee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634A (en) * 2021-06-10 2022-12-19 한국전력공사 Sleeve for connecting w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392B2 (en) Terminal with integral strain relief
EP2192601B1 (en) Wire harne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200121A1 (en) A wire connection sleeve, a wire connection sleeve producing method, a repair wire preconnected with a wire connection sleeve by crimping and a wire connecting method
WO20101101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with terminal clamps
CN107005014B (en)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KR101817614B1 (en) Cylindrical body, crimping termin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body and said terminal,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aid crimping terminal
US10559896B2 (en)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JP2009521900A (en) Integral coupling mounting member
JP6546626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terminal crimp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wire with terminal
KR101833659B1 (en) Wire harness, connection method between covered conducting wire and terminal, and wire harness structure body
US20200194989A1 (en) Termination arrangement for an overhead electrical cable
US20190165490A1 (en)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and electric wire
US20160204523A1 (en) Conduction path and electrical wire
KR20210042726A (en) Sleeve for prevention detaching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leeve
CN107431283B (en)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JP2009176537A (en) Aluminum wire an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CN108886205B (en)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wire harness
WO2018092597A1 (en) Crimped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JP2011090804A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181777A (en) Crimping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terminal
CN110741449A (en) Conductive path and wire harness
US10847904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wire with terminal
JP2021061208A (en) Electric wire connection structure
CN112928572A (en) Cable and wire core wiring method thereof
JP5150378B2 (en) Electric wires with terminal fittings and terminal fi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