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489A -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 Google Patents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489A
KR20210042489A KR1020190125108A KR20190125108A KR20210042489A KR 20210042489 A KR20210042489 A KR 20210042489A KR 1020190125108 A KR1020190125108 A KR 1020190125108A KR 20190125108 A KR20190125108 A KR 20190125108A KR 20210042489 A KR20210042489 A KR 2021004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device
harmful gas
light emitting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프티일렉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프티일렉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프티일렉트로닉
Priority to KR102019012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2489A/en
Publication of KR2021004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which can intuitively inform workers of harmful gas risk information and is easy to install.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fastening unit with a U-shaped insertion hole capable of inserting a safety hat awning; a light emitting unit comprising an LE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based on the atmospheric component concentration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short-distance or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제어 가능한 발광부를 구비한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controllabl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es.

안전사고란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서 안전 교육의 미비 및 안전 수칙의 위반, 부주의 등으로 사람 또는 재산의 피해를 주는 사고를 말한다. A safety accident refers to an accident that causes damage to people or property due to lack of safety education, violation of safety rules, or carelessness in a place where danger may occur.

안전 교육 및 안전 장비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매년 많은 장소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일부 안전 사고는 인명을 앗아가는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일상 생활 보다는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 사고는 특히 인명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 질식 사고는 발생 시 사망률이 50%에 이르는 매우 위험한 안전 사고이다.Despite the spread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equipment, safety accidents occur in many places every year, and some safety accidents in particular lead to serious accidents that kill lives. In particular, safety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rather than daily life are often directly related to life, and among them, suffocation accidents are very dangerous safety accidents with a mortality rate of 50% when they occur.

밀폐 공간의 질식 사고는 90%가 인재사고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밀폐 공간과 관련된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 및 비용 문제에서 비롯된다. 안전 사고는 작업자의 안일한 생각과 관리자의 허술한 관리가 주 원인이지만, 밀폐 공간의 질식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 안전 장비의 기능적 미비도 중요한 직접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90% of suffocation accidents in confined spaces are reported as human resource accidents, which are caused by structural and cost issues in the industry related to confined spaces. Safety accidents are mainly caused by worker's uncomfortable thinking and manager's poor management, but the lack of functionality of existing safety equipment to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in confined spaces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direct reasons.

예를 들어, 기존의 밀폐 공간에서의 작업은 작업 전에 작업 예정인 밀폐 공간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작업이 가능할 경우 휴대용 산소 농도 측정기를 착용한 채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작업 중 상황이 돌변하여 유해 가스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산소 농도 측정 방식은 산소 농도가 위험할 정도로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에게 해가 될 정도의 유해 가스 농도가 상승한 경우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산소 농도 측정기는 대부분 사용자의 작업복에 착용하며 위험 상황을 소리로 알려주는 방식이 많아 작업자가 위험을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어렵고 특히 작업 소음에 경보가 묻히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in the existing work in a closed space,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closed space to be worked is measured before work, and when work is possible, the work is often performed while wearing a portable oxygen concentration meter. In this case, when the situation changes suddenly during work and leaks of harmful gas occur, the oxygen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tells the worker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has risen to a degree that is harmful to the worker even though the oxygen concentration is not dangerously low.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informed. In addition, conventional oxygen concentration meters are mostly worn on the user's work clothes, and since there are many methods of notifying the danger situation by sound,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danger,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an alarm is buried in the work noise.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2698호, 2010.12.20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2698, 2010.12.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유해 가스에 대한 직관적인 위험 인지가 가능한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intuitively recognizing the danger of harmful gases of workers working in a confined space. There is th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안전모 차양을 삽입 가능한 U자형 삽입구를 가진 체결부,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 대기 성분 농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 제어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안전모를 포함한다.A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based on a fastening part having a U-shape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afety hat can be inserted, a light emitting part including an LED, and atmospheric componen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a safety helmet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emitt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short-range or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power to the light-emit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의 대기 성본 농도 정보는 유해가스 농도를 포함하며,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유해가스를 센싱하고 센싱된 유해가스의 농도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유해가스 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includes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and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further senses the harmful gas and transmits the sensed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the harmful gas to the control unit. Including, 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의 제어부는 유해가스 농도 정보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초과일 경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 1모드, 유해가스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 2모드 또는 유해가스 농도 정보의 농도에 따라 깜박임을 달리하여 발광시키는 제 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first mod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a second mode that emits the light emitting unit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harmful gas. Alternatively, any one of the third modes of emitting light by differently blinkin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may be supported.

또한,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졸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졸도가 감지된 경우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the controller may detect a user's fainting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controller may emit light when the user's fainting is detect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 공간의 작업자가 작업 공간의 유해 가스 농도를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orker in a closed space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concentration of a harmful gas in a work space, and thus a safety accident that may cause a dang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중앙 관리 센터의 관리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담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I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이고, 도 2는 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thereof.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체결부(111, 112), 발광부(120, 230),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전원부(2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astening units 111 and 112,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the control unit 210,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power supply unit ( 240).

체결부는 U자형 삽입구를 구성하는 일단(111) 및 타단(112)를 포함하고, 안전모의 차양이 삽입구에 삽입되어 일단 및 타단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알림 장치가 차양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양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일단(111) 및 타단(112)의 내측에 고무, 실리콘 등의 마찰력 및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one end 111 and the other end 112 constituting the U-shaped insertion hole, and the shade of the hard 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so that the notification device may be fixed to the shade by the restoring elastic forc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addition, a member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and fixing force such as rubber or silicone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ne end 111 and the other end 112 of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hade is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상술한 체결부를 통해 안전모의 차양에 용이하고 저 비용으로 장착 가능하여, 작업자의 눈을 통해 후술될 발광부(120, 230)의 발광을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위험상황을 인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알람 방식의 인식 곤란성, 생체 자극 방식의 고비용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at low cost to be mounted on the shade of the safety helm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part,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s 120 and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eyes of the operator. It has the effect of directly recognizing luminescence and recognizing dangerous situations.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 existing alarm method and high cost of the biostimulation method can be solved.

발광부(120, 230)는 LED(131, 132, 133)를 포함하며, 단색 또는 발광 색 변화가 가능한 단일 LED 이거나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다수의 LED일 수 있다. LED는 발광 조도를 제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120, 230)는 투명하거나 색을 가진 윈도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units 120 and 230 include LEDs 131, 132, and 133, and may be a single LED capable of changing a single color or light emission color, or may be a plurality of LEDs emitting different colors. The LED may control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and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or colored window 140.

제어부(210)는 발광부(120, 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해 가스 농도에 기반하여 발광부(120, 230)의 색 변화, 조도,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to control color change, illuminance, and on/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예를 들어, 유해가스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할 경우 작업자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여 발광부(120, 230)의 전원을 제어하여 발광부(120, 23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제어부(21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측정된 유해가스 농도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유해가스는 해당 농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위험성을 판단하거나, 직접적인 위험이 없더라도 대기 성분 중 산소의 농도가 낮아질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산소는 통상 18%이하이면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대피나 환기를 지시하기 위해 발광부(120, 23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operator determines that it is dangerous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to emit light. The control unit 210 may determine the risk of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measured by a preset program. Hazardous gases that may cause direct danger to workers can be judged to be dangerous by comparing their concentration with a preset standard, or even if there is no direct risk, even if there is a risk of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atmosphere, it can be judged as dangerous. have. If oxygen is less than 18%, it may adversely affect the health of the worker, and thus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may be controlled to instruct the worker to evacuate or ventilate.

대기 중 특정 성분의 농도가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산소의 비율이 줄어들므로 이를 감지하여 위험성을 판단하여 발광부(120, 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When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in the atmosphere increases, the proportion of oxygen is relatively reduced.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may be controlled by detecting this and determining the risk.

또는, 발광부(120, 230)가 복수의 발광을 지원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부(120, 230)를 발광시켜, 작업자에게 위험성의 정도를 달리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유해가스 농도 정보에 따라 발광부(120, 230)의 깜박거림을 제어하거나 발광부(120, 230)의 조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when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support a plurality of light emission, the control unit 210 emits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harmful gas, thereby varying the degree of risk to the operator. You can make it awar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icker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or differently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according to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통신부(220)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LTE, 마이크로파 통신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 가능하며, 상기 통신 방식은 예시에 불과하고 특정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support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or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LTE and microwave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별도의 유해가스 농도 측정기 또는 중앙 관제 센터와 통신 가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a separate harmful gas concentration meter or a central control cen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예를 들어,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장착 위치의 특성상 무게를 줄이는 것이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버클에 장창 가능한 별도의 유해가스 또는 산소 농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유해가스 농도 정보 또는 산소 농도 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작업 환경의 현재 유해가스 농도는 높지 않으나 중앙 관제 센터에서 주변부 붕괴 등 작업 환경의 악화 가능성을 미리 인지할 경우,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부(220)로 위험 신호를 전송하고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의 제어부(210)는 방부를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대피할 것을 미리 지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to work because reducing the weight due to the nature of the mounting location, the additional harmful gas that can be held on the operator's buckle or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oxygen concentration meter Alternatively, oxy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Alternatively, if the current concentration of harmful gases in the work environment is not high, but if the central control center recognizes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the work environment such as collapse of the periphery in advance, a dange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the control unit 210 of the management device may control the antiseptic and instruct the operator to evacuate in advance.

물론,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에 유해가스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센부를 더 포함하고 센부는 실시간으로 유해가스 또는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or that can direct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and the sensor ma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oxygen in real tim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210.

전원부(240)는 발광부(120, 230), 제어부(210) 및 통신부(22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공급원으로 배터리, 건전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외부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각 모듈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40 supplies power to the light-emitting units 120 and 230,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can use a battery or a battery as a power supply source. It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distributing to the module.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0)는 가속도 센서에서 추출되는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해 작업자의 졸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acceleration and inclin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210 may determine the fainting of a worker using acceleration and inclin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제어부(210)는 가속도 센서를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졸도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작업자의 졸도가 감지되면 통신부(220)를 통해 중앙 관리 센터로 위험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acceleration sensor to monitor whether a worker faints in real time, and when the worker's fainting is detected, it may notify a dangerous situ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또한, 유해가스 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별도의 사고로 작업자가 졸도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10)는 이 경우에도 발광부(120, 230)를 제어하여 발광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의식을 잃는 경우를 방지하거나 의식 회복을 도와줄 수 있고, 이후 구조 작업에서 작업자의 구조를 도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is low, the operator may faint in a separate acciden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10 also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s 120 and 230 to emit light to prevent or prevent the operator from losing consciousness. It can help recovery,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help the rescue of workers in the subsequent rescue work.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00: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111, 112: 체결부
120, 230: 발광부
130, 131, 132, 133: LED
140: 윈도우
100: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111, 112: fastening part
120, 230: light emitting unit
130, 131, 132, 133: LED
140: Windows

Claims (5)

안전모 차양을 삽입 가능한 U자형 삽입구를 가진 체결부;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
대기 성분 농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U-shape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hard hat can be inserted;
A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n L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based on atmospheric component concentration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short-range or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성분 농도 정보는 유해가스 농도를 포함하며, 유해가스를 센싱하고 센싱된 유해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유해가스 농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mospheric component concent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harmful gas concentration,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harmful gas and transmitting the sensed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the harmful gas to the control unit, or receiving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 농도 정보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초과일 경우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 1모드,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 2모드 또는 상기 유해가스 농도 정보의 농도에 따라 깜박임을 달리하여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제 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mode in which the light-emitting unit emits ligh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a second mode in which the light-emitting unit emits light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armful gas, or the harmful gas concentration information A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supporting any one of the third mode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by varying the flicke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제 1항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졸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ccelera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user's fainting by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졸도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The wearable safety state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illuminates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a user's fainting is detected.
KR1020190125108A 2019-10-10 2019-10-10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KR202100424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08A KR20210042489A (en) 2019-10-10 2019-10-10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08A KR20210042489A (en) 2019-10-10 2019-10-10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89A true KR20210042489A (en) 2021-04-20

Family

ID=7574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08A KR20210042489A (en) 2019-10-10 2019-10-10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248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710A (en) * 2021-05-17 2022-11-2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azardous g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698A (en) 2009-06-10 2010-12-20 (주)아이티헬스 Portable hazardous environment aler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698A (en) 2009-06-10 2010-12-20 (주)아이티헬스 Portable hazardous environment aler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710A (en) * 2021-05-17 2022-11-24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hazardous g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751B1 (en) Safety cap with multi-function and safety supervision system in work
KR101282669B1 (en) Smart ware for preventing an accident on workshop
KR20180046813A (en) System for checking out safety apparatus state of worker in construction filed
KR101354772B1 (en) Intelligent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1485167B1 (en) Fire Alarm And Evacuee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874310B1 (en) Fire Detector
KR101082533B1 (en) Fireman helm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 of
US8103459B2 (en) Safety clothing
KR101756815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KR102229617B1 (en) Smart IOT gas alarm system
US201402039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rn prevention
KR102217765B1 (en) Safety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falling of the high place worker and safety system using the same
KR101261448B1 (en) An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a method of the same
KR20170079124A (en) mono type firefighting sensor of based IoT
KR20090072430A (en) Portable sensor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KR20190093380A (en) Safty tool box
KR101864250B1 (en) Optical fiber luminescent patch type wearable device which can be used in a dangerous environment of gas leakag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20047167A (en) Fire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ing direction of fire extension
KR20190004083A (en) Safety helmet capable of tracking worker's location through GPS function
KR20210042489A (en) Wearable Safety Status Notification and Management Device
KR101807265B1 (en)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KR102133180B1 (en) Wearable devices for prevent suffocation
KR1017830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safety by using safety band
KR101317654B1 (en) Emergency Exit Guidance Lamp
KR102014184B1 (en) Emergency exit route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