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966A -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 Google Patents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966A
KR20210041966A KR1020190124851A KR20190124851A KR20210041966A KR 20210041966 A KR20210041966 A KR 20210041966A KR 1020190124851 A KR1020190124851 A KR 1020190124851A KR 20190124851 A KR20190124851 A KR 20190124851A KR 20210041966 A KR20210041966 A KR 2021004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valve pin
adjusting
housing
molte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076B1 (ko
Inventor
유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도
Priority to KR102019012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0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3Means for controlling the runner flow, e.g. runner switches, adjustable runne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25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는 용융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유동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이 하부에 구성되는 매니폴드의 상부에 구성되며, 중공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구성되고, 내부중심부에 밸브 핀이 구비되며, 중공부에 유입된 작동유체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구성되며,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커버; 및 상기 개구부에 상부가 스크루방식으로 체결되고, 하부가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구동을 통해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정용 회전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VALVE PIN ADJUSTER BURIED TYPE CYLINDER}
본 발명은 핫 런너 시스템용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금형의 내부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캐비티에 충진하기 위한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시 사출금형에 용융된 수지(이하 '용융 수지')를 공급하는 인젝션(Injection)의 하나인 핫 런너 시스템(Hot Runner System)은 사출금형의 캐비티(Cavity)로 용융 수지를 주입시 용융 수지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금형 내부에 고압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핫 런너 시스템은 예컨대, 사출성형시 용용 수지가 용융된 상태로 여러 지점을 통해 사출금형 측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용융 수지의 온도가 낮거나 사출압력이 낮아도 정밀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핫 런너 시스템은 용융 수지가 흐르는 유로(Flow Channel)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용융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 측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매니폴드(Manifold),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Nozzle)과 밸브 핀(Valve pin) 및 상기 밸브 핀을 구동하는 실린더(Cylinder)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핫 런너 시스템의 밸브 핀은 실린더의 내부에 구성된 피스톤(Piston)과 연동하여 노즐 내에서 승강 운동함으로써, 사출금형의 내부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캐비티에 충진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핫 런너 시스템의 밸브 핀은 조립 공차 등에 따라 높낮이가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멀티 게이트의 구성하에서의 밸브 핀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면, 사출금형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의 주입량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출금형의 멀티 게이트에 대응하기 위하여 핫 런너 시스템에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밸브 핀의 높낮이가 저마다 다르다면, 용융 수지의 주입량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성형품질의 저하를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하므로, 그 높낮이를 조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즉 사출금형의 멀티 게이트에 용융 수지를 균일하게 주입하여 우수한 품질의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밸브 핀의 높낮이가 서로 다른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핫 런너 시스템의 실린더는 분해조립을 통해서 밸브 핀의 높낮이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조립시 발생하는 공차 등에 따라 밸브 핀의 높낮이가 다른 것을 감안하면, 효과적인 높낮이 조정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실린더를 분해하여 밸브 핀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조정하더라도 상기 실린더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 등에 따라 밸브 핀의 높낮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여전히 밸브 핀의 높낮이는 다르게 된다.
또한, 밸브 핀의 높낮이조정을 위한 실린더의 분해조립은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구동하는 실린더의 특성상 누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품의 수명을 단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62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개선을 통해 분해조립 없이 밸브 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는 용융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Gate)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유동하는 유로(Flow Channel)가 내부에 형성되며,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Nozzle)이 하부에 구성되는 매니폴드(Manifold)의 상부에 구성되며, 중공부가 마련된 하우징(Housing);
상기 중공부에 구성되고, 내부중심부에 밸브 핀(Valve Pin)이 구비되며, 중공부에 유입된 작동유체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Piston);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구성되며,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커버(Cylinder Cover); 및
상기 개구부에 상부가 스크루방식(Screw type)으로 체결되고, 하부가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구동을 통해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정용 회전자(Adjuster);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는 육각 렌치를 통한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면의 중심부에 다각형의 체결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커버와 높낮이조정용 회전자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와의 스크루방식 체결을 통해 풀림을 방지하는 안티로테이션 링(Anti-Rotationn Ring);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안티로테이션 링은 표면에 눈금자가 원주를 따라 배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하부 내측에 구성되어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 팁(Nozzle Tip); 및
상기 노즐 팁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노즐의 하단부에 스크루방식으로 체결된 유니온(Union);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외주에 튜브히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는 눈금자의 한 칸당 밸브 핀을 0.05㎜ 승강시킬 수 있으며, 360° 회전구동시 상기 밸브 핀을 1.0㎜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게이트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노즐 로케이터(Nozzle Locator) 및 상기 노즐 로케이터의 상부에 구성되는 로케이팅 링(Locating Ring)을 포함하는 핫 런너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핫 런너 시스템은 매니폴드의 상부에 구성되어 밸브 핀의 승강을 안내하는 CPS 핀 가이드 부시(Pin Guide Bush); 및
상기 CPS 핀 가이드 부시의 외부에 구성된 CPS 링;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매립형 실린더의 분해작업 없이 하우징의 외부에서 밸브 핀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함으로써, 핫 런너 시스템에서 밸브 핀 간의 높낮이가 서로 달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매립형 실린더의 유지 보수 편의성 및 이로 인한 내구성의 향상을 통해 이를 적용하는 핫 런너 시스템의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를 매니폴드에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를 매니폴드에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의 높낮이조정상태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가 핫 런너 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이하 '매립형 실린더'라 한다.)는 용융 수지가 게이트(1a)를 통해 주입되고, 용융 수지가 유동하는 일종의 통로인 유로(1b)를 통해 균일하게 분배하여 하부의 노즐(2)로 공급하는 매니폴드(1)의 상부에 구성되어 유압 또는 공압으로 밸브 핀(4)을 상기 노즐(2) 내에서 승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매립형 실린더(3)는 매니폴드(1)의 상부에 구성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중공부(11)가 마련된 하우징(10), 상기 중공부(11)에 수용되어 구성되고 하부에 밸브 핀(4)이 구비되며 중공부(11)에 유입된 작동유체에 의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구성되고 중심부에 개구부(31)가 형성된 실린더커버(30)를 포함한다.
또한, 실린더커버(30)의 개구부(31)에 상부가 스크루방식으로 체결되어 구성되며, 하부가 하우징(11)의 상면에 볼트방식으로 체결고정되어 회전구동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을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를 포함한다.
이에 부가하여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와 실린더커버(3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와의 스크루방식을 통한 체결로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의 풀림을 방지하는 안티로테이션 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티로테이션 링(60)의 내주와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의 외주에 각기 스크루구조를 구성하여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립형 실린더(3)가 상부에 구성되는 매니폴드(1)는 전술한 유로(1b)뿐만 아니라 상기 유로(1b)를 따라 유동하는 용융 수지의 용융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히터(1c)가 구비된 구성일 수 있고 이를 도시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다만, 상기 매니폴드(1)는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매니폴드(1)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하우징(10)은 매립형 실린더(3)를 구성하는 일종의 모체로서, 횡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1)를 통해 피스톤(20) 및 상기 피스톤(20)의 내부중심부에 구비된 밸브 핀(4)을 상하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한편 상기 피스톤(20)을 왕복운동시키는 작동유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에 유체공급라인(10a)을 가공하여 중공부(11)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체공급라인(10a)을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의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20)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건드릴 방식으로 유체공급라인(10a)을 가공 가능하여 종래의 호스연결방식에 비해 가공성이 용이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예컨대,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과 피스톤(20) 사이 및 상기 피스톤(20)과 스크루홀더(12) 사이에 오-링(O-Ring)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오-링은 작동유체의 누설이 예상되는 다양한 지점에 구성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이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중공부(11)에 수용구성되는 피스톤(20)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내부중심부에 구비되는 밸브 핀(4)을 승강시키게 된다. 예컨대 상기 피스톤(20)과 밸브 핀(4)은 체결구조로서, 피스톤(20)의 내부를 계단형태로 형성하여 밸브 핀(4)의 상부가 걸려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분리를 방지하게 되며, 상부중심부에 스크루홀더(12)를 스크루방식으로 결합하여 밸브 핀(4)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로서, 피스톤(20)에 밸브 핀(4)을 구비하기 위한 구조를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피스톤(20)과 연동하여 승강하는 밸브 핀(4)은 상부가 상기 피스톤(20)에 체결되는 한편 하부는 매니폴드(1)의 하부에 구성된 노즐(2) 내에 위치하여 승강을 통해 용융 수지를 토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2)은 매립형 실린더(3)의 반대편, 즉 매니폴드(1)의 하부에 구성되며, 용융 수지의 용융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외주에 튜브히터(2c)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2)은 하부 내측에 노즐 팁(2a)이 구성되어 밸브 핀(4)의 승강시 용융 수지를 토출하게 되며, 상기 노즐 팁(2a)의 분리를 방지할 목적으로 노즐(2)의 하단부에 유니온(2b)이 스크루방식으로 체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게이트(1a)를 통해 매니폴드(1)에 주입된 용융 수지는 상기 매니폴드(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b)를 따라 유동하면서 노즐(2)로 공급되고, 매립형 실린더(3)를 통한 밸브 핀(4)의 승강을 통해 노즐 팁(2a)을 거쳐 사출금형의 캐비티(Cavity) 측으로 충진됨으로써, 성형품을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 핀(4)은 피스톤(20)과의 조립 공차나 매립형 실린더(3)의 조립시 발생하는 공차 등에 따라 높낮이가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매니폴드(1)에 매립형 실린더(3)와 노즐(2)이 멀티로 구비되는 구성하에서의 밸브 핀(4)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면, 사출금형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의 주입량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용융 수지의 주입량에 편차가 발생하면, 이는 결과적으로 성형품질의 저하를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하므로, 밸브 핀(4)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커버(30)와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 사이에는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의 회전구동을 통해 높낮이조정용 간극(G)이 형성된다(도 7 참조). 그리고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를 통해 높낮이조정용 간극(G)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밸브 핀(4)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된다.
즉 예컨대, 실린더커버(30)는 핫 런너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클램핑 플레이트(101)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커버(30)와 간격을 두고 클램핑 플레이트(101)의 내부에 하우징(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커버(30)와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가 스크루방식으로 체결되는 한편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와 하우징(10)이 볼트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는 회전구동을 통해 하우징(1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으로 실시되는 다각형의 체결공간(50a)이 상면의 중심부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간(50a)에 육각 렌치(L)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가 임의로 회전구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와 실린더커버(30) 사이에 원판형태의 링으로 형성되는 안티로테이션 링(60)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의 회전구동을 통해 하우징(10)을 승강시키는 방법으로 밸브 핀(4)의 높낮이조정이 완료되면, 안티로테이션 링(60)을 통해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의 풀림을 방지하여 밸브 핀(4)의 높낮이조정과 관련된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안티로테이션 링(60)은 표면에 눈금자(50b)가 원주를 따라 배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밸브 핀(4)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어 조작편리성 측면에서 용이함이 있다(도 6 참조).
예컨대, 상기 눈금자(50b)는 한 칸당 밸브 핀(4)을 0.05㎜ 승강시킬 수 있으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를 360° 회전시 밸브 핀(4)을 1.0㎜ 정도를 승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매립형 실린더(3)의 분해작업 없이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높낮이조정용 회전자(50)를 회전구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밸브 핀(4)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함으로써, 예컨대 핫 런너 시스템에서 밸브 핀(4) 간의 높낮이가 서로 달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형 실린더(3)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예컨대, 내부부품 등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실린더(3)는 노즐 로케이터(110) 및 상기 노즐 로케이터(110)의 상부에 구성되는 로케이팅 링(120)을 포함하는 핫 런너 시스템(100)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매립형 실린더(3)가 상부에 구성되고, 노즐(2)이 하부에 구성되는 매니폴드(1)는 핫 런너 시스템(100)의 클램핑 플레이트(101)와 홀딩 플레이트(102) 사이에 배치된 양태가 일반적이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01)에 매립형 실린더(3)가 구성되고, 상기 홀딩 플레이트(102)에 노즐(2)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핫 런너 시스템(100)은 매니폴드(1)와 클램핑 플레이트(101) 사이에 CPS 링(1e)이 개재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홀딩 플레이트(102)와 매니폴드(1) 사이에 다월 핀(131)과 다월 패드(132)가 개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플레이트(101)와 홀딩 플레이트(102) 사이에 스페이서 플레이트(103)가 개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PS 링(1e)은 밸브 핀(4)의 승강을 안내하는 CPS 핀 가이드 부시(1f)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매니폴드(1)와 클램핑 플레이트(10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핫 런너 시스템(100)을 통한 용융 수지의 공급과정에서 밸브 핀(4)의 높낮이조정이 필요한 경우 매립형 실린더(3)를 분해하지 않고 클램핑 플레이트(101)의 외부에서 상기 밸브 핀(4)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함으로써, 핫 런너 시스템(100)의 유지 보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매니폴드 1a: 게이트
1b: 유로 1c: 외부히터
1e: CPS 링 1f: CPS 핀 가이드 부시
2: 노즐 2a: 노즐 팁
2b: 유니온 2c: 튜브히터
3: 매립형 실린더 4: 밸브 핀
10: 하우징 10a: 유체공급라인
11: 중공부 12: 스크루홀더
20: 피스톤 30: 실린더커버
31: 개구부 50: 높낮이조정용 회전자
50a: 체결공간 50b: 눈금자
60: 안티로테이션 링 100: 핫 런너 시스템
101: 클램핑 플레이트 102: 홀딩 플레이트
103: 스페이서 플레이트 110: 노즐 로케이터
120: 로케이터 링 131: 다월 핀
132: 다월 패드 G: 높낮이조정용 간극
L: 육각 렌치

Claims (5)

  1. 용융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가 유동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노즐이 하부에 구성되는 매니폴드의 상부에 구성되며, 중공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구성되고, 내부중심부에 밸브 핀이 구비되며, 중공부에 유입된 작동유체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구성되며,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커버; 및
    상기 개구부에 상부가 스크루방식으로 체결되고, 하부가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회전구동을 통해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높낮이조정용 회전자;
    를 포함하는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는 육각 렌치를 통한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상면의 중심부에 다각형의 체결공간이 구성된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커버와 높낮이조정용 회전자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높낮이조정용 회전자와의 스크루방식 체결을 통해 풀림을 방지하는 안티로테이션 링;
    을 더 포함하는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티로테이션 링은 표면에 눈금자가 원주를 따라 배열 구성된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게이트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는 노즐 로케이터 및 상기 노즐 로케이터의 상부에 구성되는 로케이팅 링을 포함하는 핫 런너 시스템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KR1020190124851A 2019-10-08 2019-10-08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KR10235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51A KR102351076B1 (ko) 2019-10-08 2019-10-08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51A KR102351076B1 (ko) 2019-10-08 2019-10-08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66A true KR20210041966A (ko) 2021-04-16
KR102351076B1 KR102351076B1 (ko) 2022-01-14

Family

ID=7574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851A KR102351076B1 (ko) 2019-10-08 2019-10-08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9011A (zh) * 2022-11-30 2023-05-02 浙江恒道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行程可调的气缸及其行程调节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991A1 (en) * 2004-09-29 2006-03-30 Mold-Masters Limited Adjustable valve pin actuator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20100036058A (ko) * 2008-09-29 2010-04-07 유도실업주식회사 사출기용 핫 러너 시스템의 밸브 핀 높낮이 조절장치
KR20130091744A (ko) * 2010-07-20 2013-08-19 써모플레이 에스.피.에이.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몰딩을 위한 다중 로드 구동부를 가진 향상된 폐쇄 조립체
KR101336279B1 (ko) 2012-10-16 2013-12-03 주식회사 유도 핫런너 시스템의 멀티 게이트용 실린더 어셈블리
US20160082634A1 (en) * 2013-05-29 2016-03-24 Synventive Molding Solutions, Inc. Valve pin position adjus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991A1 (en) * 2004-09-29 2006-03-30 Mold-Masters Limited Adjustable valve pin actuator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KR20100036058A (ko) * 2008-09-29 2010-04-07 유도실업주식회사 사출기용 핫 러너 시스템의 밸브 핀 높낮이 조절장치
KR20130091744A (ko) * 2010-07-20 2013-08-19 써모플레이 에스.피.에이.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몰딩을 위한 다중 로드 구동부를 가진 향상된 폐쇄 조립체
KR101336279B1 (ko) 2012-10-16 2013-12-03 주식회사 유도 핫런너 시스템의 멀티 게이트용 실린더 어셈블리
US20160082634A1 (en) * 2013-05-29 2016-03-24 Synventive Molding Solutions, Inc. Valve pin position adju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9011A (zh) * 2022-11-30 2023-05-02 浙江恒道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行程可调的气缸及其行程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076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564B2 (en) Hot runner valve apparatus for an injection-molding machine
KR100679453B1 (ko) 사출성형기용 밸브장치
US6086356A (en) Valve device for an injection nozzle used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20210041966A (ko)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매립형 실린더
KR101336279B1 (ko) 핫런너 시스템의 멀티 게이트용 실린더 어셈블리
KR101315434B1 (ko) 사출금형의 핫 런너 게이트 개폐장치
KR102150084B1 (ko) 밸브 핀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실린더
KR20170089572A (ko) 핫런너 밸브장치
KR101208692B1 (ko) 다각 밸브핀이 구비된 핫 런너 시스템
KR20120088476A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290550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2381355B1 (ko) 분해 없이 밸브 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실린더 시스템
KR20150138543A (ko)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20070029911A (ko) 사출압 조절장치를 구비한 사출성형기
CN108454011B (zh) 用于注射模制装置的热流道注射喷嘴和致动器
KR20090083251A (ko) 사출성형을 위한 핫러너 장치
KR100934408B1 (ko) 사출성형기용 피스톤의 높이조절장치
KR102240758B1 (ko) 사출기의 노즐장치
KR100643610B1 (ko) 사출성형기용 싱글타입 밸브장치
KR101919327B1 (ko) 플라스틱 기어 사출 금형
CN109109267B (zh) 分配机构、注塑喷嘴和带注塑喷嘴和分配机构的注塑模具
KR100824024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2011214B1 (ko) 다캐비티 금형용 핫런너 밸브장치
KR20130039214A (ko) 사출 성형기
KR102011004B1 (ko) 핫런너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