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857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857A
KR20210041857A KR1020190124593A KR20190124593A KR20210041857A KR 20210041857 A KR20210041857 A KR 20210041857A KR 1020190124593 A KR1020190124593 A KR 1020190124593A KR 20190124593 A KR20190124593 A KR 20190124593A KR 20210041857 A KR20210041857 A KR 2021004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discharge pipe
unit
heat exchanger
accu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완
김재훈
우수진
이유호
임홍영
전영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857A/ko
Publication of KR2021004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28D1/0443Combination of units extending one beside or one above the other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이동하는 응축부와 증발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증발부를 통과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내부 열교환부 및 상기 증발부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열교환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실시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제어하기 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도 1과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1), 압축기(1)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 응축기(2)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팽창밸브(3),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4) 등이 냉매 파이프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냉동사이클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냉매 순환과정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한다.
차량용 냉방시스템이 작동되면, 먼저 압축기(1)가 구동되어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및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로 송출하고, 응축기(2)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저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2)에서 저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4)로 보내어지고, 증발기(4)는 그 냉매를 송풍기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냉매는 증발기(4)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되고 다시 압축기(1)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냉매순환과정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가 증발기(4)를 거치면서 증발기(4)내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냉방시스템의 냉방 효율은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데, 그 중에서도 팽창밸브(3)에 의해 교축되기 직전 고압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기(4)에서 배출되는 저압 냉매의 과열도는 각각 냉매 유동성과 증발기(4)에서의 압력 강하량 그리고 증발기(4)의 과열영역(증발기의 냉매 배출구측 일부 영역)과 압축기(1)의 체적효율 등에 영향을 미쳐 냉방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일례로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가 증가하면, 냉매의 비체적이 감소되어 냉매유동이 안정화되고 증발기(4)에서의 냉매 압력강하량이 감소되어 에어컨시스템의 냉방효율이 증대되며 압축기(1)의 동력소모량은 감소한다.
반면, 증발기(4)에서 배출되는 저압 냉매의 과열도가 적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액상 냉매의 압축기(1)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냉매가 완전히 기화할 수 있게 설정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증발기(4)의 과열영역이 확대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어컨시스템의 냉방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팽창밸브(3)에 의해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기(4)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유지하기 위해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9354호.
실시예는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매가 이동하는 응축부와 증발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증발부를 통과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내부 열교환부; 및 상기 증발부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열교환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부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1 헤더탱크, 상기 제1 헤더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감싸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 헤더탱크, 상기 제2 헤더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감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상기 제2 헤더탱크는 하나의 헤더탱크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2열의 배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열교환기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연결되어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관통하는 제1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관은 상기 제2 헤더탱크와 연결되는 제2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와 접촉하여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제1 배출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출관은 복수의 관구조로 분기되어 상기 제2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냉매과 열교환 면적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출관은 튜브형의 관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냉매와 열교환 면적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에는 상기 제2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격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응축부 및 상기 증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부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제어하여 냉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열교환기를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배치하여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열교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구성 부품간의 연결부 개수를 줄여 냉매의 누설 위함을 감소시키고, 조립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되는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의 제1 실시예이고,
도 5는 도 3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의 제2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3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의 제3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되는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되는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구조는 응축부(100), 증발부(200) 및 어큐뮬레이터(300)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팽창밸브(500) 및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큐뮬레이터(300)의 내부에는 응축부(100)를 통과한 냉매과 증발부(200)를 통과한 냉매가 순환과정에서 열교환을 하는 내부 열교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열교환부는 기체와 액체의 분리가 일어나는 어큐뮬레이터(300) 내부에 배치되어 팽창밸브(500)에 의해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부(20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제어하여 냉방 효율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열교환 시스템은 냉매가 응축부(100), 팽창밸브(500), 증발부(200) 및 압축부(600) 를 순환하는 시스템을 기본 구조로 한다.
응축부(100)는 압축부(600)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부 열원과 열교환시켜 저온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팽창밸브(500)쪽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응축부(100)는 기액 분리기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의 냉매가 분리되어 액상의 냉매만이 팽창밸브(500)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응축부(100)는 수냉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팽창밸브(500)는 응축부(100)에서 토출된 저온고압의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을 이용해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만들어 증발부(20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팽창밸브(500)는 응축부(100)에서 증발부(200)쪽으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오리피스를 갖는 팽창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부(100)에서 증발부(200)쪽으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증발부(200)는 팽창밸브(50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의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액상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증발부(200)에서 증발하여 저온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압축부(600)를 통해 흡입 및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만들어져 응축부(100)로 보내지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증발부(200)는 수냉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부(600)는 동력 공급원인 모터 또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증발부(200)에서 토출된 저온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및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만들어 응축부(100)로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는 응축부(100), 팽창밸브(500), 증발부(200) 및 압축부(600)를 순환하게 된다.
어큐뮬레이터(300)는 압축부(600)로 이동하는 냉매를 기상과 액상의 냉매로 분리하여 압축부(600)로 공급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300) 내부에는 본원발명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400)가 배치되어 팽창밸브(500)에 의해 교축되기 전 냉매의 과냉도와 증발부(200)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제어할 수 있다.
내부열교환기가 구비된 어큐뮬레이터(30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응축부(100)와 증발부(200)는 수냉식 구조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응축부(100), 증발부(200), 내부 열교환부 및 어큐뮬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부(100)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헤더탱크(110), 복수의 제1 튜브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더탱크(11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압축부(600)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헤더탱크(110)는 헤더와 탱크가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냉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헤더탱크(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1 헤더탱크(110)의 일측에는 제1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튜브(미도시)는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기 복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튜브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헤더탱크(110)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제1 헤더탱크(110)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튜브의 형상이나 배치구조는 공지된 구성에 해당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하우징(120)은 수냉식으로 동작되는 응축부(100)에서 냉각수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와 핀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어 제1 튜브와 제1 튜브(230) 사이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 냉각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하우징(120)은 복수의 제1 튜브의 측면과 결합하는 한 쌍의 판형 플레이트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제1 튜브의 양측면에서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상하에 배치되는 제1 튜브 사이공간에 냉각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증발부(200)는 한 쌍의 제2 헤더탱크(210), 제2 헤더탱크(21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튜브 및 제2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헤더탱크(21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팽창밸브(50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헤더탱크(210)는 헤더와 탱크가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냉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헤더탱크(21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2 헤더탱크(210)의 일측에는 제2 튜브(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튜브는 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냉매가 이동하기 복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튜브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헤더탱크(210)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제2 헤더탱크(210)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0)은 증발부(200)에서 냉각수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20)은 복수의 제2 튜브와 제2 핀을 감싸는 구조로 마련되어 제2 튜브와 제2 튜브 사이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 제2 냉각수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응축부(100)의 제1 헤더탱크(110)와 증발부(200)의 제2 헤더탱크(210)는 연결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 헤더탱크(110)와 제2 헤더탱크(210)는 동일방향에 배치되는 제1 헤더탱크(110)와 제2 헤더탱크(210) 각각이 하나의 헤더탱크를 공유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헤더탱크(110)와 제2 헤더탱크(210)는 베플을 이용하여 내부가 구획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 각 구성 부품간의 연결부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매의 누설 위함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부(100)와 증발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2열의 배치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열의 배치구조를 통해 응축 효율이나 증발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300)는 응축부(100) 및 증발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300)는 응축부(100)와 증발부(200)와 브레이징 용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냉매를 이동하기 위한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에서 냉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열교환부는 어큐뮬레이터(300) 내부에 배치되며, 응축부(100)를 통과한 냉매와 증발부(200)를 통과한 냉매를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내부 열교환기(400)가 배치된 어큐뮬레이터(300)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400)의 제1 실시예이다.
어큐뮬레이터(300)는 증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기체와 액체로 분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제3 하우징(310)에는 증발부(20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2 배출관(4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출관(420)을 통해 유입된 출구 냉매(L1)는 어큐뮬레이터(300) 내부에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되며, 기체의 저온 냉매(G)는 제3 하우징(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출구(330)를 통해 압축부(6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 하우징(310)에는 응축부(10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1 배출관(410)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배출관(410)은 제2 배출관(420)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가 제1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하우징(310)을 관통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출관(420)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제3 하우징(310)에 저장되며, 제1 배출관(410)은 저장된 냉매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배출관(410)을 이동하는 냉매는 제1 배출관(410)의 열전도를 통해 제2 배출관(420)에 저장된 냉매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400)의 제2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배출관(420)은 제1 배출관(41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열교환기(400)는 제2 배출관(420)을 통해 어큐뮬레이터(30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와 제1 배출관(410)을 이동하는 냉매간의 열교환을 하도록 한다. 이때, 제2 배출관(420)은 제1 배출관(410)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제2 배출관(42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와 제1 배출관(410)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대하여 열교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구성요소인 내부 열교환기(400)의 제3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배출관(410)은 관구조를 변경하여 제2 배출관(420)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와의 접촉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
제1 배출관(410)은 복수의 관구조로 분기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제2 배출관(420)에서 배출되는 냉매와 열교환 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
제1 배출관(410)은 튜브형의 관구조를 구비하여 제1 배출관(410)의 외면과 제2 배출관(420)에서 배출되는 냉매와 열교환 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배출관(410)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한정된 용량의 냉매의 접촉표면적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어큐뮬레이터(300) 내부에는 제2 배출관(420)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격실(350)이 구비될 수 있다. 격실(350)은 제2 배출관(420)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가장 가까운곳에 제1 배출관(410)과 열교환을 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응축부
110 ; 제1 헤더탱크
120 : 제1 하우징
200 : 증발부
210 : 제2 헤더탱크
220 : 제2 하우징
300 : 어큐뮬레이터
310 : 제3 하우징
330 : 출구
350 : 격실
400 : 내부 열교환기
410 : 제1 배출관
420 : 제2 배출관
500 : 팽창밸브
600 : 압축부

Claims (10)

  1. 냉매가 이동하는 응축부와 증발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증발부를 통과한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내부 열교환부; 및
    상기 증발부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열교환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1 헤더탱크, 상기 제1 헤더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감싸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부는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 헤더탱크, 상기 제2 헤더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감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 항에 있어서,
    동일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상기 제2 헤더탱크는 하나의 헤더탱크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2열의 배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열교환기는 상기 제1 헤더탱크와 연결되어 냉매를 배출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관통하는 제1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관은 상기 제2 헤더탱크와 연결되는 제2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와 접촉하여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제1 배출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관은 복수의 관구조로 분기되어 상기 제2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냉매과 열교환 면적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관은 튜브형의 관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냉매와 열교환 면적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에는 상기 제2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격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응축부 및 상기 증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90124593A 2019-10-08 2019-10-08 열교환기 KR20210041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593A KR20210041857A (ko) 2019-10-08 2019-10-08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593A KR20210041857A (ko) 2019-10-08 2019-10-08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857A true KR20210041857A (ko) 2021-04-16

Family

ID=7574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93A KR20210041857A (ko) 2019-10-08 2019-10-08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8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354A (ko) 2013-12-13 2015-06-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354A (ko) 2013-12-13 2015-06-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9978B2 (en) Evaporator unit
US6516628B2 (en) Refrigerant cycle system with hot-gas bypass structure
KR102262722B1 (ko) 냉장고용 냉각사이클장치
US7448229B2 (en) Heat exchanger of air conditioner
US11543162B2 (en) Circulation system of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US20180186216A1 (en) Refrigeration cycle of vehicle air conditioner
EP3179180B1 (e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EP2592366A2 (en) Non-azeotropic mixed refrigerant cycle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1274241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JP394155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凝縮器
KR20210126361A (ko) 베이퍼 인젝션 히트펌프 시스템
CN113339909B (zh) 热泵空调系统
KR20090045473A (ko) 응축기
KR20210096521A (ko) 공기 조화 장치
US7089759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heat exchanger
US20230094694A1 (en) Heat exchanger
KR20210041857A (ko) 열교환기
JP2007057177A (ja)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418155B1 (ko) 공기조화기
CN111811157A (zh) 换热设备、热水器和空调
KR101291035B1 (ko) 다중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응축기
KR20210027883A (ko) 열교환기
US2022039015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7146077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