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282A -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282A
KR20210041282A KR1020190123770A KR20190123770A KR20210041282A KR 20210041282 A KR20210041282 A KR 20210041282A KR 1020190123770 A KR1020190123770 A KR 1020190123770A KR 20190123770 A KR20190123770 A KR 20190123770A KR 20210041282 A KR20210041282 A KR 2021004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control signal
discharge
battery
discharg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2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282A/ko
Publication of KR2021004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7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모듈의 일전극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충방전 스위치,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상태, 상기 배터리 모듈에 흐르는 배터리 전류, 상기 배터리 모듈 양단 사이의 배터리 전압, 및 충전 제어 신호 및 방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CHARGE/DISCHARGE SWITCH CONTROL METHOD AND BATTERY SYSTEM WHRER THE METHOD IS APPLIED}
본 개시는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각각이 분리되어 제어될 경우, 충전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와 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각각 구분되어 생성된다.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생성하는 차량에는,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가 동일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시스템이 적용될 수 없다.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가 동일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시스템에서, 충전 제어 신호와 방전 제어 신호가 동일할 때에는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충전 제어 신호와 방전 제어 신호가 다를 때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가 동일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시스템을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각각에 대한 별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모듈의 일전극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충방전 스위치,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상태, 상기 배터리 모듈에 흐르는 배터리 전류, 상기 배터리 모듈 양단 사이의 배터리 전압, 및 충전 제어 신호 및 방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크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제2 기준 전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이고, 상기 제2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으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기준 전압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이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감지 신호와 제1 기준 값 및 제2 기준 값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현재 상태, 상기 제1 비교 신호, 상기 제2 비교 신호, 상기 충전 제어 신호,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는,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제1 비교 신호가 제1 레벨이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교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는,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2 비교 신호가 제1 레벨이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비교 신호가 제2 레벨이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다른 배터리 모듈의 일전극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충전 제어 신호 및 방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크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르고, 상기 배터리 전류가 상기 제1 기준 전류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제2 기준 전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이고, 상기 제2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일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르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으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기준 전압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이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가 동일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배터리 시스템을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 각각에 대한 별도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시스템(1)은 충방전 스위치(10),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20), 배터리 모듈(30), 및 전류 센서(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배터리 모듈(30)은 n 개의 배터리 셀(C1-Cn)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 모듈(30)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적절한 개수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30)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된 배터리 팩들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배터리 팩들이 병렬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셀 각각의 개수 및 연결 관계는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터리 모듈(2)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배터리 셀(C1-Cn)을 포함하며, 배터리 시스템(1)의 두 출력단(OUT1, OUT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 시스템(1)의 양극과 출력단(OUT1) 사이에 충방전 스위치(10) 및 전류 센서(4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배터리 시스템(1)의 음극과 출력단(OUT2) 사이에 충방전 스위치(10) 및 전류 센서(40)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및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는 일 예로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방전 스위치(10)는 배터리 시스템(1)과 외부 장치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한다. 충방전 스위치(10)가 온 되면, 배터리 시스템(1)과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고, 충방전 스위치(10)가 오프 되면, 배터리 시스템(1)와 외부 장치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외부 장치는 부하 또는 충전기일 수 있다.
전류 센서(40)는 배터리 모듈(30)과 외부 장치간 전류 경로에 직렬 연결되어 있다. 전류 센서(40)는 배터리 모듈(30)에 흐르는 전류 즉,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지시하는 전류 감지 신호(IS)를 BMS(20)에 전달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예를 들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 2)는 BMS(20)로부터 전송되는 배터리 상태 신호(BSS) 및 차량의 운전 상태에 기초하여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를 BMS(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ECU(2)와 BMS(20)는 CAN 통신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20)는 셀 모니터링 IC(21) 및 메인 제어 회로(22)를 포함한다.
셀 모니터링 IC(21)는 복수의 배터리 셀(C1-Cn)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C1-Cn) 각각에 대한 배터리 셀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배터리 셀 정보를 메인 제어 회로(22)에 전달할 수 있다. 배터리 셀 정보는 배터리 셀의 전압,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셀 모니터링 IC(21)는 배터리 모듈(30)의 전압(이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을 메인 제어 회로(22)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배터리 셀 정보, 배터리 전압, 전류 감지 신호(IS),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를 수신하고, 배터리 모듈(30)을 관리하고 충방전 스위치(10)의 스위칭을 제어하며, 배터리 상태 신호(BSS)를 생성하여 ECU(2)에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0)의 관리는 배터리 모듈(30)에 대한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 동작, 복수의 배터리 셀(C1-Cn)에 대한 셀 밸런싱 동작, 배터리 모듈(30)의 충전 및 방전 등을 포함한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배터리 셀 정보,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건강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정보들을 배터리 상태 신호로 구성하여 ECU(2)에 CAN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모듈(30)에 흐르는 전류(이하, 배터리 전류) 및 배터리 전압, 충방전 스위치(10)의 온/오프 상태, 및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에 기초하여, 충방전 위치(1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충방전 스위치(10)는 트랜지스터(11) 및 트랜지스터(12)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충방전 스위치(10)가 두 개의 n 채널 타입의 MOSFET 소자(11, 12)로 구현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방전 스위치(10)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MOSFET 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채널 타입은 n 채널 타입 또는 p 채널 타입일 수 있다. 충방전 스위치(10)를 구현한 트랜지스터가 복수 개일 경우에도, 모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동일한 게이트 전압(VG)에 의해 제어된다. n 채널 타입인 경우, 게이트 전압(VG)은 트랜지스터(11, 12)를 턴 온 시킬 수 있는 충분히 높은 레벨 또는 트랜지스터(11, 12)를 턴 오프 시킬 수 있는 충분히 낮은 레벨일 수 있다. p 채널 타입인 경우, 게이트 전압(VG)은 트랜지스터(11, 12)를 턴 온 시킬 수 있는 충분히 낮은 레벨 도는 트랜지스터(11, 12)를 턴 오프 시킬 수 있는 충분히 높은 레벨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의 상태를 판단한다(S1). 메인 제어 회로(22)는 게이트 전압(VG)의 레벨 또는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하는 게이트 회로의 제어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충방전 스위치(10)의 상태 즉, 온 상태(닫힘) 또는 오프 상태(개방)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의 판단 결과, 충방전 스위치(10)가 온 상태(닫힌 상태)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를 비교한다(S2).
ECU(2)는 배터리 모듈(30)을 충전시키기 위해서 인에이블 레벨의 충전 제어 신호(CHS)를 생성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30)을 방전시키기 위해서 인에이블 레벨의 방전 제어 신호(DCHS)를 생성할 수 있다.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의 인에이블 레벨은 동일한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이고,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가 인에이블 레벨이 아닌 레벨(이하, 디스에이블 레벨이라 함)일 때도 서로 동일한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일 수 있다.
단계 S2의 판단 결과,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동일한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S3).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가 인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온 시키는 온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유지한다.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디스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오프 시키는 오프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단계 S2의 판단 결과,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다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큰지 비교한다(S4). 메인 제어 회로(22)는 전류 감지 신호(IS)와 제1 기준 전류에 대응하는 제1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4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전 제어 신호(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S5).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신호(CHS)가 인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온 시키는 온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유지한다. 충전 제어 신호(CHS)가 디스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오프 시키는 오프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보다 큰 경우, 충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충전 제어 신호(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
단계 S4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크지 않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은지 비교한다(S6). 메인 제어 회로(22)는 전류 감지 신호(IS)와 제2 기준 전류에 대응하는 제2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6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S7). 예를 들어, 방전 제어 신호(DCHS)가 인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온 시키는 온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유지한다.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디스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오프 시키는 오프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경우, 방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
단계 S6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지 않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의 현 상태를 유지한다(S8).
단계 S1의 판단 결과, 충방전 스위치(10)가 오프 상태(개방 상태)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를 비교한다(S9).
단계 S9의 판단 결과,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동일한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S3).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가 인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온 시키는 온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디스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오프 시키는 오프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유지한다.
단계 S9의 판단 결과, 충전 제어 신호(CHS)와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다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은지 비교한다(S10).
단계 S10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S11). 예를 들어, 방전 제어 신호(DCHS)가 인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온 시키는 온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방전 제어 신호(DCHS)가 디스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오프 시키는 오프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유지한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 전압이 높아서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여,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
단계 S10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지 않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은지 비교한다(S12).
단계 S12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전 제어 신호(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S13).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신호(CHS)가 인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온 시키는 온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충전 제어 신호(CHS)가 디스에이블 레벨인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를 오프 시키는 오프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유지한다. 메인 제어 회로(22)는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 전압이 낮아서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전 제어 신호(CHS)에 따라 충방전 스위치(10)를 제어한다.
단계 S12의 판단 결과,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지 않은 경우, 메인 제어 회로(22)는 충방전 스위치(10)의 현 상태를 유지한다(S8).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메인 제어 회로(22)는 회로적으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1, 222), 게이트 제어 회로(223), 및 게이트 구동회로(224)를 포함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1)는 (+) 단에 입력되는 전류 감지 신호(IS)와 (-1) 단에 입력되는 제1 기준 값(IVR1) 및 (-2) 단에 입력되는 제2 기준 값(IVR2) 각각을 비교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1)는 (+) 단의 입력이 (-1) 단의 입력보다 클 때 하이 레벨을 출력하고, (+) 단의 입력이 (-2) 단의 입력보다 작을 때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 단의 입력이 (-1)단의 입력과 (-2) 단의 입력 사이일 때 현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1)는 전류 감지 신호(IS)가 제1 기준 값(IVR1) 보다 클 때는 제1 비교 신호(COM1)의 레벨을 하이 레벨로 변경하고, 전류 감지 신호(IS)가 제2 기준 값(IVR2) 보다 작을 때는 제1 비교 신호(COM1)의 레벨을 로우 레벨로 변경하며, 전류 감지 신호(IS)가 제1 기준 값(IVR1)과 제2 기준 값(IVR2) 사이일 때는 제1 비교 신호(COM1)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2)는 (+) 단에 입력되는 배터리 전압(VB)과 (-1) 단에 입력되는 제1 기준 전압(VVR1) 및 (-2) 단에 입력되는 제2 기준 전압(VVR2) 각각을 비교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2)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1)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 비교기(222)는 배터리 전압(VB)이 제1 기준 전압(VVR1) 보다 높을 때는 제2 비교 신호(COM2)의 레벨을 하이 레벨로 변경하고, 배터리 전압(VB)이 제2 기준 전압(VVR2) 보다 낮을 때는 제2 비교 신호(COM2)의 레벨을 로우 레벨로 변경하며, 배터리 전압(VB)이 제1 기준 전압(VVR1)과 제2 기준 전압(VVR2) 사이일 때는 제2 비교 신호(COM2)의 출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게이트 제어 회로(223)는 충방전 스위치(10)의 현재 상태, 제1 비교 신호(COM1), 제2 비교 신호(COM2), 충전 제어 신호(CHS), 및 방전 제어 신호(DCHS)에 기초하여 게이트 제어 신호(VGC)을 생성한다.
게이트 제어 회로(223)는 충방전 스위치(10)가 온 상태일 때, 제1 비교 신호(COM1)가 하이 레벨이면, 충전 제어 신호(CHS)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VGC)를 생성하고, 제1 비교 신호(COM1)가 로우 레벨이면,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VGC)를 생성한다.
게이트 제어 회로(223)는 충방전 스위치(10)가 오프 상태일 때, 제2 비교 신호(COM2)가 하이 레벨이면, 방전 제어 신호(DCHS)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VGC)를 생성하고, 제2 비교 신호(COM2)가 로우 레벨이면, 충전 제어 신호(CHS)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VGC)를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224)는 게이트 제어 신호(VGC)에 따라 트랜지스터(1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충분할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제어 신호(VGC)가 온을 지시하는 레벨인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224)는 하이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VGC)가 오프를 지시하는 레벨인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224)는 로우 레벨의 게이트 전압(VG)을 생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배터리 시스템
2: ECU(Electronic Control UNIT)
10: 충방전 스위치
20: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30: 배터리 모듈
40: 전류 센서

Claims (17)

  1. 배터리 모듈의 일전극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충방전 스위치;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상태, 상기 배터리 모듈에 흐르는 배터리 전류, 상기 배터리 모듈 양단 사이의 배터리 전압, 및 충전 제어 신호 및 방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크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제2 기준 전류보다 큰, 배터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이고,
    상기 제2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인, 배터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으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기준 전압 보다 높은, 배터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이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인, 배터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감지 신호와 제1 기준 값 및 제2 기준 값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상기 배터리 전압과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현재 상태, 상기 제1 비교 신호, 상기 제2 비교 신호, 상기 충전 제어 신호,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는,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제1 비교 신호가 제1 레벨이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비교 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는,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제2 비교 신호가 제1 레벨이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비교 신호가 제2 레벨이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시스템.
  11. 배터리 모듈의 일전극과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된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제어 신호 및 방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 중 상기 배터리 전압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1 기준 전류 보다 크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르고, 상기 배터리 전류가 상기 제1 기준 전류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전류가 제2 기준 전류 보다 작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제2 기준 전류보다 큰,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이고,
    상기 제2 기준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류인,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를 때,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보다 높으면,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다르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보다 낮으면, 상기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기준 전압 보다 높은,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이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류가 충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인,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제어 신호와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지시하는 상태가 같을 때, 상기 충전 제어 신호 및 상기 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방전 스위치 제어 방법.
KR1020190123770A 2019-10-07 2019-10-07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KR20210041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70A KR20210041282A (ko) 2019-10-07 2019-10-07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70A KR20210041282A (ko) 2019-10-07 2019-10-07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282A true KR20210041282A (ko) 2021-04-15

Family

ID=7544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70A KR20210041282A (ko) 2019-10-07 2019-10-07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341A1 (ko) * 2021-04-28 2022-1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위칭 소자 동작 검출 장치 및 태양광 발전 전력변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341A1 (ko) * 2021-04-28 2022-1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위칭 소자 동작 검출 장치 및 태양광 발전 전력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146B2 (en) Battery control circuit for multiple cells employing level shift circuits to avoid fault
US8878541B2 (en) Battery voltage monitoring circuit
US6624614B2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ler
US8154253B2 (en) Cell voltage abnormality detector and cell voltage monitoring device for a multi-cell series battery
US8941360B2 (en)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KR20040086129A (ko) 충전제어 기능 부착 전지팩
GB2322488A (en) Battery monitor and circuit breaker
US11183858B2 (en)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circuit,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device, battery p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circuit
US20160013668A1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US10811888B2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secondary battery
CN109888855A (zh) 充放电控制装置和电池装置
CN1371154A (zh) 电源电路
KR20210040704A (ko)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US20220368148A1 (en) Error Detecting Method of Charging Switch Unit and Battery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041282A (ko) 충방전 스위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US6225779B1 (en) Power supply monitoring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individually monitoring voltages of cells
US10361570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including voltage or current detection for secondary batteries
US11764590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djusting cell balancing current
US20220149836A1 (en) Fe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45435A (ko) 릴레이 개방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
US20220368141A1 (en)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circuit, battery pack,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secondary battery
KR102540501B1 (ko)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차전지 보호 집적 회로
KR20220043645A (ko) 릴레이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 시스템
KR20220043644A (ko) 릴레이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 시스템
KR20230064875A (ko) 전압 판단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