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252A -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 Google Patents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252A
KR20210041252A KR1020190123691A KR20190123691A KR20210041252A KR 20210041252 A KR20210041252 A KR 20210041252A KR 1020190123691 A KR1020190123691 A KR 1020190123691A KR 20190123691 A KR20190123691 A KR 20190123691A KR 20210041252 A KR20210041252 A KR 2021004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d
module
wheelchai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0780B1 (en
Inventor
이영우
지유강
최제세
Original Assignee
(주)옵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토닉스 filed Critical (주)옵토닉스
Priority to KR102019012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80B1/en
Publication of KR2021004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2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ed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to enable a user who sits on a wheelchair module to easily move to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bed comprises a bed module and a wheelchair module. The bed module includes a bed unit formed to be elongated and partially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rame unit supporting the bed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wheelchair module includes: a seating unit elongated to be partially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unit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nd supporting the seating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tilting adjustment unit connected to the seating unit in the support unit, and selectively adjusting the tilting of the seating unit to transform the seating unit in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first shape or a wheelchair-type second shape to be optionally coupled to the bed module. The wheelchair modul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bed module in the first shape to be coupl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rm a bed together with the bed module.

Description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Electric bed with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본 발명은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휠체어모듈에 탑승한 상태로 자세를 변경하여 침대모듈에 장착 함으로써, 별도로 이동할 필요 없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침대모듈에 결합하여 침대로 이용이 가능한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ed, by changing the posture while the user is on the wheelchair module and installing it on the bed module, a detachable wheelchair that can be used as a bed by being combined with a bed module while riding in a wheelchair without the need to move separately It relates to an electric bed with a module.

노약자, 중증 피간호인 및 장애인 등 자력으로 목욕이 불가능한 피간호인의 경우 간호인의 도움을 받아서 목욕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자력으로 침대에 눕거나 이동이 어려운 피간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간병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간호인 및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장치 등이 소개되고 있다In the case of caregivers who cannot take a bath on their own, such as the elderly, severely ill caregivers, and the disabled, they take a bath with the help of the caregi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number of caregivers who lie on the bed or have difficulty moving on their own is increasing, so the work of caregivers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various device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aregivers and caregivers, etc. Is being introduced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이동보조장치이다.Among these devices, a wheelchair is a mobility aid for helping the disabled, patients, 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o move comfortably.

이러한 휠체어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바퀴를 손으로 직접 회전시키거나 보조자가 뒤에서 손잡이를 잡고 밀어 움직이는 수동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Such a wheelchair is composed of a seat, a backrest, and wheel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eat, and a manual wheelchair is widely used where the occupant rotates the wheel directly by hand or an assistant moves by holding a handle from the back.

최근에는 수동으로 바퀴를 움직일 필요 없는 휠체어모듈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Recently, a lot of wheelchair modules that do not require manual wheel movement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products have been released and sold.

휠체어모듈은 일반적으로 모터를 이용해 바퀴를 구동시키며 이동하는 형태의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Wheelchair modules generally drive wheels using a motor, and wheelchairs in the form of moving have the advantage of making it convenient for the handicapped, the patient, 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o move.

그러나, 단순히 이동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의 경우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이동하기에는 용이하지만, 추가적인 화장실의 이용이나 침대로 이동 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evice for the purpose of simply moving, it is easy for a user with discomfort to mov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n additional toilet or move to a bed.

특히, 중증의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경우 휠체어에 탑승 및 하차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간병인이 상시 주변에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verely handicapped or the elderly, it is difficult to get on and off a wheelchair, and due to this difficult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caregiver must always wait around.

물론, 종래에 개발된 전동 휠체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에 대한 불편함은 어느 정도 해소할 수는 있지만, 안정적인 자세변경 및 침대로의 이동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Of course, the conventionally developed electric wheelchair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s movement to some extent, bu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problems such as stable posture change and movement to the b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휠체어모듈에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자세를 조정하고, 침대로 이동 시 별도의 이동 없이 바로 침대모듈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 detachable wheelchair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directly in the bed module without separate movement when the user adjusts the posture in the wheelchair module according to convenience, and when moving to the bed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bed with a modu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therein,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는, 베드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유닛을 포함하는 침대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는 안착유닛 및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며 상기 안착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안착유닛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안착유닛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1형태 또는 휠체어형의 제2형태로 변형시키는 틸팅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침대모듈에 결합되는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모듈은 상기 제1형태로 상기 침대모듈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폭 방향을 따라 체결되며 상기 침대모듈과 함께 침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bed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ed module including a frame unit supporting the bed unit at a certain height, a seating unit that is formed long and tilt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 support unit having a moving wheel and supporting the seating unit at a certain height, and connected to the seating unit in the support unit, and a first type or wheelchair in which the seating unit is substantially horizontal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tilting of the seating unit Including a tilting control unit that transforms into a second shape of the type, and a wheelchair module optionally coupled to the bed module, wherein the wheelchair modul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ed module in the first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It is fasten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titutes a bed together with the bed module.

또한, 상기 베드유닛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등받이부, 일측이 상기 제1등받이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중앙지지부 및 상기 제1중앙지지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1하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틸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unit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with the first backres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por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central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the first central support portion It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independently tilted.

또한, 상기 침대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등받이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ngle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frame unit to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first backrest part.

또한, 상기 침대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하부지지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ngle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frame unit to adjust a tilting angle of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또한, 상기 프레임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및 타측의 폭이 상기 베드유닛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휠체어모듈이 상기 침대모듈과 결합 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유닛의 하부로 삽입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unit has a wid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bed unit, and when the wheelchair module is coupled to the bed modu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unit is inserted and supported under the seating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by that.

또한, 상기 침대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별도의 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유닛에 의해 상기 베드유닛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모듈과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module further includes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frame unit to selectively elevate and lower the bed unit, and fastened with the wheelchair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unit is lower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또한, 상기 침대모듈은 또는 상기 휠체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모듈과 상기 휠체어모듈의 결합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ens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wheelchair modules or for detecting whether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are coupled.

또한,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되어 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침대모듈과 상기 휠체어모듈의 결합 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may be pressed when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are combined.

또한, 상기 안착유닛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2등받이부,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2중앙지지부 및 상기 제2중앙지지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2하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unit is coupled to a second backrest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back portion, a second central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the second central supporting portion by being configured to tilt one side with the second backrest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또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1링크, 제2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되는 제2링크, 길게 형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중앙지지부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의 하면에 접촉하여 틸팅시키는 제3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측을 연결하여 동시에 틸팅되도록 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lting control unit has a first rotation shaft in the support unit, one side has a first link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ortion, a second link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having a second rotation shaft, is formed long The middle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link, and both ends contact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central support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respectively, and a third link that tilts and connects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Thus, it may include a connection link to be tilted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제1링크 내지 상기 제3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틸팅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lting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ilting power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to the third link to provide power by a user's manipulation.

또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안착유닛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조절유닛의 동작여부를 조절하는 별도의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lting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operation unit provided on the seating unit or the support unit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tilting control unit is operated.

또한, 상기 베드유닛은 상기 베드유닛은, 상기 제1등받이부의 하면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별도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침대모듈과 상기 휠체어모듈의 결합 시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unit, the bed unit, further includes a separate cover portion protru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the second backrest portion when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are combined. Whi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exposure of the manipulation unit.

또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의 일측 끝단부가 안착되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등받이부가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가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unit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link is seated and a sliding guide is formed, and the sliding guide has an open end por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us, the first link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while the second backrest part is horizontal.

또한, 상기 베드유닛은 상기 제1등받이부의 하면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등받이부의 틸팅 시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함께 틸팅되도록 하는 별도의 제1돌출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un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part, at least partially protru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ackrest part when the first backrest part is tilted.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first protruding frame to be tilt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bed having the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휠체어모듈과 별도의 침대모듈을 구비하여 휠체어모듈이 자세변형이 가능하며 침대모듈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모듈에 착석한 상태에서 침대모듈에 안착되어 침대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heelchair module is equipped with a wheelchair module and a separate bed module, so that the wheelchair module can change its posture, and by being mounted on the bed module, the user can be seated on the bed module while seated in the wheelchair module and used as a bed.

둘째, 휠체어모듈에 구비된 안착유닛과 침대모듈에 구비된 베드유닛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베드유닛에 의해 동시에 틸팅각도가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seating unit provided in the wheelchair module and the bed unit provided in the bed module have the advantage that the tilting angle is simultaneously adjusted by the bed unit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셋째, 휠체어모듈과 침대모듈의 결합 시 휠체어모듈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조작부가 커버부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결합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휠체어모듈만 틸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when the wheelchair module and the bed module are combined, an operation unit that transforms the shape of the wheelchair module is blocked by the cover part, thereby preventing only the wheelchair module from being unintentionally til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therein,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휠체어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전동침대에서 침대모듈과 휠체어모듈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베드유닛과 안착유닛이 연동하여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베드유닛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며니
도 6 및 도 7은 높이조절유닛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휠체어모듈이 수평상태로 침대모듈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전동침대에서 휠체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틸팅조절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의 휠체어모듈이 제1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도 12의 틸팅조절유닛이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bed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in the electric bed of Figure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unit and the seating unit are interlocked and tilted in the electric bed of FIG. 1;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unit is lowered in the electric bed of FIG. 1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operatin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of FIG. 1 is separated from the bed module in a horizontal stat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electric bed of FIG. 1;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heelchair module in the electric bed of Figure 1;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ilting control unit of FIG. 10;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of FIG. 10 is deformed into a first form; And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control unit of FIG. 12 is operated.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의 개략적은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휠체어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bed of FIG.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전동침대에서 침대모듈과 휠체어모듈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베드유닛과 안착유닛이 연동하여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in the electric bed of Figure 2,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unit and the seating unit are interlocked and tilted in the electric bed of Figure 1;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는 크게 휠체어모듈(200) 및 침대모듈(100)을 포함하며, 휠체어모듈(200)이 침대형태로 변형되어 별도의 침대모듈(100)과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로 침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wheelchair module 200 and a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transformed into a bed shape and combined with a separate bed module 100 so that the user is seated in a wheelchair. Make sure the bed is availabl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침대모듈(100)은 크게 베드유닛(110), 프레임유닛(120), 제1각도조절유닛(130), 제2각도조절유닛(140) 및 높이조절유닛(15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ed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bed unit 110, a frame unit 120, a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30, a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140,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cludes.

상기 베드유닛(110)은 사용자가 상면에 안착되어 침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길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틸팅 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잇다.The bed unit 1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to perform the role of a bed,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at least partially til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user's posture by supporting the user's body and til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베드유닛(110)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각각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결되며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드유닛(110)은 복수 개의 부재 중 일부가 틸팅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잇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d unit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in success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independently tiltable. Accordingly, some of the plurality of members of the bed unit 110 may be tilted so that the user can take various posture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드유닛(110)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등받이부(112), 일측이 상기 제1등받이부(112)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중앙지지부(113) 및 상기 제1중앙지지부(113)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1하부지지부(114)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틸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bed unit 110 has a first backrest part 112 that supports the user's back, and one side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with the first backrest part 112 to support the user's buttocks. It includes a central support portion 113 and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14 coupled to the first central support portion 113 to support the lower body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of them independently tilts.

그리고 상기 베드유닛(110)의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며 상기 제1중앙지지부(113)를 중심으로 틸팅한다. In addition, the us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unit 110 and tilts around the first central support part 113.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제1등받이부(11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부지지부는(114)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각각 허벅지와 종아리부분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베드유닛(110)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각각 틸팅됨으로써 사용자의 등과 다리부분을 지지함과 동시에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first backrest part 112 is composed of one member, and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114 is composed of two members to support the thigh and the calf, respectively. In this way, the bed unit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is each tilted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legs and adjust the posture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프레임유닛(120)은, 상기 베드유닛(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유닛(110)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Meanwhile, the frame unit 120 is provided under the bed unit 110 to support the bed unit 1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유닛(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프레임(122), 상기 제1중앙지지부(113)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프레임(123),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124) 및 상기 제1프레임(122) 내지 상기 제3프레임(124)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5)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rame unit 120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frame 122 provided under the first backrest part 112, and provided under the first central support part 113.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second frame 123, the third frame 124 provided under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14, and the first frame 122 to the third frame 124 at a predetermined height Includes 125.

이때, 상기 프레임유닛(1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및 타측의 폭이 상기 베드유닛(110)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사익 침대모듈(100)과 결합 시 일부가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하부로 삽입되어 지지한다.At this time, in the frame unit 120, the wid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ed unit 110, so that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mbined with the private bed module 100, some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to support it.

즉, 상기 프레임유닛(120)은 상기 제1프레임(122) 및 상기 제3프레임(124)이 상기 상기 베드유닛(110)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123)이 상기 베드유닛(11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frame unit 12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frame 122 and the third frame 124 have a relatively larg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bed unit 110, and the second frame ( 123)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ed unit 110.

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22)과 상기 제3프레임(124) 사이가 폭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결합 시 지지유닛(220)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22) 내지 상기 제3프레임(124)은 일체로 형성되며, `ㄷ`형태로 형성된다.Accordingly, between the first frame 122 and the third frame 124 is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upport unit 220 is seated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Here, the first frame 122 to the third frame 124 are integrally formed, and are formed in the form of ``.

그리고 지지프레임(125)은, 상기 제1프레임(122), 상기 제2프레임(123), 상기 제3프레임(124)의 하부에서 전체를 지지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125 supports all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2, the second frame 123, and the third frame 124.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유닛(120)은 상기 제1프레임(122), 상기 제2프레임(123), 상기 제3프레임(124) 및 상기 지지프레임(125)을 포함하며 상기 베드유닛(110)을 하부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일부를 함께 지지한다.In this way, the frame unit 120 includes the first frame 122, the second frame 123, the third frame 124 and the support frame 125, and the bed unit 110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together.

한편, 상기 제1각도조절유닛은(130) 상기 프레임유닛(1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틸팅각도를 조절한다.Meanwhile,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30 is provided in the frame unit 120 to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각도조절유닛(130)은 상기 프레임유닛(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하면에 접촉하여 승하강시기는 등받이조절링크(132) 및 상기 등받이조절링크(13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3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30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unit 120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and when one side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the elevating time is It includes a backrest adjustment link 132 and a first driving unit 134 connected to the backrest adjustment link 132 to provide power.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134)가 동작하여 상기 등받이조절링크(13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틸팅각도가 조절된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part 134 is operated to rotate the backrest adjusting link 132, so that the tilting angle o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is adjusted.

한편, 상기 제2각도조절유닛(140)은 길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의 각도를 조절하는 하부조절링크(142) 및 하부조절링크(14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14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140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selectively rotates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adjustment link 142 and the lower adjustment link 14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14 to generate power. It includes a second driving unit 144 to provide.

상기 하부조절링크(142)는 상기 등받이조절링크(132)와 별도로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의 하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틸팅하며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를 틸팅시킨다.The lower adjustment link 142 is provided under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14 separately from the backrest adjustment link 132 to selectively tilt and tilt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14.

이와 같이 상기 제1각도조절유닛(130) 및 상기 제2각도조절유닛(140)은 각각이 상기 프레임유닛(12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등받이부(112)와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의 각도를 조절한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30 and 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140 is provided on the frame unit 120 and selectively includes the first backrest part 112 and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 Adjust the angle of 114).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은, 상기 프레임유닛(12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유닛(110)의 승하강을 조절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provided in the frame unit 120 to selectively adjust the elevation of the bed unit 110.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은 상기 지지프레임(125)에서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연결프레임(152) 및 상기 연결프레임(152)을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154)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cludes a connection frame 152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frame 125 and a third driving unit 154 for rotating the connection frame 152.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프레임(152)은 상기 상기 제1프레임(122) 또는 상기 제3프레임(124)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5)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52)은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하방향의 높이가 조절된다. Referring to the illustrated drawing, the connection frame 15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irst frame 122 or the third frame 124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25. At this time, the connection frame 152 is configured to be partially rotatable, and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프레임(152)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유닛(12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3구동부(154)의 구동에 의해 일부가 회전하여 상하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52)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frame 152 is composed of a pair and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unit 120, respectively,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152 rotates up and down by the drive of the third driving unit 154. The height is adjusted. And, the connection frame (152)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이 동작하여 상기 제1프레임(122), 상기 제2프레임(123) 및 상기 제3프레임(124)과 상기 지지프레임(1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상기 베드유닛(1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에 의해 상기 베드유닛(110)이 하강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기 휠체어모듈(200)과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Accordingl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operate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122, the second frame 123, and the third frame 124 and the support frame 125,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bed unit 11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bed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the wheelchair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a lowered state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모듈(100)은 상기 베드유닛(110), 상기 프레임유닛(120), 상기 제1각도조절유닛(130), 상기 제2각도조절유닛(140)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제1프레임(122) 및 상기 제3프레임(124) 사이로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ed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ed unit 110, the frame unit 120,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30, 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140,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cluding 150, the wheelchair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mounted between the first frame 122 and the third frame 124.

한편, 상기 휠체어모듈(200)은 상기 침대모듈(100)과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고,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면에 수평을 이루는 침대형의 제1형태 또는 휠체어형의 제2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모듈(200)은 제1형태에서 상기 침대모듈(100)의 폭 방향으로 접근하여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bed module 100, the us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selectively operated to form a horizontal bed-type first form or wheelchair-type second form It can be transformed.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upled by approach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module 100 in the first form.

구체적으로 상기 휠체어모듈(200)은 안착유닛(210)의 동작에 의해 제1형태 및 제2형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자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침대모듈(100)과 결합 시 제1형태로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hanged to one of the first form and the second form by the operation of the seating unit 21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osture according to convenience, and is combined with the bed module 100 The poem is combined in the first form.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휠체어모듈(200)은 크게 안착유닛(210), 지지유닛(220) 및 틸팅조절유닛(230)을 포함한다.The wheelchai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seating unit 210, a support unit 220, and a tilting control unit 230.

상기 안착유닛(210)은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부재가 틸팅 가능하며 연속하여 길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안착유닛(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자세의 조절이 가능하다.The seating unit 2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members are tiltable and are continuously coupled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the seating unit 210 is configured to be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posture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유닛(210)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2등받이부(212),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212)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2중앙지지부(213) 및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2하부지지부(214)를 포함한다.The seating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ackrest part 212 supporting the user's back part, and a second backrest part 212 having one side configured to be tiltable with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to support the user's buttocks. It includes a central support portion 213 and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214 coupled to the second central support portion 213 to support the lower body of the user.

그리고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를 중심으로, 상기 제2등받이부(212)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가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결합되며 이들의 각도에 따라 제1형태 또는 제2형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세의 조절이 가능하다.And with the center of the second central support portion 213 on which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the second back support portion 212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214 are continuously coupled so as to be able to til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ir angles Depending on the first form or the second form, as well as various postures can be adjus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유닛(210)은 복수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등받이부(212)와 제2하부지지부(214)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제2등받이부(21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는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각각 틸팅됨으로써 사용자의 등과 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unit 210 has a plurality of members continuously formed long, and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nd the second lower part support part 214 are each successively formed by at least one member. Looking at the drawing,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s composed of one member,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is composed of two members, and each tilted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legs. .

한편, 상기 지지유닛(220)은 기본적으로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하부에서 이동을 담당하며 전체를 지지하여 상기 안착유닛(210)이 일정높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support unit 220 basically mov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and supports the entirety so that the seating unit 210 can move at a predetermined height.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220)은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222)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4개의 이동바퀴(222)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퀴(222)의 구동 또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220)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안착유닛(210)도 함께 이동하여 휠체어 또는 이동식 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22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y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222 at the bottom thereof, and in this embodiment, the four moving wheels 222 are each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unit 220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moving wheel 222 or an external force acting from the outside, the seating unit 210 may also mov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wheelchair or a mobile bed.

한편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상기 지지유닛(220)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유닛(210)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210)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로 자세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is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seating unit 210 in the support unit 220, and selectively adjusts the tilting of the seating unit 210 to allow the first shape or the second Adjust your posture in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제1링크(232), 제2링크(233), 제3링크(234), 연결링크(235) 및 틸팅동력부(236)를 포함하며, 각각이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안착유닛(210)을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로 변형시킨다.Specifically,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includes a first link 232, a second link 233, a third link 234, a connection link 235 and a tilting power unit 236, each of which is interlocked. And transforms the seating unit 210 into the first shape or the second shap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링크(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220)상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에 접촉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232 has a first rotation axis on the support unit 220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on the support unit 220,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link 232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상기 제2링크(233)는 상기 제1링크(232)와 별도로 이격되어 제2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유닛(220)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3링크(234)는 길게 형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제2링크(233)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하면에 접촉하여 틸팅시킨다.The second link 23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ink 232 and has a second rotation shaft and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220. And the third link 234 is formed long so that the middle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link 233, and both ends contact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214, respectively. To tilt.

여기서, 상기 제3링크(234)는 상기 제2링크(233)와 고정 결합되어 상호 회전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링크(233)와 상기 제3링크(234)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한다.Here, the third link 234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link 233 so as not to rotate with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integr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second link 233 and the third link 234 rotate integrally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즉, 상기 제2링크(233)와 상기 제3링크(2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구성되어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를 지지한다.That is, the second link 233 and the third link 234 are integrally configured as shown and formed in a T-shape, and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214 are Support.

한편, 상기 연결링크(235)는 상기 제1링크(232)와 상기 제2링크(233)의 타측을 연결하여 동시에 틸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링크(232)와 상기 제2링크(233) 타측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link 235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232 and the second link 233 to be tilted at the same time,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32 and the second link 233. The second link 23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이때, 상기 연결링크(235)는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232)와 상기 제2링크(233)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링크(232) 또는 상기 제2링크(233)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하나도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k 235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are rotatable to the first link 232 and the second link 233, so that either the first link 232 or the second link 233 If one works, the other work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상기 틸팅동력부(236)는 상기 지지유닛(22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링크(232) 내지 상기 제3링크(2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을 제공한다.The tilting power unit 236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220 an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232 to the third link 234 to provide power by a user's manipulation.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동력부(236)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제1링크(232) 내지 상기 제3링크(234)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동력부(236)는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링크(232)에 연결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신축하며 상기 지지유닛(220)상에서 상기 제1링크(232)를 회전시킨다.Specifically, the tilting power unit 236 is configured to rotate any one of the first link 232 to the third link 234 by a user manipulating the tilting power unit 236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long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32. And selectively expands and contracts and rotates the first link 232 on the support unit 2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동력부(236)는 가스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신축하며 상기 제1링크(232)를 틸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액츄에이터나 구동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링크(232)를 틸팅시킬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ilting power unit 236 is formed in the form of a gas spring to expand and contract, and is configured to tilt the first link 232, but unlike this, the first link ( 232) can also be til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상기 제1링크(232), 상기 제2링크(233), 상기 제3링크(234), 상기 연결링크(235) 및 상기 틸팅동력부(236)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안착유닛(210)의 틸팅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link 232, the second link 233, the third link 234, the connection link 235, and the tilting power unit ( 236),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ing unit 210 can be adjus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한편,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별도의 조작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37)는 상기 안착유닛(210) 또는 상기 지지유닛(220)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의 동작여부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237)는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이 동작하는 것을 조작한다.Meanwhile,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operation unit 237. The control unit 237 is provided on the seating unit 210 or the support unit 220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37 prevents the wheelchair module 200 from being unintentionally deformed from the first form or the second form, and accordingly,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is selectively operated. Manipulate what you do.

즉, 상기 조작부(237)는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이 의도하지 않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manipulation unit 237 serves as a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from unintentionally opera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237)는 상기 안착유닛(210)상에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237)와 별도로 상기 제2등받이부(212)에는 상기 제2형태에서 사용되는 손잡이(216)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part 237 is provided on the seating unit 210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s shown. In this case, a handle 216 used in the second form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part from the operation part 237.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상기 조작부(237)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210)의 틸팅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operation unit 237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manipulate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ing unit 2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휠체어모듈(200)은 상기 안착유닛(210), 상기 지지유닛(220) 및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을 조작하여 상기 안착유닛(210)의 각도를 조절 함으로써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heelchai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ating unit 210, the support unit 220 and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ing unit 210, it can be transformed into the first shape or the second sha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는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제1형태로 상기 침대모듈(100)과 결합되어 침대역할을 수행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2형태로 휠체어의 역할을 수행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mbined with the bed module 100 in the first form to provide a bed. It performs a role or is independently separated to perform the role of a wheelchair in the second form.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휠체어모듈(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형태로 상기 침대모듈(100)에 결합되어 침대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형태로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use a bed by being coupled to the bed module 100 in the first form while seated on the wheelchair module 200 or use a wheelchair in the second form.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침대모듈(100)은 둘레를 따라 별도의 안전가이드(102)가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가이드(102)는 상기 침대모듈상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04)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104) 횡 방향으로 돌출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the bed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afety guide 102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separated. The safety guide 102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104 provided on the bed module,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protruding state of the coupling member 10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즉, 상기 침대모듈(1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상기 결합부재(104)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안정가이드(102)가 상기 결합부재(104)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member 104 is provided at least in 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d module 100, and the plurality of stability guides 102 ar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04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I can.

또한, 사용자가 상기 침대모듈(100)에서 상기 휠체어모듈(200)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전가이드(102)의 일부를 분리하여 상기 휠체어모듈(200)에 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separates and uses the wheelchair module 200 from the bed module 100, a part of the safety guide 102 may be separated and fastened to the wheelchair module 200.

이때, 상기 휠체어모듈(200)에 결합된 상기 안전가이드(102)는 팔걸이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휠체어모듈에도 상기 결합부재(104)가 구비되어 상기 안전가이드(102)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afety guide 102 coupled to the wheelchair module 200 can be used as an armrest, and the coupling member 104 is also provided in the wheelchair module so that the safety guide 102 can be selectively coupled. .

이와 같이 상기 침대모듈(100)에 별도의 상기 안전가이드(1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가이드(102)의 일부는 분리되어 상기 휠체어모듈(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way, a separate safety guide 102 may be provided in the bed module 100, and a part of the safety guide 102 may be separated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wheelchair module 200.

이어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분리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state in which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도 5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베드유닛(110)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높이조절유닛(150)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unit 110 is lowered in the electric bed of FIG. 1, and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operated.

그리고, 도 8은 도 1의 휠체어모듈(200)이 수평상태로 침대모듈(100)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조작부(237)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200 of FIG. 1 is separated from the bed module 100 in a horizontal state, and FIG. 9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237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electric bed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는 초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제1형태로 상기 침대모듈(100)과 결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같은 상기 베드유닛(110)과 상기 안착유닛(210)이 각각 절반을 차지하며 침대의 상면을 이루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itially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bed module 100 in a first form as shown in FIG. 1. As such, the bed unit 110 and the seating unit 210 each occupy half and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모듈(100)이 하강한다. And, 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bed module 100 descends.

구체적으로 상기 침대모듈(1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이 동작하며, 상기 제3구동부(154)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152)의 일부가 회전한다.Specifically, in the bed module 100,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operates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a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152 is rotated by the third driving unit 154. .

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22) 내지 상기 제3프레임(124)이 하강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25)과의 이격 간격이 줄어든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2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23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22) 내지 상기 제3프레임(124)이 하강한다.Accordingly, the first frame 122 to the third frame 124 are lowere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ort frame 125 is reduced. Here, the connecting link 235 protrudes downward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connected with a rotation shaft, so that the first frame 122 to the first frame 122 to the first frame 122 to the first frame 122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link 235 The third frame 124 descends.

이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프레임(124)이 하강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유닛(110)이 하부방향으로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베드유닛(110)만 하강하므로, 상기 휠체어모듈(100)은 상기 제1형태에서 높이변화 없이 유지된다. As the first to third frames 124 descen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n this way, the bed unit 110 descends downward as shown in FIG. 5. Here, since only the bed unit 110 descends, the wheelchair module 100 is maintained without a change in height in the first form.

이어서,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침대모듈(100)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모듈(200)은 폭 방향으로 이탈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결합도 역순으로 진행된다.Next, referring to FIG. 8, when the bed module 100 is lowered,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separat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re separated. Here, the combination of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lso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모듈(100)은 상기 제1프레임(122)과 상기 제3프레임(124)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상기 지지유닛(22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결합 시 상기 제1프레임(122)과 상기 제3프레임(124)에는 별도의 결합유도부(126)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유닛(220)의 안착을 유도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the bed module 100 h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122 and the third frame 124, and the support unit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 220) is settled. In addition,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upled, a separate coupling guide portion 126 is formed on the first frame 122 and the third frame 124 to induce the support unit 220 to be sea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유도부(1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22)과 상기 제3프레임(124)의 측면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유도부(126)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모듈(200)과 상기 침대모듈(100)의 결합 시 상기 지지유닛(220)의 이동을 유도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induction part 126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22 and the third frame 124 as shown, and the coupling induction part 126 is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and the bed module 100 are combined, the support unit 220 is moved to be positioned at an accurate position.

한편, 도 9를 살펴보면, 상기 침대모듈(100)에서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등받이부(112)와 상기 제2등받이부(212)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제2등받이부(212)에 형성된 조작부(237)가 결합 상태에 따라 노출여부가 조절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and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wheelchair module 200 from the bed module 100, the The exposure of the operation part 237 formed on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ngag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침대모듈(100)에서 상기 베드유닛(110)은,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하면에 횡 방향으로 돌출된 별도의 커버부(118)를 더 포함한다. In the bed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d unit 110 further includes a separate cover part 118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상기 커버부(118)는 상기 제2프레임(123)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18)는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침대모듈(1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37)를 하부에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18)는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237)의 노출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18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econd frame 123 and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ver part 118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peration part 237 from the bottom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bed module 100. Accordingly, the cover part 118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nd blocks the exposure of the operation part 237 to prevent the user from unintentionally manipulating it.

이와 같이 상기 침대모듈(100)이 선택적으로 하강하며, 상기 침대모듈(10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침대모듈(100)에 결합 시 상기 커버부(118)가 상기 조작부(237)를 감싸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게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ed module 100 is selectively lowered,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separated or combined while the bed module 100 is lowered. At the same time,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bed module 100, the cover unit 118 covers the operation unit 237 to prevent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from unintentionally operating. I ca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는 상기 침대모듈(100) 또는 상기 휠체어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결합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ic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bed module 100 or the wheelchair module 200 to detect whether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27.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12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침대모듈(100)에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완전히 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된다.Specifically, at least one sensing unit 127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ed module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127 are provide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감지부(127)는 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결합 시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가 모두 가압되는 경우 상기 침대모듈(100)에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완전히 밀착된 것으로 판단한다.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27 protru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pressed when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re coupled. It is determined that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127)는 상기 프레임유닛(120)에 구비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27)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22) 및 상기 제2프레임(123)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침대모듈(100)에 결합 시 상기 감지부(127) 각각이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상기 제2등받이부(212)와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에 의해 가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7 is provided in the frame unit 120, and as shown in FIG. 8, the sensing unit 127 is composed of two, so that the first frame 122 and the second It is provided on the frame 123. And,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bed module 100, each of the sensing units 127 is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nd the second central support part 213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Pressurized by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127)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모듈(200)의 밀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의 동작 시 올바른 위치에서 상기 침대모듈(100)이 승강할 수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127 ar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bed module 100 can be raised or lowered at a correct position when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is operated. .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127)는 상기 높이조절유닛(150)과 연동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지부(127)에 의해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올바르게 밀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이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유닛(150)이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7 is configured in conjunction with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not properly in close contact by the sensing unit 127, the height is adjusted. Unit 150 does not operate. Therefore,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0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부(127)가 상기 높이조절유닛(150)뿐만 아니라 상기 제1각도조절유닛(130) 및 상기 제2각도조절유닛(140)과 연동하여 동작여부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27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130 and the second angle adjusting unit 140 as well as the height adjusting unit 150 to control whether or not it is operated.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모듈(200)이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more detailed look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are as follows.

도 10은 도 1의 전동침대에서 휠체어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틸팅조절유닛(2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chair module 200 in the electric bed of Figure 1, Figure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of FIG.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휠체어모듈(200)이 제1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틸팅조절유닛(230)이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200 of FIG. 10 is transformed into a first shape,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of FIG. 12 is operat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상술한 상기 제1링크(232), 상기 제2링크(233), 상기 제3링크(234), 상기 연결링크(235) 및 상기 틸팅동력부(236)를 포함한다.The tilting control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link 232, the second link 233, the third link 234, the connection link 235, and the tilting power unit ( 236).

여기서, 상기 제1링크(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에 상기 제1회전축이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에 접촉한다. Here, the first link 232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as shown, the first rotation shaft is positioned at the bent portion, and one side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이때, 상기 제1링크(232)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에 형성된 별도의 슬라이딩가이드(215)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link 232 slides without being separated by a separate sliding guide 21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는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제1링크(232)의 일측 끝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내부에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232)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에 대응하도록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 내부로 삽입된다.Specifically, the sliding guide 215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nd a groove is formed therein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link 232 is not separat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link 232 is formed in a T-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guide 215 and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215.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232)가 틸팅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에 의해 상기 제2등받이부(212)에서 이탈하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할 수 잇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link 232 is tilted, the sliding guide 215 may slide whil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without leaving.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등받이부(212)가 수평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232)가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sliding guide 21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link 232 is detachable when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s horizontally formed by opening the end por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링크(232)가 구동하여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1링크(232)가 회전함에 따라 일측 끝단부가 상기 제2등받이부(212)에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 내부로 삽입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first link 232 is driven to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s the first link 232 rotates, one end of the second backrest part At 212, it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215.

그러나 이와 달리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32)가 동작하지 않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등받이부(212)가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232)는 상기 제1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등받이부(212)가 상부로 틸팅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링크(232)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에서 분리되어야 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link 232 does not operate and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s tilted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link 232 is in the first shape. Since it is disposed, the first link 232 must be separated from the sliding guide 215 in order for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to tilt upward.

이때, 도 12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형태에서는 상기 제1링크(232)의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에서 분리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an end por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 215 is opened, so that in the first form, one end of the first link 232 is separated from the sliding guide 215. .

즉, 상기 제1링크(232)는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형태로 변형되거나 상부로 틸팅되는 경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 외부에서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된다.That is, when one end of the first link 232 is deformed into the second shap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ing guide 215 or tilted upward, one end of the first link 232 naturally mov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liding guide 215. Is inserted.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상기 침대모듈(100)과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등받이부(112)와 상기 제2등받이부(212)가 동시에 틸팅 되더라도 상기 제1링크(232)와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and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are tilted at the same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4, the first link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232 and the second backrest 212.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유닛(110)은 상기 휠체어모듈(200)과 상기 침대모듈(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유닛(210)과 연동하여 동시에 동작하기 위해 별도의 제1돌출프레임(116) 및 제2돌출프레임(117)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bed unit 110 is a separate device to operate simultaneously in conjunction with the seating uni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module 200 and the bed module 100 are coupled. It further includes a first protruding frame 116 and a second protruding frame 117.

상기 제1돌출프레임(116)은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하면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조절유닛(130)에 의해 상기 제1등받이부(112)의 틸팅 시 상기 제2등받이부(212)의 하부를 지지하며 함께 틸팅 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등받이부(212)가 상부로 틸팅 되더라도 상기 제1링크(232)의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5)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동작하지 않는다.The first protruding frame 11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part 1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ding frame 116 protru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n addition, when the first backrest part 112 is tilted by the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30,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s supported and tilted together.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econd backrest part 212 is tilted upward, since one side of the first link 232 is separated from the sliding guide 215,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does not operate. Does not.

한편, 상기 제2돌출프레임(117)은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의 하면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하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각도조절유닛(140)에 의해 상기 제1하부지지부(114)가 틸팅 시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하부를 지지하며 함께 틸팅 되도록 한다. Meanwhile, the second protruding frame 117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14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rotruding frame 117 protru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214. When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114 is tilted by the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140,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is supported and tilted together.

이와 같이 상기 베드유닛(110)은 상기 제1돌출프레임(116) 및 상기 제2돌출프레임(117)을 포함하며, 상기 베드유닛(110)의 틸팅 시 상기 안착유닛(210)도 함께 틸팅 시키며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동작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bed unit 110 includes the first protruding frame 116 and the second protruding frame 117, and when the bed unit 110 is tilted, the seating unit 210 is also tilted.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does not operat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틸팅조절유닛(230)은 상술한 상기 제1링크(232), 상기 제2링크(233), 상기 제3링크(234), 상기 연결링크(235) 및 틸팅동력부(236) 이외에 별도의 보조링크(237)를 더 포함한다.Next, looking in more detail about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ting control unit 230 includes the first link 232, the second link 233, and the third link ( 234), in addition to the connecting link 235 and the tilting power unit 236, a separate auxiliary link 237 is further included.

상기 보조링크(237)는 복수 개의 링크가 길게 연속하여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일측이 제2중앙지지부(213)의 하부에서 상기 제3링크(234)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다.The auxiliary link 237 is connected so that a plurality of links can be tilt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link 234 under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링크(237)는 길게 형성되어 삼절링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측이 제2하부지지부(214)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하면에 연속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3링크(234)의 동작에 연동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link 237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configured as a three-fold link, and one side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central support part 213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In addition,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214 are disposed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are configur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nk 234.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링크(237)는, 제1보조링크(237a), 제2보조링크(237b) 및 제3보조링크(237c)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1부재와 2부재에 걸쳐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 끝단부가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및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의 제2부재에 고정 결합된다. Specifically, the auxiliary link 237 is composed of a first auxiliary link 237a, a second auxiliary link 237b, and a third auxiliary link 237c, respectively,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and the second It is disposed across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214, and both end portion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r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central support portion 213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second central support portion 213.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링크(237)는 분절된 길이가 각각 상이하며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제2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연결지점이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연결지점에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안착유닛(210)의 틸팅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auxiliary links 237 have different segmented lengths, and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disposed in the second shape, each connection point is the second central support part 213 )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are arrang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int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tilting of the seating unit 210.

즉, 상기 제1보조링크(237a)는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237b)는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제1부재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3보조링크(237c)는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제2부재 하부에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auxiliary link 237a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central support part 213, and the second auxiliary link 237b is disposed under the first member of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 The third auxiliary link 237c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member of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이에 따라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가 틸팅되는데 상기 제1연결링크(235) 내지 상기 제3연결링크(235)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틸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링크(235) 내지 상기 제3연결링크(235)는 일자로 배치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향으로만 틸팅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214 are tilted, and the first connection link 235 to the third connection link 235 may be tilted without interference.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link 235 to the third connection link 235 are configured to be tilted only in a preset direction while being arranged in a straight line.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모듈(200)이 상기 제1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232)와 함께 상기 제3링크(234)는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링크(237a)는 상기 제3링크(234)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하면에서 틸팅하며 함께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2 and 13, when the wheelchair module 200 is deformed into the first shape, the third link 234 together with the first link 232 is arranged to achieve a horizontal state. do. At this time, the first auxiliary link 237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link 234, and accordingly, the second central support part 213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are tilted together It is arranged to be horizontal.

여기서, 상기 제1보조링크(237a)와 상기 제3보조링크(237c)는 상기 제2중앙지지부(213)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에 각각 고정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제2보조링크(237b)는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각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미세한 자유도를 가지게 된다.Here, the first auxiliary link 237a and the third auxiliary link 237c ar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central support 213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214, respectively, and the second auxiliary link (237b) has a fine degree of freedo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within a certain range.

이에 따라 상기 상기 제3링크(234)가 회전하며 상기 제1보조링크(237a) 내지 상기 제3보조링크(237c)가 직선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하부지지부(214)의 제1부재의 상부방향 틸팅과 연동하여 제2부재가 하부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hird link 234 is rotated and the first auxiliary link 237a to the third auxiliary link 237c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member of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214 The second member may be tilted downward by interlocking with the tilt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휠체어모듈(200)을 포함하는 전동침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상기 휠체어모듈(200)과 상기 침대모듈(100)의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결합 시 침대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분리 시 휠체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bed including the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and the wheelchair module 200 and the bed module 100 are independently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a bed when selectively combined. At the same time, it can play the role of a wheelchair when separ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침대모듈
110: 베드유닛
120: 프레임유닛
130: 제1각도조절유닛
140: 제2각도조절유닛
150: 높이조절유닛
200: 휠체어모듈
210: 안착유닛
220: 지지유닛
230; 틸팅조절유닛
100: bed module
110: bed unit
120: frame unit
130: first angle adjustment unit
140: second angle adjustment unit
150: height adjustment unit
200: wheelchair module
210: seating unit
220: support unit
230; Tilting control unit

Claims (15)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는 베드유닛 및 상기 베드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유닛을 포함하는 침대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틸팅되는 안착유닛 및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며 상기 안착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안착유닛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안착유닛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1형태 또는 휠체어형의 제2형태로 변형시키는 틸팅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침대모듈에 결합되는 휠체어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모듈은 상기 제1형태로 상기 침대모듈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폭 방향을 따라 체결되며 상기 침대모듈과 함께 침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A bed module including a bed unit that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partially til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rame unit supporting the bed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upport unit that is formed long and ha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and a seating unit that is partially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pport unit that supports the seating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connected to the seating unit in the support unit, and selectively tilts the seating unit. A wheelchair module selectively coupled to the bed module, including a tilting control unit that adjusts and transforms the seating unit in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first shape or a wheelchair-type second shape; Including,
The wheelchair modul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ed module in the first form, is faste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comprises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d together with the bed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유닛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1등받이부, 일측이 상기 제1등받이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1중앙지지부 및 상기 제1중앙지지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1하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틸팅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bed unit,
A first back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back, one side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with the first back support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entral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central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user's lower body. An electric bed including a first lower support part, and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independently til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등받이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bed module,
An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provided in the fram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angle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a tilting angle of the first backrest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하부지지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bed module,
An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provided in the fram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ngle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a tilting angle of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및 타측의 폭이 상기 베드유닛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휠체어모듈이 상기 침대모듈과 결합 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유닛의 하부로 삽입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unit
Detachable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bed unit, and when the wheelchair module is combined with the bed module, at least a portion of the wheelchair module is inserted and supported under the seating unit. Electric bed containing 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모듈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별도의 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유닛에 의해 상기 베드유닛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모듈과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bed module,
It is provided in the frame un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unit for selectively elevating the bed unit,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configured to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the wheelchair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unit is lower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모듈은 또는 상기 휠체어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침대모듈과 상기 휠체어모듈의 결합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bed module or the electric bed includ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detection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wheelchair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is coup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되어 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침대모듈과 상기 휠체어모듈의 결합 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7,
The sensing unit,
An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in a plurality and protrudes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is pressed when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are combi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2등받이부,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제2중앙지지부 및 상기 제2중앙지지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2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ting unit,
A second ba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one side is configured to be tiltable with the second back support,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entral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including a second lower suppo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1링크;
제2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되는 제2링크;
길게 형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중앙지지부와 상기 제2하부지지부의 하면에 접촉하여 틸팅시키는 제3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측을 연결하여 동시에 틸팅되도록 하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9,
The tilting control unit,
A first link having a first rotation shaft in the support unit, and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ortion;
A second link having a second rotation shaft and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A third link formed to be elongated and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link, and both ends thereof contacting and tilting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central support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And
A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simultaneously tilt;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제1링크 내지 상기 제3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틸팅동력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tilting control unit,
The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power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to the third link to provide power by a user's manipul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안착유닛 또는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조절유닛의 동작여부를 조절하는 별도의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tilting control unit,
An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provided on the seating unit or the support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operati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tilting control unit is opera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유닛은,
상기 베드유닛은, 상기 제1등받이부의 하면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별도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침대모듈과 상기 휠체어모듈의 결합 시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의 노출을 차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2,
The bed unit,
The bed unit further includes a separate cover portion protru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portion,
The electric bed includ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that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part and blocks exposure of the operation part when the cover part is coupled with the bed module and the wheelchair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의 일측 끝단부가 안착되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는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2등받이부가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가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ting unit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link is seated and a sliding guide for sliding is formed,
The sliding guide is an electric bed includ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link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ackrest portion is horizontal by opening the en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유닛은,
상기 제1등받이부의 하면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등받이부의 틸팅 시 상기 제2등받이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함께 틸팅되도록 하는 별도의 제1돌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동침대.
The method of claim 9,
The bed unit,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ackrest, at least a part protru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ackrest,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ackrest and tilts together when the first backrest is tilted. 1 Electric bed compris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frame.
KR1020190123691A 2019-10-07 2019-10-07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KR102340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691A KR102340780B1 (en) 2019-10-07 2019-10-07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691A KR102340780B1 (en) 2019-10-07 2019-10-07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252A true KR20210041252A (en) 2021-04-15
KR102340780B1 KR102340780B1 (en) 2021-12-21

Family

ID=7544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691A KR102340780B1 (en) 2019-10-07 2019-10-07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91B1 (en) * 2021-10-29 2022-02-14 이용욱 Bed convertible wheelchair
KR102631948B1 (en) * 2023-04-24 2024-01-31 최명호 Bed with wheel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140A (en) 2022-03-08 2023-09-15 한국기계연구원 Bed having detachable wheelchai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317A (en) * 1994-03-07 1995-09-19 Himu Kenkyusho:Kk Bed for care having wheelchair
KR20010098666A (en) * 2000-04-17 2001-11-08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Multifunctional bed
JP2002078756A (en) * 2000-09-05 2002-03-19 Maeda Shigeo Bed and wheelchair
JP2003225262A (en) * 2002-01-31 2003-08-12 Bs Bed:Kk Bed
WO2015040847A1 (en) * 2013-09-17 2015-03-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etachable bed
KR20170106900A (en) * 2016-03-14 2017-09-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Wheelchair
JP2017189533A (en) * 2016-04-15 2017-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tretcher separation type be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14B2 (en) * 1992-04-16 2001-07-16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Synthetic paper with improved tearability and aviation tag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317A (en) * 1994-03-07 1995-09-19 Himu Kenkyusho:Kk Bed for care having wheelchair
KR20010098666A (en) * 2000-04-17 2001-11-08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Multifunctional bed
JP2002078756A (en) * 2000-09-05 2002-03-19 Maeda Shigeo Bed and wheelchair
JP2003225262A (en) * 2002-01-31 2003-08-12 Bs Bed:Kk Bed
WO2015040847A1 (en) * 2013-09-17 2015-03-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etachable bed
KR20170106900A (en) * 2016-03-14 2017-09-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Wheelchair
JP2017189533A (en) * 2016-04-15 2017-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tretcher separation type b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91B1 (en) * 2021-10-29 2022-02-14 이용욱 Bed convertible wheelchair
KR102631948B1 (en) * 2023-04-24 2024-01-31 최명호 Bed with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80B1 (en)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80B1 (en)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wheelchair module
US20150082537A1 (en) Wheelchair and bed to be combined with the same
KR101394896B1 (en) robot of transportation for patients nursing
KR102167841B1 (en) A bed device having a detachable electric wheelchair
CN107184323B (en) Wheel chair
KR20010098666A (en) Multifunctional bed
KR102265885B1 (en) Electric wheelchair with multiple mode type changes
EP0776648A1 (en) Bed for sick or wounded patient
KR101437374B1 (en) Variable type wheel chair
WO2001001916A1 (en) Moving device
US20160354267A1 (en) Transfer device
KR102150594B1 (en) Wheelchair
JP2004223151A (en) Transfer assisting apparatus
CN110840660B (en) Patient transfer device suitable for mobility-handicapped person
JPH1052459A (en) Reclining wheelchair
KR102393823B1 (en) A reclining bed device with independent head control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JP2508927Y2 (en) Human body transfer device
JP2001161752A (en) Separable wheel chair
JP2006034469A (en) Standing-up assisting chair
JP5797682B2 (en) wheelchair
JP2001293041A (en) Multi-functional bed
TW201941755A (en) Showering aid for assisting a user in entering and leaving a bathtub
KR200336152Y1 (en) a wheelchair
KR102047041B1 (en)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