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205A -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205A
KR20210041205A KR1020190123582A KR20190123582A KR20210041205A KR 20210041205 A KR20210041205 A KR 20210041205A KR 1020190123582 A KR1020190123582 A KR 1020190123582A KR 20190123582 A KR20190123582 A KR 20190123582A KR 20210041205 A KR20210041205 A KR 2021004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curving
metal strip
roll forming
tw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102019012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205A/ko
Publication of KR2021004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4Twi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프로파일(50)은 테잎 릴(9)에서 풀리는 판 금속 스트립(10)으로부터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생산 라인에서 성형되며, 단부 커터(14) 및 다수의 롤 성형 유닛(17 내지 24)은 에지 커터뿐만 아니라 롤 성형 유닛이 스트립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곳에서 사용된다. 에지 커터(14) 및 롤 성형 유닛(17 내지 24)은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성형된 프로파일은 라인과 통합된 커빙 스테이션에서 커빙되며, 커빙 스테이션은 롤러 쌍(82, 84; 83, 85)을 포함하며, 롤러 쌍은 프로파일이 성형될 때 더 얇아져서 커빙 또는 트위스팅 되도록 프로파일(50)의 롤 측면에 대해 제어될 수 있다. 롤러 쌍 및 롤 성형 유닛의 측방향 변위 및 각운동은 동일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어, 롤러 쌍은 측면을 따르고 하나의 롤러 쌍의 축선들 사이의 라인(Ⅱ)은 롤링되는 표면에 대해 항상 수직으로 유지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Construction profile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편평한 금속 스트립을 성형하고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프로파일을 커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잎 릴로부터 풀리는 편평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을 연속 성형하기 위한 생산 라인에 관한 것으로, 이 생산 라인은 언와인더(unwinder), 롤러 레벨러(roller leveller), 스트립의 횡방향 커팅을 위한 스탬프, 및 복수의 롤 성형 유닛을 갖는 롤 성형 섹션이 이어지는 스트립의 에지 커팅을 위한 에지 커팅기를 포함하며, 에지 커팅기 및 롤 성형 유닛은 생산되는 프로파일의 최종 형태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변위되며 횡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WO 02/43886 A1은 이에 따라 위로 접히고 "스탠딩 시임(standing seam)"으로 공지되어 있는 유형의 천장재 시트(roofing sheet)의 에지를 성형하도록 사용되는 롤 성형기를 설명한다. 천장재 시트의 폭은 시트의 길이를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수직 에지는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1은 생산 라인을 개략적 측면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생산 라인의 상부로부터의 도면이며,
도 3은 펀치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의 3-3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프로파일이 형성된 커빙의 제 1 커빙 유닛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의 4-4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프로파일이 형성된 커빙의 제 2 커빙 유닛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2의 5-5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이전 도면에 도시된 장비에 형성된 스트립의 단면의 도면으로, 이 단면의 모서리는 도 8의 6-6라인 및 7-7라인을 따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성형된 스트립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C형상 프로파일을 형성할 때 생산 라인의 최종 롤 성형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프로파일 형성 전에 에지가 커팅되고 스트립이 펀칭된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3 및 도 2의 11-11 라인 및 12-12 라인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은 관 성형 유닛의 전방 및 후방 단면도이며,
도 13은 상부로부터 도시된 관 성형 유닛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직선형 프로파일 플랜지의 롤링 중에 상부로부터 본 도 4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대응하지만 곡선형인 프로파일 플랜지의 롤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고유 응력이 낮고, 프로파일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며 높은 곡률 정밀도를 갖는 프로파일을 갖는 곡선형의 판금속 프로파일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근본적으로 스트립의 에지를 예비 성형된 시트 블랭크로 커팅하고, 횡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변위되어 회전될 수 있는 다수의 롤 성형 유닛에서 블랭크 상의 측면을 접어 올리며, 일 측면이 더 얇게 되도록 성형된 프로파일의 측면을 롤러 쌍 내에서 롤링시켜, 프로파일이 커빙됨으로써 롤러 쌍이 롤 성형 유닛의 횡방향변위 및 각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어 롤러 쌍이 측면을 따르고 축선들 사이의 라인이, 롤링되는 표면에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 라인은 롤 성형 라인 뒤의 커빙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이 커빙 스테이션은 프로파일의 측면을 따르며, 프로파일의 측면의 일부분을 보다 얇게 롤링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롤러 쌍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파일이 성형될 때 프로파일이 커빙 또는 트위스팅 되며 그에 따라 롤러 쌍은 롤러 쌍의 트위스팅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한 쌍의 롤러의 축선들 사이의 라인은, 롤링되는 측면에 대해 롤링중에 항상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 1 및 도 2는 테잎 릴(9)로부터 금속 스트립(10)을 풀기 위한 언와인더(11), 금속 스트립(10)을 레벨링 하는 롤러 레벨러(12), 제 1 스탬프(13), 금속 스트립(10)의 각 측면 상의 에지 커터 스테이션(14, 15), 제거된 스트립의 에지를 수집하는 폐기물 밀(16), 스트립을 프로파일로 접기 위한 스트립(10)의 각 측면 상의 4개의 롤 성형 유닛(17 내지 20, 21 내지 24), 성형된 프로파일을 커빙하기 위한 2개의 커빙 유닛(26, 27)을 포함하는 커빙스테이션(25), 성형된 프로파일을 폐쇄시키는 관 성형 유닛(28), 폐쇄된 프로파일의 시임을 용접하는 용접 유닛(29), 및 완성된 프로파일의 최종 커팅을 위한 말단 커터(30)를 포함하는 생산 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스트립의 중심에서 스탬핑(stamping)을 시작하고 스트로크 길이(stroke length)가 슬릿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각도 커터(31)를 갖는 확대된 제 1 스탬프(13)를 도시한다.
에지 커터 스테이션(14, 15)은 측방향, 즉, 스트립의 방향에 횡방향으로 개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롤 성형유닛(17 내지 24)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며 모두 개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롤 성형 유닛(17)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성형 유닛(17 내지 24)은 직렬로(in tandem) 2개의 롤러 쌍(35, 36)을 지지하는 캐리어를 가지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2쌍의 성형 롤러(37, 38; 39, 40)를 이용하여 최종 C형상 프로파일(50)을 제공하기 위해 스트립의 각 측면 상에서의 최종 롤 성형 단계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비대칭 단면 및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완성된 C형상 프로파일(50)의 2개의 단면을 도시한다. 프로파일의 에지에는 참조 번호 51, 52가 제공되고 모서리에는 참조 번호 53 내지 56이 제공된다.
프로파일로 접히기 전의 스트립의 일부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후속하여 모서리가 될 형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단면을 형성하기 전에 점선으로 도 8에 도시된다. C형상 프로파일은 모서리(54, 55) 사이의 중심 플랜지(76); 모서리(53, 54 및 55, 56 사이의 2개의 수직 측면(77, 78)(벽부 또는 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 및 모서리(53, 56 및 51, 52) 사이에서 내측으로 지향된 2개의 측면 플랜지(79, 80)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C형상 프로파일의 제조가 설명된다.
롤러 레벨러(12)는 테잎 릴(9)로부터 풀리고 라인을 통해 전방으로 테잎을 공급하는 스트립을 수평화한다. 프로파일 길이의 단부가 될 금속이 제 1 스탬프(13)에 도달하고 횡방향 슬릿이 뚫리면 공급이 중단된다. 한 구간의 시트의 후단부와 후속 구간의 시트의 전단부가 동일한 크기를 갖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가 이전 시트의 후단부보다 더 넓은 경우, 스트립이 특정 거리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공급되면 슬릿(60)이 후단부 용으로 먼저 제조된 후, 슬릿(61)이 전단부 용으로 제조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간이 최종적으로 분리되면 그 사이에 놓인 구간은 폐기물 조각이 될 것이다. 도 10은 스트립이 펀칭되고 에지가 커팅된 후에 보이게 되는 스트립을 도시한다. 슬릿의 길이는 최종 프로파일의 모서리(53, 56)가 스탬핑에 의해 제거되고 모서리(53, 56)와 단부(51, 52) 사이의 평면부만이 최종 프로파일에 대해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슬릿은 나중에 하부로부터 슬릿을 통해 들어오는 공구를 사용하여 최종 프로파일을 커팅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제조된다.
에지의 커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된 후에 실행될 수 있거나 펀칭전에 실행될 수 있다. 완성된 프로파일의 에지가 외부로 접힐 경우, 성형하기 전에 에지를 커팅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롤 성형 이후이지만 커빙 작업전에 에지를 커팅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성형 이전에 에지를 커팅하는 것이 유리한데, 특히 이는 도시된 것과 같은 기계가 광범위한 응용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트립의 각 측면 상의 2개의 제 1 롤 성형 유닛(17, 18 및 21, 22)은 성형 롤러가 최외곽 모서리(53, 56)를 따르도록, 즉 도 8에 도시된 라인(53, 56)을 따르도록 제어된다. 롤 성형 유닛 각각에는 성형 롤러 쌍들이 직렬로 된 2개의 단이 존재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롤러 쌍은 도 8의 라인을 정확히 따르지 않고 그와 함께 라인에서 정확하게 트위스팅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나 라인은 점진적인 곡선을 갖는데, 이는 오차가 매우 작아서 임의의 실제적인 중요성을 갖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롤 성형 유닛(17 내지 24)에 3개의 롤 성형 단을 갖는 것이 종종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각 모서리에 대해 복수의 롤 성형 단을 사용할 수 있고 도시된 4개의 모서리보다 더 많은 모서리를 롤 성형할 수 있도록 라인 내에 복수의 롤 성형 유닛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용어 "모서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모서리뿐만 아니라 곡선 형태의 모서리를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그뿐 아니라 롤 성형은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립의 두 측면 상에서 대칭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다.
스트립 상의 한 지점이 롤 성형 유닛(18, 22)을 지날 때, 모서리(53, 56)가 완전히 성형되고, 그 후 모서리(54, 55)의 롤 성형이 시작된다. 스트립이 최종 롤 성형 단을 지나면, 스트립은 최종 형태를 얻게 되며, 이 경우에는 프로파일이 개방된 C형상 프로파일인 경우, 프로파일이 처리되거나 성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빙 스테이션(25), 관 성형 유닛(28) 및 용접 유닛(29)을 통과한다. 제 1 슬릿(60)이 말단 커터(30)에 도달하면, 스트립의 공급이 정지되고, 커터는 슬릿을 통과하여 상부로 지나가서 프로파일을 완전히 커팅한다. 그 후, 스트립은 전방으로 공급되며 슬릿(61)이 말단 커터(30)에 도달할 때 정지된다. 그 후, 프로파일은 이 위치에서 절단되고, 프로파일의 중간 섹션은 폐기된다. 완전한 스트립을 갖는 절차에 대한 대안으로서 롤 성형 전에 스트립을 완전히 커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서로 결합되는 스트립을 갖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모자형 프로파일(hat-profiles)과 같이, C 프로파일과 다른 프로파일을 성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롤 성형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도시된 것보다 많은 모서리를 갖는 프로파일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프로파일에 대하여 각 모서리에 롤 성형 유닛을 몇 개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롤 성형 유닛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폐쇄된 C형상 프로파일이 성형될 경우, 이 프로파일을 최종 형상으로 롤 성형할 수 없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성형 롤러를 프로파일 내부로 도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롤 성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을 갖는 상태에서 롤 성형 유닛(28)에서 종결되며, 롤 성형 유닛(28)은 도 1 및 도 2 모두에 도시되며 도 13에 확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단에서 수직 롤러(65 내지 68)와 함께 프로파일을 가압하고 수평 롤러(69, 70)를 이용하여 바닥에 지지부를 제공한다. 따라서, 프로파일은 도 12에 도시된 폐쇄 형태를 달성하며, 그 후 용접 유닛(29)에서 바로 시임 용접되는데, 용접 유닛은 프로파일이 탄력적으로 개방(spring open)될 수 없도록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4 및 도 5는 프로파일을 커빙 또는 트위스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2개의 커빙 유닛(26, 27)을 도시한다.
프로파일(50)은 모든 참조 번호가 도 4에 제공되지는 않지만,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도 4와 같이 도시된 커빙 유닛(26)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이 커빙 유닛은 2개의 분리된 프레임(26A, 26B)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프레임은 롤러 쌍(82, 84 및 83, 85)을 지지한다. 각 롤러 쌍은 프로파일(50) 내부에 카운터 롤러(82, 83)를 가지며, 이들 카운터 롤러는 수직으로 서 있는 프로파일(50)의 측면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롤러(84, 85)는 벽 또는 측면의 외부 표면상에 접촉한다. 따라서, 커빙 유닛(26)은 프로파일(50)의 일 측면에 대한 하나의 롤러 쌍(82, 84) 및 프로파일의 제 2 측면에 대한 하나의 롤러 쌍(83, 85)을 갖는다. 이들 롤러 쌍은 설명될 방식으로 독립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프레임(26A, 26B)은 기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축(33, 34)에 의해 제한된 범위까지 회전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31, 32)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26A, 26B)은 지지 프레임(31, 32)에서 레일(86, 87)을 따라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카운터 롤러는 레일(92A, 92B)을 따라 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롤러(84, 85)는 레일(95A, 95B)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서 변위될 수 있는 유닛(93, 94)에 의해 지지된다. 카운터 롤러 및 롤러(82 내지 85)는 이들이 위치되는 각도가 점선(96)으로 제안된 바와 같은 원의 부분적인 표면을 따라서 관련 유닛(90, 91, 93, 94) 내에서 제안된 범위로 조정될 수 있으며, 롤링된 금속의 일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시닝(thinning)을 제공하기 위해 카운터 롤러 및 롤러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조정을 실행하고 에너지를 공급하는 다양한 동력 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동력 유닛은 예를 들면 유압 유닛일 수 있다.
상향하는 수직 측면을 점차적으로 얇게 하기 위해, 프로파일의 수직 측면 또는 벽에 대하여 큰 힘으로 약간의 기울기를 가지고 롤러가 가압될 때 프로파일은 하부로 커빙될 것이다. 롤러는 지지부 및 롤더 뒤에 위치된 가이드 롤러를 이용하여 보완되어 모든 3차원에서 프로파일에 정확한 형상을 제공한다. 이들 지지부 및 가이드 롤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5에 도시된 유닛(27)은 도 4에 도시되며 전술된 유닛(26)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유닛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4에서와 동등한 항목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롤러(84, 85)는 프로파일(50)의 이러한 중심 플랜지에 대해 점차적으로 더 얇아지는 프로파일의 수직 측면을 롤링하도록 배치되어, 프로파일은 상부로 커빙된다.
프로파일을 측방향으로 커빙하기 위해, 두 유닛의 롤러는 동일한 측면에서 사용되어 프로파일의 일측면의 전체 수직 측면이 얇아지며 프로파일을 반대 방향으로 커빙한다. 프로파일을 트위스팅하기 위해, 유닛(26)의 롤러는 프로파일의 제 1 수직 측면 상에서 사용되는 반면, 유닛(27)의 롤러는 프로파일의 제 2 수직 측면 상에서 사용된다.
도 14 및 도 15는 커빙 롤러 쌍(82, 84) 중 하나를 이용하여 롤링 작업중인, 도 6 및 도 7의 프로파일(50)의 일측면(78)을 상부로부터 본 것을 도시한다. 도 14의 측면(78)은 기계와 평행한 반면, 도 15의 측면(78)은 커빙된 것으로 도시된다. 지지 프레임(31), 즉 롤러 쌍(82, 84)의 지지부는 지지 축선(33), 즉 축선(Ⅲ)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축선은 롤러(84)의 중심을 지나도록 도시되어 있으며, 롤러 쌍(82, 84)의 축선들 사이의 선(Ⅱ)은 항상 측면(78)에 수직일 것이다. 지지 프레임(31)의 회전은 롤 성형 유닛의 회전과 대응한다.
따라서, 롤러(84, 85)의 롤링력을 제어함으로써 자유롭게 선택된 방향으로 프로파일을 커빙시킬 수 있으며, 또한 희망하는 방향으로 프로파일을 트위스팅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모든 롤러를 동시에 제어하여 프로파일이 동시에 커빙 및 트위스팅되게 할 수 있다.
커빙 유닛, 즉 관 성형 유닛(28), 용접 유닛(29) 및 말단 커터(30) 뒤에 위치되는 유닛을 수직 및 수평 방향 모두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해야 하며, 이들 유닛을 커빙 및 트위스팅된 프로파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들 유닛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기계에서 트위스팅, 변위 등에 이용 가능한 모든 수단이 도면에 도시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모든 수단은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원하는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동시에 작동한다. 일 측면의 롤 성형 유닛(17, 18 또는 21, 22) 및 동일한 측면의 커빙 롤러(82, 84 또는 83, 85)이 동일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어, 프로파일(50)의 측면을 상부로 접고 모서리(54, 58)를 형성하기 위한 롤 성형 유닛 및 이들 측면을 롤링하기 위한 롤러 쌍은 측방향 변위에 대해 및 프로파일(50)의 제조 및 커빙 중의 각회전 모두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할 것이다. 또한, 레일(86, 87)을 따르는 커빙 유닛의 부분(26A, 26B)의 동작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동작은 프로파일의 측면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프로파일의 롤 성형 및 커빙을 위한 통합된 기계가 상기에 설명되었으며, 이러한 기계는 종종 바람직하다. 그러나 커빙을 위한 하나의 기계 및 롤 성형을 위한 하나의 기계를 갖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 경우에는 측면을 상방으로 접기 위해 롤 성형 유닛을 제어하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설명된 방법으로 측면을 따르도록 커빙 롤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편평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성형하여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50)을 커빙(curving) 또는 트위스팅(twisting) 또는 커빙 및 트위스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고 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복수의 롤 성형 유닛(17, 18; 21, 22)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 상의 측면(77, 78)이 상부로 접히고,
    상기 프로파일이 커빙 또는 트위스팅 되도록, 성형된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측면이 롤러 쌍(82, 84; 83, 85) 내에서 롤링되어 상기 측면의 에지 중 하나가 더 얇아지며, 상기 롤러 쌍이 상기 롤러 쌍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롤러 쌍, 및 상기 롤 성형 유닛의 측방향 변위와 각운동(angular motion)이 동일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롤러 쌍이 상기 측면을 따르고, 하나의 롤러 쌍 내의 롤러들의 축 사이의 선(Ⅱ)이 상기 롤링되는 측면에 대해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커빙 또는 트위스팅 또는 커빙 및 트위스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쌍(82, 84; 83, 85) 내에서의 롤링 간격이 상기 롤러 쌍을 통과하는 상기 프로파일(50)의 공급중에 변화되어,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를 따른 곡률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커빙 또는 트위스팅 또는 커빙 및 트위스팅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롤 성형 및 커빙이 하나의 통합된 생산 라인 내에서 실행되며, 상기 생산 라인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이 테잎 릴(9)로부터 풀리고 상기 에지는, 상기 금속 스트립이 롤 성형되기 이전에, 상기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커빙 또는 트위스팅 또는 커빙 및 트위스팅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롤 성형 작업 이전에 생산 라인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을 완전히 커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금속 스트립에 횡방향 슬릿(61, 62)이 커팅되고, 상기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된 프로파일 길이의 후단부를 커팅하기 위해 롤성형 작업 후에 말단 커터(30)가 상기 금속 스트립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커빙 또는 트위스팅 또는 커빙 및 트위스팅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의 프로파일들이 제조되고, 상기 일정한 길이의 프로파일들은 두 단부에서 상이한 범위의 폭을 가지며, 상기 금속 스트립의 폭이 상기 프로파일의 한 구간의 후단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슬릿(60)과 상기 프로파일의 후속 구간의 전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커팅되는 다른 슬릿(61) 사이에서 조정된 뒤, 상기 금속 스트립은 후속 말단 커터(30)에서 양쪽 슬릿이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커빙 또는 트위스팅 또는 커빙 및 트위스팅 방법.
  6. 언와인더(11), 롤러 레벨러(12), 금속 스트립의 횡방향 커팅을 위한 스탬프(13), 및 복수의 롤 성형 유닛을 갖는 롤 성형 섹션(17 내지 24)이 이어지는 상기 금속 스트립의 에지를 커팅하기 위한 에지 커터(1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에지 커터 및 상기 롤 성형 유닛이 제조되는 프로파일(50)의 최종 형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변위되고 측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테잎 릴(9)로부터 풀리는 편평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프로파일을 연속 성형하는 생산 라인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50)의 측면을 따르며 상기 측면의 일부분이 더 얇아지게끔 상기 측면의 일부분을 롤링시키도록 안내될 수 있는 롤러 쌍(35 내지 40)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파일이 성형될 때 이에 따라 커빙 또는 트위스팅 되는, 상기 롤 성형 섹션(17 내지 24) 뒤의 커빙 스테이션(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쌍이 상기 롤러 쌍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롤러 쌍에서 상기 롤러들의 축선 사이의 선이, 롤링되는 상기 측면에 대해 항상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라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빙 스테이션이 2개의 커빙 유닛(26, 27)을 포함하고, 상기 커빙 유닛 중 하나가 상기 생산 라인을 따라 다른 하나의 커빙 유닛 뒤에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커빙 유닛이 기계의 중심선의 각 측면 상에 롤러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라인.
KR1020190123582A 2019-10-07 2019-10-07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KR20210041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82A KR20210041205A (ko) 2019-10-07 2019-10-07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82A KR20210041205A (ko) 2019-10-07 2019-10-07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205A true KR20210041205A (ko) 2021-04-15

Family

ID=7544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582A KR20210041205A (ko) 2019-10-07 2019-10-07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2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884B1 (ko) 프로파일 성형 방법 및 생산 라인
RU2362644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офиле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6678938B2 (en) System for fabricating muntin bars from sheet material
US369822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eel structural shapes
EP1904244B1 (en) Roll-forming machine and method for roll-forming a hat-shaped profile
EP0841998B1 (en) Roll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N212652589U (zh) 空气过滤器一体边框冷弯成型机
US5640869A (en) Method for producing rolled structural shapes
US5732582A (en) Structural member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41205A (ko) 건축용 프로파일 성형방법
EP1371430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Hohlprofils
RU156248U1 (ru) Многоклетьевой профилегибочный стан
KR20070021168A (ko)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제조 라인
CA2550052C (en) System for fabricating muntin bars from sheet material
US201401505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symmetrical Roll-Formed Sections
CA2643248A1 (en) Multi function metal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IE921639A1 (en) Formation of flat metal strip into channel section
GB2035162A (en) Panel form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