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521A -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521A
KR20210040521A KR1020190122832A KR20190122832A KR20210040521A KR 20210040521 A KR20210040521 A KR 20210040521A KR 1020190122832 A KR1020190122832 A KR 1020190122832A KR 20190122832 A KR20190122832 A KR 20190122832A KR 20210040521 A KR20210040521 A KR 20210040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device
signal
outpu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482B1 (ko
Inventor
권우철
안흥식
Original Assignee
권우철
안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철, 안흥식 filed Critical 권우철
Priority to KR102019012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4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으며, 최종 출력장치 구동에 있어 처음의 출력장치와 동일한 특성으로 동작할 수 있고, 장비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의한 손실과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 개의 출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소스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소스나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출력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SMPS 전원부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소스나 음성신호와, 상기 SMPS 전원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1 PLC 제어부와; 상기 제1 PLC 제어부에서 제어된 소스나 음성신호와 전원을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음성/데이터/전원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출력장치는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PLC 제어부가 제어한 신호가 음성, 데이터 및 전원이 동시에 송수신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DIGITAL PUBLIC ADDRESS SYSTEM ENABLE TO TRANSFER POWER AND DIGITAL SIGNAL}
본 발명은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으며, 최종 출력장치 구동에 있어 처음의 출력장치와 동일한 특성으로 동작할 수 있고, 장비의 이상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의한 손실과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방송(Public Address) 시스템의 장비 중에서 앰프(Amplifier)와 스피커(Speaker)는, 상기 앰프와 스피커가 별도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방식과, 스피커 내부에 앰프를 장착한 앰프 일체형 스피커(이하, 액티브 출력장치라 한다.)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방송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식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많은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로 전달하여야 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스피커 내부에 장착된 앰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AC 전원을 공급하여 앰프를 구동시키고, 입력된 신호는 앰프의 증폭에 의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구성을 갖추어야 된다.
또한, AC 전원 공급을 위하여 전원 분배반 등이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스피커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길수록 케이블 저항에 의한 임피던스의 변동과 케이블 노이즈 발생으로 인하여 앰프에 이상이 발생하며, 스피커 연결 수량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전관방송의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은, 메인 컨트롤러(11), 파워앰프(12), 매트릭스(Matrix)(13), 릴레이 그룹(Relay Group)(14), 스피커 셀렉터(Speaker Selector)(15), 스피커 라인체커(Line Checker, 미도시) 및 스피커 셀렉터(15)와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16)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매트릭스(13)는 입력되는 음성 또는/및 영상을 선택하여 해당 출력으로 절체시키고 음성 또는/및 영상을 분배 및 교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 그룹(14)은 매트릭스(13)와 연결되어 매트릭스(13)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릴레이를 동작시켜 스피커 선로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셀렉터(15)는 방송 출력 구역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하여 시험 방송이나 안내 방송 등 적소에 원하는 방송을 송출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라인 체커는 앰프에 연결된 스피커 선로의 단락이나 단선을 체크하고 상기 스피커 선로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탐지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케이블의 수량 및 제품 수량 증가로 설치 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이들 폐기시 다량의 환경폐기물이 발생하고, 설치 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에는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도입으로 설치 공간의 확보나 케이블 수의 감소는 어느 정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케이블의 수량 및 공간 확보는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상태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오디오 출력 신호를 스피커 셀렉터(15)를 활용하여 스피커(16)를 통해 오디오 신호 전달시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고, 직렬 또는 병렬 연결에 의한 앰프(12)의 최대 출력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스피커(16)를 연결할 때 다중화 방송을 위하여 많은 앰프(12)와 스피커(16)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각 액티브 출력장치마다 AC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며, 케이블에 의한 손실발생 및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앰프(12) 또는 스피커 셀렉터(15)에 무리가 가게 되어 제품의 손상을 주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는 종래의 액티브 출력장치의 구성과 연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출력장치(20)는, 앰프와 전원부가 일체로 구비된 앰프/전원부(21)와, 이 앰프/전원부(21)로부터 출력 신호인 오디오 신호를 받아 출력하는 출력부(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액티브 출력장치(20)는, 앰프/전원부(21) 각각에 AC 전원 케이블(AC IN LINE)이 연결되고, 인접한 액티브 출력장치(20)끼리는 오디오 케이블(AUDIO LINE)을 통해 서로 연속하여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티브 출력장치(20)는, 앰프/전원부(21)의 출력 신호를 링크(link)하여 전달하며, 각 AC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4-0005611호(2014년 01월 15일, 공개)의 간편 배선설비를 이용한 전관방송 출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의한 손실과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관방송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의 장비들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 개의 출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소스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소스나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출력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SMPS 전원부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소스나 음성신호와, 상기 SMPS 전원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1 PLC 제어부와;
상기 제1 PLC 제어부에서 제어된 소스나 음성신호와 전원을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음성/데이터/전원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출력장치는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PLC 제어부가 제어한 신호가 음성, 데이터 및 전원이 동시에 송수신 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SMPS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출력되게 하는 전원 입출력부와; 상기 전원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동시에 승전 및 승압시켜 상기 출력장치를 구동하도록 하는 DC/DC 컨버터와; 입력받은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와; 상기 D/A 컨버터로부터 아날로그 변환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전원,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의 데이터 신호,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되게 제어하는 제2 PLC 제어부와; 상기 제2 PLC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이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유지를 위하여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에 전원을 상시 직접 공급한다.
또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마이컴 제어에 의해 프리 셀렉팅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출력장치에는 개별 ID가 부여되어, 입출력 매트릭스 기능에 의한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MPS 전원부의 출력전압을 받아 상기 각 출력장치의 조작에 따라 링크하여 다음의 각 출력장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SMPS 전원부에 의한 DC 출력 전압과 디지털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 라인을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승전과 승압을 시킴으로써,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의 수량의 증가에 따른 부하가 발생하여 전력 손실이 발생하여도 일정 수량의 출력장치를 거친 후 전원 부스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최종 출력장치 구동에 있어 처음의 출력장치와 동일한 특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PLC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관방송 시스템의 장비들의 이상 유무를 손쉽게 확인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의한 손실,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관방송의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액티브 출력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액티브 출력장치 시스템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메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출력장치 중 하나인 출력장치1의 내부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전원부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메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출력장치 중 하나인 출력장치1의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전원부의 작동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소스(Source)와 음성신호(또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어 처리하는 것으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 구비된 방송장비들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0)와, 이 메인 컨트롤러(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관방송 시스템의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제어 컴퓨터(PC)(20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와 음성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전원의 입출력이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 개의 출력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 컴퓨터(200)는, 운영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이 운영프로그램은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각 장비의 이상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를 메인 컨트롤러(100)에 전달하여 메인 컨트롤러(100)가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장치(300)는 여러 개의 출력장치(출력장치1~출력장치n)가 연속하여 연결되게 구비되되, 첫 번째의 출력장치1(300-1)은 메인 컨트롤러(100)와 음성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SMPS 전원도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첫 번째의 출력장치1(300-1)부터 최종의 출력장치n(미도시)까지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인접한 출력장치끼리 연결되되, SMPS 전원도 연결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와 출력장치(300)로 구분하되, 메인 컨트롤러(100)와 출력장치(300)를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Pair Wire)(301)로 연결하여 메인 컨트롤러(100)와 출력장치(300)간 전원 및 음성신호를 송수신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5에서 도면번호 302는 전원 전송라인이고, 도면번호 303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라인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에 따라 출력장치(액티브 출력장치)(300) 내부의 앰프를 구동하고, 예컨대, 스피커 라인(또는 케이블)의 수량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30)와, 전원을 공급하는 SMPS 전원부(12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가 제어한 신호가 입력되고, A/D 컨버터(130)로부터 수신한 소스와 음성신호 및 SMPS 전원부(120)의 입력 전원을 출력되게 하는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부(140)와, 상기 A/D 컨버터(130) 및 제1 PLC 제어부(140)와 신호, 데이터 및 전원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음성/데이터/전원 전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출력장치(출력장치1~출력장치n)(300) 중 하나의 출력장치(30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 즉, SMPS 전원부(120)의 전원이 입력 및 출력되게 구비된 전원 입출력부(310)와, 이 전원 입출력부(310)의 전원의 전류 및 전압을 승전 및 승압시켜 출력장치(300)를 구동하도록 하는 DC/DC 컨버터(320)와,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330)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340)와,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300-1)는, 상기 DC/DC 컨버터(320)의 전원과, 음성/데이터 송수신부(330)의 데이터와, 음성신호 증폭부(360)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전송되게 제어하고, 전관방송 시스템의 장비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2 PLC 제어부(350)와, 이 제2 PLC 제어부(350)나 음성신호 증폭부(360)의 오디오 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DC/DC 컨버터(320)는 승전 및 승압 제어된 전원을 항시 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유지를 위해 음성신호 증폭부(360)에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MPS 전원부(120)는 AC 전원과 DC 전원이 입력되게 구비되어, 이 SMPS 전원부(120)의 전원이 출력장치1(300-1)의 전원 입출력부(310)로 전달되며, 이 전원 입출력부(310)의 전원은 승전 및 승압 제어하여 외부에 출력되게 DC/DC 컨버터(32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SMPS 전원부(120)에 입력되는 전원 중 DC 전원의 경우, 비상시(EMG)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UTP 케이블에 DC 전원라인과 디지털 신호 UTP 케이블(301)을 이용하여 출력장치(300)로 연결하여 각 출력장치(300)간 링크 투 링크(Link To Link)에 데이터 송수신 및 전원 공급하고, DC/DC 컨버터(320)를 이용하여 승전과 승압을 시킴으로써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출력장치(300)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환경 폐기물의 감소, 설치의 용이성, 공간 활용, 시공시간 절감 등 환경 및 경제적 활용성이 매우 크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우선,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각 출력장치(300)의 용량에 맞게 일정한 DC 출력전원을 터미널 단자를 통해 일정 전압을 출력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고, UTP 케이블(301)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UTP 케이블(301)을 이용하여 출력장치(300)로의 전원 공급 및 신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300)에는 제2 PLC 제어부(350)가 구비되어 있어,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신호의 제어를 위한 PLC 제어 기능이 구비되고, 각 출력장치(300)에 개별 ID를 부여하여 입출력 매트릭스 기능에 의한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300) 증가로 인한 부하로부터 SMPS 전원 전압의 안정화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PLC 제어부(35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출력장치(300)의 이상 유무 확인이 가능하고, D/A 컨버터(340)를 이용하여 디지털 음성신호의 컨버팅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출력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의 SMPS 전원부(120)의 출력전압을 터미널을 통하여 받아 예컨대, 출력장치1(300-1)의 마이컴 조작에 따라 링크(Link)하여 다음의 출력장치2(300-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300)로 인입된 SMPS 전원부(120)의 출력전원 전압을 DC/DC 컨버터(320)를 이용하여 출력장치(300)의 스피커 용량에 맞는 앰프 구동용 전압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장치(300)의 설치 수량이 증가하여 부하가 걸리는 경우, 다운(down) 전압 입력시 DC/DC 컨버터(320) 구동을 위한 일정 비율의 프리볼트(Free Voltage) 구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장치(300) 구동시 출력장치(300)의 전원 입출력부(AC 전원)(310)의 전원(AC 전원)에 의해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DC 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DC/DC 컨버터(320)의 출력전압은 마이컴 제어에 의해 프리 셀렉팅(Free Selecting)이 가능하다.
또한, 각 출력장치(300)에 ID를 부여하여 마이컴 조작에 의한 다원화 방송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고, 각 출력장치(300)의 이상 유무를 UTP 케이블(301)을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출력장치(300)간 데이터 전송 케이블 링크에 의한 데이터 및 음성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고, D/A 컨버터(340)를 활용한 출력장치(300)의 앰프 구동 및 제2 PLC 제어부(350)에 의한 앰프 이상 유무 진단 및 메인 컨트롤러(100)에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출력장치1(300-1)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이 발생된 출력장치1(300-1)를 건너뛰는 점핑(Jumping)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후속의 출력장치2(300-2)의 미작동을 예방할 수 있고, 출력장치(300)의 이상에 따른 예비 출력장치 설치시 마이컴에 의한 전환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에는 오디오 출력 신호를 스피커 셀렉터를 활용하여 스피커로 음성신호 전달시, 많은 케이블과 직렬 또는 병렬 연결에 의한 앰프 출력의 최대 출력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스피커 연결시 다중화 방송을 위하여 많은 앰프와 스피커가 필요하였다.
또한, 각 출력장치마다 공급되는 AC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며, 케이블에 의한 손실발생 및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앰프 또는 스피커 셀렉터에 무리가 가게 되어 장비의 손상을 주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SMPS 전원부(120)에 의한 DC 출력 전압과 디지털 데이터 및 신호를 출력장치(300)로 전송하여, DC/DC 컨버터(320)를 이용하여 승전과 승압을 시킴으로써,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300)의 수량의 증가에 따른 부하가 발생하여 전력 손실이 발생하여도 일정 수량의 출력장치(300)를 거친 후, 전원 부스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최종의 출력장치n(300-n)의 구동에 있어 처음의 출력장치1(300-1)과 동일한 특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출력장치(300)에 제2 PLC 제어부(350)를 구비하여,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장비들의 이상 유무를 손쉽게 확인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의한 손실,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은, 오디오뿐만 아니라 보안 및 영상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 컨트롤러
130. A/D 컨버터
140. 제1 PLC 제어부
120. SMPS 전원부
160. 음성/데이터/전원 전송부
200. 제어 컴퓨터
300. 출력장치
310. 전원 입출력부
320. DC/DC 컨버터
330. 음성/데이터 송수신부
340. D/A 컨버터
350. 제2 PLC 제어부
360. 음성신호 증폭부
370. 스피커

Claims (6)

  1. 전관방송 시스템에 구비되어,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의 장비들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 개의 출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소스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소스나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출력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SMPS 전원부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소스나 음성신호와, 상기 SMPS 전원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1 PLC 제어부와;
    상기 제1 PLC 제어부에서 제어된 소스나 음성신호와 전원을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음성/데이터/전원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출력장치는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PLC 제어부가 제어한 신호가 음성, 데이터 및 전원이 동시에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SMPS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출력되게 하는 전원 입출력부와;
    상기 전원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동시에 승전 및 승압시켜 상기 출력장치를 구동하도록 하는 DC/DC 컨버터와;
    입력받은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와;
    상기 D/A 컨버터로부터 아날로그 변환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전원,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의 데이터 신호,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되게 제어하는 제2 PLC 제어부와;
    상기 제2 PLC 제어부 또는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로부터 수신한 음성이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출력장치의 네트워크 유지를 위하여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에 전원을 상시 직접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마이컴 제어에 의해 프리 셀렉팅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출력장치에는 개별 ID가 부여되어, 입출력 매트릭스 기능에 의한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MPS 전원부의 출력전압을 받아 상기 각 출력장치의 조작에 따라 링크하여 다음의 각 출력장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20190122832A 2019-10-04 2019-10-04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227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32A KR102272482B1 (ko) 2019-10-04 2019-10-04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32A KR102272482B1 (ko) 2019-10-04 2019-10-04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21A true KR20210040521A (ko) 2021-04-14
KR102272482B1 KR102272482B1 (ko) 2021-07-01

Family

ID=7547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32A KR102272482B1 (ko) 2019-10-04 2019-10-04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4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659A (ko) * 2006-02-08 2007-08-13 이종성 디지털 다원화 전관방송 제어장치
KR2011013858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케빅 전관 방송 장치
KR101202526B1 (ko) * 2011-12-15 2012-11-16 백화자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의 전원 관리 장치
KR101835134B1 (ko) * 2017-06-23 2018-03-08 주식회사 인터엠 전관방송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전원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659A (ko) * 2006-02-08 2007-08-13 이종성 디지털 다원화 전관방송 제어장치
KR2011013858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케빅 전관 방송 장치
KR101202526B1 (ko) * 2011-12-15 2012-11-16 백화자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의 전원 관리 장치
KR101835134B1 (ko) * 2017-06-23 2018-03-08 주식회사 인터엠 전관방송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전원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482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2431A (en) Power multiplexer for broadband communications systems
JP5529266B2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オーディオコンポーネンツの簡略化された相互接続および制御のための方法と装置
US201501262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er over communication cabling
US200301789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 supply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EP1865702B1 (en) A long-distance powering system for communication system
ITMI981649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di motori multi-assi
CN104597800A (zh) I/o模块
US200402206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processing audio control signals in information systems
US20100135151A1 (en) Network interface apparatus for bypassing inoperable network device
KR100923489B1 (ko) 오디오/비디오의 다원화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KR1023077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US10615589B2 (en) Digital LOP utilizing integrated module and motor control center system including same
US8552884B2 (en) Power and signal distribution system
KR102272482B1 (ko) 전원과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247185B1 (ko) 하이 임피던스 방송출력신호의 디지털 모니터링장치를 구비한 구내방송시스템
KR102298929B1 (ko)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용 케이블 단락 및 단선 점검용 관리 시스템
CN100583592C (zh) 一种多输出配电的方法、装置及设备
US9510116B2 (en) High definition distributed sound system
US11632257B2 (en) Power over ethernet system having multiple power source devices
CN101336038B (zh) 多通道调光器的启动方法
US11569774B2 (en) Actuator control device
KR100942281B1 (ko) 랙형 서버 시스템의 자동 전원 분배 장치
KR101118324B1 (ko) 콘트롤러를 이용한 순차 전원공급장치
JP3903806B2 (ja) リモート入出力装置
KR102607677B1 (ko) 교류(ac) / 직류(dc) 동시 능동 공급 및 제어가 가능한 구내 방송용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