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432A -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432A
KR20210040432A KR1020217007018A KR20217007018A KR20210040432A KR 20210040432 A KR20210040432 A KR 20210040432A KR 1020217007018 A KR1020217007018 A KR 1020217007018A KR 20217007018 A KR20217007018 A KR 20217007018A KR 20210040432 A KR20210040432 A KR 20210040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signal
channel
uplink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안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2Avoidance of ingress interference, e.g. ham radio channels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allow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 H04L27/3461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allow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transmit a sub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04L1/001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based on latency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였고,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됨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COT 내에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어,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 전송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ERMINAL DEV1CE AND NETWORK DEV1CE)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면허 스펙트럼에서 전송된다.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은 독립적인 작업을 지원해야 하므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tion Time, COT) 내에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 전송에 도움이 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임 -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단말 기기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임 -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제1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제2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1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2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 임의의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임의의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임의의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였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임의의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2 측면 중의 임의의 측면 또는 이의 각 구현 방식 중의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방안을 통해,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되고, 해당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 전송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정보 전송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결정하는 또 다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설명하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은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 연결(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연결(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NR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 기기(120)(또는 통신 단말, 단말로 지칭됨)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coverage)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이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이동 전화 교환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집선기,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말 기기”로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사용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20) 사이는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를 통신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0)는 전술한 특정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으며; 통신 기기는 또한 통신 시스템(100) 중의 다른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자주 호환되어 사용 가능하다. 본문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다만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문에서의 부호 “/”은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통신 기기(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신호 송신을 수행하기 전에,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채널에 대해 리슨 비포어 토크(Listen before Talk, LBT) 검출을 수행해야 한다. LBT가 성공하면, 통신 기기는 신호 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LBT가 실패하면, 통신 기기는 신호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발송 기기가 신호 송신을 수행할 때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신 기기가 수신 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여, 발송 기기가 신호를 성공적으로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한 번의 전송에서, 통신 기기가 허가되지 않은 주파수 스펙트럼의 채널을 사용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지속 시간은 최대 채널 점용 시간(Maximum Channel Occupation Time, MCOT)을 초과할 수 없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전송되는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면허 스펙트럼에서 전송된다.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은 독립적인 작업을 지원해야 하므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2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송 방법(200)은 다음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며;
단계 S22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고,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며;
여기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일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 즉 긍정 응답(acknowledge, ACK)/부정 응답(non-acknowledge, NACK) 정보일 수 있으며,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일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일 수 있으며, CSI-RS의 목적은 단말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채널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셀 전용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일 수도 있으며, CRS의 목적 역시 단말 기기가 CSI를 획득함으로써, 다운링크 채널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피드백하는 것이다.
또한,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그룹화는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동일한 하나의 채널에 전달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할 수 있거나, 다른 요인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간순에 따라, 두 개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한 세트로 그룹화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그룹화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시간순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서,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은 제2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보다 빠르고, 제2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은 제3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보다 빠르며, ……,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유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시작 시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 전송 순서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서,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시작 시간은 제2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보다 빠르고, 제2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시작 시간은 제3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보다 빠르며, ……,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유추한다.
하나의 COT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환점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다운링크 채널/신호가 위치한 다운링크 자원과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자원은 인접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음 방안에서는 다운링크 자원 및 업링크 자원이 인접한 것을 예로 든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n은, 상기 다운링크 자원에서 제(n+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면, 업링크 자원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자원이 없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n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최대 세트의 값, 및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모두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을 결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PDSCH이고,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ACK/NACK 정보이며, 상기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PDSCH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PDSCH의 처리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CSI-RS이고,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이며, 상기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CSI-RS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CSI의 처리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한다.
여기서, PDSCH의 처리 지연 시간의 값은, PDSCH 디코딩 지연 시간,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과 같은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달하는 물리적 채널, PDSCH에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구조, PDSCH의 자원 매핑 방식 등 요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CSI의 처리 지연 시간의 값은, CSI 계산 지연 시간, CSI 타입(Type I CSI feedback or Type II CSI feedback) 또는 콘텐츠(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전용, CQI+순위 지시자(Rank Indication, RI)+프리 코딩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대역폭 CSI, 서브 밴드 CSI 등), CSI를 계산하기 위한 참조 신호 구조, CSI를 전달하는 물리적 채널(PUCCH 또는 PUSCH) 등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가 제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이면, 상기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직접 결정된다.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가 제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2 세트, 제3 세트……다운링크 채널/신호이면,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해, 상기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하나의 시간 값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해, 상기 결정된 시간 값은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제2 세트 및 이후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해, 상기 결정된 시간 값 및 이전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에서, 더 큰 값이,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에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동일한 하나의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하고, 해당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 전송에 도움이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결합하여 임의의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하나의 시간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COT는 하나의 다운링크 (Downlink, DL) 자원 및 하나의 업링크(Uplink, UL)를 포함하며, 다운링크 채널/신호(여기서 PDSCH로 예를 듬)는 DL에서 전송되며,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여기서 ACK/NACK로 예를 듬)는 UL에서 전송되며, 다운링크 자원 및 다운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은 G이고, 단말 기기는 T0에서 한 세트의 PDSCH를 수신하고, 즉 상기 세트의 PDSCH의 종료 시간은 T0이며, PDSCH의 처리 지연 시간은 A이고,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은 T1이며, 결정된 시간 값은 T2이다.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2는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T1+G일 수 있거나,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서의 A를 PDSCH의 처리 지연 시간의 기초 위에서 G를 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면, T0+A이 T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마찬가지로, T2를 T1+G로 간주할 수 있다. 제1 세트의 PDSCH인 경우, 상기 T2는 이에 대응하는 ACK/NACK의 시작 시간이다. 이후의 특정된 한 세트의 PDSCH이면, T2과 이전 세트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중 최대치는 상기 세트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COT는 하나의 다운링크 (Downlink, DL) 자원 및 하나의 업링크(Uplink, UL)를 포함하며, 다운링크 채널/신호(여기서, PDSCH를 예로 듬)는 DL에서 전송되며,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여기서 ACK/NACK를 예로 듬)는 UL에서 전송되며, 다운링크 자원 및 다운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은 G이고, 단말 기기는 T0에서 한 세트의 PDSCH를 수신하고, 즉 상기 세트의 PDSCH의 종료 시간은 T0이며, PDSCH의 처리 지연 시간은 A이고,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은 T1이며, 결정된 시간 값은 T2이다. T0+A이 T1+G보다 크면, T2는 T0+A이거나,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서의 A를 PDSCH의 처리 지연 시간의 기초 위에서 G를 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면, T0+A가 T1보다 크면, 마찬가지로, T2를 T0+A로 간주할 수 있다. 제1 세트의 PDSCH인 경우, 상기 T2는 이에 대응하는 ACK/NACK의 시작 시간이다. 이후의 특정된 한 세트의 PDSCH이면, T2과 이전 세트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중 최대치는 상기 세트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 다운링크 자원에서 두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든다. 제1 세트의 PDSCH의 종료 시간은 T0이고, 제2 세트의 PDSCH의 종료 시간은 T0’이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은 T1이며, T0+A가 T1+G보다 작으므로, T2는 제1 세트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T0’+A가 T1+G보다 크므로, T2’은 T0’+A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세트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T3이 T2’보다 크므로, T3을 제2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A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의 기초 위에서 하나의 오프셋을 더하거나 뺀 것일 수 있으며, G도 프로토콜에 의해 약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는 16μs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는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LBT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채널을 점유하는 다른 통신 기기로 인해 대응하는 업 링크 정보가 업로드되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된 특정 세트의 다운링크 정보/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전술한 판단 방식에 따라 획득된 하나의 시간 값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상기 시간 값은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최소값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시간 값이 획득되면, 상기 시간 값 이후의 임의의 시간은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는 특정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 길이도 약정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하나의 시간 값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값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값을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구성의 시간과 결정된 시간 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값보다 작으면, 단말 기기는 이를 잘못된 구성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값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값을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시간을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제1 세트 이후의 임의의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하나의 시간 값을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시간 값과 이전 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중 최대치를 전송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시작 시간의 하한값으로 사용한다. 단말 기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구성의 시간을 선택된 최대치와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최대치보다 작으면, 단말 기기는 이를 잘못된 구성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최대치보다 크거나 같은 임의의 값을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최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시간을 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으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특정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은 상기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총 종료 시간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에 대해 마찬가지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총 종료 시간을 의미한다. 위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해 설명하였고, 여기서 간결함을 위해,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이후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한 타입의 특정된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된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는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특정된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단말 기기 세트의 공통 시그널링(UE-group common signalling) 등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또는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일부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채널을 통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유에 사용되는 정보는 실제 작용이 없어, 다른 기기가 상기 시간대 내에 채널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한다. PUSCH는, 미리 스케줄링된 PUSCH를 의미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COT 중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한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높은 레벨의 시그널링 구성을 통해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DMRS, DMRS를 전송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DMRS를 미리 전송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채널에서 DMRS 자원을 더이상 예약할 수 없어,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단말 기기는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에서 제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전술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또한 각각의 두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전술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정보 전송 방법(3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송 방법(300)은 다음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단말 기기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며;
단계 S320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며,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며;
여기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에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동일한 하나의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하고, 해당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신뢰성 전송에 도움이 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빠르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동일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설명한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상호 작용 및 관련 특징, 기능 등은 단말 기기의 관련 특징 및 기능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특정 메시지를 송신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 특징은 아래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4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400)는,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410)을 포함하며;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고,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동일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4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400) 중의 각 유닛의 전술한 및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도 2의 방법 중의 단말 기기의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5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단말 기기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510)을 포함하며;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고,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여기서,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동일한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5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하며, 네트워크 기기(500)에서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단계 및 기능 증 적어도 하나는 도 6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의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기기(600)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600)는 도 2의 방법(200)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도 7의 단말 기기(400)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단말 기기(600)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6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600)는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에 대해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6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600)는 트랜시버(6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10)는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트랜시버(6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6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6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기기(600) 중의 수신 트랜시버 유닛은 도 9에서의 트랜시버(6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700)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700)는 도 6의 정보 전송 방법(30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도 8의 네트워크 기기(700)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700)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71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700)는 메모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한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7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700)는 트랜시버(7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710)는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트랜시버(7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7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7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7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7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기기(700) 중의 처리 유닛은 도 10의 프로세서(7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700) 중의 트랜시버 유닛은 도 10에서의 송수신기(73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칩(800)은 프로세서(8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8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작동시킴으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800)은 메모리(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작동시킴으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8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800)은 입력 인터페이스(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8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800)은 출력 인터페이스(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8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통신 시스템(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900)은 단말 기기(910) 및 네트워크 기기(9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910)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920)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검출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 및 완료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판독 전용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쾌속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메모리는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인 설명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싱크로너스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이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응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개략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며,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실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방안의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78)

  1.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빠르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 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8.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단말 기기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임 -;
    를 포함하며;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빠르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3.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4.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5.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8. 제18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0. 제1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 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1. 제1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2. 제1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3. 제1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4.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5. 단말 기기로서,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고,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6. 제35항에 있어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빠르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0.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1.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2.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3. 제35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5. 제35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7. 제35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 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8. 제3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9. 제3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50. 제3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51.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52. 네트워크 기기로서,
    하나의 채널 점유 시간(COT) 내의 다운링크 자원에서 단말 기기로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COT 내의 업링크 자원에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의 각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신호를 포함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고, i는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3. 제52항에 있어서,
    i는 1보다 크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은 제1 임계값보다 빠르지 않으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 및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 T0, 상기 다운링크 자원의 종료 시간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 중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6.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7.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작거나 같으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1+G) 또는 (T1+G)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8.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G)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이고, G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과 상기 업링크 자원 사이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9. 제52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0+A)가 T1보다 크면, T0, T1 및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된 시간은 (T0+A) 또는 (T0+A)에서 시작하는 첫 번째 심볼의 시작 위치이며, A는 상기 처리 지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0. 제52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이 T1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의 종료 시간과 T1 사이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없거나, 상기 특정 다운링크 채널/신호/정보가 공통 채널/신호/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신호/정보는 방송 채널, 동기화 신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기기 세트 공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2. 제52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이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 또는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또한,
    상기 업링크 자원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i-1)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 시간과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시작 시간 사이에서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특정 업링크 채널/신호는 위치 점유를 위한 정보, 사운딩 참조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및 복조 참조 신호(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DMRS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은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가 차지하는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4. 제52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 중 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동일한 하나의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상이한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5. 제5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 중의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피드백 응답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6. 제5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 중의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이고,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는 측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7. 제52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세트의 다운링크 채널/신호에 대응하는 업링크 정보의 종료 시간은 네트워크 구성 또는 프로토콜 약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8. 제56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약정된 것이고, G=16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9.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0.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71. 칩으로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72. 칩으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칩.
  7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7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75.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7.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8.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07018A 2018-08-09 2018-08-09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10040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99700 WO2020029199A1 (zh) 2018-08-09 2018-08-09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32A true KR20210040432A (ko) 2021-04-13

Family

ID=6941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018A KR20210040432A (ko) 2018-08-09 2018-08-09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1212798B2 (ko)
EP (1) EP3820226B1 (ko)
JP (1) JP7254902B2 (ko)
KR (1) KR20210040432A (ko)
CN (2) CN112534928A (ko)
AU (1) AU2018436323A1 (ko)
BR (1) BR112021002315A2 (ko)
CA (1) CA3108817C (ko)
MX (1) MX2021001509A (ko)
SG (1) SG11202101286XA (ko)
TW (1) TW202010285A (ko)
WO (1) WO20200291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190A (ko) * 2017-01-06 2019-09-0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스위칭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4827B (zh) * 2017-10-26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AU2018436323A1 (en) * 2018-08-09 2021-03-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972275B (zh) * 2018-09-28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示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WO2022025814A1 (en) * 2020-07-28 2022-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n subband configuration for reduced csi computation time
WO2024016347A1 (zh) * 2022-07-22 2024-01-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001A1 (en) * 2012-10-21 2014-04-24 Mariana Goldhamer Improved utilization of the uplink fdd channel
US11431459B2 (en) * 2013-08-13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Group ACK/NACK for LTE in unlicensed spectrum
CN104639486B (zh) 2013-11-12 2018-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法及装置
CN105992222A (zh) * 2015-01-29 2016-10-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竞争信道资源的方法和设备
KR102658360B1 (ko) * 2015-04-09 202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WO2016163709A1 (ko) * 2015-04-09 2016-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EP3399822B1 (en) * 2015-12-31 2021-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10887912B2 (en) 2016-01-20 2021-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apparatus support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KR20170093068A (ko) 2016-02-04 2017-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WO2017135721A1 (ko) 2016-02-04 2017-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US10764913B2 (en) 2016-03-24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ssisting performance of listen before talk procedures and uplink traffic multiplexing at user equipment
KR102340908B1 (ko) * 2016-05-12 2021-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상향링크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GB2550200B (en) 2016-05-13 2021-08-04 Tcl Communication Ltd Methods and devices for supporting access to unlicensed radio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7708159B (zh) * 2016-08-09 2023-10-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授权频谱的接入方法、装置及传输节点
US11304208B2 (en) 2016-11-14 2022-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requency measurements on FS3 SCells
WO2018094652A1 (zh) * 2016-11-24 2018-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8174445B (zh) * 2016-12-07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CN108235417B (zh) * 2016-12-22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传输方法、基站和终端设备
WO2020029070A1 (en) * 2018-08-07 2020-02-13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source allocation
AU2018436323A1 (en) * 2018-08-09 2021-03-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190A (ko) * 2017-01-06 2019-09-0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스위칭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US11641260B2 (en) 2017-01-06 2023-05-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witching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436323A1 (en) 2021-03-11
EP3820226B1 (en) 2023-02-15
JP7254902B2 (ja) 2023-04-10
CA3108817A1 (en) 2020-02-13
EP3820226A4 (en) 2021-07-21
EP3820226A1 (en) 2021-05-12
TW202010285A (zh) 2020-03-01
JP2022500892A (ja) 2022-01-04
CN113067693B (zh) 2022-12-13
MX2021001509A (es) 2021-06-23
US11212798B2 (en) 2021-12-28
CA3108817C (en) 2023-08-08
US20220086835A1 (en) 2022-03-17
CN112534928A (zh) 2021-03-19
SG11202101286XA (en) 2021-03-30
BR112021002315A2 (pt) 2021-05-04
WO2020029199A1 (zh) 2020-02-13
CN113067693A (zh) 2021-07-02
US20210160864A1 (en) 2021-05-27
US11877270B2 (en)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67693B (zh)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7141467B2 (ja) 無線通信方法、通信デバイス、チップ及びシステム
EP3672342B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5708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data based on carrier sensing of at least one beam
CN111345007A (zh) 信令指示和接收方法、装置及通信系统
CN113170455A (zh) 下行信号传输的方法和设备
CN114710839B (zh) 无线通信方法和终端设备
CN111630925A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A3066185C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CN114342451A (zh) 用于激活辅小区的通信方法和装置
CN111510271B (zh) 传输信息的方法、接收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711518A (zh) Harq信息反馈的方法和设备
CN112119595B (zh) 一种信号加扰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1886911B (zh) 一种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2333691A (zh)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4258654A (zh) 用于传输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设备
KR20210057755A (ko) 상향 제어 정보 전송 자원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118455A (ko) Harq 정보의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CN110710276B (zh) 传输物理随机接入信道prach的方法和设备
RU274816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
CN116918424A (zh) 信道状态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JP2022502884A (ja) 無線通信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
KR20220048974A (ko) 정보 피드백의 방법 및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