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5721A1 -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5721A1
WO2017135721A1 PCT/KR2017/001174 KR2017001174W WO2017135721A1 WO 2017135721 A1 WO2017135721 A1 WO 2017135721A1 KR 2017001174 W KR2017001174 W KR 2017001174W WO 2017135721 A1 WO2017135721 A1 WO 20171357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plink
subframe
subframes
uplink gran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1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엄중선
정회윤
박승근
유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19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93068A/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17747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13671B1/en
Priority to US15/770,838 priority patent/US11044747B2/en
Priority to CN201780003774.1A priority patent/CN108271435B/zh
Publication of WO20171357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57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ing technique of uplink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heduling technique of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an unlicensed ban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licensed b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n unlicensed band (eg, an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according to a band used. Can be. Since the use of the licensed band is exclusively given to one operat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the licensed band can provide better reliability and communication quality tha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the unlicensed band.
  • a licensed band e.g., an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 an unlicensed band eg, an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 Representati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ing licensed bands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advanced), etc. defin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and support LTE (or LTE-A, etc.).
  • LTE long term evolution
  • LTE-A advanced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UE user equipment
  • Typical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ing unlicensed bands includ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as defin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and each access point and station supporting WLANs transmits signals through the unlicensed band.
  • WLAN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LTE (or LTE-A, etc.) services are provided over the unlicensed band
  • coexistence with communication nodes eg, access points, stations, etc.
  • a communication node eg, base station, UE, etc.
  • LTE Long Term Evolution
  • LBT listen before talk
  • a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LTE (or LTE-A, etc.) may not transmit a signal at a desired time. That is, unlike a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a licensed band, a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an unlicensed band may not transmit a signal at a desired tim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methods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based on limited transmission opportunities in communication networks that support unlicensed band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cheduling method of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an unlicensed band.
  •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detecting a control channel of subframe #n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receiving an uplink grant from the control channel; And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ubframes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ubframes are subframes # (n + l + k) to # (n + l + k + (N SF- 1)),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l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4, k indicating an scheduling delay offset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N SF i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to be.
  • the activation request for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uplink grant may b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 the maximum number of subframes that can be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may b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 the plurality of subframes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may be contiguous in the time domain.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k, the N SF, and i, and i may indicate an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0, 1,... , May be one of (N SF -1) values.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of a PUSCH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or a start position of a PUSCH included in a fir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start position may be an SC-FMDA symbol # 0 among the plurality of SC-FMDA symbols included in the subframe, a specific time point among the SC-FDMA symbol # 0, or an SC-FDMA symbol # 1.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or an end position of a la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end position may be a last SC-FDMA symbol or a SC-FDMA symbol before the last SC-FDMA symbol among a plurality of SC-FDMA symbols included in a subframe.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performed by the terminal before transmission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plurality of subframes may be transmitted when the channel state is idle during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ckoff value in the contention window.
  • the contention window may be set variably based on channel access priority.
  • the plurality of subframes may be transmitted when the channel state is idle for a preset period.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common field and individual fields, and the common field may include information commonly used in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ubfields. It may contain different information used for each of the frames.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NDI and RV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HARQ process number of a fir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HARQ of at least one remaining subframe except the fir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process numb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HARQ process number and the subframe number of the first subframe.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n SRS index indicating a subframe number in which the SRS is transmitted.
  •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generating an uplink grant and transmitting a DCI including the uplink grant to a terminal through subframe #n.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subframes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from the terminal, wherein the plurality of subframes are subframes # (n + l + k) to # (n + l + k + ( N SF -1)), wherei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l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4, k indicating an scheduling delay offset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N SF is the number of subframes.
  • the activation request for the reception function of the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 the maximum number of subframes that can be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 the plurality of subframes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may be contiguous in the time domain.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k, the N SF, and i, wherein i may indicate an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0, 1,... , May be one of (N SF -1) values.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of a PUSCH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or a start position of a PUSCH included in a fir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start position may be an SC-FMDA symbol # 0 among the plurality of SC-FMDA symbols included in the subframe, a specific time point among the SC-FDMA symbol # 0, or an SC-FDMA symbol # 1.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or an end position of a la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end position may be a last SC-FDMA symbol or a SC-FDMA symbol before the last SC-FDMA symbol among a plurality of SC-FDMA symbols included in a subframe.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performed by the terminal.
  • the plurality of subframes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when the channel state is an idle state during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ckoff value in the contention window.
  • the contention window may be set variably based on channel access priority.
  • the plurality of subframes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when the channel state is an idle state during a preset period.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common field and individual fields, and the common field may include information commonly used in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ubfields. It may contain different information used for each of the frames.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NDI and RV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 HARQ process number of a fir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and HARQ of at least one remaining subframe except the first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subframes.
  • the process numb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HARQ process number and the subframe number of the first subframe.
  • the uplink grant may include an SRS index indicating a subframe number in which the SRS is transmitted.
  • scheduling of uplink transmiss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an unlicensed band, thereby improving uplink transmission efficiency.
  •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improve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ype 1 frame.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ype 2 frame.
  •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grid of a slot included in a downlink subframe.
  •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grid of a slot included in an uplink subframe.
  •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uplink subframe configuration.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 variable subframe.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adio frame in an unlicensed band.
  •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cheduling method of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cheduled sub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cheduled sub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scheduled sub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 directional link subframe.
  •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2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2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n end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FIG. 2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end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be a cellular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advanced), LAA (3GPP) standard defined in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licensed assisted access (eLAA), and enhanced LAA (eLAA).
  • the first base station 110 is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for example, single user (SU) -MIMO, multi user (MI) -MIMO, massive MIMO, etc.),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rrier aggregation (CA)) and the like may be supported.
  •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the first base station may operate in a licensed band F1 and form a macro cell.
  •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base station (eg,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e third base station 130, etc.)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non-idal backhaul.
  •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operate in an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the third base station 13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the third base station 13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Each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nd the third base station 130 may support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fined in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user equipment (U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a carrier aggregation (CA) between the licensed band F1 and the unlicensed band F3. can do.
  • CA carrier aggrega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2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20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LAA, eLAA, etc. defined in the 3GPP standard).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2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20 may support MIMO (eg, SU-MIMO, MU-MIMO, large scale MIMO, etc.), CoMP, Carrier Aggregation (CA), and the like.
  • MIMO eg, SU-MIMO, MU-MIMO, large scale MIMO, etc.
  • CoMP Carrier Aggregation
  • CA Carrier Aggregation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2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2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1 and form a small cell.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2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2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macro cell.
  • the first base station 21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base station 230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al backhaul.
  • the second base station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base station 240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al backhaul.
  • the third base station 23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210.
  • the third base station 23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the fourth base station 24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220.
  • the fourth base station 24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Each of the third base station 230 and the fourth base station 240 may support a WLAN defin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210, the U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210, the second base station 220 and the UE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220 is a carrier between the licensed band F1 and the unlicensed band F3. Signals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ggregation CA.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310, the second base station 320, and the third base station 330 is a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LAA, eLAA, etc. defined in the 3GPP standard). ) Can be supported.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310, the second base station 320, and the third base station 330 may be a MIMO (eg, SU-MIMO, MU-MIMO, large scale MIMO, etc.),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the like.
  • the first base station 31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1 and form a macro cell.
  • the first base station 31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base station (eg, the second base station 320, the third base station 330, etc.)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non-idal backhaul.
  • the second base station 32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310.
  • the second base station 32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1 and form a small cell.
  • the third base station 33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310.
  • the third base station 33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1 and form a small cell.
  • the second base station 32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base station 340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al backhaul.
  • the fourth base station 34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320.
  • the fourth base station 34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the third base station 330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base station 350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al backhaul.
  • the fifth base station 35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330.
  • the fifth base station 35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340 and the fifth base station 350 may support a WLAN defin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 First base station 310 UE (not shown) connected to first base station 310, second base station 320, UE (not shown) connected to second base station 320, and third base station 330
  • Each UE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ird base station 330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hrough a carrier aggregation CA between the licensed band F1 and the unlicensed band F3.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410, the second base station 420, and the third base station 430 includes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LAA, eLAA, etc. defined in the 3GPP standard). ) Can be supported.
  •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410, the second base station 420, and the third base station 430 may be a MIMO (eg, SU-MIMO, MU-MIMO, large scale MIMO, etc.),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the like.
  • the first base station 41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1 and form a macro cell.
  • the first base station 41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base station (eg, the second base station 420, the third base station 430, etc.)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non-idal backhaul.
  • the second base station 42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410.
  • the second base station 42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2 and form a small cell.
  • the third base station 43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410.
  • the third base station 430 may operate in the licensed band F2 and form a small cell.
  • Each of the second base station 420 and the third base station 430 may operate in a licensed band F2 different from the licensed band F1 in which the first base station 410 operates.
  • the second base station 42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base station 440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al backhaul.
  • the fourth base station 44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420.
  • the fourth base station 44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the third base station 430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base station 450 through an ideal backhaul or a non-idal backhaul.
  • the fifth base station 450 may be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430.
  • the fifth base station 450 may operate in the unlicensed band F3 and form a small cell.
  •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440 and the fifth base station 450 may support a WLAN defin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 Each of the U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410 and the first base station 410 ma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hrough a carrier aggregation CA between the licensed band F1 and the unlicensed band F3.
  • Each of the second base station 420, the U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420, the third base station 430, and the UE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ird base station 430 are each licensed band (F2).
  • a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carrier aggregation CA between the license and the unlicensed band F3.
  • a communication node (ie, a base station, a UE, etc.) constitu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scribed above may transmit a signal based on a listen before talk (LBT) procedure in an unlicensed band. That is, the communication node may determine the occupied state of the unlicensed band by performing an energy detection operation. The communication node may transmit a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nlicensed band is in an idle stat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node may transmit a signal when the unlicensed band is in an idle state during a contention window according to a random backoff 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node may not transmit a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nlicensed band is busy.
  • LBT listen before talk
  • the communication node may transmit a signal based on a carrier sensing adaptive transmission (CSAT) operation. That is, the communication node may transmit a signal based on a preset duty cycle. The communication node may transmit a signal if the current duty cycle is a duty cycle assigned for a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cellular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node may not transmit a signal if the current duty cycle is a duty cycle assigned for a communication nod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other than cellular communication (eg, WLAN, etc.). The duty cycle may be adaptively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communication nodes supporting WLANs present in the unlicensed band, the usage state of the unlicensed band, and the like.
  • CSAT carrier sensing adaptive transmission
  • the communication node may perform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the unlicensed band. For example, if a maximum transmission duration or 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ax COT) is set in the unlicensed band, the communication node is within the maximum transmission period (or 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You can send a signal.
  • the communication node may transmit the remaining signals in the next maximum transmission period (or the maximum channel occupation time) when all signals are not transmitted within the current maximum transmission period (or the maximum channel occupation time).
  • the communication node may select a carrier having relatively little interference in the unlicensed band and may operate on the selected carrier.
  • the communication node may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to reduce interference to other communication nodes.
  • the communication node may b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 wideband CDMA (WC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r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It may support a single carrier (SC) -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like.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ideband CDMA
  •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SC single carrier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the base station is a NodeB (NB), an evolved 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radio base station, a radio transceiver, an access point. AP), access node, and the like.
  • the UE is a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station,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tation. ), Nodes, devices,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node may have a structure as follows.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communication node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510, a memory 520, and a transceiver 530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node 5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5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550, a storage device 560, and the like.
  •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500 may be connected by a bus 5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processor 5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520 and the storage device 560.
  • the processor 51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 Each of the memory 520 and the storage device 560 may be configured of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 the memory 52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 the corresponding second communication node corresponds to the method (for example, the method perform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 the reception or transmission of a signal may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UE is described,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E. 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is described, the UE corresponding thereto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 carrier aggregation may be applied between a cell in an unlicensed band and a cell in a licensed band.
  • the configuration, add, modify, or release of a cell in an unlicensed band is referred to as radio resource control (RRC) signaling (e.g., an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RRC message").
  • RRC radio resource control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dure may be sent from the cell of the licensed band to the UE.
  • the RRC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ell of the unlicensed band.
  • the section in which a signal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in the cell in the unlicensed band may be limited within the maximum transmission section.
  • the signal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the LBT,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when transmission of another communication node is completed.
  • LTE (or LTE-A, etc.)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n unlicensed band
  • transmission of a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LTE (or, LTE-A, etc.) may have aperiodic, non-continuous, and opportunistic characteristics.
  • a signal continuously transmitted by a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LTE (or LTE-A, etc.) for a period of time in an unlicensed band may be referred to as an "unlicensed band burst."
  • a channel defined in the licensed band for example,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a physical hybrid-request request (PHICH) indicator channel,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nd a physical downlink shared PDSCH) channel, 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etc. and signals (e.g., synchronization signal, reference signal, etc.)
  •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 PHICH physical hybrid-request request
  • PD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USCH physical downlink shared PDSCH
  • signals e.g., synchronization signal, reference signal, etc.
  • Consecutive sets of subframes consisting of one or more combinations may be transmitted on an unlicensed band. In this case, transmission of subframes may be referred to as "unlicensed band transmission".
  • Frames used for transmission in the unlicensed band may be classified into a downlink unlicensed band frame, an uplink unlicensed band frame, and a downlink / uplink unlicensed band frame.
  • the downlink unlicensed band frame may include a subframe to which “unlicensed band transmission” is applied and may further include an “unlicensed band signal”.
  • the "unlicensed band signal” may be located before the subframe to which "unlicensed band transmission” applies.
  • the “unlicensed band signal” is used to match the timing (or OFDM symbol timing) of the subframe to which "unlicensed band transmission” is applied and the timing (or OFDM symbol timing) of the subframe in the licensed band. Can be configured.
  • the "unlicensed band signal” may be used for automatic gain control (AGC), synchronization acquisition, channel esti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required for reception of data based on "unlicensed band transmission”.
  • AGC automatic gain control
  •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may support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and the like.
  •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 TDD time division duplex
  • a frame based on the FDD scheme may be defined as a “type 1 frame”
  • a frame based on the TDD scheme may be defined as a “type 2 frame”.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ype 1 frame.
  • a radio frame 600 may include 10 subframes, and the subframe may include two slots.
  • the radio frame 600 may include 20 slots (eg, slot # 0, slot # 1, slot # 2, slot # 3, ..., slot # 18, slot # 19).
  • the radio frame 600 length T f may be 10 ms.
  • the subframe length may be 1 ms.
  • the slot length T slot may be 0.5 ms.
  • T s may be 1 / 30,720,000 s .
  • the slot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RBs) in the frequency domain.
  • the resource block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 the number of OFDM symbols constituting the slo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a cyclic prefix (CP).
  • CP may be classified into a normal CP and an extended CP. If a normal CP is used, the slot may consist of seven OFDM symbols, in which case the subframe may consist of fourteen OFDM symbols. If an extended CP is used, the slot may consist of six OFDM symbols, in which case the subframe may consist of twelve OFDM symbols.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ype 2 frame.
  • the radio frame 700 may include two half frames, and the half frame may include five subframes.
  • the radio frame 700 may include ten subframes.
  • the radio frame 700 length T f may be 10 ms.
  • the length of the half frame may be 5ms.
  • the subframe length may be 1 ms.
  • T s may be 1 / 30,720,000 s .
  • the radio frame 700 may include a downlink subframe, an uplink subframe, and a special subframe.
  • Each of the downlink subframe and the uplink subframe may include two slots.
  • the slot length T slot may be 0.5 ms.
  • each of subframe # 1 and subframe # 6 may be a special subframe.
  • the special subframe may include a 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a guard period (GP), and an uplink pilot time slot (UpPTS).
  •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 GP guard period
  • UpPTS uplink pilot time slot
  • the number and position of each of the downlink subframe, the uplink subframe, and the special subframe included in the radio frame 700 may be changed as necessary.
  • the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for the 10 subframes included in the radio frame 700 may be set based on Table 1.
  • Table 1 “D” may indicate a downlink subframe, "U” may indicate an uplink subframe, and "S” may indicate a special subframe.
  • the downlink pilot time slot may be considered as a downlink period and may be used for cell discovery,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acquisition, etc. of the UE.
  • PDSCH, PDCCH,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reference signal, etc. may be transmitted in a downlink pilot time slot similarly or similarly to a general downlink subframe.
  • the guard period may be used for solving the interference problem of uplink data transmission caused by the downlink data reception delay.
  • the guard period may include a time required for switching from the downlink data reception operation to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operation.
  • the uplink pilot time slot may be considered as an uplink period and may be used for uplink channel estimation,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acquisition, and the like.
  •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etc. may be transmitted in an uplink pilot time slot.
  • each of the downlink pilot time slot, the guard period, and the uplink pilot time slot included in the special subframe may be variably adjusted as necessary.
  • Table 2 may be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for example, a configuration of a downlink pilot time slot and an uplink pilot time slot). In one subframe having a length of 1 ms, a period excluding a downlink pilot time slot and an uplink pilot time slot may be configured as a guard period.
  • T s may be a basic time unit and may be set to 1 / (15000 ms).
  • Table 3 may be a configuration of a special subframe when a general CP is used in both downlink and uplink among the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s of Table 2.
  • the numbers described in the "DwPTS field", the "protection interval field” and the “UpPTS field” may indicate the number of OFDM symbols. For example, if one subframe includes 14 OFDM symbols and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0" is used, the special subframe includes DwPTS including 3 OFDM symbols, including 10 OFDM symbols. It may include a guard interval and an UpPTS including one OFDM symbol.
  •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grid of a slot included in a downlink subframe.
  • l may indicate an OFDM symbol index
  • k may indicate a subcarrier index.
  • the resource block included in the downlink subframe may include 7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may include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 a resource consisting of one OFDM symbol in the time domain and one subcarrier in the frequency domain may be referred to as a "resource element (RE)".
  • resource allocation for one UE may be performed in units of resource blocks, and mapping of reference signals, synchronization signals,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in units of resource elements. .
  •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source grid of a slot included in an uplink subframe.
  • l may indicate a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ymbol index
  • k may indicate a subcarrier index.
  • SC-FDMA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the resource block included in the uplink subframe may include 7 SC-FDMA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may include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 a resource consisting of one SC-FDMA symbol in the time domain and one subcarrier in the frequency domain may be referred to as a "resource element”.
  •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uplink subframe configuration.
  • an uplink subframe may include 14 SC-FDMA symbols.
  • the uplink subframe may include a PUCCH, a PUSCH,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an SRS, and the like.
  • PUCCH, DMRS, SRS, etc. used for demodulation of PUCCH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 edge region of a frequency region of an uplink subframe.
  • the resources for example, the number of resource blocks, the number of SC-FDMA symbols, the location of frequency resources, the location of time resources
  • PUCCH demodul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ystem configuration. Can be.
  • PUSCH, DMRS, SRS, etc. used for demodulation of a PUSCH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resource (eg, a resource block) to which a PUCCH is not allocated among uplink subframes.
  • a DMRS used for demodulation of a PUSCH is configured in a center SC-FDMA symbol (for example, SC-FDMA symbol # 3 in slot # 0 and SC-FDMA symbol # 3 in slot # 1) among each slot. Can be.
  • the SRS may be configured in the last SC-FDMA symbol (eg, SC-FDMA symbol # 6 in slot # 1) of the subframe. If no SRS is configured in SC-FDMA symbol # 6 of slot # 1, PUCCH and PUSCH may be transmitted through SC-FDMA symbol # 6 of slot # 1.
  • downlink communication and up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frequency band regardless of the subframe number.
  • down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radio frame (eg, subframes # 0 to # 9) in a downlink frequency band (eg, frequency band # 1), and an uplink frequency band (
  • up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radio frame (eg, subframes # 0 to # 9) in the frequency band # 2.
  • up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n uplink subframe according to an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and "upward".
  • Down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downlink subframe according to the link-downlink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0" of Table 1 is used, down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subframes # 0 and # 5, and subframes # 2-4 and # 7-9. Uplink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 uplink subframes and downlink subframes may be variably configur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an unlicensed band.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 variable subframe.
  • the base station may be the base station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LAA, eLAA, etc.) defined in the 3GPP standard, and may operate in an unlicensed band and a licensed band.
  •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mmunication node 500 shown in FIG.
  • the base station may check the channel (eg, unlicensed band) state by performing a channel access procedure (eg, an LBT procedure) (S1100).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select a backoff value within the contention window and check the channel state during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ckoff value. Alternatively, the base station may check the channel state for a preset period (for example, 25 ms or (25 + TA (timing advance))).
  • a channel access procedure eg, an LBT procedure
  • the base station may select a backoff value within the contention window and check the channel state during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ackoff value.
  • the base station may check the channel state for a preset period (for example, 25 ms or (25 + TA (timing advance))).
  • the base station may set a radio fram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uplink subframe, a downlink subframe, and a special subframe (S1110).
  • the length of the radio frame may be set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length.
  • the preset maximum length may be 10 ms.
  • the number of each of the uplink subframe, the downlink subframe, and the special subframe may be variably set in the radio frame.
  • the radio frame set by the base station in the unlicensed band may be as follows.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adio frame in an unlicensed band.
  • the base station since a channel state is busy in a section of an unlicensed band corresponding to subframes # 0 through # 2 in a radio frame # 0 of a licensed band, the base station performs a radio frame after the section of the unlicensed band in a busy state. Can be set.
  • the base station may set a radio frame including 10 subframes or less.
  • a radio frame may include five downlink subframes, one special subframe, and four uplink subframes.
  • the base sta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the set radio frame (S1120).
  • the base station may perform downlink communication through the downlink subframe of the unlicensed band and uplink communication through the uplink subframe of the unlicensed band.
  • the uplink subframe may be a PUSCH.
  •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an uplink grant may be a PUSCH.
  • the uplink grant may be classified into a single uplink grant and multiple uplink grants.
  • a single uplink grant may be an uplink grant that schedules one uplink subframe (eg, PUSCH).
  • the multi-uplink grant may be an uplink grant that schedules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eg, PUSCH).
  • Scheduling methods based on a single uplink grant may be as follows.
  •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cheduled sub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base station may be the base station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LAA, eLAA, etc.) defined in the 3GPP standard, and may operate in an unlicensed band and a licensed band.
  •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mmunication node 500 shown in FIG.
  • the base station may set a single uplink grant (S1300). For example, when a message for requesting scheduling of uplink transmiss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set a single uplink grant.
  • the single uplink gr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arameters described in Table 4.
  • a single uplink grant may further include necessary parameters as well as the parameters described in Table 4.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including a single uplink grant (S1310).
  • DCI may be transmitted through at least one of a PDCCH and an enhanced PDCCH (EPDCCH).
  • the DCI including the single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subframe #n, and the single uplink grant may schedule subframe # (n + l) transmission.
  • n may be an integer of 0 or more.
  • l may be preset i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l to the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 l may be an integer of 4 or more.
  • a single uplink grant transmitted on subframe # 0 may schedule transmission of subframe # 4
  • a single uplink grant transmitted on subframe # 1 may schedule transmission of subframe # 5.
  • the UE may acquire the DCI by monitoring (or detecting) the PDCCH and the EPDCCH, and may identify a single uplink grant included in the DCI (S1320).
  • the UE may confirm that subframe # (n + l) transmission is scheduled based on parameters included in a single uplink grant, and the subframe # (n + l) based on parameters included in a single uplink grant. ) Can be set.
  •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subframe # (n + l) to the base station (S1330). For example, the UE may transmit a subframe # 4 scheduled by a single uplink grant received through subframe # 0 to the base station, and the sub schedule scheduled by a single uplink grant received through subframe # 1.
  • Frame # 5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subframe # (n + l)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parameters included in a single uplink grant (for example, a single uplink grant transmitted through the subframe # 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subframe # 4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parameters included in the single uplink grant transmitted through subframe # 0, and the single uplink grant transmitted through subframe # 1. Subframe # 5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parameters included in the.
  •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grant according to the preset interval is performed in a one-to-one manner. And match.
  • self carrier scheduling transmission of uplink grants and uplinks on the same carrier (ie, same carrier in a TDD communication network) or on a paired carrier (ie, carrier pair in an FDD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ssion of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grant may be performed.
  • a carrier on which an uplink grant is transmitted may be different from a carrier on which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uplink grant is transmitted.
  • a cross carrier scheduling scheme may be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grant may be matched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subframe in a one-to-one manner.
  • transmission of an uplink grant may be matched with transmission of an uplink subframe in a one-to-one manner. Can be.
  • variable uplink-downlink subframe configuration may be difficult.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n a subframe burst (or radio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frames, use of the conventional uplink scheduling method may be limited. .
  • scheduling methods based on multiple uplink grants will be described.
  • the following scheduling methods may be performed based on a self-carrier scheduling scheme or a cross-carrier scheduling scheme.
  •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cheduled sub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a radio frame may include ten subframes in an unlicensed band.
  • a radio frame may include six uplink subframes, three downlink subframes, and one special subframe.
  • the base station may generate a multi uplink grant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multi uplink grant through subframe # 0.
  • the first uplink subframe on a time domain basis may be referred to as a "start uplink subframe”.
  • uplink subframe # 4 may be a starting uplink subframe.
  • the last uplink subframe on a time domain basis may be referred to as an "end uplink subframe”.
  •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an ending uplink subframe.
  •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classified into "multi uplink grant type 1" and "multi uplink grant type 2".
  • a multi uplink grant may be configured for scheduling each of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 multi-uplink grant A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 # 4 may be configured
  • multi-uplink grant B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 # 5 may be configured
  • uplink subframe # 6 may be configured to schedule a.
  • each of the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may be included in different DCIs.
  • the multi uplink grant A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DCI
  • the multi uplink grant B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DCI
  • the multi uplink grant C may be included in the third DCI.
  • each of the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may be scrambled based on the same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subframe # 0.
  •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 a multi uplink grant for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may be configured.
  •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one common field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fields.
  • the multi uplink grant includes a common field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a separate field A for uplink subframe # 4, a separate field B for uplink subframe # 5, and an uplink subframe. It may include a separate field C for frame # 6.
  • the common field may include at least one parameter commonly used in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 the common field may include resource block allocation information, MCS, TPC command, etc.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 the separate field may be configur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and may include different parameters us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A, B, and C may include a HARQ process, an RV, an NDI, and the like.
  • a scheduling metho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ubframe structure (eg, the subframe structure shown in FIG. 15) may be as follows.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base station may be the base station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th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LAA, eLAA, etc.) defined in the 3GPP standard, and may operate in an unlicensed band and a licensed band.
  •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mmunication node 500 shown in FIG.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user equipment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that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i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S1600). Since scheduling of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the multiple uplink grants may be necessary in a specific situation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step S1600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have.
  •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 the base station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multi uplink grant (eg, type 1 or type 2), the maximum number of uplink subframes that may be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and the like. Signaling) to inform the terminal.
  • the maximum number of uplink subframes that may be scheduled by multiple uplink grants may be referred to as "M SF.
  • M SF may be an integer of 0 or more. For example, M SF may be four.
  • the UE may confirm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that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is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 the terminal may activate a reception function of a multi uplink grant for scheduli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 the UE may check the type (eg, type 1 or type 2), M SF, etc. of the multi-uplink grant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 the terminal may transmit a message for requesting scheduling of uplink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S1610).
  • the message requesting scheduling of uplink transmission may include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supports the use of the multi-uplink grant, a type of the multi-uplink grant, and the like.
  • the base station may set uplink grant (S1620).
  • the base station may configure a multi uplink grant for scheduli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 the base station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multi uplink grant.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multi-uplink grant based on the request of the terminal.
  •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ple uplink grant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M SF .
  • the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ple uplink grants may be consecutive uplink subframes in the time domain. For example, consecutive uplink subframes # 2 to # 7 shown in FIG. 15 may be scheduled by multiple uplink grants.
  • the multi-uplink grant may include at least one parameter described in Table 4 and Table 5.
  • the multi-uplink grant may further include necessary parameters as well as the parameters described in Tables 4 and 5.
  • multi-uplink grant A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 # 4 may be configured, and the multi-uplink grant A may be configured at least in Tables 4 and 5. It may include one parameter.
  • a multi uplink grant B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 # 5 may be configured, and the multi uplink grant B may include at least one parameter described in Tables 4 and 5.
  • a multi uplink grant C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 # 6 may be configured, and the multi uplink grant C may include at least one parameter described in Tables 4 and 5.
  • a multi-uplink grant including one common field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fields may be configured.
  • the common field may include at least one parameter commonly used in uplink subframes # 4 to # 7 among the parameters described in Tables 4 and 5.
  •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may include different parameters used for each of uplink subframes # 4 to # 7 among the parameters described in Tables 4 and 5.
  • Individual field A for uplink subframe # 4 may be configured, individual field B for uplink subframe # 5 may be configured, and individual field C for uplink subframe # 6 may be configured. .
  • At least one of HARQ process number, RV, NDI, k, i, length information, channel access procedure, and SRS index among the parameters described in Table 4 and Table 5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A, B, and C. have.
  • the remaining parameters eg, MCS, resource block allocation information, TPC command, etc.
  • the types of parameters included in the common field and the individual fields of the multi-uplink gra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set.
  • multi uplink grant type 1 or “multi uplink grant type 2” is used, embodiments of the multi uplink grant will be described.
  • the HARQ process number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5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B
  • the uplink subframe # HARQ process number of 6 may b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C.
  • the terminal may check the HARQ process numbers of the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the multi uplink grants A, B, and C, respectively.
  • HARQ process numbers of starting uplink subframes (eg, uplink subframe # 4)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 uplink grant A.
  • HARQ process numbers of the remaining uplink subframes (eg, uplink subframes # 5 and # 6) may not be transmitted through corresponding uplink grants (eg, multiple uplink grants B and C). You may not.
  • the UE may check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based on the multi-uplink grant A, and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for example, the uplink subframe # 4).
  • HARQ process numbers of the remaining uplink subframes (eg, uplink subframes # 5 and # 6) can be inferred.
  •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5 is May be inferred to be (x + 1), and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uplink subframe # 6 may be inferred to be (x + 2).
  • the terminal can infer the HARQ processor number using i described in Table 5. If the maximum value of the HARQ process number is y, the UE can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using "x mod y" and uplink using "(x + 1) mod y".
  • HARQ process number of subframe # 5 may be determined, and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6 may be determined using "(x + 2) mod y".
  • y may be preset i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y to the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 y may be 16.
  • the actual value of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among the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is determined through the multi uplink grant A.
  • the offset for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hereinafter referred to as “H 0ff ”)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ulti uplink grant (eg For example, 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multiple uplink grants B and C).
  • the UE uses the HARQ process number and H 0ff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and uses the remaining uplink.
  • HARQ process numbers of link subframes eg, uplink subframes # 5 and # 6) can be inferred.
  •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5 may be inferred to be (x + 1). have. If the HARQ subframe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is x and H 0ff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C is 2,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inferred to be (x + 2). have.
  • the UE can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using "x mod y", "(x + H 0ff (ie, 1)) mod y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5, and" (x + H 0ff (ie, 2)) mod y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6. You can decide.
  • the HARQ process number may be included in separate fields of the multi uplink grant.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an individual field A of the multi uplink grant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5 may be included in an individual field B of the multi uplink grant.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an individual field C of the multi uplink grant.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check the HARQ process number of each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A, B, and C.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of the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an individual field A (or an uplink grant).
  • the common field), and HARQ process numbers of the remaining uplink subframes (eg, uplink subframes # 5 and # 6) may be assigned to corresponding individual fields (eg, individual fields B and C). May not be sent via).
  • the UE uses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and then uses the remaining uplink subframes. (Eg, uplink subframes # 5 and # 6) can be inferred HARQ process numbers.
  • the uplink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link subframe # 5 may be inferred to be (x + 1), and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inferred to be (x + 2).
  • the UE can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using "x mod y", and using "(x + 1) mod y"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5 may be determined, and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6 may be determined using "(x + 2) mod y".
  • the actual value of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among the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is an individual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or common field), and the offset H 0ff for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i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ield (eg , May be transmitted through separate fields A and B and C).
  • the UE uses the HARQ process number and H 0ff of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 4)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and uses the remaining uplink. It is possible to infer link subframes (eg, HARQ process numbers of uplink subframes # 5 and # 6).
  • link subframes eg, HARQ process numbers of uplink subframes # 5 and # 6
  •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5 may be inferred to be (x + 1). If the HARQ subframe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is x and H 0ff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C is 2, the HARQ processor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inferred to be (x + 2).
  • the UE can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using "x mod y", "(x + H 0ff (ie, 1)) mod y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5, and" (x + H 0ff (ie, 2)) mod y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6. You can decide.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terminal of the HARQ process number, and the terminal may check the HARQ process number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RV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RV may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Accordingly, the UE can check the RVs of each of the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each of the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the RV When “multi uplink grant type 2" is used, the RV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r a separate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In FIG. 15, when the same RV is used in uplink subframes # 4 to # 6, the corresponding RV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the multi-uplink grant. Accordingly, the UE may check the RVs for the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the common field. Alternatively, when different RVs are used in each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the RV for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field A, and the RV for uplink subframe # 5 is individual It may be included in field B, and the RV for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an individual field C. Accordingly, the UE may check the RVs of the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the respective fields A, B, and C, respectively.
  • the RV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NDI.
  • the RV may not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order of change of the RV may be predefined, the RV may be set according to the predefined change order when the NDI is "0", and when the NDI is "1", the RV is an initial value (eg For example, it may be set to "0".
  • the preset change order is “0 ⁇ 2 ⁇ 1”
  • the RV of the corresponding uplink subframe is set to 2. If multiple uplink grants (or individual fields) including an NDI set to "0” are received twice, the RV of the corresponding uplink subframe may be set to "1".
  • the UE When the "multi uplink grant type 1" is used, the UE initializes the RV of the uplink subframe # 4 when the multi uplink grant A includes the NDI set to "1" (for example, "0").
  • the multi-uplink grant B includes the NDI set to "0”
  • the RV of the uplink subframe # 5 can be set to "2”
  • the multi-uplink grant C is "0".
  • the RV of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set to “2”.
  • the UE When the "multi uplink grant type 2" is used, the UE initializes the RV of the uplink subframe # 4 when the individual field A includes the NDI set to "1" (for example, "0"). RV of uplink subframe # 5 may be set to "2" when the individual field B includes an NDI set to "0", and the individual field C includes an NDI set to "0". In this case, the RV of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set to "2".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terminal of the RV, and the terminal may check the RV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N SF may indicate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ple uplink grant.
  • N SF may be set to M SF or less.
  • N SF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N SF may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the N SF may be included only in the multi uplink grant A.
  • N SF may not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N SF may be preset i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 N SF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 N SF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a multi uplink grant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s # 4 to # 6.
  •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inferred based on the HARQ process number and the NDI instead of the N SF .
  • N SF may not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multiple uplink grants may be inferred based on a valid HARQ process number.
  •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4 is x
  •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5 is (x + 1)
  • the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6 is (x + 2).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7 is x
  •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4 may be the same as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7. That is, when M SF is 4 and N SF is 3,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a field indicating a HARQ process number of uplink subframe # 7.
  •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HARQ process number of the uplink subframe # 7 to the HARQ process number of one uplink subframe among the previous uplink subframes # 4 to # 6 (for example, x, (x + 1) or (x + 2)).
  • the UE uses the first uplink subframe based on a time domain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having the same HARQ process numb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the UE may determine the uplink subframe # 4 before the uplink subframe # 7 as a valid uplink subframe. The UE may determine that uplink subframes # 4 to # 6 are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and determine that uplink subframes # 7 are not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In this case, since the valid uplink subframes determined based on the HARQ process number are uplink subframes # 4 to # 6, the UE may determine that the multi uplink grant schedules three uplink subframes.
  •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inferred based on the HARQ process number and the NDI. That is, to infer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ple uplink grant, NDI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 the UE may identify NDI of at least one uplink subframe except for the first uplink subframe based on a time domain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having the same HARQ process number.
  • the UE may determine that an uplink subframe including an NDI set to "0" is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and an uplink subframe including an NDI set to "1" may be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not scheduled. For example, when the NDI for the uplink subframe # 7 is set to "0", the UE may determine that the uplink subframe # 7 i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 the UE may determine that the multi uplink grant schedules 4 uplink subframes.
  • the UE may determine that the uplink subframe # 7 is not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multi uplink grant schedules three uplink subframes.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the terminal of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and the terminal may be informed by the multi-uplink gra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 the number of scheduled uplink subframes can be checked.
  • l indicates an interval between a transmission time of a multi uplink grant and a transmission time of a first uplink subframe (eg, a starting uplink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can do.
  • l may be an integer of 0 or more.
  • l may be set to four.
  • 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 in step S1600.
  • l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l may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l is a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link grant). It can b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A for the frame # 4).
  • multi uplink grant type 2 is used, l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 l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multi UL grants for UL subframes # 4 to # 6.
  • uplink subframes # (n + l) to # (n + l + (N SF ⁇ 1)) transmissions may be generally scheduled by the multiple uplink grants transmitted through subframe #n.
  • uplink subframe # (n + l) transmission may not be scheduled due to a multi uplink grant transmitted through subframe #n. For example, scheduling of a start uplink subframe by a multi uplink grant may be delayed by k.
  • k may indicate a scheduling delay offset. If the multi uplink grant is transmitted on subframe #n, k is the actual starting uplink subframe (e.g., subframe # (n) scheduled by subframe # (n + l) and the multi uplink grant). + l + k)). That is, k may be a scheduling delay offset from subframe # (n + 1). k may be an integer of 0 or more. The maximum value of k can be limited. For example, the maximum value of k may be 8 or 16.
  • k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k may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k is a starting uplink subframe (eg, uplink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It can b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A for the frame # 4).
  • k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In FIG. 15, k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 an application time point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dynamically set.
  •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scheduled sub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 a radio frame may include 10 subframes.
  • a radio frame may include six uplink subframes, three downlink subframes, and one special subframe.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multiple uplink grants through subframe # 0 to schedule uplink transmission of subframes # 5 and # 6.
  • P (that is, l + k) may indicate an interval between a starting uplink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a multilink grant and a subframe in which the multi uplink grant is transmitted.
  • i may indicate the index of each of the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link grant.
  • i for the first uplink subframe (eg,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among the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ple uplink grant may be set to "0”
  • the second I for the uplink subframe may be set to "1”
  • i for the last uplink subframe may be set to "N SF -1".
  • i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i may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the multi uplink grant A may include i set to "0”
  • the multi uplink grant B may include i set to "0”
  • the multi uplink grant C to "0”. It may include a set i.
  • i may not be included in each of the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estimate i according to the subframe order.
  • i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 i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A, B, and C of the multi uplink grant.
  • individual field A may include i set to "0”
  • individual field B may include i set to "1”
  • individual field C may include i set to "2”. have.
  • the base station may indicate a subframe number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or a common field or an individual field) using l, k, and i, and the terminal may use multi-uplink using l, k, and i.
  • a subframe number scheduled by a link grant (or a common field or an individual field) may be identified.
  • multi-uplink grant type 1 is used in FIG. 15, multi-uplink grant A is set to k set to "0" and i set to "0" (or l set to "4", set to "0").
  • the multi uplink grant B may be set to "1" k and i set to “0” (or l set to "4", k set to “1") And i) set to “0”, wherein the multi-uplink grant C includes k set to “2” and i set to “0” (or l set to “4”, k set to “2” and I) set to "0".
  • the UE can confirm that uplink subframe # 4 is scheduled by the multi-link grant A, and uplink subframe # 5 is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B. It can be seen that the uplink subframe # 6 i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C.
  • the common field may include k set to "0" (or l set to "4" and k set to "0"), and individual fields.
  • A may include i set to "0”
  • individual field B may include i set to "1”
  • individual field C may include i set to "2”.
  • the UE may confirm that uplink subframe # 4 is scheduled by the common field and the individual field A based on l, k, and i, and the uplink subframe # 5 is determined by the common field and the individual field 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cheduling is perform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plink subframe # 6 is scheduled by the common field and the individual field C.
  •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A, B, and C may not include i.
  • the UE can estimate i according to the subframe order, and can identify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based on l, k and the estimated i.
  • the subframe # (n + l + k + i) may be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If the radio frame includes 10 subframes, the UE may identify the subframe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based on "n + l + k + i mod 10".
  • the base station may inform l, k and i to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s a subframe number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based on l, k and i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You can check.
  • the length of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may be variably set.
  • the length of an uplink subframe may be variably set to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 the length information includes a start position of a start uplink subframe and an end position of an end uplink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and a plurality of uplinks. I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each of the subframes.
  •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uplink subframe indicating at least one of the start position of the start uplink subframe and the end position of the end uplink subframe among the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is “length type”. 1 "may be referred to. Length information of an uplink subframe indicating at least one of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referred to as “length type 2”.
  • the start position of the start uplink subframe indicated by “length type 1” may be as follows.
  •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 downlink subframe
  • FIG.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FIG. 20 is a diagram of an uplink subframe
  • FIG. 2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 FIG. 2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tart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the starting uplink subfram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uplink subframe shown in FIG. 10.
  • the start position of “length type 1” may indicate symbol # 0 of slot # 0.
  • the terminal may set uplink subframe 1800 including symbol # 0 of slot # 0 to symbol # 6 of slot # 1.
  • a start position of “length type 1” may indicate a specific time point (for example, 25 ms) from symbol # 0 of slot # 0.
  • the terminal may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1900 including symbols # 6 of slot # 1 from a specific time point (for example, 25 ms) among symbols # 0 of slot # 0.
  • the start position of “length type 1” may indicate a specific time point (for example, (25 + TA) ′) from symbol # 0 of slot # 0.
  • the UE may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2000 including up to symbol # 6 of slot # 1 from a specific time point (for example, (25 + TA) ') from symbol # 0 of slot # 0.
  • the TA may indicate a timing advance or another value.
  • a start position of “length type 1” may indicate symbol # 1 of slot # 0.
  • the terminal may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2100 including symbols # 1 of slot # 0 to symbols # 6 of slot # 1.
  • Length type 1 indicating a start position of a start uplink subframe may be set based on Table 6 below.
  • the end position of the end uplink subframe indicated by the “length type 1” may be as follows.
  • 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n end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FIG. 2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end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 the ending uplink subfram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uplink subframe illustrated in FIG. 10.
  • an end position of “length type 1” may indicate symbol # 6 of slot # 1.
  • the UE may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2200 including symbols # 0 of slot # 0 to symbols # 6 of slot # 1.
  • an end position of “length type 1” may indicate symbol # 5 of slot # 1.
  • the terminal may set uplink subframe 2300 including symbol # 0 of slot # 0 to symbol # 5 of slot # 1.
  • the “length type 1” indicating the end position of the end uplink subframe may be expressed as shown in Table 7 below.
  • Length type 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art position field and an end position field.
  • the start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may be set based on Table 6, and the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may be set based on Table 7.
  • the start position of the uplink subframe indicated by “length type 2”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tart position of the uplink subframe shown in FIGS. 18 to 21.
  • a “length type 2” indicating a start position of an uplink subframe may be set based on Table 6.
  • FIG. The end position of the uplink subframe indicated by “length type 2”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nd position of the uplink subframe shown in FIGS. 22 and 23.
  • “Length type 2” indicating the end position of the uplink subframe may be set based on Table 7.
  • “Length type 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art position field and an end position field.
  • the start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may be set based on Table 6, and the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may be set based on Table 7.
  •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length type 1" for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
  • “length type 1” may be included in each of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 the UE may configure the uplink subframe # 4 based on the start position indicated by the “length type 1”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and the uplink subframe including 14 SC-FDMA symbols.
  • # 5 may be set and an uplink subframe # 6 may be set based on an end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1"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C.
  • the "length type 1" may be included only in the multi uplink grant A.
  • the terminal may set uplink subframe # 6 based on the end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1"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A.
  • FIG. Here, when the start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indicates symbol # 0 of slot # 0, the corresponding start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the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indicates the symbol # 6 of the slot # 1, the corresponding end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length type 2" for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
  • “Length Type 2” may be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multiple uplink grants.
  •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multi uplink grant A
  •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5 may be included in multi uplink grant B
  •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C.
  • the terminal may set uplink subframe # 4 based on at least one of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2”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and may be set to the multi uplink grant B.
  • the uplink subframe # 5 may be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indicated by the included "length type 2", and may be indicated by the "length type 2"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C.
  •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configu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 the start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indicates symbol # 0 of slot # 0
  • the corresponding start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the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indicates the symbol # 6 of the slot # 1
  • the corresponding end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the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includes "length type 1" for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can do.
  • “length type 1”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multi- UL grants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s # 4 to # 6.
  • the UE may configure uplink subframe # 4 based on the start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1" included in the common field of the multi-uplink grant, and includes an uplink including 14 SC-FDMA symbols.
  • the link subframe # 5 may be configured, and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end position indicated by the "length type 1" included in the common field of the multi-uplink grant.
  • start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indicates symbol # 0 of slot # 0
  • corresponding start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indicates the symbol # 6 of the slot # 1
  • the corresponding end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At least one of common fields and individual fields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length type 2".
  • the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length type 2".
  • common fields of the multi-uplink gran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and an individual field A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 # 4, and multiple uplinks
  • the individual field B of the gran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 # 5
  • the individual field C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 # 6.
  • the common field of the multi-uplink gran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and an individual field A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 # 4, and multiple uplinks
  • the individual field B of the gran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 # 5
  • the individual field C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field for uplink subframe # 6.
  • the start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indicates symbol # 0 of slot # 0
  • the corresponding start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the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indicates the symbol # 6 of the slot # 1
  • the corresponding end position field may be omitted.
  • the common field of the multi uplink grant may include “length type 1”, and the individual fields may be “length type”. 2 ".
  • the common field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may include a starting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and an individual field A may be of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4.
  • An end position field, individual field B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5, and an individual field C may be "length” for uplink subframe # 6 It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of type 2 ".
  • the terminal may set uplink subframe # 4 including an area formed by a start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1" and an end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2" of the individual field A.
  • Uplink subframe # 5 including a region formed by the symbol # 0 of slot # 0 and the end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2" of the individual field B, and symbol # 0 of slot # 0
  • uplink subframe # 6 including a region formed by an end position indicated by " length type 2 " of the individual field C can be set.
  • the common field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may include an end position field of "length type 1", and the individual field A may start of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4. May include a location field, and individual field B may include a starting location field of "length type 2" for uplink subframe # 5, and an individual field C for "length type for uplink subframe # 6". It may include a starting position field of 2 ".
  • the UE may configure uplink subframe # 4 including a start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2" of the individual field A and an area formed by symbol # 6 of slot # 1, and individual field B
  • Uplink subframe # 5 including a start position indicated by " length type 2 " and an area formed by symbol # 6 of slot # 1 can be set, and by " length type 2 "
  • the uplink subframe # 6 including the region formed by the indicated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indicated by "length type 1" of the common field may be set.
  • the base station can inform the terminal of length information of the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and the terminal can inform the multi-uplink gra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Length information of the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UE may be checked.
  • the terminal may check the channel (or slot) state by performing a channel access procedure before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may be an LBT procedure.
  •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 the terminal cannot transmit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the multi-uplink grant.
  • the channel access information includes an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access indicator"), a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example, type 1 and type 2), and a time point of performing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 connection indicator may be classified into “connection indicator type 1" and "connection indicator type 2".
  • the access indicator type 1 may indicate whether to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a start uplink subframe.
  • the “connection indicator type 2” may indicate whether to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each uplink subframe.
  • “access indicator type 1”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multi uplink grants A, B, and C. Since the same “access indicator type 1" is configured in the uplink subframes # 4 to # 6, the “access indicator type 1" may be included only in the multi-link grant A.
  • the "access indicator type 2" for the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and the uplink sub The “access indicator type 2” for the frame # 5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B, and the “access indicator type 2” for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C.
  •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access indicator type 2"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A.
  • access indicator type 2 for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field A and uplink subframe # "Access indicator type 2" for 5 may be included in an individual field B, and "access indicator type 2" for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an individual field C.
  • “access indicator type 2” is configured in uplink subframes # 4 to # 6, "access indicator type 2" may be included in the common field.
  • the channel access related information may not include an access indicator.
  • the access indicator may be inferred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uplink subframe.
  • the channel connection related information may not include a connection indicator. For example, when a start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length type 1” and “length type 2” indicates “00” in Table 6,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a channel access procedure is not performed. When the start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ngth type 1” and the “length type 2” indicates one of “01”, “10” and “11” in Table 6,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have.
  •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not performed.
  •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 Types of channel access procedures can be classified into type 1 and type 2.
  • the UE may select a backoff value in the contention window and perform uplink subframes when the channel state is idle during a d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off value.
  •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uplink subframe when the channel state is an idle state during th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backoff value + the defer duration”.
  • the contention window may be determined based on channel connection priority.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rmine a contention window based on Table 8 below, and select a backoff value within the selected contention window.
  • CW min may indicate the minimum value of the contention window at the corresponding channel access priority
  • CW max may indicate the maximum value of the contention window at the corresponding channel access priority.
  • the terminal may check the channel state for a specific period (for example, 25 ms), and may transmit an uplink subframe when the channel state is an idle state.
  • the terminal may check the channel state during the "specific period + additional period", and may transmit an uplink subframe when the channel state is an idle state.
  • a type (eg, type 1 or type 2) of a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 the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uplink subframe # 5 (eg, type 1 or type 2) may b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B, and the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For example, type 1 or type 2) may be included in a multi uplink grant C.
  • the typ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the same in uplink subframes # 4 to # 6, the typ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example, type 1 or type 2) may be included only in the multi-uplink grant A.
  • the terminal performs a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transmission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the type (eg, type 1 or type 2)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can do.
  • the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example, type 1 or type 2). )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multi-uplink grants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s # 4 to # 6.
  • the typ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the uplink subframe # 4. (Eg, type 1 or type 2) may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A, and the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eg, type 1 or type 2) for uplink subframe # 5 may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B.
  • a type (eg, type 1 or type 2) of a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field C.
  • the type of channel access procedure may be inferred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uplink subframe.
  • the channel connection related information may not include the type of the channel connection procedure.
  •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channel access procedure type 2" is used. can do.
  •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channel access procedure type 1” is used.
  •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channel access procedure type 1” is used.
  •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channel access procedure type 1” is used.
  •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may be set based on Table 9 below.
  • the current uplink subframe may be an uplink subframe scheduled by multiple uplink grants (or individual fields).
  •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 # 4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 and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 # 5.
  • the execution time of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B,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 the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C.
  •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may be included only in the multi-uplink grant A.
  • the terminal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s # 4 to # 6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A.
  •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the multi-uplink grant. Can be.
  •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 # 4 is a separate field. It may be included in A, the timing of performing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 # 5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field B, and the timing of performing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n uplink subframe # 6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field C.
  • the execution tim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may be inferred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uplink subframe.
  • the channel connection related information may not include a time point of performing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 the terminal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on the start uplink subfra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ymbol # 0 of the slot # 0.
  • the UE may perform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on the slot # 0 of the current uplink subframe. The symbol # 0 may be determined.
  • the base station can inform the terminal of channel access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can check channel acc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 the SRS index may indicate at least one uplink subframe in which the SRS is transmitted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the multi uplink grant.
  • the SRS index may be set based on a first uplink subframe (eg, a starting uplink subframe) among a plurality of uplink subframes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 the SRS indexes for the uplink subframes # 4 to # 6 shown in FIG. 15 may be set based on Table 10 below.
  • the UE may transmit the SRS through uplink subframes # 4 to # 6, respectively. Or, if the SRS index includes only "01", the UE may transmit the SRS through the uplink subframe # 5, and may not transmit the SRS through the uplink subframes # 4 and # 6.
  • the SRS request and the SRS index may be configured as one fie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SRS field") in a multi uplink grant.
  • SRS field When SRS transmission is requested in an uplink subframe, the SRS field may be included in a multi uplink grant. If SRS transmission is not requested in an uplink subframe, the SRS field may not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SRS index (or SRS field)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multi-link grants A, B, and C.
  • the SRS index set to "00" may be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A
  • the SRS index set to "01"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B.
  • the SRS index is the multi uplink. It may not be included in the link grant B.
  • the SRS index set to "10" may be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C.
  • the SRS index is the multi uplink. It may not be included in link grant C.
  • an SRS index may be included in a common field of multi uplink grants for scheduling uplink subframes # 4 to # 6.
  • the SRS index (or SRS field) may be included in each of the individual fields of the multi uplink grant. For example, when the SRS is transmitted in the uplink subframe # 4, the SRS index set to "00" may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A. When the SRS is not transmitted in the uplink subframe # 4, the SRS index may be It may not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A. If the SRS is transmitted in uplink subframe # 5, the SRS index set to "01" may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B.
  • the SRS index is assigned to the individual field B. May not be included.
  • the SRS index set to "10" may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C. If the SRS is not transmitted in the uplink subframe # 6, the SRS index may be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eld C. May not be included.
  • the base station can inform the terminal of the SRS index, the terminal can identify the SRS index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 the base station may generate a DCI including a multi uplink grant.
  • Multiple uplink grants may be scrambled based on RNTI.
  • the format of the DCI including the multiple uplink grant may be 0A, 0B, 4A or 4B.
  • a DCI for each of a plurality of multi uplink grants may be generated.
  • a DCI for the multi uplink grant A may be generated
  • a DCI for the multi uplink grant B may be generated
  • a DCI for the multi uplink grant C may be generated.
  • Each of the DCIs (or multiple uplink grants A, B, and C)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same RNTI.
  • one DCI for the common field and the individual fields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may be generated.
  • one DCI including a common field, an individual field A, an individual field B, and an individual field C may be generated.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DCI on the PDCCH / EPDCCH (S1630).
  • the UE may receive the DCI by monitoring (or detecting) the PDCCH / EPDCCH and may acquire a multi-uplink grant from the received DCI (S1640).
  • the terminal may obtain a DCI (ie, multi uplink grant) based on the RNTI.
  • the UE may acquire multi-uplink grants A, B, and C for each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using the same RNTI.
  • the terminal uses the same RNTI to transmit multi uplink grants for uplink subframes # 4 to # 6 (i.e., common fields, individual fields A, B and C). ) Can be obtained.
  •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multi uplink grant when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multi uplink grant is activated.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not perform a reception operation of an existing uplink grant (for example, a single uplink grant).
  • the terminal may perform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S1650).
  • the terminal may confirm that transmission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is scheduled by a multi uplink grant.
  • the terminal may check whether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is performed based on channel access related information or leng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uplink grant.
  • the terminal may check the execution time and type of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based on the channel access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 the terminal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based on the type identified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example, the UE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symbol # 0 of slot # 0 (or symbol # 6 of slot # 1 of uplink subframe # 3) and a channel state. When the idle state, uplink subframes # 4 to # 6 may be transmitted. That is, transmission of uplink subframes # 5 and # 6 may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channel access procedure.
  • the terminal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symbol # 0 of slot # 0 of uplink subframe # 4 (or symbol # 6 of slot # 1 of uplink subframe # 3), and the channel state is idle.
  • uplink subframe # 4 may be transmitted.
  • the UE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symbol # 0 of slot # 0 of UL subframe # 5 (or symbol # 6 of slot # 1 of UL subframe # 4), and the channel state is idle.
  • uplink subframe # 5 may be transmitted.
  • the UE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in symbol # 0 of slot # 0 of uplink subframe # 6 (or symbol # 6 of slot # 1 of uplink subframe # 5), and the channel state is in an idle state.
  • uplink subframe # 6 may be transmitted. That is,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each of uplink subframes # 4 to # 6.
  • the UE may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 the terminal may identify a subframe number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at least one of N SF , l, k and i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UE may determine subframes # 4 to # 6 as uplink subframes.
  • the UE may check the length of an uplink subframe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heck the length of the uplink subframe based on Table 6 and Table 7, and may set the uplink subframe based on the identified length.
  • the terminal may check the subframe number through which the SRS is transmitted based on the SRS index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identify the subframe number through which the SRS is transmitted based on Table 10, and may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based on the identified subframe number.
  • the terminal may perform a channel access procedur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and if the channel state is determined to be an idle state by the channel access procedure,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ulti uplink grant.
  • the configured uplink sub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an uplink subframe from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an uplink subframe based on the multi uplink grant configured in step S1620.
  •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브프레임#n의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본 발명은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사용 대역에 따라 크게 면허 대역(licensed band)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예를 들어,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허 대역의 사용권은 한 사업자(operator)에게 독점적으로 주어지므로,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은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에 비해 더 나은 신뢰성과 통신 품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이 있으며,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기지국 및 UE(user equipment) 각각은 면허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이 있으며, WLAN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및 스테이션(station) 각각은 비면허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모바일 트래픽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을 면허 대역을 통해 처리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면허 대역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면허 대역은 유한하고, 보통 면허 대역은 사업자들 간의 주파수 대역 경매 등을 통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면허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천문학적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면허 대역을 통해 LTE(또는, LTE-A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통해 LTE(또는, LTE-A 등)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WLAN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 등)와의 공존이 필요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공존을 위해,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통신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UE 등)는 LBT(listen before talk) 등에 기초하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통신 노드는 원하는 시점에 신호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즉,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와 다르게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는 원하는 시점에 신호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한적 전송 기회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브프레임#n의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서브프레임#(n+l+k) 내지 #(n+l+k+(NSF-1))을 포함하고,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l은 4 이상의 정수이고,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을 지시하는 상기 k는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SF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이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 요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 가능한 최대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k, 상기 NSF 및 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고, 0, 1, …, (NSF-1) 중에서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된 PUSCH의 시작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PUSCH의 시작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작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MDA 심볼들 중에서 SC-FMDA 심볼#0, 상기 SC-FDMA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 또는 SC-FDMA 심볼#1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종료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료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DMA 심볼들 중에서 마지막 SC-FDMA 심볼 또는 상기 마지막 SC-FDMA 심볼 이전의 SC-FDMA 심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전에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입이 타입 1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경쟁 윈도우 내에서 선택된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쟁 윈도우는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입이 타입 2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미리 설정된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필드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별 필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한 NDI 및 RV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SRS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지시하는 SRS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를 서브프레임#n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서브프레임#(n+l+k) 내지 #(n+l+k+(NSF-1))을 포함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l은 4 이상의 정수이고,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을 지시하는 상기 k는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SF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이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 요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 가능한 최대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k, 상기 NSF 및 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인덱스(index)를 지시할 수 있고, 0, 1, …, (NSF-1) 중에서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된 PUSCH의 시작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PUSCH의 시작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작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MDA 심볼들 중에서 SC-FMDA 심볼#0, 상기 SC-FDMA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 또는 SC-FDMA 심볼#1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종료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료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DMA 심볼들 중에서 마지막 SC-FDMA 심볼 또는 상기 마지막 SC-FDMA 심볼 이전의 SC-FDMA 심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입이 타입 1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경쟁 윈도우 내에서 선택된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쟁 윈도우는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입이 타입 2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미리 설정된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통 필드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별 필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한 NDI 및 RV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SRS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지시하는 SRS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타입 1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타입 2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자원 그리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자원 그리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가변적 서브프레임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10)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LAA(licensed assisted access), eLAA(enhanced LAA) 등)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면허 대역(licensed band)(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120), 제3 기지국(1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110)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30)은 제1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3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20) 및 제3 기지국(130) 각각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 및 제1 기지국(110)에 접속된 UE(user equipment)(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및 제2 기지국(220) 각각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3 기지국(2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2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2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은 제1 기지국(2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240)은 제2 기지국(2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24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230) 및 제4 기지국(24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210), 제1 기지국(210)에 접속된 UE, 제2 기지국(220) 및 제2 기지국(220)에 접속된 UE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20) 및 제3 기지국(330)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 제2 기지국(320) 및 제3 기지국(33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320), 제3 기지국(3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제1 기지국(3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제1 기지국(3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은 제2 기지국(3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33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5 기지국(3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기지국(350)은 제3 기지국(33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기지국(35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340) 및 제5 기지국(35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10), 제1 기지국(310)에 접속된 UE(미도시), 제2 기지국(320), 제2 기지국(320)에 접속된 UE(미도시), 제3 기지국(330) 및 제3 기지국(330)에 접속된 UE(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410),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MIMO(예를 들어, SU-MIMO, MU-MIMO, 대규모 MIMO 등), CoMP,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은 면허 대역(F1)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다른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420), 제3 기지국(43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제1 기지국(4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면허 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제1 기지국(4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면허 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 및 제3 기지국(430) 각각은 제1 기지국(410)이 동작하는 면허 대역(F1)과 다른 면허 대역(F2)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4 기지국(4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은 제2 기지국(4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기지국(430)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제5 기지국(4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기지국(450)은 제3 기지국(43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기지국(450)은 비면허 대역(F3)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몰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440) 및 제5 기지국(450) 각각은 IEEE 802.11 표준에서 규정된 WLAN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기지국(410) 및 제1 기지국(410)에 접속된 UE(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1)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420), 제2 기지국(420)에 접속된 UE(미도시), 제3 기지국(430) 및 제3 기지국(430)에 접속된 UE(미도시) 각각은 면허 대역(F2)과 비면허 대역(F3) 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즉, 기지국, UE 등)는 비면허 대역에서 LBT(listen before talk) 절차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노드는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의 점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이 아이들(idle) 상태로 판단된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노드는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 동작에 따른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동안 비면허 대역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이 비지(busy) 상태로 판단된 경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통신 노드는 CSAT(carrier sensing adaptive transmission) 동작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노드는 미리 설정된 듀티 사이클(duty cycle)에 기초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현재 듀티 사이클이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를 위해 할당된 듀티 사이클인 경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통신 노드는 현재 듀티 사이클이 셀룰러 통신 외의 통신(예를 들어, WLAN 등)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를 위해 할당된 듀티 사이클인 경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듀티 사이클은 비면허 대역에 존재하는 WLAN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수, 비면허 대역의 사용 상태 등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비연속 전송(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에서 최대 전송 기간(maximum transmission duration) 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max COT)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 노드는 최대 전송 기간(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현재 최대 전송 기간(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 신호를 모두 전송하지 못한 경우 다음 최대 전송 기간(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에서 나머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간섭을 가지는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캐리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다른 통신 노드로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전송 파워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노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노드 중에서 기지국은 노드B(NodeB; N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액세스 노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 중에서 UE는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5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0), 저장 장치(5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5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0) 및 저장 장치(5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UE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UE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UE는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의 셀과 면허 대역의 셀 간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이 적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의 셀의 구성(configuration), 추가(add),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signaling)(예를 들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이하, "RRC 메시지"라 함)의 송수신 절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RRC 메시지는 면허 대역의 셀로부터 UE에 전송될 수 있다. RRC 메시지는 비면허 대역의 셀의 운용 및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면허 대역의 셀과 다르게, 비면허 대역의 셀에서 신호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은 최대 전송 구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LBT에 기초하여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다른 통신 노드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에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통해 LTE(또는, LTE-A 등)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전송은 비주기적, 비연속적, 기회주의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기초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LTE(또는, LTE-A 등)를 지원하는 통신 노드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비면허 대역 버스트(burst)"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면허 대역에서 정의된 채널(예를 들어,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 및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들의 연속된 집합은 비면허 대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은 "비면허 대역 전송"으로 지칭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은 하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 상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 하향/상향 비면허 대역 프레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은 "비면허 대역 전송"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비면허 대역 프레임 내에서, "비면허 대역 신호"는 "비면허 대역 전송"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 전에 위치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 신호"는 "비면허 대역 전송"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의 타이밍(timing)(또는, OFDM 심볼(symbol) 타이밍)과 면허 대역에서 서브프레임의 타이밍(또는, OFDM 심볼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대역 신호"는 "비면허 대역 전송"에 기초한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요구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동기 획득, 채널 추정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등을 지원할 수 있다. FDD 방식에 기초한 프레임은 "타입(type) 1 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고, TDD 방식에 기초한 프레임은 "타입 2 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타입 1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라디오(radio) 프레임(6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프레임(600)은 20개의 슬롯들(예를 들어, 슬롯 #0, 슬롯 #1, 슬롯 #2, 슬롯 #3, …, 슬롯 #18, 슬롯 #19)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600) 길이(Tf)는 10ms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슬롯 길이(Tslot)는 0.5ms일 수 있다. 여기서, Ts는 1/30,720,000s일 수 있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는 일반(normal) CP 및 확장(extended) CP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면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확장 CP가 사용되면 슬롯은 6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서브프레임은 12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타입 2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라디오 프레임(700)은 2개의 하프(half)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프레임(7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 길이(Tf)는 10ms일 수 있다. 하프 프레임의 길이는 5ms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여기서, Ts는 1/30,720,000s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special)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 길이(Tslot)는 0.5ms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에 포함된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6 각각은 특별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특별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 구간(guard period; GP)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uplink pilot time slot; UpPTS)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 서브프레임 각각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700)에 포함된 10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표 1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고,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고, "S"는 특별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1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은 하향링크 구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UE의 셀 탐색, 시간 및 주파수 동기 획득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에서 PDSCH, PDCCH,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참조 신호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보호 구간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간섭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구간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동작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으로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은 상향링크 구간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채널 추정, 시간 및 주파수 동기 획득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에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될 수 있다.
특별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보호 구간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각각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표 2는 특별 서브프레임의 구성(예를 들어,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의 구성)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1ms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 및 상향링크 파일럿 시간 슬롯을 제외한 구간은 보호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 2에서 Ts는 기본 시간 단위일 수 있으며, 1/(15000홰)초로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2
표 3은 표 2의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 중에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 모두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의 구성일 수 있다. 표 3에서 "DwPTS 필드", "보호 구간 필드" 및 "UpPTS 필드"에 기재된 숫자는 OFDM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하고,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 0"이 사용되는 경우, 해당 특별 서브프레임은 3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DwPTS, 10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보호 구간 및 1개 OFDM 심볼을 포함하는 UpPTS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3
도 8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자원 그리드(grid)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은 OFDM 심볼 인덱스(index)를 지시할 수 있고,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I000001
는 하향링크에서 자원 블록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I000002
는 하향링크의 슬롯(또는, 자원 블록)에서 OFDM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I000003
는 자원 블록에서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개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12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자원은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UE에 대한 자원 할당은 자원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고, 참조 신호, 동기 신호 등에 대한 매핑(mapping)은 자원 엘리먼트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자원 그리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l은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고,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I000004
는 상향링크에서 자원 블록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I000005
는 상향링크의 슬롯(또는, 자원 블록)에서 SC-FDMA 심볼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I000006
는 자원 블록에서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영역에서 12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SC-FDMA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는 자원은 "자원 엘리먼트"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14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UCCH, PUS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주파수 영역 중 가장자리(edge) 영역을 통해 PUCCH, PUC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 SRS 등이 전송될 수 있다. PUCCH, PUC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 및 SRS가 할당되는 자원(예를 들어, 자원 블록의 개수, SC-FDMA 심볼의 개수, 주파수 자원의 위치, 시간 자원의 위치)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PUCCH가 할당되지 않는 자원(예를 들어, 자원 블록)을 통해 PUSCH, PU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 SRS 등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슬롯 중에서 가운데 SC-FDMA 심볼(예를 들어, 슬롯#0의 SC-FDMA 심볼#3, 슬롯#1의 SC-FDMA 심볼#3)에 PU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가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예를 들어, 슬롯#1의 SC-FDMA 심볼#6)에 SRS가 구성될 수 있다. 슬롯#1의 SC-FDMA 심볼#6에 SRS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 슬롯#1의 SC-FDMA 심볼#6을 통해 PUCCH 및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면허 대역의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되는 프레임(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서브프레임)이 설명될 것이다.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FDD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타입 1 프레임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브프레임 번호에 관계없이 주파수 대역에 따라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1)에서 라디오 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통해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고,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2)에서 라디오 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통해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TDD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타입 2 프레임 기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고,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따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이 사용되는 경우, 서브프레임#0 및 #5를 통해 하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2-4 및 #7-9를 통해 상향링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비면허 대역은 여러 사용자들 의해 공유될 수 있으므로, 표 1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기초한 고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고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사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레임은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가변적 서브프레임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및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통신 노드(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LBT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채널(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100). 예를 들어, 기지국은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25㎲ 또는 (25+TA(timing advance))㎲)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서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 서브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디오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S1110). 라디오 프레임의 길이는 미리 설정된 최대 길이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최대 길이는 10ms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특별 서브프레임 각각의 개수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에서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라디오 프레임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2는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면허 대역의 라디오 프레임#0에서 서브프레임#0 내지 #2에 대응하는 비면허 대역의 구간에서 채널 상태가 비지 상태이므로, 기지국은 비지 상태인 비면허 대역의 구간 이후부터 라디오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최대 길이가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1ms인 경우, 기지국은 10개 이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라디오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은 5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1개 특별 서브프레임 및 4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설정된 라디오 프레임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120). 예를 들어,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스케쥴링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USCH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그랜트(grant)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USCH일 수 있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 및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로 분류될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PUSCH)을 스케쥴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PUSCH)을 스케쥴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일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한 스케쥴링 방법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3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및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통신 노드(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S1300).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에 기재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필요한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4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S1310). DCI는 PDCCH 및 EPDCCH(enhanced PDCC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는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서브프레임#(n+l)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n은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l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 계층(higher layer)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l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l은 4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서브프레임#4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는 서브프레임#5의 전송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단말은 PDCCH 및 EPDCCH를 모니터링(또는, 검출)함으로써 DCI를 획득할 수 있고, DCI에 포함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를 확인할 수 있다(S1320). 단말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n+l)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n+l)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n+l)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1330). 예를 들어, 단말은 서브프레임#0을 통해 수신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4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을 통해 수신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5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n+l)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4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을 통해 전송된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5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 시점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 시점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매칭될 수 있다. 셀프(self)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동일 캐리어(즉, TDD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일 캐리어) 또는 캐리어 쌍(paired carrier)(즉, FDD 통신 네트워크에서 캐리어 쌍)에서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과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캐리어는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캐리어와 다를 수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FDD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향링크 캐리어는 상향링크 캐리어와 별도로 설정되므로,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TDD 통신 네트워크에서, 표 1에 기초하여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미리 정의되므로,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매칭될 수 있다.
반면,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채널 사용의 불확실성, 가변적인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등으로 인하여,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과 동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프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가변적인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버스트(또는, 라디오 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종래 상향링크 스케쥴링 방법의 사용은 제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한 스케쥴링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아래 스케쥴링 방법들은 셀프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 또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은 10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은 6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3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및 1개 특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 기준으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는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 기준으로 마지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은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로 분류될 수 있다.
1)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되는 경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은 서로 다른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제1 DCI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제2 DCI에 포함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제3 DCI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은 동일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기초하여 스크램블링(scrambling)될 수 있고, 동일한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2)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하나의 공통 필드 및 복수의 개별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공통 필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개별 필드 A,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개별 필드 B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개별 필드 C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필드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자원 블록 할당 정보, MCS, TPC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필드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은 HARQ 프로세스, RV, ND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서브프레임 구조(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구조)에 기초한 스케쥴링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6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셀룰러 통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LTE-A, LAA, eLAA 등)을 지원할 수 있고, 비면허 대역 및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통신 노드(5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S1600).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은 특정 상황(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서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단계 S1600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최대 개수 등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최대 개수는 "MSF"로 지칭될 수 있다. MSF는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SF는 4일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 MSF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기지국에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1610).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말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사용을 지원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이 요청되는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S1620). 단말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은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MSF 이하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연속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 내지 #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필요한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5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가 설정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가 설정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가 설정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공통 필드 및 복수의 개별 필드들을 포함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설정될 수 있다. 공통 필드는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7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필드들 각각은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7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개별 필드 A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개별 필드 B가 설정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개별 필드 C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HARQ 프로세스 번호, RV, NDI, k, i, 길이 정보, 채널 접속 절차 및 SRS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는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표 4 및 표 5에 기재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개별 필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제외한 나머지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MCS, 자원 블록 할당 정보, TPC 명령 등)은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종류는 앞서 설명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 HARQ 프로세스 번호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만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은 해당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 및 C)를 통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고,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HARQ 프로세스 번호가 증가되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통해 획득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표 5에 기재된 i를 사용하여 HARQ 프로세서 번호를 유추할 수 있다.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y는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y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y는 16일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실제 값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에 대한 오프셋(offset)(이하,"H0ff"라 함)은 해당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 및 C)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H0ff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서, "H0ff=0, 1, 2, …,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된 H0ff가 1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된 H0ff가 2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한편,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들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만이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또는, 공통 필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은 해당 개별 필드(예를 들어, 개별 필드 B 및 C)를 통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HARQ 프로세스 번호가 증가되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또는, 공통 필드)를 통해 획득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한편,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실제 값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또는, 공통 필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에 대한 오프셋(H0ff)은 해당 개별 필드(예를 들어, 개별 필드 A 및 B 및 C)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H0ff를 사용하여 나머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들)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서, "H0ff=0, 1, 2, …,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개별 필드 B에 포함된 H0ff가 1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1)로 유추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서브프레임 번호가 x이고, 개별 필드 C에 포함된 H0ff가 2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서 번호는 (x+2)로 유추될 수 있다. 한편, HARQ 프로세스 번호의 최대값이 y인 경우, 단말은 "x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1))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고, "(x+H0ff(즉, 2)) mod y"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HARQ 프로세스 번호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HARQ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 RV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RV를 확인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 또는 개별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RV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공통 필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RV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서로 다른 RV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RV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RV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RV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의 RV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RV는 NDI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RV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V의 변화 순서가 미리 정의될 수 있고, NDI가 "0"인 경우에 미리 정의된 변화 순서에 따라 RV가 설정될 수 있고, NDI가 "1"인 경우 RV는 초기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변화 순서가 "0→2→1"인 경우,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개별 필드)가 한번 수신되면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RV는 2로 설정될 수 있고,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개별 필드)가 두 번 수신되면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RV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가 "1"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RV를 초기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개별 필드 A가 "1"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RV를 초기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RV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RV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RV를 확인할 수 있다.
■ NSF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NSF는 MSF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해 동일한 NSF가 설정되므로,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또는,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NSF는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NSF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NSF 대신에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NDI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NSF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유효한 HARQ 프로세스 번호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이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1)이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2)이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x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할 수 있다. 즉, MSF가 4이고, NSF가 3인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의 HARQ 프로세스 번호를 이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중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예를 들어, x, (x+1) 또는 (x+2))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유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 이전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유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HARQ 프로세스 번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유효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이므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3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NDI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즉,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유추하기 위해, NDI는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예에서, 단말 동일한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NDI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0"으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1"로 설정된 ND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을 위한 NDI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4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을 위한 NDI가 "1"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7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3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 l, k, i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 시점과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 시점 간의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l은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은 4로 설정될 수 있다.
l은 단계 S1600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해 동일한 l이 설정되므로,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l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l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n+l) 내지 #(n+l+(NSF-1)) 전송이 스케쥴링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구조 등)으로 인해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n+l) 전송이 스케쥴링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스케쥴링은 k만큼 지연될 수 있다.
이 경우, k는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k는 서브프레임#(n+l)과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실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n+l+k)) 간의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즉, k는 서브프레임#(n+1)부터의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일 수 있다. k는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k의 최대값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의 최대값은 8 또는 16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해 동일한 k가 설정되므로,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k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k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적용 시점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쥴링된 서브프레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라디오 프레임은 10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은 6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3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및 1개 특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5 및 #6의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서브프레임#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P(즉, l+k)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P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l이 고정된 값인 경우, P는 "l 및 k"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4"인 경우, P는 "l=4 및 k=1"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l이 가변적인 값인 경우, P는 l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즉, l은 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i=0, 1, …,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i는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두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i는 "1"로 설정될 수 있고, 마지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위한 i는 "NSF-1"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순서에 따라 i를 추정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i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필드 A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1"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2"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l, k 및 i를 사용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공통 필드, 개별 필드)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지시할 수 있고, 단말은 l, k 및 i를 사용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공통 필드, 개별 필드)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는 "0"으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또는, "4"로 설정된 l, "0"으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는 "1"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또는, "4"로 설정된 l, "1"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는 "2"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또는, "4"로 설정된 l, "2"로 설정된 k 및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l, k 및 i에 기초하여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공통 필드는 "0"으로 설정된 k(또는, "4"로 설정된 l 및 "0"으로 설정된 k)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A는 "0"으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1"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2"로 설정된 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l, k 및 i에 기초하여 단말은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A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B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가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C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개별 필드 A, B 및 C 각각은 i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순서에 따라 i를 추정할 수 있고, l, k 및 추정된 i에 기초하여 개별 필드들 각각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서브프레임#n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서브프레임#(n+l+k+i)가 스케쥴링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이 10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n+l+k+i mod 10"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l, k 및 i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l, k 및 i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 길이 정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을 위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쥴링되는 경우, 길이 정보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길이 타입 1"으로 지칭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는 "길이 타입 2"로 지칭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8은 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0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도 10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8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8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8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9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9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9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0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0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TA)㎲)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예를 들어, (25+TA)㎲)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000)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TA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또는 다른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도 2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100)에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는 슬롯#0의 심볼#1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1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100)을 설정할 수 있다.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1은 아래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6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22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도 10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22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200)에서,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는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부터 슬롯#1의 심볼#6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2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3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300)에서,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는 슬롯#1의 심볼#5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슬롯#0의 심볼#0부터 슬롯#1의 심볼#5까지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2300)을 설정할 수 있다.
종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1"은 아래 표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7
"길이 타입 1"은 시작 위치 필드 및 종료 위치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는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는 표 7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2"는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는 "길이 타입 2"는 표 7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는 시작 위치 필드 및 종료 위치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는 표 6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는 표 7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길이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길이 타입 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길이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14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길이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길이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된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된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길이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위한 "길이 타입 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길이 타입 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14개 SC-FDMA 심볼들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된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를 위해 동일한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동일한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가 슬롯#0의 심볼#0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시작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가 슬롯#1의 심볼#6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종료 위치 필드는 생략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1"을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는 "길이 타입 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1"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길이 타입 2"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개별 필드 A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슬롯#0의 심볼#0과 개별 필드 B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슬롯#0의 심볼#0과 개별 필드 C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공통 필드는 "길이 타입 1"의 종료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길이 타입 2"의 시작 위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개별 필드 A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슬롯#1의 심볼#6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B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슬롯#1의 심볼#6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설정할 수 있고, 개별 필드 C의 "길이 타입 2"에 의해 지시되는 시작 위치와 공통 필드의 "길이 타입 1"에 의해 지시되는 종료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채널 접속 관련 정보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가 수신된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 전에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채널(또는, 슬롯)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는 LBT 절차일 수 있다.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채널 상태가 비지 상태인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이하, "접속 지시자"라고 함),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타입 2) 및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지시자는 "접속 지시자 타입 1" 및 "접속 지시자 타입 2"로 분류될 수 있다.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접속 지시자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접속 지시자 타입 1"이 설정되므로,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 및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설정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접속 지시자 타입 2"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접속 지시자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1"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 및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동일한 "접속 지시자 타입 2"가 설정되는 경우, "접속 지시자 타입 2"는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설정된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접속 지시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접속 지시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접속 지시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0"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10" 및 "11" 중에서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종료 위치가 표 7의 "0"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종료 위치가 표 7의 "1"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은 타입 1 및 타입 2로 분류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고,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duration)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백오프 값에 대응하는 구간 + 연기 구간(defer duration)"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경쟁 윈도우는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아래 표 8에 기초하여 경쟁 윈도우를 결정할 수 있고, 선택된 경쟁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값을 선택할 수 있다. CWmin은 해당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서 경쟁 윈도우의 최소값을 지시할 수 있고, CWmax는 해당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서 경쟁 윈도우의 최대값을 지시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8
"채널 접속 절차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특정 구간(예를 들어, 25㎲)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특정 구간 + 추가 구간" 동안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예를 들어, 타입 1 또는 타입 2)은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또는 "10"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타입 2"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11"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타입 1"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1" 및 "길이 타입 2" 각각에 따른 종료 위치가 표 7의 "1"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타입 1"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아래 표 9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표 9에서 현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또는, 개별 필드)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09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동일한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동일한 경우,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서로 다른 경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유추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접속 관련 정보는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타입 1"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10" 및 "11"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슬롯#0의 심볼#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길이 타입 2"에 따른 시작 위치가 표 6의 "01", "10" 및 "11" 중 하나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이 현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슬롯#0의 심볼#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채널 접속 관련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채널 접속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RS 인덱스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SRS가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시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SRS 인덱스는 아래 표 10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1174-appb-T000010
SRS 인덱스가 "00", "01" 및 "10"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을 통해 S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RS 인덱스가 오직 "01"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5를 통해 SRS를 전송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및 #6을 통해 SR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서 SRS 요청과 SRS 인덱스는 하나의 필드(이하, "SRS 필드"라 함)로 구성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SRS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SRS 전송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SRS 인덱스(또는,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1"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1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SRS 인덱스(또는, SRS 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스케쥴링하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공통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SRS 인덱스(또는, SRS 필드)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의 개별 필드들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A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01"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B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 "10"으로 설정된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될 수 있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에서 S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SRS 인덱스는 개별 필드 C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기지국은 SRS 인덱스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SRS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를 생성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는 RNTI에 기초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의 포맷(format)은 0A, 0B, 4A 또는 4B일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들 각각을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를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B를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고,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C를 위한 DCI가 생성될 수 있다. DCI들(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 각각은 동일한 RNTI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을 위한 하나의 DCI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공통 필드, 개별 필드 A, 개별 필드 B 및 개별 필드 C를 포함하는 하나의 DCI가 생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PDCCH/EPDCCH를 통해 DCI를 전송할 수 있다(S1630). 단말은 PDCCH/EPDCCH를 모니터링(또는, 검출)함으로써 DCI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DCI로부터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획득할 수 있다(S1640). 여기서, 단말은 RNTI를 기초로 DCI(즉,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5에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1"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RNTI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A, B 및 C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 타입 2"가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동일한 RNTI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위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즉, 공통 필드, 개별 필드 A, B 및 C)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존 상향링크 그랜트(예를 들어, 단일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650). 도 15에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채널 접속 관련 정보 또는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의 전송 전에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채널 접속 관련 정보, 길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 및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시점에서 확인된 타입에 기초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3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 및 #6의 전송은 별도의 채널 접속 절차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3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의 슬롯#0의 심볼#0(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5의 슬롯#1의 심볼#6)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6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채널 접속 절차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4 내지 #6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된 경우 또는 채널 접속 절차 없이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NSF, l, k 및 i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4 내지 #6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표 6 및 표 7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길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SRS 인덱스에 기초하여 S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표 10에 기초하여 S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서브프레임 번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접속 절차에 의해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계 S1620에서 설정된 멀티 상향링크 그랜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브프레임#n의 제어 채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scheduling)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서브프레임#(n+l+k) 내지 #(n+l+k+(NSF-1))을 포함하고,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l은 4 이상의 정수이고,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offset)을 지시하는 상기 k는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SF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 요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 가능한 최대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k, 상기 NSF 및 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i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인덱스(index)를 지시하고, 0, 1, …, (NSF-1) 중에서 하나의 값인,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시작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PUSCH의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MD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들 중에서 SC-FMDA 심볼#0, 상기 SC-FDMA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 또는 SC-FDMA 심볼#1인,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종료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종료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DMA 심볼들 중에서 마지막 SC-FDMA 심볼 또는 상기 마지막 SC-FDMA 심볼 이전의 SC-FDMA 심볼인,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전에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타입이 타입 1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내에서 선택된 백오프(backoff) 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쟁 윈도우는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타입이 타입 2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미리 설정된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필드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필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한 NDI(new data indicator) 및 RV(redundancy version)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hybrid ARQ(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process)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결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지시하는 SRS 인덱스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8.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서브프레임#n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scheduling)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서브프레임#(n+l+k) 내지 #(n+l+k+(NSF-1))을 포함하고,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l은 4 이상의 정수이고, 스케쥴링 지연 오프셋(offset)을 지시하는 상기 k는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SF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의 수신 기능에 대한 활성화 요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 가능한 최대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쥴링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k, 상기 NSF 및 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i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인덱스(index)를 지시하고, 0, 1, …, (NSF-1) 중에서 하나의 값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시작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PUSCH의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시작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MD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들 중에서 SC-FMDA 심볼#0, 상기 SC-FDMA 심볼#0 중에서 특정 시점, 또는 SC-FDMA 심볼#1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종료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종료 위치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종료 위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SC-FDMA 심볼들 중에서 마지막 SC-FDMA 심볼 또는 상기 마지막 SC-FDMA 심볼 이전의 SC-FDMA 심볼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27.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 접속 절차의 타입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타입이 타입 1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내에서 선택된 백오프(backoff) 값에 대응하는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경쟁 윈도우는 채널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0.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타입이 타입 2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은 미리 설정된 구간 동안 채널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공통 필드 및 개별 필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필드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필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위한 NDI(new data indicator) 및 RV(redundancy version)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3.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hybrid ARQ(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process)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상기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서브프레임 번호의 증가에 따라 결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지시하는 SRS 인덱스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PCT/KR2017/001174 2016-02-04 2017-02-03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WO20171357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747766.8A EP3413671B1 (en) 2016-02-04 2017-02-03 Method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network
US15/770,838 US11044747B2 (en) 2016-02-04 2017-02-03 Method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network
CN201780003774.1A CN108271435B (zh) 2016-02-04 2017-02-03 用于在通信网络中调度上行链路发送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475 2016-02-04
KR20160014475 2016-02-04
KR20160058923 2016-05-13
KR10-2016-0058923 2016-05-13
KR10-2016-0101482 2016-08-09
KR20160101482 2016-08-09
KR1020170011943A KR20170093068A (ko) 2016-02-04 2017-01-25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KR10-2017-0011943 2017-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721A1 true WO2017135721A1 (ko) 2017-08-10

Family

ID=5949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174 WO2017135721A1 (ko) 2016-02-04 2017-02-03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전송의 스케쥴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08271435B (ko)
WO (1) WO2017135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270B2 (en) 2018-08-09 2024-0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605A1 (en) * 2007-08-14 2009-02-19 Adele Gao Uplink scheduling grant for time division duplex with asymmetr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20130033979A1 (en) * 2010-02-19 2013-02-07 Ntt Docomo, Inc. Mobile terminal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50264662A1 (en) * 2014-03-14 2015-09-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multi-tti scheduling in tdd system
US20150319774A1 (en) * 2014-05-05 2015-11-05 Blackberry Limited Identifying a subframe con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uplink grant
KR20150140629A (ko) * 2013-04-12 201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서브프레임 스케쥴링을 지원하기 위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8607B2 (en) * 2011-04-05 2016-07-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1989B2 (en) * 2011-10-09 2017-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starting position of data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GB2498709B (en) * 2012-01-17 2013-12-18 Renesas Mobil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n uplink data transmission
CN103796327A (zh) * 2012-10-29 2014-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子帧调度方法、系统及网络设备、终端
US9814025B2 (en) * 2012-11-29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porting information on UE state performed b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i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6605A1 (en) * 2007-08-14 2009-02-19 Adele Gao Uplink scheduling grant for time division duplex with asymmetr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20130033979A1 (en) * 2010-02-19 2013-02-07 Ntt Docomo, Inc. Mobile terminal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50140629A (ko) * 2013-04-12 201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서브프레임 스케쥴링을 지원하기 위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50264662A1 (en) * 2014-03-14 2015-09-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multi-tti scheduling in tdd system
US20150319774A1 (en) * 2014-05-05 2015-11-05 Blackberry Limited Identifying a subframe con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uplink gra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13671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270B2 (en) 2018-08-09 2024-0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71435A (zh) 2018-07-10
CN108271435B (zh)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6599A1 (ko) 고신뢰 및 저지연 통신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WO2017030310A1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WO20182036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ndom access channel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43689A9 (ko) 선점된 자원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074160A1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액세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7135674A1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방법
WO2017209570A1 (e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random access method, and corresponding ue and base station thereof
WO202106644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31476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lbt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7155305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806284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721342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순환 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069051A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818226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819958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상 트래킹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5122718A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013901A1 (ko)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20956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194108A1 (ko) 비면허 대역에서 urllc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9182401A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26936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8034485A1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비면허 요소 반송파들을 통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9199051A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005187A1 (en) Mechanisms and conditions for supporting repetitions for a pucch transmission
WO2017082642A1 (ko) 빔 포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프로세스 수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477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7083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