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696A -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696A
KR20210039696A KR1020190122236A KR20190122236A KR20210039696A KR 20210039696 A KR20210039696 A KR 20210039696A KR 1020190122236 A KR1020190122236 A KR 1020190122236A KR 20190122236 A KR20190122236 A KR 20190122236A KR 20210039696 A KR20210039696 A KR 2021003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mpanion animal
robot body
wireless communica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림
Original Assignee
정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림 filed Critical 정혜림
Priority to KR102019012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696A/ko
Publication of KR2021003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로봇 본체와; 상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이 혼자 있을 때 분리불안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주인의 목소리를 전송하여 스피커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들려줌으로써, 분리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ROBOT FOR CARING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이 혼자 있을 때 분리불안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반려견이나 반려묘 또는 다른 여타의 동물들을 반려동물로 기르는 사람들이 급속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반려동물의 급속한 팽창과 더불어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반려동물에 관련된 기구 및 장비들이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다.
반려동물은 집에서 키우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인이 외출하는 경우 통상 목줄이나 휴대용 집 등을 이용하여 반려동물과 외출하는 경우가 있으나, 반려동물을 집에 두고 외출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특히, 근래에 1인 가구가 증가해가는 추세로, 주인이 외출하거나 회사에 출근하게 되면, 집에 혼자 있게 되는 반려동물은 집에 갇혀 하루의 대부분을 혼자 보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혼자있게 되는 반려동물은 주인과 분리되어 발생하는 분리불안을 겪게 되는데, 이는 반려동물의 정신적인 건강 뿐만 아니라 육체적인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이 혼자 있을 때 분리불안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로봇 본체와; 상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로봇 본체의 눈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로봇 본체의 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본체를 구성하는 다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본체를 이동시키는 바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 본체의 입 근처에 형성되는 푸드 통과공과, 상기 푸드 통과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로봇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푸드 저장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푸드 저장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상기 푸드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는 푸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이 혼자 있을 때 분리불안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이 제공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주인의 목소리를 전송하여 스피커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들려줌으로써, 분리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간식과 같은 음식물을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원격지의 주인의 제어에 따라 토출해줌으로써, 혼자 생활하는 반려동물의 생활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은 로봇 본체(110), 카메라 모듈(130), 스피커(120), 무선 통신부(141) 및 메인 제어부(144)를 포함한다.
로봇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의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고양이 등과 같이 다른 동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 모듈(130)은 로봇 본체(110)에 설치되어 로봇 본체(110)의 전방을 촬영한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모듈(130)이 로봇 본체(110)의 눈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그 설치 위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스피커(120)는 로봇 본체(110)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120)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로봇 본체(110)의 귀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는데, 그 위치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141)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망이 Wifi나 이동 통신망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주인의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44)는 무선 통신부(141)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주인이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에 연결되고, 스마트폰으로 이야기하는 주인의 목소리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에 전송되어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은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주인의 목소리를 들으며 안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44)는 카메라 모듈(13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부(141)를 통해 외부, 즉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어, 주인은 자신의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현재 집안의 상태나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은 로봇 본체(110)를 구성하는 다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111)와, 바퀴(111)를 회전시켜 로봇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푸드 디스펜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인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을 집안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따라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100)은 로봇 본체(110)의 입 근처에 형성되는 푸드 통과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본체(110)의 내부에는 푸드 통과공과 연통되고, 간식과 같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푸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은 메인 제어부(144)의 제어에 따라, 푸드 저장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푸드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는 푸드 디스펜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이 혼자 있을 때 분리불안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케이용 로봇이 제공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1)를 통해,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주인의 목소리를 전송하여 스피커(120)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들려줌으로써, 분리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간식과 같은 음식물을 메인 제어부(144)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원격지의 주인의 제어에 따라 토출해줌으로써, 혼자 생활하는 반려동물의 생활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110 : 로봇 본체 111 : 바퀴
120 : 스피커 130 : 카메라 모듈
141 : 무선 통신부 142 : 푸드 디스펜서
143 : 바퀴 구동부 144 : 메인 제어부

Claims (4)

  1.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로봇 본체와;
    상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로봇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로봇 본체의 눈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로봇 본체의 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본체를 구성하는 다리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본체를 이동시키는 바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본체의 입 근처에 형성되는 푸드 통과공과,
    상기 푸드 통과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로봇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푸드 저장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푸드 저장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상기 푸드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하는 푸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KR1020190122236A 2019-10-02 2019-10-02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KR20210039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36A KR20210039696A (ko) 2019-10-02 2019-10-02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36A KR20210039696A (ko) 2019-10-02 2019-10-02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96A true KR20210039696A (ko) 2021-04-12

Family

ID=7544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236A KR20210039696A (ko) 2019-10-02 2019-10-02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557A (ko) 2022-11-02 2024-05-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감형 애완용 로봇을 통한 감성백분율 기반 nft 이미지 생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557A (ko) 2022-11-02 2024-05-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감형 애완용 로봇을 통한 감성백분율 기반 nft 이미지 생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0383A1 (en) Animal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016220671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ペット用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
US10426140B2 (en) Data-acquiring and reporting animal collar
US201702654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t location determination and training
JP2009536472A (ja) 動物が身に付けた装置を使用した無線メッセージ送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20009105A1 (en) Virtual creature control system and virtual creature control method
US20170180959A1 (en) Animal mobile phone service system and method
CA304276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mart pet alert,and storage medium thereof
US2020037514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ring animals to approach or enter identified zones
KR102062785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반려동물의 행동 제어 시스템
US20170196195A1 (en) Pet mat
CN106172059A (zh) 宠物喂养机器人
US20180116170A1 (en) Robo pet-sitter
EP4013222A1 (en) Corrective collar utilizing geolocation technology
US20170157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One or More Toys User Interactive to Time of Day, Signal Strength and Frequency and to One Another
KR20210039696A (ko) 반려동물 케어용 로봇
US20150237828A1 (en) Fun ball
US6910447B1 (en) Pet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40108837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WO2021157516A1 (ja) 音提供システム
CN201084965Y (zh) 宠物项圈
KR20120008750U (ko) 애완견용 다기능 목걸이 장치
CN11623318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宠物居家智慧管控系统
KR2018002955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애완동물관리시스템
KR20100120534A (ko) 애완 동물을 위한 지능형 장난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