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656A -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 Google Patents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656A
KR20210039656A KR1020190122143A KR20190122143A KR20210039656A KR 20210039656 A KR20210039656 A KR 20210039656A KR 1020190122143 A KR1020190122143 A KR 1020190122143A KR 20190122143 A KR20190122143 A KR 20190122143A KR 20210039656 A KR20210039656 A KR 2021003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electrode
upper electrode
moisture
electrode
porou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0952B1 (en
Inventor
김관하
우종창
Original Assignee
대덕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덕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3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6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ive sens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which comprises: a flexible substrate;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moisture-sensitive unit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and can absorb moisture. At least one among the upper electrode, the lower electrode, and the moisture-sensitive unit includes a porous member.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apacity of a humidity sensor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sense even at a small value, and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deformation of the overall shape. In addition, by enabling heating as well as sensing,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activity and preventing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Description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유연한 정전 용량식 센서{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본 발명은 정전 용량식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acitiv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일반적으로 습도센서는 물 분자나 수증기가 가지는 고유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것과 흡습성 물질에 물 분자가 흡착되어 그 물질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습도를 측정한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식 센서는 얇은 박막형 구조로 환경 저항성이 높아 측정값의 신뢰도가 높으며, 제작 비용도 합리적이기 때문에 범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In general, a humidity sensor measures humidity by using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molecules or water vapor, and by measuring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by adsorbing water molecules onto a hygroscopic material. Among them, capacitive sensors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thin, thin-film structure, high environmental resistance, high reliability of measurement values, and reasonable manufacturing costs.

그러나 종래의 정전 용량식 습도 센서는 구조가 복잡하여 정전 용량의 값 관리가 엄격하여 대량 제조가 어려웠으며,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작아 약간의 용량 변화로 오차가 커지고,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작아 회로 부품의 분산이나 온도 특성에 영향을 쉽게 받으므로 회로부 선정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pacitive humidity sensor has a complex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in large quantities due to strict management of the capacitance value.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small, resulting in a large error due to a small change in capacitanc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is small. Since it is easily affected by the dispersion 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ution is required when selecting a circuit part.

이러한 종래의 정전 용량식 습도 센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얇은 폴리머 소재의 감습제의 상하부에 전극을 배치하고, 상부 전극에 홀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습도센서의 반응성을 높였다. 그러나, 전극에 홀을 형성한다 하여도 수분이 함유된 공기가 감습제로 유입되는 통로가 여전히 좁아 소자의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감습제에서 수분이 빠져나가는 속도도 느려 원래상태로 돌아오는데 수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도 나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conventional capacitive humidity sensor,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 15 has increased the reactivity of the humidity sensor by arranging electrode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thin polymeric desiccant, and forming a large number of holes in the upper electrode. . However, even if a hole is formed in the electrod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action rate of the device is slow because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moisture-containing air flows into the desiccant is still narrow. In addition, the rate at which moisture escapes from the dehumidifying agent was slow, so it took more than a few seconds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resulting in poor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도가 낮은 다공성 부재를 상부전극, 감습부, 하부 전극의 재료로 적용함으로써 습도센서의 용량을 높이고 적은 값에서도 센싱이 가능하며 전체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humidity sensor by applying a low-density porous member as a material for the upper electrode, the humidity sensor, and the lower electrode, and to enable sensing even at a small valu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that is easily deformable in its entire shape.

보다 자세히, 상부전극, 감습부, 하부 전극을 나노파이버 형태로 구성하여 상하로 배치하거나, 각 나노파이버가 혼재되도록 하거나, 전극용 나노파이버의 내부에 감습재를 삽입한 이중 나노파이버로 하여 습도센서의 용량을 높이고 적은 값에서도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In more detail, the upper electrode, the humidity sensor, and the lower electrode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nanofibers and arranged up and down, or each nanofiber is mixed, or a humidity sensor is made of double nanofibers in which a humidity sensor is inserted inside the nanofibers for electrodes. It is to provide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that increases the capacity of and enables sensing even at a small value.

또한, 상부전극, 하부 전극의 외부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단자를 1쌍 이상 인출하여 센싱 뿐 아니라 히팅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응성을 높이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that increases reactivity by drawing out at least one pair of terminals capable of receiving power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to enable sensing as well as heating.

또한, 기판에 홈을 팜으로써 센서 외부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that prevents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by forming a groove on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는 유연 소재의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의 사이에 끼워지며, 수분이 흡착될 수 있는 감습 나노파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와 수분이 함유된 외기의 접촉 면적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pacitive sensor including the porous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lower electrod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And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to which moisture can be adsorbed,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of a porous member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and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이 전도성 나노파이버이며, 상기 하부 전극이 전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nanofiber, and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또한,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은 모두 전도성 나노파이버인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nanofibers.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은 표면에 홀이 다수 형성된 전도성 필름이고, 상기 하부 전극은 전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a surface, and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또한, 유연 소재의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 상기 상부 전극과 동일 위상에 위치하며 수분이 흡착될 수 있는 감습 나노파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와 수분이 함유된 외기의 접촉 면적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lower electrod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positioned in the same phase as the upper electrode and capable of adsorbing moisture, and the At least one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of a porous member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and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이며, 상기 하부 전극은 전도성 필름이고, 상기 상부 전극의 전도성 나노파이버와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가 혼재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nanofiber,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and the conductive nanofiber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are mixed to form one layer.

또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감습부 및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절연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sulating film between the lower electrode, the moisture-sensitive portion and the upper electrode.

또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감습부 및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감습 나노파이버가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isture-sensitive nanofiber is additionally includ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the moisture-sensitive portion, and the upper electrode.

또한, 상기 하부 전극이 전도성 필름이고, 상기 상부 전극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이며,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는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의 내부에상기 전도성 나노파이버가 삽입된 이중 나노파이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nanofiber, and the upper electrode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are in the form of a double nanofiber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is inserted into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do.

또한, 상기 하부 전극에 전력을 인가하는 하부 전극 단자가 1쌍 이상 상기 기판의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pair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for applying power to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by being drawn out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전극을 둘러싸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a position surrounding the lower electro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홈에 방열재료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groove.

또한, 상기 홈이 진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in a vacuum state.

또한, 상기 상부 전극에 전력을 인가하는 상부 전극 단자가 1쌍 이상 상기 기판의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pair of upper electrode terminals for applying power to the upper electrode is formed by being drawn out of the substra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는 밀도가 낮은 다공성 부재를 상부전극, 감습부, 하부 전극의 재료로 적용함으로써 습도센서의 용량을 높이고 적은 값에서도 센싱이 가능하며 전체 형상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capacitive sensor including the porous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creases the capacity of the humidity sensor and enables sensing even at a small value by applying a low-density porous member as a material for the upper electrode, the humidity sensor, and the lower electrode. It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deformation of the entire shape.

보다 자세히, 상부전극, 감습부, 하부 전극을 나노파이버 형태로 구성하여 상하로 배치하거나, 각 나노파이버가 혼재되도록 하거나, 전극용 나노파이버의 내부에 감습재를 삽입한 이중 나노파이버로 하여 습도센서의 용량을 높이고 적은 값에서도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more detail, the upper electrode, the humidity sensor, and the lower electrode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nanofibers and arranged up and down, or each nanofiber is mixed, or a humidity sensor is made of double nanofibers in which a humidity sensor is inserted inside the nanofibers for electrode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device and enabling sensing even at a small value.

또한, 상부전극, 하부 전극의 외부로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단자를 1쌍 이상 인출하여 센싱 뿐 아니라 히팅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반응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rawing out at least one pair of terminals through which electric power can b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not only sensing but also heating,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reactivity.

또한, 기판에 홈을 팜으로써 센서 외부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by forming a groove on the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감습부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감습부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감습부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감습부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감습부의 상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서 상부 전극과 감습부를 이루는 이중 나노파이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하부 전극, 상부 전극 및 감습부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 전극과 하부 전극 단자의 상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 전극과 기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 전극 단자가 여러 쌍 인출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 전극 단자와 상부 전극 단자가 여러 쌍 인출된 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의 대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ide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ide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ide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ide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pper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 nanofiber constituting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in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ide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 upper electrode,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upper surfaces of a low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lower electrode and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several pairs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several pairs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and upper electrod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presentative diagram of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an example illustrated to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s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는 유연 소재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실리콘일 수 있으며, 도체가 아닌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는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200)과, 하부 전극(200)의 위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300), 그리고 하부 전극(200)과 상부 전극(300)의 사이에 끼워지며 수분이 흡착될 수 있는 감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acitive sensor including the porous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substrate 100 may be made of silic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100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a conductor but is easily deformed. In addition,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the porous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electrode 20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an upper electrode 300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200, and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nd may include a moisture-reducing unit 400 through which moisture can be adsorbed.

특히, 하부 전극(200)과 상부 전극(200) 및 감습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연하며 감지 성능이 높다는 효과가 있는 정전 용량식 습도센서를 제안할 수 있고, 정전 용량C는 접촉 면적 A에 비례하고, 거리 d에 반비례하다는 통상의 공식을 바탕으로 정전용량을 최대화하여 오차를 줄인다는 효과가 있는 정전 용량식 습도센서를 제안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lower electrode 200, the upper electrode 200, and the humidity sensor 400 is a porous mem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pose a capacitive humidity sensor that is flexible and has high sensing performance, and based on the conventional formula that capacitance C is proportional to the contact area A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d, the error is maximized by maximizing the capacitance. It is possible to propose a capacitive humidity sensor tha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value.

이하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 내지 제 5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 내지 제 5 실시 예에서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 중 어느 하나는 나노파이버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노파이버가 촘촘히 얽혀 하나의 전극 층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의 나노파이버는 전극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 전극(200) 층의 밀도가 대폭 감소하고, 크고 작은 불규칙한 홀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외기의 출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 사이에 외기와 접촉해야하는 감습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의 감습제는 감습 나노파이버(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습제가 감습 나노파이버(400)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감습제 층의 밀도가 대폭 감소하고, 크고 작은 불규칙한 홀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외기의 출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즉,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수분이 함유된 외기의 접촉 면적이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나노파이버가 얽혀 있음으로써 전체 전극 층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여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formed of nanofiber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anofibers are closely entangled to form one electrode layer. In addition, the nanofibers at this time are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because they must perform the role of an electrode. Accordingly, the density of the layer of the upper electrode 300 or the lower electrode 200 is greatly reduced, and a large number of large and small irregular holes are form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enter and exit the outside ai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dehumidifying agent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dehumidifying agent at this time is preferably a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When the desiccant is present in the form of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the density of the desiccant layer is greatly reduced, and a large number of large and small irregular holes are form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enter the outside air. That i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nanofibers are entangled, the shape of the entire electrode layer can be easily changed, and thus can be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실시 예 1][Example 1]

이하로, 도 1 을 참조하여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1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1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이 전도성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지고,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개시한다. 특히, 이 때의 감습 나노파이버(400)는 상부 전극(300)과 동일하게 감습 나노파이버가 얽혀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습제 층을 감습 나노파이버(400)로 형성할 경우, 외기와의 접촉 면적이 상승함에 따라 감습 나노파이버의 사이에 외기가 침투 및 흡습되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감습 나노파이버(400)에서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어 센싱 이후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300) 및 감습제 층을 나노파이버가 얽힌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discloses that the upper electrode 30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nanofiber,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film.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400 at this time are entangled with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electrode 300 to form one layer. In the case where the desiccant layer is formed of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400, as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side air increases, the reaction speed may be accelerated because the outside air is easily penetrated and absorbed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In addition, moisture can quickly escape from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so that it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sensing. In addition, by forming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desiccant layer in a form in which nanofibers are entang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stability by absorbing an external shock.

[실시 예 2][Example 2]

이하로, 도 2를 참조하여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2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2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이 모두 전도성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개시한다. 제 2 실시 예에서는 감습 나노파이버(400)가 상하면 모두 외기와 접촉할 수 있으므로 외기와의 접촉 면적이 상승하고 외기가 감습 나노파이버(400)의 내부로 침투 및 흡습되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감습 나노파이버(400)에서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어 센싱 이후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300) 및 감습부(400)를 나노파이버가 얽힌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discloses that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formed of conductive nanofibers. In the second embodiment, if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is damaged, both can contact the outside air,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side air increases, and the outside air is easily penetrated and absorbed into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so that the reaction speed is increased. It can be faster. In addition, moisture can quickly escape from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so that it can be easi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sensing. In addition, by forming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humidity sensor 400 in a form in which nanofibers are entang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stability by absorbing an external shock.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달리, 상부 전극(300) 과 하부 전극(200)은 모두 나노파이버로 형성된다. 제 2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 중 하나만 나노파이버로 형성된 제 1 실시 예의 경우보다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 전극 층의 밀도가 대폭 감소하고, 크고 작은 불규칙한 홀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외기의 출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즉, 감습부(400)가 수분이 함유된 외기와 상하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민감도가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나노파이버가 얽혀 있음으로써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전극 층의 형상 변형이 매우 용이하여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re formed of nanofiber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ensity of the upper electrode 300 or the lower electrode layer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only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formed of nanofibers, and there are many large and small irregular holes. By being formed, outside air can be easily accessed. That is, since the humidity sensor 400 can vertically contact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all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substrate 100 are configured by entangled nanofibers, the shape of the entire electrode layer is very easy to chang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실시 예 3, 4][Examples 3 and 4]

이하로,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3 내지 제 4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ir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3 내지 제 4 실시 예는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전극(300)이 전도성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지고,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상부 전극(300)이 동일 위상에 위치하여 하부 전극(2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습도센서는 다수의 레이어를 포함하여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제 3 실시 예 및 제 4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과 감습 나노파이버(400)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하는 실시 예인 것이다.In the thir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the lower electrode 200 is made of a conductive film, the upper electrode 300 is made of a conductive nanofiber, and a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 It is disclosed that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200 by being positioned at the same phase. In more detail, the humid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and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Yes.

이 때,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상부 전극(300)을 이루는 전도성 나노파이버는 두 가닥의 나노파이버가 ??쳐져 한 가닥의 나노파이버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상부 전극(300) 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nanofibers constituting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re formed like a single nanofiber by two strands of nanofibers being struck. This is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제 3 실시 예의 경우는 하부 전극(200)과 감습부(400) 및 상부전극 사이에 절연층(500)을 필름 형태로 도포한 것이고, 제 4 실시 예의 경우는 하부 전극(200)과 감습부(400) 및 상부전극 사이에 감습 나노파이버를 추가로 얇게 도포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insulating layer 500 is applied in the form of a film between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moisture senso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and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moisture sensor ( 400) and an additional thin layer of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between the upper electrodes.

제 3 실시 예 내지 제 4 실시 예는 상술한 제 1, 2 실시 예와 달리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상부 전극(300)이 혼재되어 얽혀 있고 이에 따라 전도성 나노파이버와 감습 나노파이버(400) 간의 접촉 면적이 크게 상승하고 거리가 감소하여 정전용량이 기존의 센서에 비해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오차율을 교정할 수 있고, 정전용량의 값 관리가 엄격하지 않아 대량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로부 선정 시에도 큰 주의를 요하지 않아 높은 활용도를 지닐 수 있다.In the third to fourth embodiments,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re mixed and entangled. Accordingly, the conductive nanofiber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re intertwined.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significantly and the distance decreases, the capacitance can in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ventional senso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rrect a high error rat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mass production is possible because the management of the capacitance value is not strict. In addition, it does not require great attention when selecting a circuit part, so it can have high utilization.

추가로, 도 3 내지 도 4 에는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인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 전극(200)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일 수 있고, 전도성 필름일 수 있다.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나노파이버인 경우는 외기가 감습 나노파이버(400) 및 상부 전극(300)의 하면에서도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인 경우는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기판(100) 간의 연결을 보다 단단히 지지할 수 있어 센서의 내구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film is illustrated in FIGS. 3 to 4,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a conductive nanofiber or a conductive film. When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nanofiber,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s we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film,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substrate 10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실시 예 5][Example 5]

이하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5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fif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5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 및 감습 나노파이버(400)가 감습 나노파이버의 내부에 전도성 부재가 삽입된 이중 나노파이버 형태로 이루어져 하부 전극(2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중 나노파이버의 겉면은 감습제이고, 속은 전도성 부재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감습제가 겉으로 드러남으로써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센싱 민감도를 높인 것이고, 상부 전극(300)이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전면접촉 하면서 감습 나노파이버(400)의 내부에 삽입된 것은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상부 전극(300) 간의 접촉 면적을 높이고 거리를 극단적으로 줄여 정전용량을 극대화 하여 센서 사용에 용이함을 더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이중 나노파이버와 하부 전극(200)의 사이에 절연층(500)이 필름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nanofiber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and the lower electrode It discloses that it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200. This is illustrated in FIG. 5.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double nanofiber is a moisture-reducing agent, and the inside is a conductive member. This is to increase the sensing sensitivit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side air by exposing the dehumidifying agent to the outside. It i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nd reduce the distance to an extreme to maximize the capacitance, thereby adding ease of use to the sensor. 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 500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film between the double nanofibers and the lower electrode 200.

추가로, 도 5에는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인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하부 전극(200)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일 수 있고, 전도성 필름일 수 있다.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나노파이버인 경우는 외기가 감습 나노파이버(400) 및 상부 전극(300)의 하면에서도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인 경우는 감습 나노파이버(400)와 기판(100) 간의 연결을 보다 단단히 지지할 수 있어 센서의 내구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도성 나노파이버 형태인 상부 전극(300)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5 shows only the case where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film,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a conductive nanofiber or a conductive film. When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nanofiber,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s we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film,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and the substrate 10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and the upper electrode in the form of a conductive nanofiber ( 300)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상술한 이중 나노파이버를 제작하기 위해서 전극 용액 삽입부(610), 감습제 용액 삽입부(620), 용액 출구(630)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전기 방사 노즐(6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구조 전기 방사 노즐(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작 방법은 실린더의 일측에서 압축하여 실린더의 타측으로 재료가 압출되어 나올 때,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재료가 섬유 형태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나노파이버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기법이나, 본 발명의 경우 이중 나노파이버를 제작하는 것이므로 상술했듯 전극 용액 삽입부(610), 감습제 용액 삽입부(620)와 같이 2개의 용액 삽입부를 가지고, 실린더 내부에 분리된 2개의 공간을 가지는 이중구조 전기 방사 노즐(600)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above-described double nanofibers, a dual-structure electrospinning nozzle 600 including an electrode solution insertion portion 610, a desiccant solution insertion portion 620, and a solution outlet 630 may be used. This dual structure electrospinning nozzle 600 is preferably used as shown in FIG. 7.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the porous member shown in FIG. 7 is such that when the material is compressed at one side of the cylinder and the material is extruded to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the material is molded into a fiber form using electrospinning. It is to do. This is a technique commonly used when manufacturing nanofibers,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to manufacture double nanofibers,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olution insertion portion 610 and the desiccant solution insertion portion 620 have two solution insertion portion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ual-structure electrospinning nozzle 600 having two separate spaces inside the cylinder.

제 5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들과 달리 감습부(400)와 상부 전극(300)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감습부(400)와 상부 전극(300)간의 접촉 면적이 보다 높아지고 거리가 0에 수렴하도록 적어지므로 정전용량 값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오차율을 보다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고, 정전용량의 값 관리가 엄격하지 않아 대량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로부 선정 시에도 큰 주의를 요하지 않아 높은 활용도를 지닐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humidity senso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re integrally formed, and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umidity sensor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is higher and the distance is 0. As it decreases to converge to, the capacitance value can be maximized. Accordingly, a high error rate can be more easily corrected, and since the management of the capacitance value is not strict, there is an effect that mass produ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it does not require great attention when selecting a circuit part, so it can have high utilization.

[실시 예 6][Example 6]

이하로, 도 8을 참조하여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6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ixth embodiment of a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본 발명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6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 전극(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공성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의 다공성 전극의 밀도는 매우 낮으며 이에 따라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 전극(200)을 통해 외기가 감습 나노파이버(400)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The six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the porous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formed as a porous electrode. At this time, the density of the porous electrode is very low, and thus, outside air can easily contact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through the upper electrode 300 or the lower electrode 200.

추가로, 도 8에는 상부 전극(300)이 다공성 전극,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인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 모두가 다공성 전극일 수도 있다.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200)이 모두 다공성 전극인 경우는 외기가 감습 나노파이버(400)에 상하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 중 어느 하나만 다공성 전극인 경우는(이 때 상부 전극(300)쪽이 다공성 전극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300), 하부 전극(200)과 감습 나노파이버(400), 기판(100) 간의 연결을 보다 단단히 지지할 수 있어 센서의 내구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8 shows only the case where the upper electrode 300 is a porous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film,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porous electrodes. When both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re porous electrodes,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vertically contact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s 400. On the other hand, when only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porous electrode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electrode 300 is a porous electrode.)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 200) and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400,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strate 100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이하로,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과 접촉하는 감습제가 감습 나노파이버(400)가 아닌 감습 필름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moisture sensitive agent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moisture sensitive film other than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400 will be described.

[실시 예 7][Example 7]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7 실시 예는 상부 전극(200)은 기판(100)과 맞닿아 있고, 상부 전극(300)은 외기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부 전극(300)을 나노파이버로 구성할 경우, 감습 필름과 외기와의 접촉면적이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300)을 나노파이버가 얽힌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극으로서의 역할 이외에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어느정도 흡수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전극(300)의 하부에 위치한 감습 필름 및 하부 전극(200)으로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the upper electrode 20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1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When composed of nanofiber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film and the outside air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In addition, by forming the upper electrode 300 in a form in which nanofibers are entangled, in addition to its role as an electrode, it is possible to absorb an external shock to some ext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to the moisture-sensitive film located under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제 7 실시 예에 따라 전도성 나노파이버 사이로 감습 필름과 외기가 감습 필름에서 맞닿기 용이해 지므로 접촉 면적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외기가 침투 및 흡습되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감습제에서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어 센싱 이후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용이해 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since the moisture-sensitive film and the outside air are easily contacted in the moisture-sensitive film between the conductive nanofibers, the contact area increases, and thus, the outside air is easily penetrated and absorbed, so that the reaction speed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moisture can quickly escape from the dehumidifying agent, making it easier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sensing.

[실시 예 8][Example 8]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8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이 모두 전도성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개시한다. 이 때,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이 모두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지므로 습도센서 전체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는데. 감습 필름이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간의 연결을 지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제 8 실시 예에 따라 전도성 나노파이버 사이로 감습 필름과 외기가 감습 필름에서 맞닿기 용이해 지므로 접촉 면적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외기가 침투 및 흡습되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감습제에서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어 센싱 이후 원래 상태로 돌아오기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300) 및 감습부(400)를 나노파이버가 얽힌 형태로 형성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e eigh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discloses that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formed of conductive nanofibers. At this time, since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re made of nanofibers,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humidity sensor may be weakened. As the moisture sensitive film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t may also serve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since the moisture-sensitive film and the outside air are easily contacted by the moisture-sensitive film between the conductive nanofibers, the contact area increases, and thus, the outside air is easily penetrated and absorbed, so that the reaction speed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moisture can quickly escape from the dehumidifying agent, making it easier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sensing. In addition, since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humidity sensor 400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nanofibers are entangl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stability by absorbing an external shock.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는 상술한 제 7 실시 예와 달리, 상부 전극(300) 과 하부 전극(200)은 모두 나노파이버로 형성된다. 제 8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과 하부 전극(200) 중 하나만 나노파이버로 형성된 제 7 실시 예의 경우보다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전극 층의 밀도가 대폭 감소하고, 크고 작은 불규칙한 홀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외기의 출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즉, 감습 필름이 수분이 함유된 외기와 상하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민감도가 효과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구성이 나노파이버가 얽혀 있음으로써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전극 층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여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even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re formed of nanofibers.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density of the upper electrode 300 or the lower electrode layer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the seventh embodiment in which only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formed of nanofibers, and there are many large and small irregular holes. By being formed, outside air can be easily accessed. That is, since the moisture-sensitive film can vertically contact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configurations are composed of entangled nanofibers, the shape of the entire electrode layer can be easily transformed, thereby increasing applicability to wearable devices.

[실시 예 9][Example 9]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9 실시 예는 감습 필름 이외에도 감습 나노파이버가 별도로 추가되어 상부 전극(300)과 감습제가 별도로 접촉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 보다 자세히, 상부 전극(300)이 전도성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지고, 상부 전극(300)이 감습제로 이루어진 감습 나노파이버와 혼재되어 한 층을 이루도록 하여 하부 전극(2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음을 개시한다. 특히, 감습 필름과 상부 전극(300)을 이루는 나노파이버는 두 가닥의 나노파이버가 동일한 형태로 ??쳐지도록 하여 얽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in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a porous member discloses that a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is separately added in addition to the moisture sensitive film, so that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moisture sensitive agent can be contacted separately. In more detail, it is disclosed that the upper electrode 300 is made of conductive nanofibers, and the upper electrode 300 is mixed with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made of a dehumidifying agent to form one layer, so that it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200 do.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nanofibers constituting the moisture-sensitive film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re entangled so that the two strands of nanofibers are tangled in the same shape.

추가로, 하부 전극(200)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일 수 있고, 전도성 필름일 수 있다.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나노파이버인 경우는 외기가 감습 필름에 상하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하부 전극(200)이 전도성 필름인 경우는 감습 필름과 기판(100) 간의 연결을 보다 단단히 지지할 수 있어 센서의 내구도를 높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a conductive nanofiber or a conductive film. When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nanofiber,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vertically contact the moisture-sensitive film.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conductive film,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film and the substrate 100 may be more firmly supported,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제 9 실시 예는 상술한 제 7, 8 실시 예와 달리 감습부(400)와 상부 전극(300)이 혼재되어 얽혀 있고 이에 따라 전도성 나노파이버와 감습 나노파이버 간의 접촉 면적이 크게 상승하고 거리가 감소하여 정전용량이 기존의 센서에 비해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오차율을 교정할 수 있고, 정전용량의 값 관리가 엄격하지 않아 대량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로부 선정 시에도 큰 주의를 요하지 않아 높은 활용도를 지닐 수 있다.In the ninth embodiment, unlike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sensitive part 4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are mixed and entangled.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nanofiber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distance is reduced. Thus, the capacitanc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ens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rrect a high error rat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mass production is possible because the management of the capacitance value is not strict. In addition, it does not require great attention when selecting a circuit part, so it can have high utilization.

[실시 예 10][Example 10]

본 발명의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제 10 실시 예는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 전극(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공성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의 다공성 전극의 밀도는 매우 낮으며 이에 따라 상부 전극(300) 또는 하부 전극(200)을 통해 외기가 감습 필름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The tenth embodiment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the porous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formed as a porous electrode. At this time, the density of the porous electrode is very low, and thus, outside air can easily contact the moisture-sensitive film through the upper electrode 300 or the lower electrode 200.

추가로,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 모두가 다공성 전극일 수도 있다.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200)이 모두 다공성 전극인 경우는 외기가 감습 필름에 상하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상부 전극(300) 및 하부 전극(200) 중 어느 하나만 다공성 전극인 경우는( 이 때 상부 전극(300)쪽이 다공성 전극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부 전극(300), 하부전극(200)과 감습 필름, 기판(100) 간의 연결을 보다 단단히 지지할 수 있어 센서의 내구도를 높일 수 있다.Additionally, both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porous electrodes. When both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200 are porous electrodes,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may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outside air to contact the moisture-sensitive film vertically. On the other hand, when only one of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200 is a porous electrode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electrode 300 is a porous electrode.) The upper electrode 300 and the lower electrode ( 200) and the moisture-sensitive film,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strate 100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추가로, 하부 전극(200) 및 상부전극(300)에 형성되는 단자의 개수 및 배치에 있어 다수의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로, 도 9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하부 전극(200) 및 상부 전극(300)의 실시 예와 그에 따른 기판의 형상 및 서로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한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number of embodiments regarding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erminal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the shape of the substrate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electrode 200 and the upper electrod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하부 전극(200)에는 하부 전극 단자(210)가 기판(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존재하며, 하부 전극 단자(21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이 하부 전극(200)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전극 단자(210)는 1쌍 이상 존재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전극 단자(210) 1쌍은 센싱을 위한 전력을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포함하는 모든 하부 전극 단자(210) 쌍은 하부 전극(200)을 히팅하기 위한 전력을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전극 단자(210) 쌍 중 어느 것은 센싱을 위한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고, 하부 전극(200)을 히팅하기 위한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lower electrode terminal 210 is present in the lower electrode 200 by being drawn out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lower electrode terminal 2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power may be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 200. One or more pairs of the lower electrode terminals 210 may exist.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one pair of the lower electrode terminals 210 receive power for sensing, and it is preferable that all pairs of the lower electrode terminals 210 including the lower electrode terminal 210 receive power for heating the lower electrode 200. . That is, any of the pair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210 may receive power for sensing and may receive power for heating the lower electrode 200.

이 때, 하부 전극(200)을 히팅하기 위한 하부 전극 단자(210) 쌍은 도 9에 도시된 위치 이외에도 하부 전극(200)을 둘러싸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부 전극(200)이 고르게 히팅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전극 단자(210)는 나노파이버 중합체일 수 있고, 평편한 판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이 히팅됨으로써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210 for heating the lower electrode 200 surround the lower electrode 200 and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9. Accordingly, the lower electrode 200 may be heated evenly. In addition, the lower electrode terminal 210 may be a nanofiber polymer, and may have a flat plate shape. As the electrode is heated in this way, the reactivity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the porous member may be increased.

또한, 상부 전극(300)에는 상부 전극 단자(310)가 기판(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존재하며, 상부 전극 단자(31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이 상부 전극(300)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전극 단자(310)는 1쌍 이상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전극 단자(310) 1쌍은 센싱을 위한 전력을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포함하는 모든 상부 전극 단자(310) 쌍은 상부 전극(300)을 히팅하기 위한 전력을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전극 단자(310) 쌍 중 어느 것은 센싱을 위한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고, 상부 전극(300)을 히팅하기 위한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lectrode terminal 310 is present in the upper electrode 300 by being drawn out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upper electrode terminal 3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power can be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300. have. One or more pairs of the upper electrode terminals 310 may exist.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one pair of the upper electrode terminals 310 receive power for sensing, and it is preferable that all upper electrode terminals 310 pairs including the same receive power for heating the upper electrode 300. . That is, any of the pair of upper electrode terminals 310 may receive power for sensing and may receive power for heating the upper electrode 300.

이 때, 상부 전극(300)을 히팅하기 위한 상부 전극 단자(310) 쌍은 상부 전극(300)을 둘러싸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부 전극(300)이 고르게 히팅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 단자(310)는 나노파이버 중합체일 수 있고, 평편한 판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이 히팅됨으로써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1000)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upper electrode terminals 310 for heating the upper electrode 300 surround the upper electrode 300 and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the upper electrode 300 may be heated evenly. In addition, the upper electrode terminal 310 may be a nanofiber polymer, and may have a flat plate shape. As the electrode is heated in this way, the reactivity of the capacitive sensor 1000 including the porous member may be increased.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00)에는 하부 전극 단자(210)와 상응하는 위치를 제외한 상기 하부 전극(200)을 둘러싸는 위치에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하부 전극 단자(210)가 다수 인출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부 전극 단자(310) 또한 다수 인출 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홈(110)에는 방열재료가 채워질 수 있고, 또는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센서의 외부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센서를 제외한 회로에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groove 110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100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lower electrode 200 except for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lectrode terminal 210. 11 is a side view when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210 are drawn out, and FIG. 12 is a side view when a plurality of upper electrode terminals 310 are also drawn out. The groove 110 may be filled with a heat dissipating material, or a vacuum state may be maintained. Since the groove 11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and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circuits other than the sensor.

홈(110)에 진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일 먼저 홈 형성 패턴 트랜치 식각을 진행하고, 이후에 트랜치를 산화하고 Filling하며, 산화막을 증착하고 진공 홈 식각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후에, 동일 반응로(Chamber)내에서 진공 홈 형성을 위해 기판(100)을 식각하고 진공 홈 실링을 위해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진공은 절대 진공은 아니며 수십~수백mTorr 수준의 진공일 수 있다.In a method of forming a vacuum in the groove 110, it is preferable to first perform a groove formation pattern trench etching, then oxidize and fill the trench, deposit an oxide film, and form a hole for vacuum groove etching. Then, it is preferable to etch the substrate 100 to form a vacuum groove in the same reactor (Chamber) and deposit for vacuum groove sealing. The vacuum at this time is not an absolute vacuum and may be a vacuum of tens to several hundred mTorr.

이상의 방법은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 위에 진공상태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고, MEMS 공정을 진행하지 않는다면 진공 홈 형성을 위해 트랜치 식각을 진행하고, 진공 상태의 반응로에서 홈 실링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 method is a method for forming a vacuum groove on a silicon substrate using a MEMS process, and if the MEMS process is not performed, trench etching is performed to form a vacuum groove, and groove sealing is performed in a vacuum reaction furnace. It is desirable to proceed t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하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elem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one embodiment. It is not,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that have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0 :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 용량식 센서
100 : 기판
110 : 홈
200 : 하부 전극
210 : 하부 전극 단자
300 : 상부 전극
310 : 상부 전극 단자
400 : 감습 나노파이버
500 : 절연층
600 : 이중구조 전기 방사 노즐
610 : 전극 용액 삽입부
620 : 감습제 용액 삽입부
630 : 용액 출구
1000: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100: substrate
110: home
200: lower electrode
210: lower electrode terminal
300: upper electrode
310: upper electrode terminal
400: moisture-sensitive nanofiber
500: insulating layer
600: dual structure electrospinning nozzle
610: electrode solution insertion part
620: desiccant solution insertion part
630: solution outlet

Claims (14)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의 사이에 끼워지며, 수분이 흡착될 수 있는 감습 나노파이버;
를 포함하며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와 수분이 함유된 외기의 접촉 면적을 높이도록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Board;
A lower electro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A moisture-sensitive nanofiber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and capable of adsorbing moisture;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of a porous member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and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이 전도성 나노파이버이며,
상기 하부 전극이 전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nanofiber,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은 모두 전도성 나노파이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are conductive nanofib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표면에 홀이 다수 형성된 전도성 필름이고,
상기 하부 전극은 전도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he lower electrode is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film.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
상기 상부 전극과 동일 위상에 위치하며 수분이 흡착될 수 있는 감습 나노파이버;
를 포함하며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와 수분이 함유된 외기의 접촉 면적을 높이도록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공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Board;
A lower electro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Moisture-sensitive nanofibers positioned in the same phase as the upper electrode and capable of adsorbing moisture;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of a porous member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and the outside air containing moistur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이며,
상기 하부 전극은 전도성 필름이고,
상기 상부 전극의 전도성 나노파이버와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가 혼재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nanofiber,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nanofibers of the upper electrode and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s are mixed to form one lay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감습부 및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절연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6,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sulating film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moisture-sensitive portion and the upper electro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감습부 및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감습 나노파이버가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6,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lectrode, the moisture sensitive nanofibers ar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moisture sensitive portion and the upper electro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이 전도성 필름이고,
상기 상부 전극은 전도성 나노파이버이며,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는 상기 감습 나노파이버의 내부에상기 전도성 나노파이버가 삽입된 이중 나노파이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electrode is a conductive film,
The upper electrode is a conductive nanofiber,
The upper electrode and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is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of a double nanofiber in which the conductive nanofiber is inserted into the moisture-sensitive nanofiber.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에 전력을 인가하는 하부 전극 단자가 1쌍 이상 상기 기판의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air of lower electrode terminals for applying power to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by being drawn out of the substra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하부 전극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전극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일정 두께로 홈이 형성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bstrate is formed wider than the lower electrode, the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in which a groov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a surface to which the lower electrode is not attach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방열재료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11,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is filled in the groov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진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of claim 11,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in a vacuum state.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에 전력을 인가하는 상부 전극 단자가 1쌍 이상 상기 기판의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부재를 포함한 정전 용량식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 capacitive sensor including a porous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air of upper electrode terminals for applying power to the upper electrode is formed by being drawn out of the substrate.
KR1020190122143A 2019-10-02 2019-10-02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KR102280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43A KR102280952B1 (en) 2019-10-02 2019-10-02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43A KR102280952B1 (en) 2019-10-02 2019-10-02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56A true KR20210039656A (en) 2021-04-12
KR102280952B1 KR102280952B1 (en) 2021-07-23

Family

ID=7543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143A KR102280952B1 (en) 2019-10-02 2019-10-02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5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91A (en) * 2000-04-20 2001-11-08 강정호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onebodied temperature/humidity sensor
JP2008039508A (en) * 2006-08-03 2008-02-21 Denso Corp Humidity sensor
KR20110137900A (en) * 2010-06-18 2011-12-26 지이센싱코리아(주) Multi-functional sensor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30104985A (en)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삼영에스앤씨 Capacitance type humidity sensor
KR20140121059A (en) * 2013-04-05 201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Sensor module and sensor module system
KR20180053133A (en) * 2016-11-11 2018-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Humidity sens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91A (en) * 2000-04-20 2001-11-08 강정호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onebodied temperature/humidity sensor
JP2008039508A (en) * 2006-08-03 2008-02-21 Denso Corp Humidity sensor
KR20110137900A (en) * 2010-06-18 2011-12-26 지이센싱코리아(주) Multi-functional sensor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30104985A (en)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삼영에스앤씨 Capacitance type humidity sensor
KR20140121059A (en) * 2013-04-05 201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Sensor module and sensor module system
KR20180053133A (en) * 2016-11-11 2018-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Humidity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52B1 (en)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4041B2 (en) Capacitive humidity sensor
CN104316224B (en) The three-dimensional force tactile sensing unit combined based on electric capacity with pressure sensitive elastomer
KR101367887B1 (en) Capacitance Type Humidity Sensor
CN106708327A (en)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CN210689875U (en) Flexible capacitive sensor and pressure measuring device
JP2013541836A5 (en)
KR100676088B1 (en) Capacitive humidity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8173335A (en) Humidity sensor
CN104634832A (en) CMOS MEMS capacitance-type humidity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35089B1 (en) Humidity Sensor Equipped with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0947B1 (en)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KR102280952B1 (en) Flexible capacitive humidity sensor including porous material
JP2011080833A (en) Humidity detection sensor
US20060055502A1 (en) Humidity sensor
KR102309216B1 (en) Textile-based wearable sensor,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and smart clothes including the same
JP6370111B2 (en) Capacitive gas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31105A (en) Humidity sensor
WO2011145874A2 (en) Humidity sensor having heater and readout circuit element therein
KR20190062029A (en) Pressure sensor
KR100585664B1 (en) Thin film humidity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50506B2 (en) Capacitive gas sensor
KR101647555B1 (en) Capacitive humidity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76461B1 (en) Vertical layered temperature-humidity hybrid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ensor
TWI787068B (en) Sensing structure
WO2023181911A1 (en) Load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