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209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209A
KR20210039209A KR1020190121773A KR20190121773A KR20210039209A KR 20210039209 A KR20210039209 A KR 20210039209A KR 1020190121773 A KR1020190121773 A KR 1020190121773A KR 20190121773 A KR20190121773 A KR 20190121773A KR 20210039209 A KR20210039209 A KR 2021003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urn
unit
signa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162B1 (ko
Inventor
김장식
박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동작을 위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출력하는 릴레이부, 상기 ac 전원을 모터 구동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압축기로 상기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회로부, 상기 ac 전원이 상기 인버터 회로부로 입력되게 상기 릴레이부를 동작시키는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회로부 및 상기 압축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해 턴오프 동작하는 보호 스위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회로부와 상기 릴레이부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연결 케이블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 시 하드웨어적으로 압축기의 동작을 차단하기 용이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방, 거실, 사무실 또는 영업 점포 등의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뉜다.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과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는 냉/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는 방열과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를 설치한 후 서로 분리된 두 기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팬 등에 전동기가 사용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공기조화기의 구동회로는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압을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압축기, 팬 등의 전동기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구동회로에는 압축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턴오프 동작하는 보호 스위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 연결 케이블 및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에 따라 구동회로로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차단하며, 압축기, 팬 등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는 스위치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어 턴온 및 턴오프 동작하는 마이네틱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최근들어, 공기 조화기의 제조 원가 및 부피를 감소하며, 마크네틱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용 교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 시 하드웨어적으로 압축기의 동작을 차단하기 용이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의 동작을 위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출력하는 릴레이부, 상기 ac 전원을 모터 구동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압축기로 상기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회로부, 상기 ac 전원이 상기 인버터 회로부로 입력되게 상기 릴레이부를 동작시키는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회로부 및 상기 압축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해 턴오프 동작하는 보호 스위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회로부와 상기 릴레이부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연결 케이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버터 회로부로 상기 ac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턴온 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인버터 회로부터로 입력되는 상기 ac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dc 전원을 dc 링크 전원으로 평활하는 평활 커패시터 및 상기 dc 링크 전원을 상기 모터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회로부는, 상기 릴레이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ac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제1 전원레벨의 제1 턴온 전원 및 제2 전원레벨의 동작 전원을 출력하는 파워서플라이 및 상기 동작 전원으로 동작하며, 상기 릴레이부의 턴온 동작을 위한 상기 제2 전원레벨의 제2 턴온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2 턴온 전원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턴온 신호,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링크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2 턴온 전원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제1, 2 턴온 전원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턴온 신호,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링크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릴레이부가 턴온 동작되게, 상기 제1, 2 턴온 전원 중 상기 릴레이부의 턴온 동작 레벨을 갖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dc 링크 전원이 설정된 기준 dc 전원보다 낮고, 상기 턴온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ac 전원이 설정된 기준 ac 전원보다 크면,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냉/난방 사이클을 위한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 및 상기 압축기의 정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은, 상기 출력부와 상기 릴레이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턴온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은, 상기 생성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해 턴오프 동작하는 보호 스위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연결 케이블을 인버터 회로부와 신호 회로부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별도로 ac 전원을 차단하는 고가의 마그네틱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드웨어적으로 압축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됨에 따라 인버터 회로부로 입력되는 ac 전원이 차단됨을 메인 제어부로 송신하고, 메인 제어부가 ac 전원의 차단 및 압축기 정지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2, 3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00)는 전원부(110), 릴레이부(120), 인버터 회로부(130), 신호 회로부(140),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메인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이하, 'ac 전원'으로 칭함, Vac)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원부(1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ac 전원(Vac)을 나타낼 수 있다.
릴레이부(120)는 전원부(110)에서 입력된 ac 전원(Vac)을 인버터 회로부(130)로 입력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릴레이부(120)는 신호 회로부(140)에서 입력된 턴온 신호(t_on)에 의해 턴온 동작하여 ac 전원(Vac)을 인버터 회로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 회로부(130)는 컨버터(132), 평활 커패시터(Cp) 및 인버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132)는 다수의 스위치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ac 전원(Vac)을 dc 링크 전원(Vdcp)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버터(132)는 교류 타입의 ac 전원(Vac)를 직류 타입의 dc 링크 전원(Vdcp)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dc 링크 전원(Vdcp)는 맥동률이 존재하는 직류 타입의 전원일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p)는 dc 링크 전원(Vdcp)의 맥동률을 상쇄시켜 직류 타입의 dc 전원(Vdc)을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136)는 다수의 스위치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dc 전원(Vdc)을 교류 타입의 모터 구동 신호(ms)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136)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 소자에 대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인버터(136)는 모터 구동 신호(ms)를 압축기에 포함된 모터(M)로 출력하여, 압축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신호 회로부(140)는 파워서플라이(150) 및 신호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파워서플라이(150)는 전원부(110)를 기준으로 릴레이부(120)와 병렬연결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150)는 정류부(152) 및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52)는 ac 전원(Vac)을 전파 정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정류부(152)는 다수의 다이오드(D)로 이루어진 브리지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다이오드(D) 외에 스위치 소자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SMPS(154)는 정류부(152)에서 전파 정류된 전원을 감압하여 제1 출력단으로 제1 전원레벨(V1)의 제1 턴온 전원(Vt_on1) 및 제2 출력단으로 제2 전원레벨(V2)의 동작 전원(Vd)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SMPS(154)는 제1 턴원 전원(Vt_on1) 및 동작 전원(Vd)를 출력하는 트랜스포머로 나타내지만, 별도의 다른 소자들 및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신호 제어부(160)는 생성부(162), 출력부(164) 및 감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62)는 SMPS(154)의 제2 출력단으로 출력된 동작 전원(Vd)으로 동작하며, 릴레이부(120)의 턴온 동작을 위한 제2 전원 레벨(V2)의 제2 턴온 전원(Vt_on2)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64)는 SMPS(154)의 제1 출력단으로 출력된 제1 턴원 전원(Vt_on1) 및 제2 턴온 전원(Vt_on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턴온 신호(t_on)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턴온 신호(t_on)는 릴레이부(120)의 턴온 동작 레벨을 갖는 제1, 2 턴온 전원(Vt_on1, Vt_on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감지부(166)는 턴온 신호(t_on), ac 전원(Vac) 및 dc 링크 전원(Vdcp)을 기반으로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압축기의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따라 턴오프 동작하여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먼저,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을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릴레이부(120) 및 신호 회로부(14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감지부(166)는 dc 링크 전원(Vdcp)이 설정된 기준 dc 전원보다 낮고, 턴온 신호(t_on)가 출력되고, ac 전원(Vac)이 설정된 기준 ac 전원보다 크면,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감지부(166)는 메인 제어부(190)로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됨을 알리는 감지 신호(ps)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66)는 메인 제어부(190)로 통신을 통하여 감지 신호(ps)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메인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 및 압축기가 정지됨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90)는 공기 조화기(100)를 냉/난방 사이클로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ps)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 및 압축기의 정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제어부(140)는 메인 제어부(190)로부터 송신된 운전 신호를 수신하면, 릴레이부(120)로 턴온 신호(t_on)를 출력할 수 있다(S110).
이후, 신호 제어부(140)는 ac 전원(Vac) 및 인버터 회로부(130)로부터 dc 링크 전원(Vdcp)를 수집할 수 있다(S120).
신호 제어부(140)는 dc 링크 전원(Vdcp)이 설정된 기준 dc 전원 보다 낮은 지 판단하고(S130), dc 링크 전원(Vdcp)이 상기 기준 dc 전원보다 낮으면 턴온 신호(t_on)의 출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이후, 신호 제어부(140)는 턴온 신호(t_on)의 출력 중이면, ac 전원(Vac)이 설정된 기준 ac 전원보다 큰지 판단하고(S150), ac 전원(Vac)이 설정된 기준 ac 전원보다 크면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해 턴오프 동작하는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S160).
신호 제어부(140)는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됨을 알리는 감지 신호(ps)를 메인 제어부(190)로 송신할 수 있다(S170).
또한, (S130), (S140) 및 (S150) 단계 이후, dc 링크 전원(Vdcp)이 상기 기준 dc 전원보다 높거나, 턴온 신호(t_on)의 출력되지 않거나, 또는 ac 전원(Vac)이 설정된 기준 ac 전원보다 낮으면, 턴온 신호(t-on)를 재출력할 수 있다(S180).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2, 3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동 회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의 연결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릴레이(120)와 출력부(164) 사이에서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과 직렬 연결되어, 출력부(164)에서 출력된 턴온 신호(t_on)를 릴레이부(120)로 전달하는 연결 라인 역할 및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SMPS(154)와 출력부(164) 사이에서 연결 라인 역할 및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의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SMPS(154)에서 출력된 제1 턴온 전원(Vt_on1)을 출력부(164)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하는 경우, 출력부(164)는 제1 턴온 전원(Vt_on1)이 미 입력되며, 제1 턴온 전원(Vt_on1)의 미입력을 감지부(166)로 알릴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생성부(162)와 출력부(164) 사이에서 연결 라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5의 스위치 연결 케이블(170)은 생성부(162)에서 출력된 제2 턴온 전원(Vt_on)를 출력부(164)로 전달할 수 있다.
보호 스위치들(SW1, SW2, SW3) 중 어느 하나가 턴오프 동작하는 경우, 출력부(164)는 제2 턴온 전원(Vt_on2)이 미 입력되며, 제2 턴온 전원(Vt_on2)의 미입력을 감지부(166)로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압축기의 동작을 위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출력하는 릴레이부;
    상기 ac 전원을 모터 구동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압축기로 상기 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회로부;
    상기 ac 전원이 상기 인버터 회로부로 입력되게 상기 릴레이부를 동작시키는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회로부; 및
    상기 압축기의 압력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해 턴오프 동작하는 보호 스위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회로부와 상기 릴레이부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버터 회로부로 상기 ac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턴온 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인버터 회로부터로 입력되는 상기 ac 전원을 차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dc 전원을 dc 링크 전원으로 평활하는 평활 커패시터; 및
    상기 dc 링크 전원을 상기 모터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회로부는,
    상기 릴레이부와 병렬 연결되며, 상기 ac 전원을 전파 정류하여 제1 전원레벨의 제1 턴온 전원 및 제2 전원레벨의 동작 전원을 출력하는 파워서플라이; 및
    상기 동작 전원으로 동작하며, 상기 릴레이부의 턴온 동작을 위한 상기 제2 전원레벨의 제2 턴온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1, 2 턴온 전원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턴온 신호,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링크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에 연결된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2 턴온 전원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제1, 2 턴온 전원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턴온 신호, 상기 ac 전원 및 상기 dc 링크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릴레이부가 턴온 동작되게, 상기 제1, 2 턴온 전원 중 상기 릴레이부의 턴온 동작 레벨을 갖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dc 링크 전원이 설정된 기준 dc 전원보다 낮고, 상기 턴온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ac 전원이 설정된 기준 ac 전원보다 크면,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냉/난방 사이클을 위한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보호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턴오프 동작 및 상기 압축기의 정지를 표시되는,
    공기 조화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은,
    상기 출력부와 상기 릴레이부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턴온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파워서플라이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연결 케이블은,
    상기 생성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90121773A 2019-10-01 2019-10-01 공기 조화기 KR10228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73A KR102287162B1 (ko) 2019-10-01 2019-10-01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73A KR102287162B1 (ko) 2019-10-01 2019-10-01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209A true KR20210039209A (ko) 2021-04-09
KR102287162B1 KR102287162B1 (ko) 2021-08-06

Family

ID=7544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773A KR102287162B1 (ko) 2019-10-01 2019-10-0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655B2 (ja) * 1991-02-21 2000-07-24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40034905A (ko) * 2002-10-17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의 인버터 구동장치
KR20050111283A (ko) * 2004-05-21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용 멀티 공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70336B1 (ko) * 2009-04-17 2013-05-3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회로, 및 전원 회로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1596680B1 (ko) * 2014-10-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9454B1 (ko) * 2017-11-13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동작 차단 회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655B2 (ja) * 1991-02-21 2000-07-24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40034905A (ko) * 2002-10-17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의 인버터 구동장치
KR100504857B1 (ko) * 2002-10-17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의 인버터 구동장치
KR20050111283A (ko) * 2004-05-21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용 멀티 공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70336B1 (ko) * 2009-04-17 2013-05-3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회로, 및 전원 회로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1596680B1 (ko) * 2014-10-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9454B1 (ko) * 2017-11-13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동작 차단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162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1807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10344998B2 (en) Air conditioner
KR10254389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50141085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20150035367A1 (en) Power Source Conversion Modul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EP19520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8072170B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102024091B1 (ko) 공기조화기
JP2004364491A (ja) 電源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装置
KR101934095B1 (ko) 공기조화기
KR102287162B1 (ko) 공기 조화기
JP5772578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10004685A (ko) 공기조화기
WO2015058538A1 (zh) 电源电路和空调机组
KR20190031992A (ko) Ac/dc 겸용 가능한 전원 입력 장치
JP6537594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1830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5392281B2 (ja) 電源回路および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JP6466023B2 (ja) 空気調和機
KR20200130051A (ko) 창문형 에어컨의 팬모터 제어 장치
EP3825617A1 (en) Air conditioner
KR102110536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957168B1 (ko) 공기조화기
KR20160122348A (ko) 인버터의 제어 장치
KR20200118688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