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958A -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958A
KR20210037958A KR1020190120514A KR20190120514A KR20210037958A KR 20210037958 A KR20210037958 A KR 20210037958A KR 1020190120514 A KR1020190120514 A KR 1020190120514A KR 20190120514 A KR20190120514 A KR 20190120514A KR 20210037958 A KR20210037958 A KR 2021003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ight
partition wall
dispos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경
김병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958A/ko
Priority to US17/754,362 priority patent/US20220397801A1/en
Priority to CN202080068749.3A priority patent/CN114450627B/zh
Priority to PCT/KR2020/012726 priority patent/WO20210663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3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격벽부 및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되고, 상기 수용부는 분산액 및 상기 분산액 내에 분산되는 복수의 광 흡수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와 접촉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가 연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된다.

Description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관한 것이다.
차광 필름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터치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송출할 때 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광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시야 각도에서 선명한 화질을 표현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광 필름은 차량이나 건물의 창문 등에 사용되어 외부 광을 일부 차폐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거나,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차광 필름은 광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광은 차단하고, 특정 방향으로의 광은 투과시키는 광 경로 변환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 필름에 의해 광의 투과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광 필름은 주변 환경 또는 사용자의 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는 차광 필름과, 주변 환경 또는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시야각 제어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스위쳐블 차광 필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스위쳐블 차광 필름은 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동하는 입자의 이동을 통해 온-오프에 따라 투과부 및 차광부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분산액 내부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광 필름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필름이 노트북 등에 적용될 때, 사용 전에는 차광 필름이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며, 사용 중에는 차광필름이 노트북 화면과 같이 45° 내지 135°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광 필름을 사용 중에 분산액에 분산된 입자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침강되어 차광 필름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광 흡수 입자의 중력 방향으로의 침강을 억제할 수 있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격벽부 및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되고, 상기 수용부는 분산액 및 상기 분산액 내에 분산되는 복수의 광 흡수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와 접촉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가 연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세워져서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4 방향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연장 방향도 2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각각의 연장 방향에 따라 상하 좌우 방향의 4 방향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1 기판 및 제 1 전극과 제 2 기판 및 제 2 전극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광 변환부의 사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에서 광 변환부 격벽부의 사시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전압의 인가에 의한 전기영동 입자의 이동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구동하는 스위쳐블 광 경로 제어 부재에 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기판(110), 제 2 기판(120), 제 1 전극(210), 제 2 전극(220), 광 변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상기 제 1 전극(2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리지드(rigid)하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판(11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연성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의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은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110)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도 플렉서블, 커브드 또는 벤디드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제어 부재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약 1㎜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제 1 기판(1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필름 형상으로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의 광 투과율은 약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약 10㎚ 내지 약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전극(210)은 저저항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튬(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제 1 기판(110) 일면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서 면전극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전극(210)은 복수 개의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메쉬선들 및 상기 메쉬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메쉬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전극(210)이 금속을 포함하여도, 외부에서 상기 하부 전극이 시인되지 않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들에 의해 광 투과율이 증가되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기판(12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의 제 1 전극(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기판(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판(12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연성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의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Copolymer, 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120)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120)은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기판(120)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도 플렉서블, 커브드 또는 벤디드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 제어 부재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약 1㎜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제 2 기판(12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제 2 기판(120)의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상부 기판(210)이 상기 제 1 기판(110)과 마주보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의 상기 제 1 전극(210)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제 1 전극(210)과 상기 제 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22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필름 형상으로 상기 제 2 기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220)의 광 투과율은 약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약 10㎚ 내지 약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전극(220)은 저저항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220)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튬(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제 2 기판(120) 일면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제 2 기판(120) 상에서 면전극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전극(220)은 복수 개의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220)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메쉬선들 및 상기 메쉬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메쉬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전극(220)이 금속을 포함하여도, 외부에서 상기 상부 전극이 시인되지 않아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들에 의해 광 투과율이 증가되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광 변환부(300)는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 변환부(300)는 상기 제 1 전극(210)과 상기 제 2 전극(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광 변환부(300)는 격벽부(310) 및 수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는 광 투과부를 구획하는 격벽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부(310)는 복수의 광 투과부를 구획하는 격벽 영역이다 상기 격벽부(310)는 양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20)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광 차단부 및 광 투과부로 가변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20)는 음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20)는 인접하는 양각 형상의 2개의 격벽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음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변환부(300)와 상기 제 1 기판(110) 사이 또는 상기 광 변환부(300)와 상기 제 2 기판(12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접착층(400)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110), 상기 제 2 기판(120) 및 상기 광 변환부(300)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와 상기 수용부(320)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격벽부(310)와 상기 수용부(320)는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격벽부(310)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용부(320)들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수용부(320)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격벽부(31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 및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과 접촉하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220)과는 상기 접착층(4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는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부(310)는 광 경화성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격벽부(310)는 UV 수지 또는 투명한 포토레지스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격벽부(310)는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는 상기 제 1 기판(110) 또는 상기 제 2 기판(120) 중 어느 하나의 기판으로 입사되는 광을 다른 기판 방향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제 1 기판(110) 방향에서 광이 출사되어 상기 제 2 기판(120)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는 상기 광을 투과하고, 투과된 광은 상기 제 2 기판(1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의 측면에는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500)가 배치되고, 상기 밀봉부에 의해 상기 광 변환부(300)의 측면은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20)는 분산액(320a) 및 광 흡수 입자(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에는 상기 분산액(320a)이 주입되어 충진되고, 상기 분산액(320a) 내에는 복수의 광 흡수 입자(10)들이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분산액(320a)은 상기 광 흡수 입자(10)를 분산시키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분산액(320a)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액(320a)은 비극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액(320a)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액(320a)은 할로카본(Halocarbon)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및 이소프로필 알콜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상기 분산액(320a) 내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광 흡수 입자(10)들은 상기 분산액(320a) 내에서 서로 이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표면에 전하를 가지는 입자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분산액(320a)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색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광을 흡수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블랙 색의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카본 블랙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광 흡수 입자(10)에 의해 광 투과율이 변화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광 흡수 입자(10)에 의해 광 투과율이 변화되어 광 차단부 및 광 투과부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부재는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 또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 변화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수용부(320)가 광 차단부가 되고, 상기 수용부(320)에 의해 특정 각도의 광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수용부(320)가 광 투과부가 되고,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상기 격벽부(310) 및 상기 수용부(320)에서 모두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각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의 전환 즉, 상기 수용부(320)가 광 차단부에서 광 투과부로의 변환되는 것은 상기 수용부(320)의 광 흡수 입자(10)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광 흡수 입자(10)는 표면에 전하를 가지고 있고, 전하의 특성에 따라 전압의 인가에 따라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전기영동 입자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서 광 경로 제어 부재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용부(320)의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상기 분산액(320a)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광 흡수 입자(10)에 의해 광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수용부(320)는 광 차단부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외부에서 광 경로 제어 부재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광 흡수 입자(10)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광 흡수 입자(10)가 상기 수용부(320)의 일 끝단 또는 타 끝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제 1 전극(210) 및/또는 제 2 전극(22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 사이에서 전계(Eletric Field)가 형성되고, 대전된 상태인 광 흡수 입자(10)는 분산액(320a)을 매질로 하여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 중 (+)극의 전극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 및/또는 제 2 전극(2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상기 분산액(320a)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기 수용부(320)는 광 차단부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 및/또는 제 2 전극(220)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광 흡수 입자(10)는 상기 분산액(320a) 내에서 제 2 전극(21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흡수 입자(10)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용부(320)는 광 투과부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2가지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시야 각도에서만의 광 투과를 원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를 광 차단부로 구동하고, 또는, 사용자가 넓은 시야각 및 높은 휘도를 요구하는 환경에서는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수용부를 광 투과부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두 가지 모드로 구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환경 등에 따라 구애받지 않고, 광 경로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광 변환부(300)는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사용 전후에 따라 배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사용하기 전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광 변환부(300)는 눕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접착층(400)과 접착하는 상기 광 변환부(300)의 일면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 제어 부재를 사용할 때는, 상기 광 변환부(300)는 약 45° 내지 135°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상기 광 변환부는 약 90°의 각도로 세워질 수 있다. 즉,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광 변환부의 측면 즉, 밀봉부(500)의 일면이 보일 수 있다.
이때,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또는 사용 상태로 광 경로 제어 부재를 보관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320) 내부의 광 흡수 입자(10)는 중력에 의해 중령 방향 즉, 하부 방향으로 침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시간에 따라, 광 흡수 입자(10)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수용부(320) 내부에 광 흡수 입자(10)의 침강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21은 광 변환부(300)의 격벽부(310) 및 수용부(320)의 사시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 도 8 내지 도 21은 광 변환부(300)의 수용부에 분산액이 충진되기 전 격벽부(310) 및 수용부(320)의 사시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L)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w1)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가 연장하는 거리로 정의되는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L)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w1)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L)은 상기 수용부(320)의 폭(w1)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한 상기 돌출부(330)의 폭 (w3)의 크기는 상기 수용부의 폭(w1) 이상이고, 상기 수용부의 폭(w1) 및 상기 격벽부의 폭(w2)의 합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의 폭 (w3)의 크기가 상기 수용부의 폭(w1) 미만인 경우, 상기 돌출부의 지지력이 약해져서 신뢰성이 문제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330)의 폭 (w3)의 크기가 상기 수용부의 폭(w1) 및 상기 격벽부의 폭(w2)의 합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부 영역의 크기가 감소되어, 주입되는 분산액 및 광 흡수 입자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일정 이격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제 2 격벽부(310b)의 이격거리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의 크기의 10% 내지 50%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제 2 격벽부(310b)의 이격거리가 상기 수용부(320)의 폭의 크기의 10% 미만인 경우,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330)가 배치되는 영역이 병목 영역이 되어, 분산액의 주입이 어려울 수 있고, 입자의 이동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격벽부(310b)의 이격거리가 상기 수용부(320)의 폭의 크기의 50%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에 의한 광 흡수 입자의 침강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제 1 격벽부(310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일정한 이격거리로 이격하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의 이격거리는 상기 수용부 폭(w3)의 1배 내지 20배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의 이격거리는 상기 수용부 폭(w3)의 1배 미만인 경우, 돌출부가 형성되는 영역이 너무 많아지게 되어, 오히려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의 이격거리는 상기 수용부 폭(w3)의 20배를 초과하는 경우, 광 흡수 입자의 침강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 1 돌출부(331) 및 제 2 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되는 제 1 돌출부(331) 및 제 2 격벽부(310b)에서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인접하는 제 1 격벽부(310a)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되는 제 2 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331)는 상기 제 1 돌출부(331)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2 돌출부(332)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제 2 돌출부(332)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돌출부(331) 및 제 2 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되는 제 1 돌출부(331) 및 제 2 격벽부(310b)에서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인접하는 제 3 격벽부(310c)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되는 제 2 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3 격벽부(310c)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각각의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331)는 상기 제 1 돌출부(331)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2 돌출부(332)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제 2 돌출부(332)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4 방향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연장 방향도 2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각각의 연장 방향에 따라 상하 좌우 방향의 4 방향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 1 돌출부(331) 및 제 2 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되는 제 1 돌출부(331) 및 제 2 격벽부(310b)에서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인접하는 제 1 격벽부(310a)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되는 제 2 돌출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 및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동일한 수용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출부(331)는 상기 제 1 돌출부(331)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2 돌출부(332)와 중첩되고,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제 2 돌출부(332)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격벽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31)와 상기 제 2 돌출부(332)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복수의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의 높이는 상기 격벽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330)의 높이는 상기 격벽부(31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 및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모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격벽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상기 수용부 및 격벽부의 일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는 개구 영역(O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개구 영역의 높이(h)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에 대해 50% 이하이고, 상기 개구영역의 폭(w4)은 상기 수용부의 폭의 10% 내지 50%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330)에는 개구 영역(O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 및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모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격벽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3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부(320) 영역이 폐구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330)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320)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제 1 격벽부(310a)에서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310b) 방향으로 연장하며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격벽부(310)가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는 접촉하고,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2 격벽부(310b)와 일정 이격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310)와 상기 돌출부(330)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격벽부(310)는 상기 격벽부(310)가 상기 돌출부(330)와 접촉하는 면 및 이와 반대되는 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격벽부(310)의 측면은 제 1 각도(θ1)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가 상기 제 1 격벽부(310a) 접촉되는 면 및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제 2 격벽부(310b)가 바라보는 면을 연결하는 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돌출부(330)의 측면은 제 2 각도(θ2)로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각도(θ1)와 상기 제 2 각도(θ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각도(θ2)는 상기 제 1 각도(θ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각도(θ2)는 상기 제 1 각도(θ1)보다 5배 이하로 클 수 있다.
상기 제 2 각도(θ2)가 상기 제 1 각도(θ1) 작은 경우,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임프린팅 공정시 몰드의 이형 불량으로 인해 구현하고자 하는 수용부 형상이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각도(θ2)가 상기 제 1 각도(θ1)의 5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돌출부 영역이 너무 커지게 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 분산되는 분산액 및 광 흡수 입자가 배치되는 영역이 감소되어, 상기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는 상기 제 1 격벽부(310a)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30)는 광 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30)와 상기 제 1 격벽부(310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310)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31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30)에 의해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사용될 때,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 흡수 입자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 영역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일 영역에 응집되어, 광 흡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장시간 구동시에도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시야각 제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수용부(310)의 일 끝단에서 타 끝단으로 연장하며 상기 수용부(320)의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에서 상기 제 2 전극(220)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수용부(320)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20)의 폭은 사용자의 시야면에서 그 반대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부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320)의 광 흡수 입자들은 상기 수용부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20)의 폭은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부에서 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부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들은 상기 시야면이 아닌 시야면의 반대면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시야면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어, 광 경로 부재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 입자들이 폭이 넓은 영역에서 좁은 영역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광 흡수 입자들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 입자가 상기 수용부의 좁은 영역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의 시야면 방향으로 투과되는 광량을 증가시켜,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에서 상기 제 2 전극(220)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수용부(320)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20)의 폭은 사용자의 시야면에서 그 반대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투과부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320)의 광 흡수 입자들은 상기 수용부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20)의 폭은 광이 입사되는 광 입사부에서 광이 출사되는 광 출사부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흡수 입자들이 이동하는 수용부의 일면과 하부 전극의 접촉 영역이 증가되어 광 흡수 입자의 이동 속도 즉,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 또는 상기 제 2 전극(220)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 중 어느 하나의 전극과만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과는 접촉하고, 상기 제 2 전극(220)과는 서로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20)와 상기 제 2 전극(220)이 서로 이격되는 영역에는 상기 격벽부(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시야면 방향의 전극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야면 방향의 전극은 상기 수용부(32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야면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증가시켜,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휘도를 향상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20)는 일정한 경사각도(θ)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에 대해 0° 초과 내지 90°미만의 경사각도(θ)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는 상기 제 1 전극(210)의 일면에 대해 0° 초과 내지 90°미만의 경사각도(θ)를 가지면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 경로 부재가 표시 패널과 함께 사용될 때, 표시 패널의 패턴과 광 경로 부재의 수용부(320)의 중첩 현상에 따른 무아레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4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4를 참조하면, 제 1 기판(110) 및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물질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면 상에 상기 전극 물질을 코팅 또는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전극 물질은 상기 제 1 기판(110)의 전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면전극으로 형성되는 제 1 전극(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극(210) 상에 수지 물질을 도포하여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전극(210) 상에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여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층에 패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몰드를 임프린팅하여, 상기 수지층에 홀 또는 홈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잔류되는 수지층에 의해 격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지층에 앞서 설명한 격벽부(310)와 수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6을 참조하면, 제 2 기판(120)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물질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기판(120)의 일면 상에 상기 전극 물질을 코팅 또는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전극 물질은 상기 제 2 기판(120)의 전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기판(120) 상에 면전극으로 형성되는 제 2 전극(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전극(220)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여 접착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00)은 상기 제 2 전극(220)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8을 참조하면, 앞서 제조한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을 접착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기판(120) 상의 접착층(400)을 통해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을 접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은 상기 제 1 기판(110)의 장변 방향과 상기 제 2 기판(120)의 단변 방향이 서로 겹쳐지도록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차단막(600)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단막(600)은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320)의 상부 및 하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막(600)은 상기 수용부(320)가 상기 차단막(600)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 즉, 상기 격벽부(310)들 사이에 광투과 가변 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용부(320) 사이 즉, 격벽부들 사이에 파라핀계 용매 등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매에 카본 블랙 등의 광 흡수 입자가 분산된 광투과 가변 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부(310) 사이사이에 앞서 설명한 수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320)의 측면 방향으로 밀봉부(500)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 내부의 광투과 가변 물질을 외부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기판(110)을 절단함으로써, 최종적인 광 경로 제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000)는 표시 패널(2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1000)는 서로 접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1000)는 접착부재(1500)를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500)는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1500)는 광학용 투명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500)는 이형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 경로 부재와 표시 패널을 접착할 때,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접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제 1 기판(2100) 및 제 2 기판(2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2100)과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제 2 기판(220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박막트랜지스터, 칼라필터 및 블랙전해질(320a)가 제 1 기판(2100)에 형성되고, 제 2 기판(220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2100)과 합착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의 액정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2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210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전해질(320a)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전해질(320a)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배면에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제 1 기판(210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 역할을 하는 제 2 기판(2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 사이에는 편광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 또는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 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1000) 상에는 반사 방지층 또는 안티글레어 등의 추가적인 기능층(13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능층(1300)은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일면과 접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능층(1300)은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베이스 기재(100)와 접착층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층(1300) 상에는 상기 기능층을 보호하는 이형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과 광 경로 제어 부재 사이에는 터치 패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에 대해 도시되었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광 제어 부재는 광 조절이 가능한 위치 즉,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2 기판 및 제 1 기판 사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과 같이 광 경로 제어 부재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가 광 차단부로 기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광 모드로 구동되고, 도 34와 같이 광 경로 제어 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가 광 투과부로 기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개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프라이버시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정보, 차량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차량의 속도, 엔진 및 경고 신호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차량의 전면 유리(FG) 또는 좌우 창문 유리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격벽부 및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되고,
    상기 수용부는 분산액 및 상기 분산액 내에 분산되는 복수의 광 흡수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가 연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격벽부의 높이와 동일한 광 경로 제어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제 1 격벽부 및 상기 제 1 격벽부와 인접하는 제 2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격벽부에서 상기 제 2 격벽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폭보다 작은 광 경로 제어 부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격벽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격벽부와 이격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격벽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수용부의 폭의 10% 내지 50%인 광 경로 제어 부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는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격벽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폭 이상 내지 상기 수용부의 폭 및 상기 격벽부의 폭의 합 이하인 광 경로 제어 부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의 이격거리는 상기 수용부 폭의 1배 내지 20배인 광 경로 제어 부재.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격벽부와 접촉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격벽부와 접촉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돌출부가 연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중첩되지 않는 광 경로 제어 부재.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격벽부와 접촉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격벽부와 접촉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동일한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폭과 동일한 광 경로 제어 부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돌출부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 영역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 높이의 50% 이하이고,
    상기 개구 영역의 폭은 상기 수용부 폭의 10% 내지 50%인 광 경로 제어 부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제 1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 2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사각도는 상기 제 1 경사각도의 5배 이하로 큰 광 경로 제어 부재.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광 차단부로 구동하고,
    상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광 투과부로 구동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18.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는 교대로 배치되는 격벽부 및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화되고,
    상기 수용부는 분산액 및 상기 분산액 내에 분산되는 복수의 광 흡수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부가 연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수용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돌출부는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 영역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 높이의 50% 이하이고,
    상기 개구 영역의 폭은 상기 수용부 폭의 10% 내지 50%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20514A 2019-09-30 2019-09-3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7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14A KR20210037958A (ko) 2019-09-30 2019-09-3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7/754,362 US20220397801A1 (en) 2019-09-30 2020-09-21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CN202080068749.3A CN114450627B (zh) 2019-09-30 2020-09-21 光路控制构件及具有其的显示器
PCT/KR2020/012726 WO2021066368A1 (ko) 2019-09-30 2020-09-21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14A KR20210037958A (ko) 2019-09-30 2019-09-3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58A true KR20210037958A (ko) 2021-04-07

Family

ID=7546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514A KR20210037958A (ko) 2019-09-30 2019-09-3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9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778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1549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4414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175868B (zh) 光路控制构件及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US20220214570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136836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1553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3333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3854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42610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6433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7958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395015B2 (ja) 光経路制御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JP7478825B2 (ja) 光経路制御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1654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3149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1547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4266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1542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21466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47612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1867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5468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43155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6600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