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879A -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879A
KR20210037879A KR1020190120331A KR20190120331A KR20210037879A KR 20210037879 A KR20210037879 A KR 20210037879A KR 1020190120331 A KR1020190120331 A KR 1020190120331A KR 20190120331 A KR20190120331 A KR 20190120331A KR 20210037879 A KR20210037879 A KR 2021003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heet
diaper
electrode sheet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김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용 filed Critical 김상용
Priority to KR102019012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879A/ko
Publication of KR2021003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8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통전되어 배뇨 또는 배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가 소지한 수신기나 스마트 기기로 배뇨 및 배변 여부를 알려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2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Electrode sheet for detecting feces and urine in diaper and feces and urine detecting system having the electrode sheet}
본 발명은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통전되어 배뇨 또는 배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가 소지한 수신기나 스마트 기기로 배뇨 및 배변 여부를 알려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2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와병생활중인 고령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고령 환자의 경우 거동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배뇨나 배변을 자신의 의지에 따라 가릴 수 없는 경우가 많은 데, 이러한 고령 환자의 간병은 주위 많은 사람들에게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환자는 밤낮을 불문하고 배뇨와 배변을 하는데 매일 7회에서 8회의 기저귀 교환은 간병인들에게 참으로 고단하고 힘든 작업이다.
최근 침대에서 대소변을 자동으로 배출하고 환자의 피부를 온수로 세척한 뒤, 온풍으로 건조하는 제품이 일본에서 개발되어 국내에 수입 판매되고 있다.
이 대소변 처리 제품은 간병인들을 배뇨 배변 처리작업에서 해방시켜줄 수 있으나 초기 제품의 구입 비용이 비싸고 지속적으로 운용비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일반 요양병원에서 도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간병인은 환자의 기저귀를 수시로 확인하고, 배뇨나 배변을 하였을 때 기저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간병을 수행하는데, 배뇨나 배변을 하지 않았음에도 기저귀를 수시로 확인하여 환자로 하여금 매우 큰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으로 환자가 배뇨나 배변을 하였음에도 기저귀교체를 하지 않을 경우 욕창, 변비, 요도염과 같은 2차 질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배뇨나 배변을 하였을 경우 적절한 시기에 기저귀를 교체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뇨나 배변시 보호자에게 즉시 알려주어 적절한 시기에 기저귀를 교체하게 함으로써 2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물감이 거의 없고 완제품 기저귀에 부착하거나 기저귀 제작 공정 중에 삽입할 수 있는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변 및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저귀에 구비되어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극시트로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 상에 프린팅 되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는 환자의 인체에 닿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방수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시트는 미리 제작된 기저귀의 부직포 상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기저귀 제작 공정 중에 상기 흡수층 하단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프린팅 되어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와 상기 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와 이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타측에 프린팅 되어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에 구비되어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극시트로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부직포 시트 제작시 함께 직조되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사 시트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부착되거나 직조되어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와 상기 소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와 이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타측에 부착되거나 직조되어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귀에 구비되어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극 시트로서, 상기 전극 시트는 상기 기저귀에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패치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기저귀에 탈착할 수 있는 패치 본체; 상기 패치 본체에 구비되는 양극; 및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상기 패치 본체에 구비되는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시트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시트; 상기 전극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시트가 통전되었을 때, 외부로 대소변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보호자가 소지하며,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알림광, 알림음 또는 알림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는 대변 감지신호와 소변 감지신호로 구분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가 상기 대변 감지신호인지 상기 소변 감지신호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광, 알림음 또는 알림 문자메시지를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의 수신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광, 알림음 또는 알림 문자메시지를 출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여부를 직접 또는 통합서버를 통해 보호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영상이나 음성을 통해 환자의 대소변 상태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배뇨나 배변시 보호자가 소지한 수신기나 스마트기기를 통해 즉시 알려주어 적절한 시기에 기저귀를 교체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수치심을 최소화하면서도 욕창, 변비, 요도염과 같은 2차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얇은 부직포 시트에 전도성 잉크를 프린팅하거나 도전사 시트를 접착하여 제작하므로 환자가 기저귀를 착용하였을 때, 이물감이 거의 없고 완제품 기저귀에 부착하거나 기저귀 제작 공정 중에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전도성 잉크나 도전사 시트를 기저귀 상에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대변 및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어 배변시에는 즉시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고 배뇨시에는 적당한 용량의 배뇨가 이루어져 교체시기에 적절히 기저귀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송신기 모듈에서 수분량에 대한 민감도 조절을 통해 대소변의 양이 미세한 경우 알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거나 역으로 미세할 경우에도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전극 시트 상의 전도성 잉크나 도전사 시트가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부직포를 덧대어 이물감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가 기저귀 제작 공정 중에 기저귀 내부에 삽입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에서 전도성 잉크를 대변 감지용과 소변감지용으로 구분하여 프린팅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에서 도전사 시트를 대변 감지용 및 소변 감지용으로 구분하여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극 시트(100)는 기저귀 본체(10)에 부착되어 환자가 배변이나 배뇨을 하였을 때, 수분에 의해 통전되어 대소변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전극 시트(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제품인 기저귀 본체(10)의 상면에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 본체(10)의 제작공정 중에 상기 기저귀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저귀 본체(10)는 환자의 피부에 닿는 면인 부직포(11), 상기 부직포(11)의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층(12) 및 상기 흡수층(12)의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게 하는 방수층(13)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극 시트(100)는 상기 흡수층(12)과 상기 방수층(13)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전극 시트(100)가 상기 부직포(11)와 상기 흡수층(12) 사이에 삽입될 경우, 상기 흡수층(12)의 수분 흡수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 시트(100)는 부직포 시트(110)와 전도성 잉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직포 시트(110)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얇은 섬유시트로써, 솜, 비스코스레이온, 나일론 등의 재료로 제작된다.
그러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면 상기 부직포 시트(110)의 재료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물론, 상기 부직포 시트(110)는 직포 공정을 거친 직물시트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잉크(120)는 상기 부직포 시트(110)에 프린팅되며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잉크이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잉크(120)는 서로 이격된 양극라인(121) 및 음극라인(122)으로 프린팅된다.
즉, 상기 양극라인(121)과 상기 음극라인(122)은 평상시 서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오픈되어 있다가 환자가 대변이나 소변을 볼 경우, 수분에 의해 서로 단락되어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 시트(100)는 송신기(200) 및 수신기(300)와 함께 하나의 대소변 감지 시스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 시트(110)에 상기 전도성 잉크(120)가 프린팅 되어 있고, 직접 피부에 닿기 때문에 잉크가 피부에 묻어나거나 환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 시트(110) 상에 별도의 부직포를 덮어 잉크가 피부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감이나 거부감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기(200)는 상기 전극 시트(100)의 전도성 잉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도성 잉크(120)로 전류를 흘려 도통될 경우 환자가 배뇨 또는 배변한 것으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송신기(200)는 대소변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송신기(200)는 집게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기저귀 본체(10)의 모서리에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200)에 의해 환자가 이물감을 느낄 경우, 상기 전도성 잉크(120)와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한 채, 기저귀 본체(10)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신기(200)는 수분량 검출에 대해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경우 대소변의 양이 미세한 경우 배뇨 또는 배변을 감지하지 않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대소변의 양이 미세한 경우에도 배뇨 또는 배변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300)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소지하며 상기 송신기(20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와 상기 송신기(2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FS 통신 방식(frequency shift communication)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블루투스의 경우 하나의 수신기가 다수의 송신기와 연결되는데 한계가 있고, 와이파이의 경우 전력소모가 커, 상기 송신기(200)에 용량이 큰 배터리나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전력으로 다수의 송신기와 연결될 수 있는 FS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는 상기 송신기(200)로부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알림광을 출력하는 램프(310)와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3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는 상기 송신기(200)로부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한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광이나 알람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소변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는 녹색LED, 1회~2회 수신되었을 때는 황색 LED, 3회 이상 수신되었을 때는 적색 LED를 점등할 수 있다.
이는 기저귀가 흡수할 수 있는 최대 용량 이상으로 배뇨가 된 경우 기저귀를 교체하게 함으로써 기저귀 교체를 횟수를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배변이 된 경우에는 즉시 적색 LED를 점등한다.
또한, 배뇨와 배변은 수분량이 서로 상이하므로 배뇨하였을 때와 배변하였을 때, 상기 전도성 잉크(120)의 저항값이 달라진다.
즉, 상기 전도성 잉크(120)에 흐르는 전류 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배뇨와 배변을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송신기(200)에서 수분량에 대한 민감도 조절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전류의 검출 분해능이 낮을 경우 배뇨와 배변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는 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뇨와 배변을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잉크(120)를 대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120a)와 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120b)를 각각 분리하여 프린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120b)에 전류가 흐른다면, 상기 송신기(200)는 소변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대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120a)에 전류가 흐른다면 대변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는 상기 대변 감지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즉시 적색 LED를 점등할 수 있고, 상기 소변 감지신호가 수신되었을 때는 수신횟수에 따라 황색 또는 적색 LED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는 보호자의 스마트 기기(2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대소변 감지신호의 수신여부를 신호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기기(20)는 영상이나 음성을 통해 환자의 배뇨 및 배변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 기기(20)는 상기 송신기(200)로부터 직접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와 상기 스마트 기기(20) 사이에는 신호를 중계해주고 배변 및 배뇨 이력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통합서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300)는 상기 통합서버를 통해 대소변 감지신호의 수신여부를 상기 스마트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4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100)와 비교하여 부직포 시트(110)의 구성은 동일하고, 상기 부직포 시트(110) 상에 상기 전도성 잉크(120)가 프린팅되는 대신, 도전사 시트(410)가 부착되어 수분을 감지한다.
이 도전사는 전도성 성분이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는 형태의 원사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실이다.
그러나 상기 도전사는 전도성 파우더가 첨부되어 코로나 현상에 의해 전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제전사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전사 시트(410)는 수분이 닿을 경우 저항값이 달라지고 상기 송신기(200)는 전류 값을 측정함으로써 배변 또는 배뇨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400) 역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 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 제작 공정에서 흡수층(12)과 방수층(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사 시트(410)는 상기 부직포 시트(110)를 제작할 때, 상기 부직포 시트(110)에 직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사 시트(410)는 배변과 배뇨를 식별하며 감지할 수 있도록, 대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410a)와 소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410b)로 분리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500)는 상기 기저귀에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패치형으로 제공되며, 하나의 패치 본체(503)에 전극역할을 하는 양극(501)과 음극(502)를 분리 부착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패치 본체(503)에 수분이 흡수되거나 묻을 경우 상기 양극(501)과 상기 음극(502)은 전기적으로 통전되어 배뇨 또는 배변을 감지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500)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100,400)와 달리 세척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400,500:전극 시트 110:부직포 시트
120:전도성 잉크 120a:대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
120b: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 200:송신기
300:수신기 310:램프
320:스피커 410:도전사 시트
410a:대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 410b:소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
501:양극 502:음극
503:패치 본체

Claims (11)

  1. 기저귀에 구비되어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극시트로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 상에 프린팅 되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는 환자의 인체에 닿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방수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시트는 미리 제작된 기저귀의 부직포 상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기저귀 제작 공정 중에 상기 흡수층 하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프린팅 되어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와 상기 소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와 이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타측에 프린팅 되어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감지용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
  4. 기저귀에 구비되어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극시트로서,
    부직포 시트; 및
    상기 부직포 시트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부직포 시트 제작시 함께 직조되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는 환자의 인체에 닿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 하단에 합지되어 수분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방수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시트는 미리 제작된 기저귀의 부직포 상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기저귀 제작시 상기 흡수층 하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사 시트는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 부착되거나 직조되어 소변을 감지하는 소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와 상기 소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와 이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 타측에 부착되거나 직조되어 대변을 감지하는 대변 감지용 도전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시트.
  7. 기저귀에 구비되어 환자가 대소변을 보았을 때, 수분에 의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극 시트로서,
    상기 전극 시트는 상기 기저귀에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패치형으로 제공되며,
    상기 기저귀에 탈착할 수 있는 패치 본체;
    상기 패치 본체에 구비되는 양극; 및
    상기 양극과 이격되어 상기 패치 본체에 구비되는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 시트;
    상기 전극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시트가 통전되었을 때, 외부로 대소변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보호자가 소지하며,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알림광, 알림음 또는 알림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는 대변 감지신호와 소변 감지신호로 구분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가 상기 대변 감지신호인지 상기 소변 감지신호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광, 알림음 또는 알림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의 수신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광, 알림음 또는 알림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대소변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여부를 직접 또는 통합서버를 통해 보호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는 영상이나 음성을 통해 환자의 대소변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KR1020190120331A 2019-09-30 2019-09-30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KR20210037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31A KR20210037879A (ko) 2019-09-30 2019-09-30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31A KR20210037879A (ko) 2019-09-30 2019-09-30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879A true KR20210037879A (ko) 2021-04-07

Family

ID=7546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331A KR20210037879A (ko) 2019-09-30 2019-09-30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8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811B1 (en) Urine-detection device with adhesive tape and emitter sensor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CN105078659B (zh) 传感器、失禁服、和激活失禁服的方法
US20180271714A1 (en) Remote monitoring of absorbent article
WO2006119523A1 (de) Krankenpflegesystem
JP2020504661A (ja) 監視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失禁センサパッド及び送信器のための方法
EP3747415B1 (en) Wetne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40121059A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JP2002143199A (ja) 排泄検知装置
TWM515376U (zh) 尿布監測與分析系統
CN106510959B (zh) 智能护理耗材与其卷带式制造方法以及卷带式感应模块
JP2019520964A (ja) おむつセンサ装置およびおむつ監視システム
JP2007296024A (ja) 電子おむつシステム
JP3210792U (ja) 大小便検知センサ、おむつ及び監視システム
CN109259936B (zh) 一种智能尿不湿及其工作方法
KR20140124190A (ko) 수분감지 센서 및 시스템과 그 방법
Simik et al. A design of smart diaper wet detector using wireless and computer
KR20210037879A (ko) 기저귀 대소변 감지용 전극 시트 및 그 전극 시트를 갖는 대소변 감지 시스템
KR101382138B1 (ko) 스마트 기저귀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JPH09294762A (ja) おむつ用センサ
CN205459392U (zh) 一种具有大小便判断功能的纸尿裤
JP6401642B2 (ja) 残尿量測定支援システム
JP2021074538A (ja) 排泄物受容具及び排泄物検出モジュール
CN209270088U (zh) 一种智能尿不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