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956A - 재구성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재구성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956A
KR20210036956A KR1020217005767A KR20217005767A KR20210036956A KR 20210036956 A KR20210036956 A KR 20210036956A KR 1020217005767 A KR1020217005767 A KR 1020217005767A KR 20217005767 A KR20217005767 A KR 20217005767A KR 20210036956 A KR20210036956 A KR 20210036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onfiguration message
rrc
reconfigur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657B1 (ko
Inventor
웨이 바오
샤오동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제구성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며, RRC 접속 재구축 과정에서, UE에서 진행중인 전송이 스톱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개시의 처리 방법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구성 방법 및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8월 1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No.201810864515.4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구성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기기 또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UE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해야 한다.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은 네트워크 및 UE 사이의 시그널링 접속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고, 즉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 Radio Bearer,SRB1)이다.
UE 및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UE 및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MN) 사이에서 무선 링크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UE가 MN 다운링크 품질 검측을 위하여 설정한 타이머 T310 타임 오버; UE MAC층 RACH 최대 횟수 도달 시도에도 미성공; UE RLC층 AM 모드 최대 횟수 재 전달에도 미성공 등);
UE 핸드오버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UE가 수신한 SRB1 또는 SRB2가 전송한 시그널링에 완정성 보호 검증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UE가 네트워크에서 송신한 RRC 재구성 명령을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재구성한 후의 파라미터 값이 UE의 하드웨어 능력을 초과); 를 포함한다.
하지만 RRC 접속 재구축 과정중, UE에서 진행중인 전송은 잠시 스톱돼야 되고, 사용자의 체험에 영향을 준다.
본 개시의 목적은 재구성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여, RRC 접속 재구축 과정중, UE에서 진행중인 전송이 잠시 스톱되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는 단말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과 접속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과 접속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기 위한 리포팅 모듈; 및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재구성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재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재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상술한 기술 방안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여,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피면하며, 나아가, UE 데이터 송수신 중단이 발생하는 문제를 피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응용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방법의 플로우차트 2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블록도 1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블록도 2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의 모듈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의 구조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청구항 및 명세서에 사용한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낸다.
다음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청구항에서 기술한 범위, 적용성 또는 배치에 대하여 한정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하는 요소의 기능 및 어렌지에 대하여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각종 예시적인 실시예는 각종 프로토콜 또는 컴포넌트를 적당히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한 순서와 상이하게 설명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각종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이외, 모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합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응용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 제1 기지국(12) 및 제2 기지국(13)을 포함하며, 그 중, 사용자 단말(11)은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일 수 있고,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PDA로 약칭),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1)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제1 기지국(12) 및 제2 기지국(13)는 5G 및 이후 버전의 기지국(예컨대: gNB, 5G NR NB),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중의 기지국일 수 있고, 또는 노드B, 진화 노드B, 송수신 노드(transmitting receiving point,TRP) 또는 상기 분야중 기타 어휘로 불릴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 효과에 도달할 수 만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된 기술 어휘에 한정되지 않고,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5G 기지국를 예를 들었지만, 기지국의 구체적인 타입은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과 접속되며,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며, 우선 다음과 같은 설명을 진행한다.
(1) 이중 접속 또는 다중 접속
이중 접속은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중에 유입한 기술이고, 뉴 무선(New Radio,NR)중에도 사용될 것이며, UE가 동시에 두개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고, 두개 기지국에서 동시에 사용자 기기 또는 단말(User Equipment, UE)을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개 기지국의 무선 리소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에, UE의 트래픽 데이터 전송 속도가 배로 상승된다.
동일한 UE를 위하여 서비스하는 두개 기지국 사이에는 시그널링 인터페이스가 있고, 관련 UE의 배치 정보를 상호 연통할 수 있다.
이중 접속 UE의 서비스 기지국은 동일한 무선 액세스 타입(Radio Access Type,RAT)일 수 있고, 예컨대: 두개의 LTE eNB일 수 있고; 상이한 RAT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는 LTE eNB이고, 하나는 NR eNB일 수 있다.
이중 접속 UE의 서비스 기지국중 하나는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MN)이고, 하나는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SN)이다. 그 중, 각각의 기지국은 모두 캐리어 중합(Carrier Aggregation,CA)을 서포트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중 접속 UE를 위하여 두개의 스페셜 셀(special cell)을 배치해 주고, 즉 MN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UE의 프라이머리 셀(rimary Cell,PCell)로 배치하고, SN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UE의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PScell)로 배치한다. UE를 위하여 서비스하는 MN 및 SN의 기타 셀은 해당 UE의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이다.
다중 접속은 두개를 초과한 기지국가 동일한 UE를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중 접속과 유사하다. 다중 접속UE의 서비스 기지국중 하나는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MN)이고, 기타는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 ,SN)이다. 그 중, 각각의 기지국은 전부 CA를 서포트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다중 접속 UE를 위하여 복수 개의 스페셜 셀(special cell)을 배치해 주고, 즉 MN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UE의 프라이머리 셀(rimary Cell,PCell)로 배치하고, 각각의 SN의 하나의 서비스 셀을 UE의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PScell)로 배치한다. UE를 위하여 서비스하는 MN 및 SN의 기타 셀은 해당 UE의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이다.
(2) 캐리어 중합
LTE에서, 각각의 셀의 시스템 대역폭은 최대로 20MHz이고, 하나의 기지국은 복수 개의 상이한 센터 주파수 포인트의 셀을 관여할 수 있다. CA 능력이 있는 UE가 큰 대역폭 수요가 있을 때(예컨대 고속으로 큰 파일을 다운해야 할 때), 기지국은 소속의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셀을 배치하고(UE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의 셀의 커버리지 범위내에 있음) 동시에 UE를 위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5개 20MHz 셀을 UE에 배치해주고, 이에 따라 UE는 동시에 100MHz 대역폭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접속상태 UE를 위하여 CA를 진행할 수 있는 캐리어 중합을 배치하고, 해당 캐리어 중합에서, 하나의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PCell)이고, 나머지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이다.
NR 시스템도 LTE와 유사한 캐리어 중합 기술을 사용한다.
(3) RLM 및 RLF
LTE 및 NR 시스템에서, UE는 무선 링크 모니터(Radio Link Monitor,RLM) 기능을 통하여, 무선 링크 페일(Radio Link Failure,RLF) 발생 여부를 검측한다. RLF 발생 판정후, UE는 상응한 링크 회복 플로우를 실행한다.
RLM 및 RLF는 오직 PCell 및 PScell에서 실행한다.
(3.1) PCell에서의 RLM 및 RLF
LTE의 RLM 기능에서, UE는 PCell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 대응되는 셀 참조 신호(CRS)의 신호 및 간섭 플러스 소음 비(SINR)를 측정하는 것을 통하여 무선 링크에 대한 검측을 구현한다. UE 물리층(L1)에서 PCell의 PDCCH에 대응되는 CRS의 SINR이 일정한 도어 임계보다 낮은 것으로 측정하였을 때 해당 무선 링크는 "out-of-sync"임을 확정하고; 물리층에서 고층(RRC층, L3)에 아웃 스텝 out-of-sync 지시를 통지하며, RRC층에서 연속으로 N310개 out-of-sync 를 지시하였을 때, UE RRC층에서 하나의 Timer T310을 오픈한다.
PCell PDCCH에 대응되는 CRS의 SINR이 일정한 도어 임계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하였을 때 해당 무선 링크는"in-sync"임을 확정한다. 물리층에서 고층(RRC층)에 동기화 in-sync 지시를 통지하며, Timer T310 운행시, RRC층에서 연속으로 N311개 in-sync를 지시하였을 때, UE에서 Timer T310의 운행을 정지한다.
Timer T310 운행이 타임 오버되였을 때, UE는 UE에서 무선 링크 페일(RLF)이 발생하였음을 판정하고; 또한 타이머 T311을 가동하며, T311이 운행하는 기간에서, UE는 적합한 셀을 찾아 RRC 접속 재구축을 진행할 것을 시도한다. UE가 RLF를 판정한 이후, 재구축 성공전, UE와 네트워크간의 사용자 플렌 데이터 송수신은 중단된다.
T311이 타임 오버되기 전에, UE에서 재구축을 성공하지 못하였을 때, UE는 RRC 접속(RRC_CONNECTED) 상태에서 RRC 아이들(RRC_IDLE) 상태로 전환된다.
그 중 N310 및 N311의 수치 및 T310 및 T311의 시간 길이는 전부 네트워크에서 배치한 것이다.
NR의 RLM 과정과 LTE는 유사하고, NR에서, PCell이 검측한 RLM 참조 신호(RS)는 네트워크에서 배치한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다시피, RRC 접속 재구축 과정에서, UE에서 진행중인 전송은 정지되어야 되고, 이중 접속 또는 다중 접속의 경우, UE 및 SN 사이에서도 시그널링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예컨대 SRB1s 및 SRB3). 이로써, UE 및 MN 사이에서 무선 링크 페일이 발생하였을 때, 재구축 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SN을 통하여 무선 접속 페일 정보를 네트워크에 리포팅하여, 네트워크에서 UE에 대하여 재구성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기반으로 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단말과 접속하며, 상기 처리 방법은:
단계 201: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사이에서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한다.
여기서,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는:
UE 및 MN 사이에서 무선 링크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UE가 MN 다운링크 품질 검측을 위하여 설정한 타이머 T310 타임 오버; UE MAC층 RACH 최대 횟수 도달 시도에도 미성공; UE RLC층 AM 모드 최대 횟수 재전달에도 미성공 등);
또는, UE 핸드오버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UE가 수신한 SRB1 또는 SRB2가 전송한 시그널링에 완정성 보호 검증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UE가 네트워크에서 송신한 RRC 재구성 명령을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재구성후의 파라미터 값이 UE의 하드웨어 능력을 초과); 를 포함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재구성 방법은 UE 및 MN 사이에서 무선 링크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UE 핸드오버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UE가 수신한 SRB1 또는 SRB2가 전송한 시그널링에 완정성 보호 검증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UE가 네트워크에서 송신한 RRC 재구성 명령을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음 무선 접속 페일이 무선 링크 페일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진행하며, 구체적으로, 단말에서 단말과 MN사이에 무선 링크 페일이 발생한 것을 검측하였을 때,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를 생성하고, 또한 해당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를 SN에 리포팅한다.
단말에서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 무선 링크 페일의 발생 여부를 검측할 때, 상기 설명한 방법 또는 기타 기존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되고,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그 중, 상술한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측정 결과는 네트워크에서 UE를 위하여 서비스 셀을 재선택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무선 접속 페일이 무선 링크 페일일 때,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는 무선 링크 페일 지시이다.
단계 202: 타겟 타이머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한다.
그 중, 상술한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에 따라 확정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상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생성 또는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타겟 타이머(T)를 가동하고, 상기 타겟 타이머(T)의 구체적인 가동 시간은: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의 생성 과정에서의 기설정 시각;
해당 기설정 시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생성하는 시작 시각일 수 있고,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생성하는 종료 시각일 수 도 있으며, 또는 상기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 사이의 임의의 시각일 수 있고, 해당 기설정 시각은 프로토콜에서 약정함;
또는, 상기 단말의 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하위 층으로 전달하는 시각;
또는,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라디오에서 송신하는 시각; 을 포함한다.
이외, 상술한 타겟 타이머(T)의 카운팅 길이는 네트워크에서 전용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메세지를 통하여 UE에 통지할 수 있다.
상술한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IE(Information Element, 정보 유닛)를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IE는 동기화 재구성(reconfigurationWithSync) IE 또는 완정 배치 IE(fullConfig)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masterCellGroup)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고,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중의 기타 지정 IE이며, 상기 특정 IE가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IE인지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하며;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고;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E에서 SN에 MN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할 때, 네트워크에서는 동시에 UE에 대하여 재구성을 진행할 수 있고, 즉 시각 T1에서, UE는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동시에, 네트워크에서 RRC 재구성 메세지를 송신하며; 그후의 시각 T2에서, UE는 네트워크에서 송신한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고, 하지만 T2 시각에서, UE가 수신한 재구성 메세지는 네트워크에서 MN 무선 접속 페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네트워크는 특정한 식별자/IE를 통하여 UE에 본 재구성은 MN 무선 접속 페일을 해결할 수 있음을 통지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재구성 방법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여,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피면하였고, 따라서 UE 데이터 송수신 중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면하였다.
진일보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재구성 방법은:
RRC층으로부터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할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의 RRC 재구성 메세지는 LTE의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세지 및 NR의 RRC 재구성(RRC Reconfiguration) 메세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과 MN사이의 접속이 회복되였을 때, 단말은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한다. 상기 무선 접속 회복은 RRC층에서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무선 접속 회복은 단말에서 동기화 재구성 IE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단말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완성하였으며, 이에 기반으로 하여,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가 동기화 재구성 IE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세지일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단계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단말의 RRC층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층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성공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타겟 타이머가 운행하는 기간에, 단말에서 동기화 RRC 접속 재구성 메세지(동기화 재구성 IE의 재구성 메세지를 포함)를 수신하였을 때, 랜덤 액세스(RACH)를 성공한 후, 타겟 타이머T를 정지한다.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LTE의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세지 및 NR의 RRC 재구성(RRC Reconfiguration) 메세지를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세컨더리 기지국(SN)에 리포팅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였을 때,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UE에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네트워크에 리포팅할 때, 타겟 타이머(T)를 가동하고, T가 타임 오버하였을 때, MN 무선 접속이 여전히 회복되지 않았다면,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재구성 방법은, 단말에서 SN을 통하여 MN에 접속 페일이 발생하였음을 리포팅하여, 네트워크에서 제때에 UE에 대하여 재구성을 진행할 수 있으며,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피면하였고, 진일보 UE 데이터 송수신 중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면하였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처리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에서 송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획득한다.
여기서의 기지국은 구체적으로 단말과 연결한 세컨더리 기지국(SN)을 의미하고, 상기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는 단말에서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였음을 검측해낸 경우,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SN)에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무선 접속 페일의 경우는:
UE 및 MN 사이에서 무선 링크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UE가 MN 다운링크 품질 검측을 위하여 설정한 타이머 T310 타임 오버; UE MAC층 RACH 최대 횟수 도달 시도에도 미성공; UE RLC층 AM 모드 최대 횟수 재전달에도 미성공 등);
또는, UE 핸드오버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UE가 수신한 SRB1 또는 SRB2가 전송한 시그널링에 완정성 보호 검증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UE가 네트워크에서 송신한 RRC 재구성 명령을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재구성후의 파라미터 값이 UE의 하드웨어 능력을 초과); 를 포함한다.
상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측정 결과는 오직 네트워크에서 UE를 위하여 서비스 셀을 다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302: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따라, 단말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세컨더리 기지국(SN)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수신한 후 마스터 기지국(MN)에 리포팅하고, 마스커 기지국(MN)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따라 RRC 재구성 메세지를 확정하고 또한 세컨더리 기지국(SN)에 송신하며, 그리고 세컨더리 기지국(SN)에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를 단말에 송신한다.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수신하고, 직접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따라 RRC 재구성 메세지를 확정하고 또한 단말에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IE(Information Element, 메세지 유닛)를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IE는 동기화 재구성(reconfigurationWithSync) IE 또는 완정 배치 IE(fullConfig)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masterCellGroup)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일 수 있고,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중의 기타 지정 IE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 IE가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IE인지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하며;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는 재구성 메세지일 수 있고;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는 재구성 메세지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페일 지시 응답 IE는 본 재구성은 단말에서 리포팅한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에 대한 응답임을 나타낸다.
하나의 선택적인 구현 방식에 있어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는 하나의 번호를 캐리하고; 페일 지시 응답 IE도 하나의 번호이며, 두개의 번호가 동일할 때, 해당 페일 지시 응답 IE는 상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대응되는 IE임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재구성 방법은, 단말에서 송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획득하고,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따라, 단말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송신하여, 단말이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을 진행할 수 있으며,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피면하고, 따라서 UE 데이터 송수신 중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면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의 모듈 예시도이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400)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과 접속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한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기 위한 리포팅 모듈(401);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재구성 모듈(4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타겟 타이머의 가동 시간은:
상기 단말의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생성하는 시각;
또는, 상기 단말의 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하위 층으로 전달하는 시각;
또는,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라디오에서 송신하는 시각;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술한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정보 유닛(IE)를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정보 유닛(IE)은 동기화 재구성 IE 또는 완정 배치 IE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며;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일 수 있고;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RRC층에서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할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가 동기화 재구성 IE를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일 때;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상기 재구성 모듈이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 및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단말의 RRC층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층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성공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기 위한 제 2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리포팅 모듈이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를 리포팅한 후,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였을 때,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여,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피면하였고, 따라서 UE 데이터 송수신 중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면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였고,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 실시예중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 실시예중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그 중,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상술한 목적을 더욱 잘 구현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메모리(520), 프로세서(500), 송수신기(510), 사용자 인터페이스(530), 버스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520)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5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고, 다음 과정을 실행한다.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에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한다.
그 중,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5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0)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30)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5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타이머의 가동 시간은: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생성하는 과정중의 기설정 시각;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하위 층으로 전달하는 시각;
또는,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라디오에서 송신하는 시각;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정보 유닛(IE)을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정보 유닛(IE)은 동기화 재구성 IE 또는 완정 배치 IE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거나;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상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00)가 메모리(5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RC층에서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할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시키는 것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가 동기화 재구성 IE를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일 때;
상기 프로세서(500)가 메모리(5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전, 단말의 RRC층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층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성공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시키는 것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00)가 메모리(5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였을 때,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고, 상기 단말(600)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표시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6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프로세서(610)는,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을 향하여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기술 방안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무선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고;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여, UE에서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것을 피면하였고, 따라서 UE 데이터 송수신 중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면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또한, 단말(6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6041) 및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6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6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6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6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6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6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6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6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606)은 표시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6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기기(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터치 패널(6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610)로 보내고, 프로세서(6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기타 입력 기기(6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6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6071)은 표시 패널(6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071)은 터치 패널(606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6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가 단말(6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6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6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6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6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6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지국의 모듈 예시도이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지국(700)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서 송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701);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따라, 단말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7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지국은, 상술한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정보 유닛(IE)을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정보 유닛(IE)은 동기화 재구성 IE 또는 완정 배치 IE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거나;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지국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고, 상기 기지국은: 메모리, 프로세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기지국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 실시예중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기지국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 실시예중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그 중,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지국(800)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801), 송수신기(802), 메모리(8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그 중: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03)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에서 송신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획득하고;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에 따라, 단말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8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8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03)는 프로세서(8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정보 유닛(IE)을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정보 유닛(IE)은 동기화 재구성 IE 또는 완정 배치 IE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거나;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상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오직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다수의 형식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이는 전부 본 개시의 보호 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단말에 적용되는 재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과 접속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구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타이머의 가동 시간은: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의 생성 과정에서의 기설정 시각;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하위 층으로 전달하는 시각;
    또는,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라디오에서 송신하는 시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정보 유닛(IE)을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정보 유닛(IE)은 동기화 재구성 IE 또는 완정 배치 IE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거나;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RRC층으로부터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할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구성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가 동기화 재구성 IE를 포함하는 재구성 메세지일 때;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단말의 RRC층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층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성공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구성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면,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구성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구성 방법.
  8.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과 접속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과 마스터 기지국(MN) 사이에서 접속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리포팅하기 위한 리포팅 모듈; 및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재구성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타이머의 가동 시간은: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의 생성 과정에서의 기설정 시각;
    또는, 상기 단말의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에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하위 층으로 전달하는 시각;
    또는,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를 라디오에서 송신하는 시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8 항에 있어서,
    상술한 RRC 재구성 메세지는 특정 정보 유닛(IE)을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이고, 상기 특정 정보 유닛(IE)은 동기화 재구성 IE 또는 완정 배치 IE 또는 프라이머리 셀그룹 IE 또는 페일 지시 응답 IE이거나;
    또는,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이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PCell)의 무선 링크 모니터 참조 신호(RS)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재구성 메세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RRC층에서 RRC 재구성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할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가 동기화 재구성 IE를 포함한 재구성 메세지일 때; 상기 단말은:
    상기 재구성 모듈이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재구성 처리를 진행한 후, 상기 RRC 재구성 메세지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제1 처리 모듈; 및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기 전에, 단말의 RRC층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층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 성공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타겟 타이머를 제어하여 카운팅을 정지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리포팅 모듈이 세컨더리 기지국(SN)으로 MN 무선 링크 페일 지시를 리포팅한 후, 상기 타겟 타이머가 타임 오버되였을 때, RRC 접속 재구축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제2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MN 무선 접속 페일 지시는:
    MN 무선 접속 페일의 원인 및 단말의 측정 결과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재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단말.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재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5767A 2018-08-01 2019-07-19 재구성 방법 및 단말 KR102454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64515.4 2018-08-01
CN201810864515.4A CN110798903B (zh) 2018-08-01 2018-08-01 重配方法及终端
PCT/CN2019/096704 WO2020024812A1 (zh) 2018-08-01 2019-07-19 重配方法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956A true KR20210036956A (ko) 2021-04-05
KR102454657B1 KR102454657B1 (ko) 2022-10-13

Family

ID=6923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67A KR102454657B1 (ko) 2018-08-01 2019-07-19 재구성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863381B2 (ko)
EP (1) EP3833152A4 (ko)
JP (1) JP7160498B2 (ko)
KR (1) KR102454657B1 (ko)
CN (1) CN110798903B (ko)
AU (1) AU2019314815B2 (ko)
CA (1) CA3108104C (ko)
RU (1) RU2769399C1 (ko)
SG (1) SG11202100958TA (ko)
WO (1) WO2020024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8903B (zh) * 2018-08-01 2022-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重配方法及终端
CN111565425B (zh) * 2019-02-14 2021-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870022B2 (ja) * 2019-03-28 2021-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13543244B (zh) * 2020-04-20 2022-09-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指示方法、mn及存储介质
WO2021223043A1 (en) * 2020-05-02 2021-11-11 Qualcomm Incorporated Data stall detection and recovery in dual connectivity
CN113676961B (zh) * 2020-05-14 2022-08-1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数据业务切换方法及装置
WO2022027633A1 (zh) * 2020-08-07 2022-0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测量上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226166A (zh) * 2021-04-15 2022-10-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消息处理、发送方法、装置、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6530205A (zh) * 2021-06-07 2023-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辅助主小区的条件变更方法和装置
CN115567963A (zh) * 2021-07-01 2023-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连接下的通信方法及装置
CN117835459A (zh) * 2024-03-04 2024-04-05 荣耀终端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存储介质、芯片系统及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7183A1 (en) * 2013-10-31 2015-04-30 Intel IP Corporatio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for dual conn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8792B (zh) * 2007-06-05 2019-07-19 交互数字技术公司 在节点b中使用的方法、节点b以及装置
AU2014312564B2 (en) * 2013-08-27 2018-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andom access procedure and Radio Link Failure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CN104468029A (zh) * 2013-09-18 2015-03-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移动终端通信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6375384B2 (ja) * 2013-10-30 2018-08-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性ロバストネス
US20150133122A1 (en) * 2013-11-08 2015-05-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Radio Link Failure
CN104812010A (zh) * 2014-01-28 2015-07-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在小小区增强场景下支持ue恢复的方法
US9713044B2 (en) * 2014-01-30 2017-07-1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dual-connectivity operation
CN104936223B (zh) * 2014-03-21 2019-05-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对关闭状态中的小小区进行测量增强以实施双连接的方法
JP6511689B2 (ja) * 2014-04-30 2019-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CN105101253B (zh) * 2014-05-09 2020-04-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双连接系统中使用的方法、主基站和用户设备
CN105992393A (zh) * 2015-01-29 2016-10-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建立辅基站的方法及设备
US9894702B2 (en) * 2015-05-14 2018-02-13 Intel IP Corporation Performing primary cell functions in a secondary cell
JP2019057750A (ja) * 2016-02-04 2019-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8028969A1 (en) * 2016-08-12 2018-02-1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CN110169110B (zh) * 2016-11-11 2023-05-30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10856306B2 (en) * 2016-12-02 2020-12-01 Ofinno, Llc UE context retrieve for V2X services
CN110169192B (zh) * 2017-01-06 2023-06-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电网络节点、无线设备、以及其中执行的用于处理无线通信网络中的连接的方法
KR102546852B1 (ko) * 2017-11-13 2023-06-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단말 및 그 방법
JP2019092059A (ja) * 2017-11-15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BR112020009644A2 (pt) * 2017-11-16 2020-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onfiguração de monitoramento de enlace de rádio/falha de enlace de rádio mediante comutação de partes de largura de banda
US11032866B2 (en) * 2017-11-27 2021-06-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related devices for multi-connectivity
CN110798903B (zh) * 2018-08-01 2022-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重配方法及终端
CA3051139A1 (en) * 2018-08-03 2020-02-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plink and downlink synchronization proced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7183A1 (en) * 2013-10-31 2015-04-30 Intel IP Corporatio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for dual connectivity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10388 *
3GPP TS36.306 v13.9.0 *
3GPP TS36.331 v13.1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657B1 (ko) 2022-10-13
CA3108104A1 (en) 2020-02-06
AU2019314815A1 (en) 2021-03-18
US11863381B2 (en) 2024-01-02
EP3833152A4 (en) 2021-09-22
CN110798903A (zh) 2020-02-14
WO2020024812A1 (zh) 2020-02-06
RU2769399C1 (ru) 2022-03-31
AU2019314815B2 (en) 2022-04-21
JP2021533630A (ja) 2021-12-02
JP7160498B2 (ja) 2022-10-25
SG11202100958TA (en) 2021-03-30
CN110798903B (zh) 2022-05-24
US20210160136A1 (en) 2021-05-27
CA3108104C (en) 2023-08-29
EP3833152A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86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 radio link failure,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102454657B1 (ko) 재구성 방법 및 단말
US11671854B2 (en) Cell beam failure processing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11937321B2 (e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node
US11770871B2 (en) Radio link recovery method and terminal
EP3876583B1 (e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WO2020073769A1 (zh)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终端及辅基站
WO2020038294A1 (zh) 传输方法及终端设备
WO2020073861A1 (zh) 无线链路恢复方法、终端及辅基站
KR20220045174A (ko) 보조 정보의 보고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US20230012892A1 (en) Radio link monitor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