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841A - 적응형 오디오 출력 - Google Patents

적응형 오디오 출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841A
KR20210036841A KR1020200124235A KR20200124235A KR20210036841A KR 20210036841 A KR20210036841 A KR 20210036841A KR 1020200124235 A KR1020200124235 A KR 1020200124235A KR 20200124235 A KR20200124235 A KR 20200124235A KR 20210036841 A KR20210036841 A KR 2021003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signal
state
user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길레스
밥티스트 파퀴어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3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841A/ko
Priority to KR102022004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4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고,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에 적어도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하고, 미리결정된 조건을 식별하고, 적어도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적응형 오디오 출력{ADAPTIVE AUDIO OUTPUT}
우선권 주장/참고에 의한 포함
본 출원은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daptive Audio Output"인 미국 가출원 제62/906,454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 전체는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사용자는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자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여 가청 톤을 방출할 수 있다. 톤은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정확한 위치가 알려지지 않을 때 사용자가 제2 전자 디바이스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과 관련된다. 방법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에 적어도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 미리결정된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적어도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갖는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접속 또는 피어-투-피어 접속 중 하나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작들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에 적어도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 미리결정된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적어도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과 관련된다.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제1 디바이스가 제1 신호를 방출할 것임을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열을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E의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UE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E의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UE를 수반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개의 UE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를 방출하도록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된 UE를 수반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의 설명 및 관련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고, 여기서 유사한 엘리먼트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때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관리하는 것과 연관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기술한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양한 상이한 시나리오들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을 자율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시나리오들에서, 사용자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이 오디오 출력(예컨대, 스트리밍 음악, 활성 음성 통화 등)을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 배치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는 톤을 인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톤은 단일 사운드일 수 있는 반면, 다른 경우들에서 톤은 예를 들어, 다수의 주파수들, 패턴들, 진폭들, 체적들 등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사운드들일 수 있다. 톤은 또한 임의의 지속기간 동안 출력될 수 있고, 일정하거나 간헐적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해 재생될 수 있거나, 헤드폰, 이어 버드들 등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종래의 상황들 하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위치확인 시도 동안, 잘못 배치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톤을 청취하기 위해 사용자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볼륨을 낮출 수 있음). 그러나, 사용자가 잘못 배치된 전자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수동으로 관리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잘못 배치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톤을 듣기 위해 활성 음성 통화를 인터럽트(interrupt)하고 싶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예컨대 헤드폰 또는 이어 버드들이 착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도달범위 내에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오디오 출력을 편리한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UE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UE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네트워크(P2P(peer-to-peer) 네트워크,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함)에 대한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활용될 수 있고 네트워크와 정보(예컨대,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UE는 임의의 적합한 전자 디바이스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UE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 걸쳐, 용어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UE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또한 직접적으로(예컨대, 통합형 스피커를 통해) 또는 간접적으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은 가청 범위, 비가청 범위, 또는 둘 모두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로서,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헤드폰, 하나 이상의 이어 버드들, 스피커, 웨어러블 디바이스, 추가 UE, 컴퓨팅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UE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무선 및/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특정 방식으로 UE에 접속하는 특정 전자 디바이스 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인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액세서리 디바이스는, UE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거나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UE는 UE 또는 그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로 하여금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E 또는 그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로 하여금, 음성 통화, 비디오 통화, 스트리밍 멀티미디어(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등), UE 상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게 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동작들이 있다. 그러나, 임의의 특정 이유로 생성되는 오디오 출력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임의의 이유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UE 또는 그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제1 양상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이한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사운드에 따라 UE 또는 그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UE가 제2 UE(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여 가청 톤을 방출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톤은, 예컨대 제2 UE의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제2 UE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될 수 있다. 제2 UE가 가청 톤을 방출하고 있을 때 제1 UE가 (예컨대, 연관된 헤드폰, 이어 버드들 등을 통해)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2 UE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톤을 인지할 수 없을 수 있다(또는 인지할 가능성이 낮음). 종래의 환경들 하에서, 사용자는 제2 UE에 의해 방출되는 톤을 듣기 위해 제1 UE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은 활성 음성 통화의 결과일 수 있고, 사용자는 음성 통화의 일부분을 놓치거나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잘못 배치된 디바이스를 보고 있음을 음성 통화의 원격 단부 상의 참여자에게 설명하고 싶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3 UE가 음악을 스트리밍하고 있는 동안 제1 UE가 제2 UE를 트리거링하여 가청 톤을 방출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제3 UE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2 UE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톤을 인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종래의 환경들 하에서, 사용자는 제2 UE에 의해 방출되는 톤을 듣기 위해 제3 UE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3 UE가 사용자의 도달범위 내에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대해 편리한 방식으로 UE 또는 그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1 UE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것 - 여기서 신호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제2 UE 또는 상이한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됨 - 및 이어서 사용자에게 통지하고/경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UE가 무선 헤드폰(예컨대,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초기에, 제1 UE는 제2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여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신호는 제2 디바이스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제1 UE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들을 무선 헤드폰에 제공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헤드폰에 의한 오디오 출력은, 잘못 배치된 제2 디바이스가 위치되는 공간 방향으로부터 발신되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들에서, 오디오 출력은 제2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도(또는 범위)의 감지를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더 부드럽게/더 크게)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UE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능력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또 다른 예에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예컨대, 이어 버드들, 헤드폰, 스피커 등)에 접속된 UE는,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를 위치확인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2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링과 함께, UE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피드(예컨대, 스트림, 패킷들 등)를 수정하여 제2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과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피드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필터(예를 들어, 고역 통과, 저역 통과, 노치 등)를 구현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또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이 출력 또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 동안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오디오 피드를 음소거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는 제2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직접적으로(예컨대, 통합형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든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UE와 연관된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에 의한 출력을 위해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UE에 전송함으로써) 출력하든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예컨대, UE, 액세서리, 비콘 등)가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추구된다.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이 유효 범위 내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는 발견을 용이하게 하는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신호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내의 하나 이상의 톤들을 포함하는 가청 신호 또는 비가청 신호, 예컨대 제2 디바이스가 가청 신호를 방출하게 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에 송신된 비콘 메시지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할 때, 오디오 출력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와 연관된 가청 신호를 인지하게 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적으로(예컨대, 통합형 스피커를 통해) 또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간접적으로(예를 들어, 헤드폰, 하나 이상의 이어 버드들, 또는 외부 스피커를 통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은 음소거, 볼륨 감소, 또는 오디오 출력의 주파수 범위의 적어도 일부분의 필터링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의 수정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된 신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타이밍화되어(또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된 비가청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되어),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방출되는 신호의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배열(10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배열(100)은 UE들(110, 115, 116)을 포함한다. 당업자들은 UE들(110, 115, 116) 각각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셀룰러, WLAN, P2P, D2D, PAN 등), 예컨대, 모바일 폰들, 랩톱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스마트 스피커들, 스마트 TV들, 셋톱 박스들, 멀티미디어 수신기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패블릿들, 임베디드 디바이스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비콘 디바이스들, Cat-M 디바이스, Cat-M1 디바이스들, MTC 디바이스들, eMTC 디바이스들, 다른 유형들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제 네트워크 배열은 임의의 수의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UE들(110, 115, 116)의 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UE들(110, 115, 116) 각각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직접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100)의 예에서, UE들(110, 115, 116)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은 LTE-RAN(LTE radio access network)(120), 레거시 RAN(radio access network)(122) 및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124)이다. 그러나, UE들(110, 112)은 또한 다른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예컨대, 5G의 NR(new radio), D2D, P2P 등)과 통신할 수 있고, UE들(110, 115, 116)은 또한 유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들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들(110, 115, 116)은 LTE-RAN(120)과 통신하기 위한 LTE 칩셋, 레거시 RAN(122)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칩셋, 및 WLAN(124)과 통신하기 위한 ISM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110, 115, 116)은 임의의 원하는 수의 네트워크들, 프로토콜들, 접속들 등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무선통신장치들, 인터페이스들, 및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110, 115, 116)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디바이스들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UE(110)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접속된다. 당업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가 UE(110)에 접속하고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유형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헤드폰, 이어 버드들, 스피커, 웨어러블 디바이스, 텔레비전, 셋톱 박스, 추가 UE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일부 유형들의 액세서리 디바이스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배열은 하나 이상의 UE들에 접속된 임의의 수의 액세서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의 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네트워크들(120 내지 124)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 예컨대 블루투스 프로토콜(예컨대, BT, BLE 등), WiFi 다이렉트, UWB,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5G 사이드링크(SL) 등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가 서로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들이 수행될 수 있는 거리 내에서) 근접해 있는 경우,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단거리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UE(110)가 예컨대,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소스 디바이스에 작용하는 컴패니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네트워크들(120 내지 124) 중 임의의 것에 접속하지 않으면서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만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경우들에서, UE(110)는 네트워크들(120 내지 124) 중 하나 이상에 접속하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120 내지 124)과 교환된 데이터를 단거리 통신 경로를 통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중계할 수 있다. 다양한 UE들(110, 115, 116)은 또한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들(120 내지 124) 중 하나를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UE들(110, 115, 116) 사이의 임의의 통신들은 또한 적절한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LTE-RAN(120) 및 레거시 RAN(122)은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들(예컨대, Verizon, AT&T, T-Mobile 등)에 의해 전개될 수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부분들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120, 122)은, 예를 들어, 적절한 셀룰러 칩 세트가 구비된 UE들로부터 트래픽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셀들 또는 기지국들(노드 B들, eNodeB들, HeNB들, eNB들, gNB들, gNodeB들, 매크로셀들, 마이크로셀들, 소형 셀들, 펨토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WLAN(124)이 임의의 유형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Fi, Hot Spot, 소프트 AP, IEEE 802.11 네트워크들 등)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LAN은 적절한 WLAN 칩셋이 구비된 UE들로부터 트래픽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상이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통해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열(100)에서, UE(115)는 액세스 포인트(AP)(124A)를 통해 WLAN(124)에 접속할 수 있다. 당업자는 UE(115)가 WLAN(124)에 접속하기 위해 임의의 연관 절차가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AP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실제 네트워크 배열은 WLAN으로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임의의 유형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들(120, 122, 124)에 더하여, 네트워크 배열(100)은 또한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130), 인터넷(140), IMS(IP Multimedia Subsystem)(150), 및 네트워크 서비스 백본(160)을 포함한다.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130)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동작 및 트래픽을 관리하는 컴포넌트들의 상호접속된 세트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130)는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와 인터넷(140) 사이에서 흐르는 트래픽을 관리한다. IMS(150)는 일반적으로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E들(110, 112)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전달하기 위한 아키텍처로서 기술될 수 있다. IMS(15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UE들(110, 112)에 제공하기 위해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130) 및 인터넷(14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백본(160)은 인터넷(140) 및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130)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백본(160)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들과 통신하는 UE들(110, 115, 116)의 기능들을 확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서비스들의 스위트(suite)를 구현하는 한 세트의 컴포넌트들(예컨대, 서버들, 네트워크 저장 배열들 등)로서 기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 예시적인 네트워크 배열(100) 내에서 발생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UE(110)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예를 들어, 이어 버드들)에 접속되고, 사용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되는 음악을 듣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UE(115)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한다.
UE(115)를 위치확인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UE(11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은 UE(115)를 트리거링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트리거링과 함께, UE(110) 및/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UE(115)로부터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과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피드(예컨대, 스트림, 패킷들 등)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피드(예컨대, 음악)는, UE(115)에 의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에 의해 점유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를 구현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UE(115)의 오디오 출력을 인지할 수 있을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추가적으로, UE(110) 및/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UE(115)에 의해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이 출력 또는 수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 동안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피드(예컨대, 음악)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UE(115)에 의한 오디오 출력을 인지할 수 있을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15)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직접(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5)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UE(110)에 전송한다. 일례에서, UE(115)는 AP(124A)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UE(110)는 eNB(120A)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115)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UE(110)는, UE(115)가 위치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인지하게 하는 방식으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로 하여금 UE(115)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110)를 도시한다. UE(110)는 도 1의 네트워크 배열(100)과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UE(110)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표현할 수 있고, 프로세서(205), 메모리 배열(2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 입/출력(I/O) 디바이스(220), 송수신기(225) 및 다른 컴포넌트들(2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컴포넌트들(230)은, 예를 들어,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제한된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배터리, 데이터 획득 디바이스, UE(110)를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포트, UE(110)의 조건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UE(110)가 또한 UE들(115, 116)을 표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205)는, UE(110)에 대한 복수의 엔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들은 적응형 오디오 출력 엔진(235) 및 액세서리 오디오 출력 엔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응형 오디오 출력 엔진(235)은 UE(110)에 의해 생성되고 있는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는 것이 UE들(115, 116)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는 미리결정된 조건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적응형 오디오 출력 엔진(235)은, 식별되거나 예상된 경우, 다른 소스(예를 들어, UE(115), UE(116), 액세서리 디바이스(112), 추가 액세서리 디바이스, 다른 사람 등)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가 인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디오 출력에 대응하는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것은 다른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 다른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것, 다른 오디오 출력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필터링하는 것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간섭 감소 메커니즘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간섭 감소 메커니즘(들)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이 예상되는 시간에 또는 그 전에 개시될 수 있고, 적어도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이 지속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오디오 출력 엔진(240)은 특정 공간 방향으로부터 발신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액세서리 디바이스(240)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 프로세서(205)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프로그램)인 상기 참조된 엔진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엔진들과 연관된 기능은 또한 UE(110)의 별개의 통합 컴포넌트로서 표현될 수 있거나 또는 UE(110)에 결합된 모듈형 컴포넌트, 예컨대, 펌웨어가 있거나 또는 없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입력 회로부 및 신호들 및 다른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은 또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UE의 이러한 또는 다른 구성 중 임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UE(1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주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는 반면, I/O 디바이스(220)는 사용자가 입력들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 및 I/O 디바이스(220)는 별개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거나, 터치스크린과 같이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225)는 LTE-RAN(120), 레거시 RAN(122), WLAN(124) 등과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225)는 다양한 상이한 주파수들 또는 채널들(예컨대, 연속적인 주파수들의 세트)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110, 115, 116)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들로 이루어진 가족 또는 사업체 엔티티는 각각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계정 사이의 연관성은 서버(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 백본(160) 내에 포함된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본 설명 전반에 걸쳐, 사용자 계정과 디바이스들 사이의 연관성들을 저장하는 서버는 "계정 서버"로 지칭될 것이다. 그러나, 용어 계정 서버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제공된다. 계정 서버와 연관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계정 서버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엔티티들의 세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 서버는 UE들(110, 115, 116) 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 중 하나 이상의 공급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계정 서버는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추가 예에서, 계정 서버는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 또는 UE들(110, 115, 116) 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의 공급자와 관련없는 제3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증서 정보(예컨대, 사용자 ID, 패스워드, 지문, 음성, 핀(pin) 등)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사용자 계정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계정은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디바이스들을 통해서만 액세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액세스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신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가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계정 서버가 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서버(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 백본(160) 내에 포함된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이한 디바이스에서 입력된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하나의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하거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원격 디바이스를 트리거링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송신된 신호가 원격 디바이스로 하여금 다양한 상이한 동작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한 소스에 의한 사운드 출력이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신의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UE(11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배열(300)을 도시한다. 배열(300)은 도 1의 네트워크 배열(100) 및 도 2의 UE(110)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예시적인 배열(300)은 UE(110)를 물리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305)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시간에, UE(110)는 UE(110)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이 예에서, 오디오 출력은 음성 통화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절한 이유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UE(11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임의의 유형의 동작 또는 콘텐츠(예컨대, 음악 재생, 미디어 재생 등)와 연관된 오디오 출력 데이터(예컨대, 패킷, 스트림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배열(300)은 또한 UE(115)를 도시한다. UE(115)는 사용자(305)에 속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305), UE(110) 및 UE(115)는 사용자(305) 집 내에 있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사용자(305)는 UE(115)가 자신의 집안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사용자(305)의 집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임의의 유형의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UE(110) 및 UE(115)는 네트워크(310)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310)는 도 1의 LTE-RAN(120) 및 WLAN(1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E(110)는 현재 eNB(120A)에 캠핑 온될 수 있고, UE(115)는 AP(124A)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임의의 특정 유형의 네트워크 접속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UE들(110, 115)은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계정 서버(315)는 또한 네트워크(310)에 접속될 수 있다. 계정 서버(315)는 디바이스들과 그들의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들 사이의 연관들을 저장하고 유지한다. 이 예에서, UE(110) 및 UE(115)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사용자들 및 디바이스들(예컨대, UE들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사용자(305) 및 2개의 UE들(110, 115)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시간에, UE(110)는 현재 음성 통화에 대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 있고 UE(115)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음성 통화 동안, 사용자(305)는 UE(115) 상에 저장된 파일을 참조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사용자(305)는 UE(115)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기억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305)는 UE(115)를 트리거링하여 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의도된 사용자 입력을 UE(110)에 입력한다. 초기에, 사용자 입력은 네트워크(310)를 통해 계정 서버(315)에 전송될 제1 신호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계정 서버(315)는 네트워크(310)를 통해 UE(115)에 제2 신호를 전송한다. 제2 신호는 사용자(305)가 UE(115)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된 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UE(115)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가청 톤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임의의 특정 유형의 오디오 출력으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사용자(305)가 UE(115)를 찾고 있는 동안 음성 통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상황들 하에서 음성 통화에 대해 UE(110)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출력은 UE(115)에 의해 방출된 가청 톤의 사용자의(305) 인지를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305)는 또한 음성 통화의 부분들을 인터럽트하거나 놓치고 싶지 않을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110)는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이 시나리오에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다양한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UE(110)는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현재 조건들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기술들을 구비할 수 있다. UE(110)에 의해 선택된 기술(들)은 UE(110)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동작의 유형, 계정 서버(315)로부터 수신된 정보, 사용자 선택 설정,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수신된 정보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팩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존재하는 조건들의 유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기술들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기술은 미리결정된 값(예를 들어, 다수의 데시벨(dB), UE(110)에 특정된 스케일 등)에 의해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기술은 미리결정된 값(예컨대, 더킹(ducking))에 도달할 때까지 볼륨에 대한 점진적인 조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기술은 순시 조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술은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것 또는 UE(110)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동작을 일시정지/중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술과 마찬가지로, 제2 기술은 점진적인 조정 또는 순시 조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3 기술은 오디오 출력의 주파수 범위에서 노치 또는 필터를 구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는 20 내지 20,000 헤르츠(㎐)의 제1 주파수 범위 내에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UE(110)는 적어도 제1 주파수 범위의 서브세트인 제2 주파수 범위가 UE(110)에 의해 출력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들을 오디오 출력에 적용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범위는, UE(115)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톤(또는 톤들)의 주파수 범위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그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주파수 범위의 어느 한 단부 또는 양 단부에 대한 일부 마진에 의해, UE(115)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톤의 주파수 범위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은 가청 톤이 UE(115)에 의해 방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때에 대응하는 기간에 따라 간헐적으로 또는 일정 지속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UE(115)에 의해 방출될 가청 톤에 기초하는 UE(110)에서의 오디오 출력에서 노치 또는 필터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305)는 UE(115)에 의해 방출된 톤을 인지할 더 높은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사용자(305) 부근에서 그 주파수 범위 내의 유일한 또는 가장 현저한 사운드 소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사용자가 UE(115)를 찾으면, 사용자(305)는 선택된 기술(들)이 구현되기 전에 유효했던 설정에 따라 UE(115) 또는 UE(110)에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여 UE(110)를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복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간에,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은 제1 세트의 특성들(예컨대, 볼륨, 주파수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에, 상기 언급된 기술들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된 후에, 제2 세트의 특성들을 가질 수 있는 오디오 출력이 UE(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3 시간에, 사용자(305)가 UE(115)를 발견한 후에,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는 다시 한번 제1 세트의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UE(110)가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접속될 때 그의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UE(110)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400)을 도시한다. 방법(400)은 도 1의 네트워크 배열(100) 및 도 2의 UE(110)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405에서, UE(110)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접속된다. 이 예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무선 헤드폰으로서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410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통화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UE(110)는 그의 현재 캠핑된 셀을 통해 음성 호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UE(110)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오디오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이어서, 오디오 출력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생성된다.
415에서, UE(110)는 별개의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한다. 이 예에서, 디바이스는 UE(115)로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UE(110)는 또한 액세서리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출될 신호는 사람에 의해 인지되도록 의도되는 가청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가청 출력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및 프로세싱되도록 의도되는 신호일 수 있다.
415에서의 표시는 다양한 상이한 소스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는 UE(110)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UE(115)가 신호를 방출하게 하기 위한 요청과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는 방출될 신호에 관한 계정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어서, 계정 서버는 UE(115)에 의해 신호가 방출될 것임을 UE(110)에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0)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를 방출하기 전에, UE(115)는 비콘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비콘은 UE(115)로부터 직접 UE(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환경 내의 다른 디바이스는 비콘 내에 포함된 비콘 또는 정보를 UE(110)에 중계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UE(110)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 및 UE(115) 둘 모두는 WLAN에 대한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E(115)는 WLAN을 통해 UE(110)에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배열(300)에 대해 위에서 제공된 예처럼, UE(115)에 의해 방출될 신호는 사용자가 톤을 방출하는 디바이스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된 가청 톤(또는 톤들)일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대응하는 디바이스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된 가청 톤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415에서의 표시는 임의의 적절한 목적을 위해 의도된 임의의 유형의 임박한 오디오 출력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405에서의 표시는 타이머가 만료했다는 경고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UE(115)는 IoT 디바이스(예컨대, 기기 또는 장비)일 수 있다. UE(115)의 동작 동안, 사용자는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UE(110)는 UE(115) 상에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하거나 만료했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출력은 스케줄링된 음성 통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는 스마트 스피커일 수 있다. 사용자는 UE(115)가 스케줄링된 시간에 통지를 통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은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는 웨어러블 피트니스 관련 디바이스일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특정 거리를 주행할 때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UE(115)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출될 신호는 가청 신호가 아닐 수 있다. 대신에, 방출될 신호는 UE(110)에 의해 수신 및 프로세싱되도록 의도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는 UE(110) 또는 그의 접속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UE(110)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420에서, UE(110)는 UE(115)에 의해 방출될 신호가 가청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UE(110)는 415에서 수신된 표시,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미리 구성된 설정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상이한 팩터들에 기초하여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방출될 신호가 가청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425로 계속된다. 425에서, UE(110)는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하여 사용자가 UE(115)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신호를 들을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키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배열(300)에 대해 전술된 기술들은 또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가 사용자를 위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 있는 디바이스일 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술들은 오디오 출력의 볼륨을 낮추는 것,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것,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동작을 일시정지/중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은 점진적 또는 순시적인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배열(300)에 대해 제공된 예와 같이, 구현된 기술은 UE(110)에 의해 방출될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기초하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되는 주파수 범위 내에 노치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기술은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대한 투명도 설정을 토글링(toggling)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도 설정은, 액세서리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외부 사운드들을 취소하거나 감소시키는 동작의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도 설정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로 하여금 외부 사운드들을 능동적으로 취소하거나 감소시키게 하는 경우, 투명도 설정은 사용자가 외부 사운드들을 인지하고 그에 따라 UE(115)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톤을 감지할 수 있게 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외부 사운드들을 취소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 및 메커니즘들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기술들은 다양한 팩터들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팩터들은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의 유형, 415에서 수신된 표시에 포함된 정보, UE(110) 또는 그의 액세서리 디바이스의 설정(예컨대, 토글링되는 투명도 설정, 높은 볼륨 등),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수신된 정보, UE(110) 상에서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정보, UE(110) 내에 포함된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UE(110)에 의해 수집된 측정 데이터, 사용자 입력, 미리 구성된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이 음성 통화에 대한 것이라면,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거나 음성 통화를 일시정지/중지하는 것은 비실용적일 수 있다. 대신에, 구현되는 기술은 볼륨을 점진적으로 낮추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오디오 출력이 음악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것인 경우, 사용자는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것을 선호하거나 단지 볼륨을 낮추는 대신에 음악을 일시정지/중지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430에서, UE(110)는 사용자 입력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또한 UE(115)가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중지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UE(115)를 찾을 때, 사용자는 UE(110) 또는 UE(115)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사용자 입력은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UE(115)를 트리거링하고 음성 통화에 대해 발생된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하도록 UE(110)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UE(110)에서 발생하는 경우, UE(110)는 UE(115)가 가청 톤의 방출을 중지해야 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UE(115)에 직접(예컨대, 네트워크, 비콘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0)는 신호를 계정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계정 서버는 UE(115)가 가청 톤의 방출을 중지해야 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UE(115)에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입력이 UE(115)에서 발생하는 경우, UE(115)는 UE(110)가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해야 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UE(110)에 직접(예컨대, 네트워크, 비콘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5)는 신호를 계정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계정 서버는 UE(110)가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해야 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UE(110)에 전송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방법(400)은 종료된다.
사용자 입력은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이고 UE(115)가 신호의 방출을 중지할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표시가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타이머는 이러한 유형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는, 다른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가 415에서 수신될 때 타이머를 미리결정된 지속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의 만료 시에, UE(110)는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지나친 양의 시간 동안 제2 상태에서 오디오 출력을 경험하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UE(115)는 유사한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이는 UE(115)가 지나친 양의 시간 동안 신호를 방출하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계정 서버는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타이머의 만료 시에, 계정 서버는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UE(110)에 나타낼 수 있고, 신호의 방출을 중지하도록 UE(115)에 나타낼 수 있다.
UE들(110, 115)의 위치는 또한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이고 UE(115)가 신호의 방출을 중지할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는 UE(115)가 UE(110)에 대해 미리결정된 거리(예컨대, 6 인치, 2 피트, 4 피트, 7 피트, 10 피트 등) 내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UE들(110, 115)이 서로의 부근에 있기 때문에, 제2 상태에서 오디오 출력을 계속해서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후속적으로, UE(110)는 신호의 방출을 중지하도록 UE(115)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UE(115)에 직접 또는 계정 서버를 통해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UE(110)가 이러한 결정을 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UE(115)는 또한 UE(110)가 미리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계정 서버는 UE(110) 및 UE(115)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계정 서버는 오디오 출력을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하도록 UE(110)에 시그널링할 수 있고 신호의 방출을 중지하도록 UE(115)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은 43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표시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430에서 임의의 유형의 미리결정된 조건(예컨대, 사용자 입력, 수신된 신호, 타이머의 만료, 위치 등)을 식별하는 UE들(110, 115) 또는 계정 서버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
420으로 돌아가서, 방출될 신호가 UE(110)에 의해 수신 및 프로세싱될 신호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435로 계속된다. 435에서, UE(110)는 UE(115)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신호를 수신한다. UE(110)는 UE(115)로부터 직접(예컨대, 네트워크 접속,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한 비콘, 주파수 등을 통해) 이러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계정 서버는 UE(110)와 UE(115)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415에서의 표시는 435에서의 신호가 어떻게 브로드캐스트될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UE(110)가 신호를 수신하고 UE(115)로부터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그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신호는 어느 무선통신장치를 튜닝할지(예컨대, LTE, WiFi, 블루투스, ISM 등), 활용할 필터의 유형, 어떤 유형의 정보 또는 표시를 모니터링할지 등을 UE(110)에 나타낼 수 있다.
440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신호는 사용자가 UE(115)의 위치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될 수 있다. UE(110)가 신호를 수신할 때, UE(110) 및/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UE(115)의 공간 방향으로부터 발신되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톤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를 통해 톤을 들을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임의의 가청 출력을 생성하는 UE(115)를 듣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가 그들의 위치 및 배향을 변경함에 따라,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생성된 톤은 UE(115)에 대한 사용자의 새로운 위치/배향을 반영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UE(115)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에 대한 언급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5)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는 타이머의 만료, 스케줄링된 통지/리마인더, 미리결정된 조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목적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일 수 있다.
UE(110)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 내의 톤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관점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음성 통화 및 톤을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할 것이다. 또한, 410에서 생성된 오디오 출력은 또한 425와 관련하여 전술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를 위한 주파수에서 노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음성 통화의 볼륨이 낮아질 수 있다. 이어서, 방법(400)은 430으로 계속된다. 430에서, UE(110)는 사용자 입력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방법(400)은 종료된다.
방법(400)에서, UE(115)는 가청 톤의 소스인 것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사용자가 사람간의 대화의 부분들을 들을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을 스트리밍하기 위해 UE(110) 및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걷고 있고 아이템들을 소지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생성되는 오디오 출력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UE(110) 및/또는 액세서리 디바이스(112)는 사용자가 대화에 참여하고 있음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말하는 것은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입력의 볼륨,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포함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입력의 방향, 액세서리 디바이스(112) 또는 UE(110)의 센서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팩터들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표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람간 대화를 인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의 볼륨이 낮아질 수 있거나, 음악이 일시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람간 대화 중에 말하거나 참여하고 있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초하여,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사람간 대화의 어떠한 표시도 미리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식별되지 않는 경우,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은 제1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방법(400)은 신호가 UE(115)로부터 수신될 때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UE(110)와 관련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신호가 UE(115)로부터 수신될 때 음성 통화 또는 다른 유형의 오디오 출력이 생성되는 시나리오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35 내지 440은 410의 오디오 출력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잡음 환경에서 액세서리 디바이스(112)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인지된 방향 톤을 따름으로써 UE(115)를 볼 수 있다. 이는 또한 UE(115)가 가청 톤으로 그의 주변 환경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3개의 UE들(110, 115, 116)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배열(500)을 도시한다. 배열(500)은 도 1의 네트워크 배열(100) 및 도 2의 UE(110)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UE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환경(505)은 사용자(510), UE(110), UE(115) 및 UE(1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배열(300)과 관련하여 전술된 예와 유사한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사용자(510)는 UE(110)를 물리적으로 소유하고 음성 통화에 참여할 수 있다. 환경(505) 내의 UE(115)의 위치는 알려지지 않는다. 그러나, 예시적인 배열(300)과 관련하여 기술된 예와는 달리, 예시적인 배열(500)은 UE(116)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UE(116)는 음악을 스트리밍하는 데 사용되는 스마트 스피커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UE(115)에 의해 방출되는 가청 톤을 인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오디오 출력의 다수의 소스들이 있다. 따라서, 방법(600)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UE(116)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여, 사용자(510)가 UE(115)에 의해 방출되는 톤을 들을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신호를 방출하도록 트리거링되도록 구성되는 UE(115)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600)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도 1의 네트워크 배열(100), 도 2의 UE(110), 및 도 5의 예시적인 배열(500)과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605에서, UE(115)는 UE(115)가 가청 톤을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배열(500)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가청 톤은 사용자가 UE(115)를 찾는 것을 돕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청 톤을 방출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UE(115)는 임의의 적절한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예컨대, UE(110), UE(116))에 의해 수신 및 프로세싱될 신호 또는 가청 톤을 방출하도록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또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UE(110)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신호는 계정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UE(115)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는 특정 시간에 또는 미리결정된 조건의 발생 시에 신호를 방출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610에서, UE(115)는 UE(115)가 가청 톤을 방출할 것임을 사용자 환경(505) 내의 디바이스들에 나타낸다. 예를 들어, UE(115)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비콘을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네트워크 접속(예컨대, WLAN(124))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거나, 또는 계정 서버가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고/연관되거나 사용자 환경(505) 내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표시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 환경(505)은 또한 UE(110) 및 UE(116)를 포함한다. 따라서, UE(110)는 이러한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UE(110)에 의해 생성되는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UE(115)는 표시에 기초하여 그의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UE(116)는 또한 이러한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116)는 또한 그의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기술(예를 들어, 볼륨을 낮추는 것,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것,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동작을 일시정지하는 것, 오디오 출력의 주파수 범위에서 노치를 구현하는 것, 이들의 조합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UE(116)는 표시에 기초하여 그의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615에서, UE(115)는 가청 톤을 방출한다. 가청 톤에 기초하여, 사용자(510)는 UE(115)를 찾을 수 있다. 620에서, UE(115)는 사용자 입력의 표시를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이고, UE(116)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이고, UE(115)가 가청 톤의 방출을 중지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UE(115)를 찾을 때, 사용자는 UE들(110, 115, 116) 중 임의의 것에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사용자 입력은 신호의 방출을 중지하도록 UE(115)를 트리거링하고, 음성 호출에 대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하도록 UE(110)를 트리거링하고, 음악에 대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하도록 UE(116)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UE(110)에서 발생하는 경우, UE(110)는 UE(115)가 가청 톤의 방출을 중지해야 하고 UE(116)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UE들(115, 116)에 직접(예컨대, 네트워크, 비콘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0)는 신호를 계정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계정 서버는 UE들(115, 116)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입력이 UE(115)에서 발생하는 경우, UE(115)는 UE(110)가 오디오 출력을 제2 상태로부터 다시 제1 상태로 조정해야 하고 UE(116)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UE들(110, 116)에 직접(예컨대, 네트워크, 비콘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5)는 신호를 계정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계정 서버는 UE들(110, 116)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UE(116)에서 발생하는 경우, UE(116)는 UE(115)가 가청 톤의 방출을 중지해야 하고 UE(1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출력이 제1 상태로 복귀할 것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UE들(115, 110)에 직접(예컨대, 네트워크, 비콘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116)는 신호를 계정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계정 서버는 UE들(115, 11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방법(600)은 종료된다.
방법(400)의 430에서와 같이, 사용자 입력은 62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일한 표시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620에서 임의의 유형의 미리결정된 조건(예컨대, 사용자 입력, 수신된 신호, 타이머의 만료, 위치 등)을 식별하는 UE들(110, 115) 또는 계정 서버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임의의 적합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그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플랫폼은 예를 들어, 호환 운영체제를 갖는 Intel x86 기반 플랫폼, Windows OS, Mac 플랫폼, 및 MAC OS, iOS, Android와 같은 운영체제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전술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컴파일링될 시에,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 실행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코드의 라인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양상은 특정되고 합법적인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예시들에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사람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위치 기반 데이터, 온라인 식별자,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집 주소,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 투약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 및/또는 이들의 연관된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제2 디바이스의 위치를 발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달, 저장, 또는 다른 사용을 담당하는 그러한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행정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능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구현하고 일관되게 적용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개인 데이터의 사용에 관한 그러한 정보는 눈에 잘 띄고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며,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적법한 사용들을 위해서만 수집되어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동의 또는 적용가능한 법률에 규정된 다른 적법한 근거를 수신한 후에만 발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되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적응되어야 하고, 상위 표준을 부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포함한,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컨대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규정들 및 정책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처리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더욱이,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요소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 및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의도이다. 위험요소는,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그것을 삭제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그리고 소정의 디바이스 추적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포함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식별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식별자들을 제거하는 것,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specificity)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주소 레벨에서보다는 도시 레벨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 그리고/또는 차등 프라이버시(differential privacy)와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비식별화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결여로 인해 동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의 위치와 연관되고/연관되거나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서만 유지되고 있는 정보와 같은, 집계된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드러난 최소량의 개인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본 출원이 다양한 조합들로 각각 상이한 특징들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들은 일 실시예의 특징들 중 임의의 것이,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거나 또는 디바이스의 동작 또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언급된 기능들과 기능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불일치하지 않는 임의의 방식으로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서 다양한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수정들 및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이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상기 표시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
    미리결정된 조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에 대한 볼륨 파라미터를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이 일정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방출할 상기 신호에 기초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가청 톤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추가 오디오 출력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발신되는 것으로 인지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조건은 사용자 입력의 표시에 기초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하나에서 수신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조건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타이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는, 방법.
  11. 제1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 접속 또는 피어-투-피어 접속 중 하나를 확립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것;
    제2 디바이스가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는 상기 표시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것;
    미리결정된 조건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미리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것은 i) 상기 오디오 출력에 대한 볼륨 파라미터를 제1 값으로부터 제2 값으로 조정하는 것 또는 ii) 상기 오디오 출력을 음소거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을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조정하는 것은 상기 오디오 출력이 일정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방출할 상기 신호에 기초하는, 제1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적어도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추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조건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의 표시에 기초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하나에서 수신되는, 제1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가청 톤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18.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신호를 방출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신호를 방출할 것임을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가청 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비콘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조정하는, 방법.
KR1020200124235A 2019-09-26 2020-09-24 적응형 오디오 출력 KR20210036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556A KR20220054774A (ko) 2019-09-26 2022-04-21 적응형 오디오 출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6454P 2019-09-26 2019-09-26
US62/906,454 2019-09-26
US16/948,469 US20210096811A1 (en) 2019-09-26 2020-09-21 Adaptive Audio Output
US16/948,469 2020-09-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556A Division KR20220054774A (ko) 2019-09-26 2022-04-21 적응형 오디오 출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841A true KR20210036841A (ko) 2021-04-05

Family

ID=726590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35A KR20210036841A (ko) 2019-09-26 2020-09-24 적응형 오디오 출력
KR1020220049556A KR20220054774A (ko) 2019-09-26 2022-04-21 적응형 오디오 출력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556A KR20220054774A (ko) 2019-09-26 2022-04-21 적응형 오디오 출력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96811A1 (ko)
EP (1) EP3798663A1 (ko)
KR (2) KR20210036841A (ko)
CN (1) CN112566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39A1 (ko) * 2021-10-01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9495B2 (en) 2020-01-03 2022-08-09 Sonos, Inc. Audio conflict resolution
US11194544B1 (en) * 2020-11-18 2021-12-07 Lenovo (Singapore) Pte. Ltd. Adjusting speaker volume based on a future noise ev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226B2 (en) * 2008-06-24 2013-04-02 Google Inc. Mobile phone locator
US8855601B2 (en) * 2009-02-17 2014-10-07 Lookout,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initiated audio communication
US8190438B1 (en) * 2009-10-14 2012-05-29 Google Inc. Targeted audio in multi-dimensional space
US8699723B2 (en) * 2010-07-20 2014-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dio device volume manager using measured volume perceived at a first audio device to control volume generation by a second audio device
US9196139B2 (en) * 2012-09-12 2015-11-24 ACCO Brands Corporation Proximity tag for object tracking
US9179260B2 (en) * 2012-12-03 2015-11-03 Mylan Inc. Medica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WO2014126991A1 (en) * 2013-02-13 2014-08-21 Vid Scale, Inc. User adaptive audio processing and applications
US9632746B2 (en) * 2015-05-18 2017-04-25 Echostar Technologies L.L.C. Automatic muting
US10003625B2 (en) * 2015-06-22 2018-06-19 Loose Cannon Systems, Inc. Portable group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182138B2 (en) * 2016-01-08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Smart way of controlling car audio system
US9942678B1 (en) * 2016-09-27 2018-04-10 Sonos, Inc.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US10771898B2 (en) * 2017-01-09 2020-09-08 Apple Inc. Locating wireless devices
US10039074B1 (en) * 2017-07-06 2018-07-31 Bose Corporation Locating connected devices
EP3958112A1 (en) * 2017-12-06 2022-02-23 Google LLC Ducking and erasing audio from nearby devices
US10540985B2 (en) * 2018-01-31 2020-0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vehicle media vocal suppression
CN109151172A (zh) * 2018-07-23 2019-01-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输出控制方法及相关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939A1 (ko) * 2021-10-01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774A (ko) 2022-05-03
CN112566057A (zh) 2021-03-26
EP3798663A1 (en) 2021-03-31
US20210096811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4774A (ko) 적응형 오디오 출력
US10834567B2 (en) Broadcasting a devic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695443B2 (en) Wireless device performance optimization using dynamic power control
US11233836B2 (en) Concurrent audio streaming to multiple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TWI604715B (zh) 電話會議音量調整方法及系統
US10827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US20200382950A1 (en) Temporary pairing for wireless devices
WO2022206616A1 (zh) 一种通信系统、第一电子设备和第二电子设备
US20190102143A1 (en) Wireless audio splitter
WO2020098411A1 (zh) 电磁干扰控制方法及相关装置
WO2023130105A1 (en) Bluetooth enabled intercom with hearing aid functionality
TW201448556A (zh) 音量調節系統及方法
WO2023040517A1 (zh) 音频数据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1703571A (zh) 使用同級間發信號改善無線裝置間之共存
WO2022257657A1 (zh) 呼叫功能设置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17525289A (ja) 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音声信号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WO2018019079A1 (zh) 一种可见光无线通信方法、设备及系统、存储介质
WO2019164623A1 (en) Disabling a digital assistant during a conference call based on security level
JP2016504841A (ja) マルチモード・オーディオ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WO2018191913A1 (zh) 保护用户设备的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EP3499856A1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8141288A1 (zh) 一种信息交互的方法、设备和服务器以及系统
EP425870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rmining device position
WO2020019822A1 (zh) 麦克风堵孔检测方法及相关产品
US11665473B2 (en) Transmitting microphone audio from two or more audio output devices to a sour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