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672A - Lif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f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672A
KR20210036672A KR1020190118986A KR20190118986A KR20210036672A KR 20210036672 A KR20210036672 A KR 20210036672A KR 1020190118986 A KR1020190118986 A KR 1020190118986A KR 20190118986 A KR20190118986 A KR 20190118986A KR 20210036672 A KR20210036672 A KR 2021003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s
lifting
adjacent
support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0743B1 (en
Inventor
김응복
Original Assignee
김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복 filed Critical 김응복
Priority to KR102019011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43B1/en
Publication of KR2021003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6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having several drums or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required energy, which comprises: a fram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 plurality of support pulley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 lifting wire; a support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Description

승강장치{Lifting apparatus}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판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ing apparatus for moving an elevating object by means of a sliding plate that slides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일반적으로 무대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승강장치는 무대 배경(연출)을 위한 조물을 매달 수 있는 조물걸이대와, 상기 조물걸이대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Wire Rope)와, 상기 로프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래(Pulley)와, 상기 로프를 권취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general, a conventional lifting device used on a stage includes a sculpting hanger for hanging a sculpture for the stage background (direction), a wire rope connected to the sculpting hanger, and a pulley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pe.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for winding the rope.

이러한 무대장치는 그리드 프레임(Grid Frame)위에 구동부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의 드럼으로부터 로프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승강장치는 조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세팅하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드럼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어 장치의 부피가 커지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승강장치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여 무대 공연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승강장치를 제어할 경우 소모되는 에너지가 크고 종래 승강장치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해 승강장치와 체결된 대상의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stage device, a driving unit is mounted on a grid frame, and ropes are connected from the drum of the driving unit. However, the conventional lifting device requires a separate brake device capable of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um of the driving unit in order to more accurately set the position of the building,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device and increasing the cos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generates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system and interferes with the stage performance. When controlling the elevator system, the energy consumed is large and maintenance of the object connected to the elevator system due to the excessive weight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등록특허공보 제10-0645890호: 물체의 승강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45890: Object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도록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와이어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 platform for lifting an object to be lifted by wires wound around pulleys respectively installed on sliding plates that move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so as not to require a separate brake device. Its purpose is to provide chi.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풀리와, 일단부에 승강대상물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상승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 및 상기 제2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에 권취되되, 타단부는 상기 지지풀리들, 제1슬라이딩판 또는 제2슬라이딩 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승강 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호 인접되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의ㅎ 압축되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rame, a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 installed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driving unit that moves so as to be moved, a plurality of support pulley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an elevation object is installed at one end,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levation object is It rises and is wound on a support pulley installed on the first sliding plate and a support pulley installed on the second sliding plate so that the lifting object can desce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Pulleys, a lifting wire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sliding plate or the second sliding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are compr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support spring is exten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formed by the driving unit.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is provided.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The guid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frame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at least one guide rod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the guide rod so as to support the guide rod.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가이드 봉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를 구비한다. The support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such that the base member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guide ro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installed to respectivel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guide rods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rods so as to grip the guide rod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대상물 또는 승강대상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이, 상기 승강대상물의 승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ower ca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lifting of the lifting object or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the lifting object A cable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power cable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는 내부에 상기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관통로가 마련되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부재와, 상기 승강대상물에 인접된 상기 코일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재와, 상기 제1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1절곡부재와, 상기 제1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1플랜지부재와, 상기 코일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재와, 상기 제2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절곡부재와, 상기 제2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2플랜지부재를 구비한다. The cable protection member has a through path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power cable penetrates, and a coil member wound in a spiral shape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and adjacent to the center line at one end of the coil member adjacent to the lifting object. A first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a first bending member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elevation object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and a first flang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bending member to expand an area A member, a second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at the other end of the coil member, a second bending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fting object at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the At the end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a second flange member is provided so that the area is expanded.

상기 전력 케이블은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재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cable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respectively.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부에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인 제1 및 제2나사산부가 마련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각각 나사결합된 구동스크류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The driving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and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having opposite directions of threa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In order to be spaced apart, the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are provided with driving screw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screwed, respectively, and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frame to rotate the driving screw.

한편,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은 상기 승강 와이어가 통과되는 다수의 지지경로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경로들은 가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반경이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aths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passes, and the support paths are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 virtual center point, wherein the lifting wire is twist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radii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와이어에 의해 승강대상물을 승강시키므로 보다 정확한 승강대상물의 세팅을 위해 회전드럼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작동 소음이 감소하고,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을 슬라이딩 판들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동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and lowers the lifting object by the wire wound on the pulley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liding plates moving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Therefore, a brake device that provides a rotating drum for more accurate setting of the lifting object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operating noise is reduced, and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spring can be provided to the sliding plat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nergy required during operation can be reduc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무대시설물에 설치되어 높은 곳에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필요한 물체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에 있어서, 기존 승강장치와 대비하여 소음을 줄이고,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reduce noise compared to existing lifting devices an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lifting or descending objects that are installed in stage facilities and require maintenance, repair, and management at a high place. Can be.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 인한 효과는 비단 전술된 사항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폭넓게 인정됨을 인지할 것이다.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cognize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atters but are widely recogn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장치의 구동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승강장치의 구동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승강장치의 가이드부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device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unit of the lifting device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of the lifting device of FIG. 1,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guide part of the lifting device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장치(100)는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101)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130)과,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에 설치된 지지스프링(140)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지지풀리(150)과, 단부에 승강대상물(15)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대상물(1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승강 와이어(160)와, 구동유닛(13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7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ifting device 100 includes a frame 101,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install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As for supporting the second sliding plate (110,120), between the driving unit 130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120) to be adjacent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120) An installed support spring 140, a plurality of support pulleys 150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an elevating object 15 are installed at the ends,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by the lifting wire 160 wound around the support pulleys 150 so as to move the lifting object 15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ates 110 and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In order to prevent the plate from being rotated, a guide unit 17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is provided.

프레임(101)은 메인부재(102)와, 상기 메인부재(102)의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보조부재(103)를 구비한다. The frame 101 includes a main member 102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members 103 respectively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member 102.

상기 메인부재(10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보조부재(103)는 메인부재(102)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보조부재(103)들 사이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및 구동유닛(130)이 설치된다. The main member 102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auxiliary member 10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member 102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are installed between the auxiliary members 103.

프레임(10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무대가 마련된 구조물 상측이나 건축물의 내부 벽면에 고정된다. 다만, 도 1에서는 도시의 간명화를 위하여 승강대상물(15)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지지로드로 도시되었지만, 복수 개의 조명장치와 연결된 구조물 자체가 승강대상물이 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 유닛(130)에 의하여 구조물 형태의 승강대상물이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frame 10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on which the stage is provided or to the inner wall of the structure. However, in FIG. 1,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the city, the lifting object 15 is shown as a support rod on which the facility is installed, but the structure itself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becomes the lifting object, and one or more driving units 130 Thus, a structure-type lifting object may be raised or lowered.

제1슬라이딩 판(110)은 후술되는 구동유닛(130)의 구동스크류(132)에 나사결합되는 제1허브(111)와, 제1허브(111)의 외주면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확장부재(112)를 구비한다. The first sliding plate 110 includes a first hub 111 that is screwed to a driving screw 132 of a driv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ub 111 that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an outer diameter is expanded. It includes a first expansion member (112).

제1허브(111)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중앙에 제1체결홀(113)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체결홀(113)은 제1허브(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허브(11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술되는 구동스크류(132)의 제1나사산부(13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산부(134)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hub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hole 113 in the center there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hub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ub 111, and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thread 134 of the driving screw 132 to be described later.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first threaded portion 134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able to be performed.

제1확장부재(1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허브(11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확장부재(112)는 제1허브(111)를 기준으로 방사상 위치에 각각 제1관통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114)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확장부재(112)에 형성된다.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hub 111. In addition,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has a first through hole 114 formed at a rad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ub 111,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 hole 114 is formed in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to penetrat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한편, 제1확장부재(112)는 제2슬라이딩 판(120)에 대향되는 측면의 제1관통구(114)에 인접된 위치에 지지풀리(1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브라켓(151)이 설치되어 있다. Meanwhile,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has a bracket 151 so that the support pulley 150 can be rotatably suppor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114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sliding plate 120. ) Is installed.

제2슬라이딩 판(120)은 구동스크류(132)에 나사결합되는 제2허브(121)와, 제2허브(121)의 외주면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확장부재(122)를 구비한다. The second sliding plate 120 includes a second hub 121 screwed to the driving screw 132 and a second expansion member 122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ub 121. Equipped.

제2허브(121)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중앙에 제2체결홀(123)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체결홀(123)은 제2허브(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허브(121)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술되는 구동스크류(132)의 제2나사산부(135)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산부(135)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hub 1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123 in the center there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23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hub 1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ub 121, and is screwed to the second threaded portion 135 of the driving screw 132 to be described later.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second threaded portion 13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able to be performed.

제2확장부재(12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제2허브(12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확장부재(122)는 제1관통구(114)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제2관통구(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관통구(124)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확장부재(122)에 형성된다. The second expansion member 122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hub 121. In addition, the second expansion member 122 has a second through hole 124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through hole 114, the second through hole 124 i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It is formed in the second expansion member 122 to penetrat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ates 110 and 120.

한편, 제2확장부재(122)는 제1슬라이딩 판(110)에 대향되는 측면의 제2관통구(124)에 인접된 위치에 지지풀리(1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브라켓(151)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2확장부재(122)의 브라켓(151)은 제1확장부재(112)의 브라켓(151)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second expansion member 122 has a bracket 151 so that the support pulley 150 can be rotatably suppor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through hole 124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plate 110. )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bracket 151 of the second expansion member 122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bracket 151 of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상술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은 구동스크류(132)에 의해 보조부재(103)들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etween the auxiliary members 103 by the driving screws 132.

구동유닛(130)은 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크류(132)와,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어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3)를 구비한다. The drive unit 130 includes a drive screw 132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101 and a drive motor 133 installed on the frame 101 to rotate the drive screw 132.

구동스크류(132)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인 제1 및 제2나사산부(134,135)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스크류(132)는 양단부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프레임(101)의 보조부재(103)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driving screw 132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that 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ws having opposite directions of threads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Two threaded portions 134 and 135 are provided. Both ends of the driving screw 132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auxiliary members 103 of the frame 101 by bearings (not shown).

한편, 구동스크류(132)는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부(134,135) 사이에 나사산이 미형성된 간극부(13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간극부(136)는 나사산이 미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간극부(136)로 진입시 구동스크류(132)가 회전하더라도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간극부(136)에 의해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의 인접거리가 제한되어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screw 132 is provided with a gap 136 in which a thread is not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aded portions 134 and 135. Since the clearance part 136 is not threaded, movement is restricted even if the driving screw 132 rotates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enter the gap 136.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is limited by the gap 136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구동모터(133)는 프레임(101)에 설치되며, 구동스크류(13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133)는 인가되는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motor 133 is installed on the frame 101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ing screw 132 to rotate the driving screw 132.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motor 133 is a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applied electricity or hydraulic pressure.

한편, 구동유닛(1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을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스크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riv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driving screw so as to interfere wit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to prevent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It may further include a limit control unit to limit.

리미트 제어부는 상기 구동스크류(13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간섭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부재는 제1나사산부(134) 및 제2나사산부(135)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섭부재는 복수개가 구동스크류(132)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구동스크류(132)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타입으로 형성되어 제1나사산부(134) 및 제2나사산부(135)의 단부에 각각 체결될 수도 있으나, 간섭부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이동을 간섭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하고, 1개의 간섭부재가 구동스크류(132)의 타단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The limit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ference members (not shown)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driving screw 132. The interference memb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threaded portion 134 and the second threaded portion 135 and is protru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ference memb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drive screws 132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crew 132 so that a plurality of the interference member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crew 132.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member may be formed in a bolt type with a threaded thread and may be fastened to the ends of the first threaded portion 134 and the second threaded portion 135, respectively, but the interference member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first and the first 2 Any shape capable of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s 110 and 120 may be possible, and one interference member may be installed only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screw 132.

지지스프링(140)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40)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인접되게 이동시 압축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이격되게 이동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압축 스프링이 적용된다. The support spring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to provide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supported on the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The support spring 140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is compress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mov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compressed. When the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moved apart from each other, they are elongated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a compression spring is applied.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스프링(14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인접시 압출되고,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격시 압출된 길이 만큼 상기 슬라이딩 판들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격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support spring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xtrud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adjacent, and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sliding plates by the length extrud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requir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지지풀리(150)는 복수개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마련된 브라켓(151)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풀리(150)의 외주면에는 승강와이어(160)가 다수회 권취된다. A plurality of support pulleys 150 are rotatably installed on brackets 151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respectively. The lifting wire 160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ulley 150.

승강와이어(160)는 다수개가, 일단이 승강대상물(15)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각각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이때, 승강와이어(160)는 일단부가 제2슬라이딩 판(120)의 제2관통구(124)에 삽입되어 승강대상물(15)에 고정된다. 승강와이어(160)의 타단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풀리(150)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승강와이어(160)의 타단부는 제2관통구(124)를 통해 제2슬라이딩 판(120)을 관통하게 된다.A plurality of lifting wires 160, one end fixed to the lifting object 15,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upport pulleys 150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lifting wire 160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24 of the second sliding plate 120 and fixed to the lifting object 15. Although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wire 16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fixed to any one of the support pulleys 150 or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wire 160 passes through the second sliding plate 12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4.

여기서, 승강와이어(160)는 일단부가 승강대상물(15)이 설치된 건축물(미도시)의 천장부에 설치된 보조풀리(161)에 지지되어 승강대상물(15)에 연결된다. 이때, 보조풀리(16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풀리(161)에 의해 승강와이어(160)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승강대상물(15)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Here, the lifting wire 160 is supported at one end by an auxiliary pulley 161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not shown) in which the lifting target 15 is installed,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target 15. At this time, the auxiliary pulley 161 is preferably installed to rotate around a virtual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ifting wire 160 by the auxiliary pulley 161 moves the lifting object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한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설치된 두 쌍의 지지풀리(150)와,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된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2개의 승강와이어(160)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풀리(150)의 쌍 및 승강와이어(160)의 갯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대상물(15)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two pairs of support pulleys 150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the support pulleys 150 facing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crew 132 Although two coiled lifting wires 160 are shown, the number of pairs of the support pulley 150 and the number of lifting wires 16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ne or mo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ifting object 15.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승강와이어(160)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의 충돌을 방지하는 간섭블럭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간섭블럭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 사이의 승강와이어(16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승강와이어(1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간섭블럭은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접근시 각 슬라이딩 판(110,120)들에 설치된 지지풀리(150)의 중앙부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에 인접될수록 전후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fting wire 16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block to prevent colli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120). The interference block is installed on the elevating wire 16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o allow the elevating wire 160 to pass therethrough. At this time, the interference block i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to prevent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upport pulleys 150 installed on the sliding plates 110 and 12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pproac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widths increase as they are adjacent to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support pulleys 150 installed on the (110, 120).

가이드부(170)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에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171)과, 상기 가이드 봉(17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지지유닛(172)을 구비한다. The guide part 170 is installed on the frame 101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nd at least one guide rod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 171 and a support unit 172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to support the guide rod 171.

가이드 봉(171)은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제1 및 제2확장부재(112,122)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은 가이드 봉(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봉(171)은 양단부가 각각 프레임(101)의 보조부재(103)들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봉(171)은 구동스크류(132)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가이드 봉(171)이 2개가 마련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 봉(17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확장부재(112,122)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The guide rod 17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crew 132,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members 112 and 122.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od 171. Both ends of the guide rod 171 are fixed to the auxiliary members 103 of the frame 101,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guide rod 171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crew (132).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wo guide rods 171 are provided is shown, but the guide rod 171 is not limited thereto, but one or one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members 112 and 122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지지유닛(172)은 상기 가이드 봉(171)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슬라이딩 판(110)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73)와,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봉(17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7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롤러(174)를 구비한다. The support unit 172 includes a base member 173 installed on the first sliding plate 1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guide rod 171, and the bas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171.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74 rotatably installed on the member 173.

베이스부재(173)는 제1슬라이딩 판(110)의 제1확장부재(112)에 설치되며, 제1확장부재(1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지지롤러(174)는 외주면이 가이드 봉(17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베이스부재(17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복수개가 상기 가이드 봉(171)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봉(17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봉(171)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The base member 173 is installed on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of the first sliding plate 110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expansion member 112 to the rear. The support roller 17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173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171, and a plurality of the guide rods 171 It is installed so as to contact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guide rods 171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유닛(172)이 제1슬라이딩 판(110)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유닛(172)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슬라이딩 판(120) 또는 제1 및 제2슬라이당 판(110,120) 모두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가이드부(17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은 구동스크류(132)가 회전시 함께 회전하지 않고, 구동스크류(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unit 172 is installed on the first sliding plate 110 is shown, but the support unit 172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liding plate 120 or the first and first sliding plates are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installed on each of the plates 110 and 120 per 2 slides. By the guide unit 170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do not rotate together when the driving screw 132 rotates, but ar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crew 132.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승강대상물(15)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구동모터(133)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동되면 각 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은 상호 이격되고,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승강와이어(160)에는 당김력이 작용한다. 상기 당김력에 의해 승강대상물(15)을 상측으로 이동된다. First, when the lifting object 15 is moved upward, the driving motor 133 is operated to rotate the driving screw 13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moved, the support pulleys 150 installed on each sliding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ulling force acts on the lifting wires 160 wound around the support pulleys 150. The lifting object 15 is moved upward by the pulling force.

다음, 승강대상물(15)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구동모터(133)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론 구동스크류(132)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110,120)이 이동되면 각 슬라이딩 판에 설치된 지지풀리(150)들은 상호 인접되고, 지지풀리(150)들에 권취된 승강와이어(160)가 일부 권출되어 승강대상물(15)이 하강한다. Next, when the lifting object 15 is moved downward, the driving motor 133 is operated to rotate the driving screw 13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110 and 120 are moved, the support pulleys 150 installed on each sliding plat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lifting wire 160 wound around the support pulleys 150 is partially unwound to the lifting object 15 ) Descends.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판들에 각각 설치되는 풀리들에 권취된 승강 와이어(160)에 의해 승강대상물(15)을 승강시키므로 보다 정확한 승강대상물(15)의 세팅을 위해 회전드럼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작동 소음이 감소하고, 지지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슬라이딩 판들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작동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and lowers the lifting object 15 by the lifting wire 160 wound on the pulley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liding plates moving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peration noise is reduced because a brake device that provides a rotating drum for setting the object 15 is not required, and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spring 140 can be provided to the sliding plates, energy required during operation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10)는 상기 승강대상물(15) 또는 승강대상물(15)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상기 승강대상물 또는 승강 대상물에 설치된 전자기기 사이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16)이, 상기 승강대상물의 승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케이블(16)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16)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재(18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는 상기 승강대상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에 설치된 전원공급수단이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 대상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Meanwhile, the elevating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ing object or the elevating object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vating object 15 or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ing object 15. The power cable 16 connected between the devices is further provided with a cable protection member 180 installed on the power cable 16 to protect the power cable 16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lifting of the object to be lifted. do. Here, the power supply unit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fting object, and the power supply means installed in the building is appli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upply means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lifting object may be applied.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180)는 코일부재(181), 제1연장부재(182), 제1절곡부재(183), 제1플랜지부재(184), 제2연장부재(185), 제2절곡부재(186) 및 제2플랜지부재(187)를 구비한다. The cable protection member 180 includes a coil member 181, a first extension member 182, a first bending member 183, a first flange member 184, a second extension member 185, and a second bending member. It includes (186) and a second flange member (187).

코일부재(181)는 내부에 전력 케이블(16)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로(미도시)가 마련되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다. 상기 코일부재(181)는 케이블 보호부재(180)가, 건축물의 천장 또는 승강대상물 상측의 장애물에 충돌시 외형이 변형되어 충격이 승강대상물(15)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재(181)는 열가소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il member 181 is provided with a through path (not shown) so that the power cable 16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is wound in a spiral shape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The coil member 181 is deformed in appearance when the cable protection member 180 collides with an obstacle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or an object above the lifting object to reduc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lifting object 15. Here, the coil member 181 is preferably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제1연장부재(182)는 승강대상물에 인접된 코일부재(181)의 하단부에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재(182)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xtension member 182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coil member 181 adjacent to the lifting objec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xtension member 182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coil member 181.

제1절곡부재(183)는 제1연장부재(182)의 단부에, 승강대상물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절곡부재(183)는 제1연장부재(182)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1절곡부재(183)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bending member 18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182 to be bent toward the lifting object. That is, the first bending member 18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ension member 182. In this case, the first bending member 183 is preferably formed to be locat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coil member 181.

제1플랜지부재(184)는 제1절곡부재(183)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플랜지부재(184)는 제1절곡부재(183)의 단면적보다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승강대상물(15)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대상물(15)에 접촉된다. The first flange member 18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ending member 183. Here, since the first flange member 184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ending member 183,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lifting object 15 is expanded to more stably contact the lifting object 15. .

제2연장부재(185)는 코일부재(181)의 상단부에 연장된다. 여기서, 제2연장부재(185)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extension member 185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coil member 181.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xtension member 185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coil member 181.

제2절곡부재(186)는 제2연장부재(185)의 단부에, 승강대상물(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절곡부재(186)는 제2연장부재(185)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2절곡부재(186)는 코일부재(181)의 가상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bending member 186 extends at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member 18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fting object 15. That is, the second bending member 186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member 185. In this case, the second bending member 186 is preferably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of the coil member 181.

제2플랜지부재(187)는 제2절곡부재(186)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플랜지부재(187)는 제2절곡부재(186)의 단면적보다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애물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장애물에 접촉된다. The second flange member 187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186. Here, since the second flange member 187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ent member 186,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is expanded to more stably contact the obstacle.

여기서, 전력 케이블(16)은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재(186)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블 보호부재(180)는 전력 케이블(16)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대상물(15)에 대해 직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Here, the power cable 16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186,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able protection member 180 is supported by the power cable 16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object 15.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보호부재(180)는 승강대상물(15)이 상승시 건축물의 천장부와 같이 장애물에 접근할 경우, 해당 장애물에 접촉하여 충격이 전력 케이블(16)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하므로 상기 전력 케이블(16)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cable protection member 18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impac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ower cable 16 by contacting the obstacle when the lifting object 15 approaches an obstacle such as a ceiling part of a building when the object 15 rises. The power cable 16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in FIG. 6,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10 and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은 상기 승강 와이어(160)가 통과되는 다수의 지지경로(231)가 마련된다. 이때, 제1슬라이딩 판(210)의 제1확장부재(211)와 제2슬라이딩 판(220)의 제2확장부재(221)는 각각 제1허브(111) 및 제2허브(121)에 고정되며, 반원형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확장부재 (211)및 제2확장부재(221)는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러(201)에 의해 다수의 지지경로(231)가 생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10 and 22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aths 231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160 passes. At this time, the first expansion member 211 of the first sliding plate 210 and the second expansion member 221 of the second sliding plate 220 are fixed to the first hub 111 and the second hub 121, respectively. It is formed in a semicircular plate shape. The first expansion member 211 and the second expansion member 221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aths 231 by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201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여기서, 상기 지지경로(231)는 가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롤러(201)들이 제1확장부재 및 제2확장부재의 외주면에 배열된다. 이때, 지지경로(231)들은 승강 와이어(16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반경이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upport paths 231 ar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xpansion member and the second expansion member so that the support path 231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n imaginary center poi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ths 231 are formed so that the radi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lifting wire 160 from being twisted.

상기 승강 와이어(160)는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에 마련된 지지경로(231)들을 교번하여 통과하도록 지지된다. 지지경로(231)들에 의해 승강 와이어는 제1 및 제2슬라이딩판(210,220)이 상호 이격되거나 인접되더라도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The lifting wire 160 is supported so as to alternately pass through the support paths 231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10 and 220. By the support paths 231, the lifting wire is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210 and 220 are spaced apart or adjacent to each other.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승강장치
101: 프레임
110: 제1슬라이딩 판
112: 제1플랜지부재
111: 제1허브
113: 제1체결홀
114: 제1관통구
120: 제2슬라이딩 판
121: 제2허브
122: 제2플랜지부재
123: 제2체결홀
124: 제2관통구
130: 구동유닛
132: 구동스크류
133: 구동모터
134: 제1나사산부
135: 제2나사산부
136: 간극부
140: 지지스프링
150: 지지풀리
160: 승강 와이어
170: 가이드부
100: lifting device
101: frame
110: first sliding plate
112: first flange member
111: first hub
113: first fastening hole
114: first through port
120: second sliding plate
121: second hub
122: second flange member
123: 2nd fastening hole
124: second passage
130: drive unit
132: drive screw
133: drive motor
134: first screw thread
135: second screw thread
136: gap
140: support spring
150: support pulley
160: lifting wire
170: guide part

Claims (8)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풀리;
일단부에 승강대상물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상승하고,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시 상기 승강대상물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판 또는 제2슬라이딩 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승강 와이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호 인접되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의ㅎ 압축되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이격시 신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 및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fram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am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support pulley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 lifting object is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ifting object rises,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lifting object can descend. And an elevating wire supported by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sliding plate or the second sliding plat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are compr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extended whe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 support spring providing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plate; And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to prevent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by the driving unit;
Lif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에 관통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봉; 및
상기 가이드 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art
At least one guide rod installed on the frame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extending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nd
Having; a support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to support the guide rod,
Lift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가이드 봉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unit
A base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djacent to the guide rod; And
A plurality of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od, and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guide rods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guide rod so as to grip the guide rod With a; supporting roller of,
Lifting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상물 또는 승강대상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이, 상기 승강대상물의 승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력 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하는,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ower cabl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vating object or th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ing object is installed on the power ca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levating of the elevating object to protect the power cable Member; further comprising,
Lift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는
내부에 상기 전력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관통로가 마련되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부재;
상기 승강대상물에 인접된 상기 코일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재;
상기 제1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1절곡부재;
상기 제1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1플랜지부재;
상기 코일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중심선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재;
상기 제2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승강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절곡부재; 및
상기 제2절곡부재의 단부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제2플랜지부재;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able protection member
A coil member provided with a through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cable passes, and wound in a spiral shape based on a virtual center line;
A first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at one end of the coil member adjacent to the lifting object;
A first bending member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member to be bent toward the elevation object;
A first flange member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ding member to expand an area;
A second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center line at the other end of the coil member;
A second bending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fting object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ding member; And
Having a second flange member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such that an area is expanded,
Lift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상기 제1 및 제2절곡부재를 각각 관통되게 설치된,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cable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Lif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부에 각각 나사산의 방향이 상호 반대인 제1 및 제2나사산부가 마련되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이 각각 나사결합된 구동스크류;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is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having opposite directions of the threa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Driving screw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respectively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 threads; And
Comprising;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frame to rotate the drive screw,
Lif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 판은 상기 승강 와이어가 통과되는 다수의 지지경로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경로들은 가상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반경이 상호 상이하도록 형성된,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lat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aths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passes, and the support paths are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 virtual center point, and the lifting wire is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In order to be formed so that the radius is mutually different
Lifting device.
KR1020190118986A 2019-09-26 2019-09-26 Lifting apparatus KR102340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86A KR102340743B1 (en) 2019-09-26 2019-09-26 Lif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86A KR102340743B1 (en) 2019-09-26 2019-09-26 Lif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72A true KR20210036672A (en) 2021-04-05
KR102340743B1 KR102340743B1 (en) 2021-12-16

Family

ID=7546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86A KR102340743B1 (en) 2019-09-26 2019-09-26 Lif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16A (en)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skip hoist
KR102628454B1 (en) * 2023-07-20 2024-01-23 김태훈 Wire rope wind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23B1 (en) * 2022-03-10 2024-04-22 한국원자력연구원 Wire control device and radiographic inspe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90B1 (en) 2005-04-23 2006-11-14 주식회사 두륭 Device for Lifting up and down Objects
KR101312209B1 (en) * 2013-04-22 2013-09-27 기정화 Up and down flow file guide
KR20140105283A (en) * 2013-02-22 2014-09-01 신정훈 Lifting device of lighting lamp
KR20180065650A (en) * 2016-12-08 2018-06-18 김응복 Lif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90B1 (en) 2005-04-23 2006-11-14 주식회사 두륭 Device for Lifting up and down Objects
KR20140105283A (en) * 2013-02-22 2014-09-01 신정훈 Lifting device of lighting lamp
KR101312209B1 (en) * 2013-04-22 2013-09-27 기정화 Up and down flow file guide
KR20180065650A (en) * 2016-12-08 2018-06-18 김응복 Lif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916A (en) *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skip hoist
KR102628454B1 (en) * 2023-07-20 2024-01-23 김태훈 Wire rope win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43B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43B1 (en) Lifting apparatus
US10183850B2 (en) Compact hoist system
WO2014007587A1 (en) Elevator capable of generating power
KR100972781B1 (en) Batten lift up and down device for studio
KR102566855B1 (en) Elevator overrun systems
CN104929355B (en) Shaped form hanging basket
US20170362063A1 (e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CN203624749U (en) Mechanical stop device for home elevator
CN103342295B (en) Tower crane, as well as amplitude variation mechanism and amplitude variation method thereof
EP3572136B1 (en) Compact hoist system
KR20150013873A (en) Elevator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KR101871245B1 (en) Stage drive device screw drum moves
EP3071506B1 (en) Lift assembly with tapered drums
JP2013010604A (en) Elevator apparatus
JP2013018649A (en) Elevator apparatus
US20200131004A1 (en) Elevator system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KR20180065650A (en) Lifting apparatus
CN210103353U (en) Multifunctional self-rope-arranging winch
KR102297928B1 (en) Apparatus for Batten Lifting Drive
CN210286577U (en) Power assembly for driving clothes hanger to lift and clothes airing machine
JP6289743B2 (en) Elevator equipment
CN210103351U (en) Self-rope-arranging hoister
CN209082963U (en) Lifting basket equipment
JP2013199346A (en) Drum-type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