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469A - 광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광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469A
KR20210036469A KR1020190118460A KR20190118460A KR20210036469A KR 20210036469 A KR20210036469 A KR 20210036469A KR 1020190118460 A KR1020190118460 A KR 1020190118460A KR 20190118460 A KR20190118460 A KR 20190118460A KR 20210036469 A KR20210036469 A KR 2021003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container
wick
generating device
ligh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정
Original Assignee
안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정 filed Critical 안상정
Priority to KR102019011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469A/ko
Priority to PCT/KR2020/002431 priority patent/WO2020171609A1/ko
Publication of KR2021003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7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제1 왁스와 제1 왁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왁스를 포함하고, 심지가 제1 왁스를 지나 제2 왁스에 꽂힐 때 저항감을 제공하도록 제1 왁스의 구성과 제2 왁스의 구성을 달리하는 왁스;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생성 장치{APPARATUS OF GENERATING LIGH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광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들 왁스를 이용하여 광을 생성하는, 광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광 생성 장치는 캔들 자체이거나 여기에 전기로 발광하는 광원이 추가된 형태(예: 캔들 워머, 캔들과 코스터(coaster), 무드등)일 수 있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JP1998-162643호에 제시된 자동소화(self-extinguishing) 캔들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캔들 구조물은 힌지(1), 스프링(2), 커버(3), 와셔(4) 및 박스(5)를 포함하며, 힌지(1), 스프링(2), 커버(3) 및 와셔(4)를 이용하여 박스(5) 내에 위치하는 캔들을 자동으로 소화하게 된다.
도 2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36615호에 제시된 자동소화(auto-extinguishing) 캔들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캔들 구조물은 캔들(11)과 수분을 함유하는 원통벽(12)을 포함하며, 원통벽(12)을 캔들(11)의 적절한 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연소후 캔들(11)을 자동으로 소화하게 된다.
도 13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919호에 제시된 캔들 워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캔들 워머(30)는 캔들(31), 받침재(33), 램프부(35) 및 높이조절부(37)를 포함한다. 램프부(35)에는 주로 할로겐 램프가 구비되며, 조명부로서 빛을 내어서 캔들(31)을 태우지 않고도 빛을 내는 한편, 발열부로서 열을 내어서 캔들(31)을 태우지 않고도 왁스를 녹여 캔들(31)이 발향을 하게 한다.
도 17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9488호에 제시된 발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장치(50)는 캔들(54)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도 17(b)(도 17(a)의 A-A'라인을 따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장치(50)는 열전소자(51; Thermoelectric Device), 방열판(52), 흡열판(53), 열차단판(55) 그리고 공극(57)을 포함한다. 방열판(52)은 열전소자(51)의 방열을 돕고, 흡열판(53)은 열전소자(51)의 열흡수 면적을 넓히며, 열차단판(55)과 공극(57)은 캔들(54)의 열이 방열판(52)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발전장치(50)로 생성된 전기는 발전장치(50)에 결합되는 LED 램프(도시 생략)의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왁스의 하부에서 용기에 담겨 있으며, 투광체(light-transmittable)로 된 받침재; 그리고 받침재로 노출되지 않도록 왁스에 고정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왁스의 하부에 구비하며, 투광체(light-transmittable)로 된 받침재; 왁스에 고정되는 심지; 심지에 붙은 불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열전소자; 그리고, 열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용기의 아래에 구비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그리고 왁스에 열과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그리고 왁스의 하부에서 용기에 담겨 있으며, 투광체(light-transmittable)로 된 받침재;를 포함하며, 왁스는 제1 왁스와, 제1 왁스와 받침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받침재와 접촉하는 제2 왁스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제1 왁스와 제1 왁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왁스를 포함하고, 심지가 제1 왁스를 지나 제2 왁스에 꽂힐 때 저항감을 제공하도록 제1 왁스의 구성과 제2 왁스의 구성을 달리하는 왁스;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심지가 꽂히는 왁스;로서,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왁스를 구비하는 제1 용기; 제1 왁스와 꽂히지 않는 상태로 용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 그리고,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왁스를 구비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제1 용기; 그리고, 제2 왁스를 구비하며, 제2 왁스 위에 제1 왁스가 옮겨지고, 제1 왁스에 심지가 꽂혀서 발화되며, 제1 용기와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JP1998-162643호에 제시된 자동소화(self-extinguishing) 캔들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36615호에 제시된 자동소화(auto-extinguishing) 캔들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심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1919호에 제시된 캔들 워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9488호에 제시된 발전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4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4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도 28에 제시된 용기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도 30(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도 30(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도 30(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도 30(c)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에 사시도를, 도 3(b) 내지 도 3(e)에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캔들(100)은 왁스(110)와 심지(130)를 포함한다. 왁스(110)는 광물성 왁스(예: 파라핀), 식물성 왁스(예: 소이 왁스, 팜 왁스, 코코넛 왁스), 동물성 왁스(예: 비즈 왁스) 등일 수 있으며, 캔들(110)에 사용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심지(130)는 면 심지(cotton wick), 나무 심지(wood wick) 등일 수 있으며, 캔들(110)에 사용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3에 제시된 캔들(100)의 경우에, 심지(130)가 제조의 단계에서 왁스(110)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시점에서 왁스(110)의 상면(103)으로부터 꽂혀서 고정된다. 심지(130)의 길이를 왁스(110)의 길이(L+M)보다 길게 하여 심지(130)가 왁스(110)의 하면(101)에 이르도록 꽂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심지(130)를 왁스(110)의 상면(103)으로부터 일정 깊이(L)로 하면(101)으로부터 이격되게 꽂은 후(도 3(b) 및 도 4), 점화하여 불(200)을 붙이고(도 3(c)), 불(200)에 의해 왁스(110)가 일부 녹아서 왁스(110)에 의한 심지(130)의 고정력이 약해지게 되고, 즉, 고체 상태의 왁스(110)에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던 심지(130)가 점차 액체 상태의 왁스(110)와 접촉하여 고정이 약해지고(도 3(d)), 마침내 중력에 의해 심지(130)가 쓰러져서 불(200)이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도 3(e)). 예를 들어, 2cm 길이의 면(cotton)으로 된 심지(130)를 소이 왁스로 된 왁스(110)에 1.5.cm 깊이(L)로 꽂아서 연소시킨 경우에, 대략 30-50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꺼지게 된다. 소화되는 시점은 캔들(100)이 놓이는 곳의 온도, 습도, 바람, 그리고 캔들 자체의 상태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지만, 깊이(L)를 조절함으로써, 캔들(100)이 자동으로 소화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있게 된다. 한편 왁스(110)가 딱딱한 경우에는, 송곳, 이쑤시개와 같은 구멍 형성 도구를 이용하는 구멍을 먼저 형성한 후 심지(130)를 꽂을 수 있다.
도 5 및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에 사시도를, 도 5(b)에 B-B'라인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3에 제시된 캔들과 달리, 캔들(100)은 용기(170)와 받침재(150; base material)를 더 포함한다. 용기(170)는 왁스(110)를 담는 역할을 하며, 받침재(150)는 왁스(110)의 아래에서 용기(170)에 구비되어 다음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수행한다. ① 받침재(150)가 공기, 물과 같이 왁스(110)보다 저가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왁스(110)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170)에 담긴 왁스(110)의 경우에, 왁스(110)가 소모되어 왁스(110)의 표면(111)이 용기(170)의 바닥(172)에 가까워지게 되면, 손을 이용하여 심지(130)를 왁스(110)에 꽂기가 어려워져 캔들(100)의 사용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받침재(150)를 구비함으로써, 심지(130)를 꽂기 쉬운 지점까지만 왁스(110)를 이용하고, 왁스(110)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② 받침재(150)가 불연재 내지는 왁스보다 인화성이 덜한 물질(예: 물, 실리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심지(130)가 용기(170)의 바닥(172) 부근에서 연소를 계속하여 용기(170)가 깨져 화재가 발생할 염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③ 받침재(150)가 투광체(예: 물, 공기, 젤왁스, 두꺼운 유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캔들(100)에 미감을 부여한다. 받침재(150)는 기체, 액체 또는 고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왁스(110)를 관통한 심지(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기체, 액체, 유체 또는 반고체(예: 젤 상태의 물질, 젤왁스)로 이루어진다. 받침재(150)가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 제시된 예에서, 심지(130)의 길이(L)는 왁스(110)의 표면(111)으로부터 용기(170)의 바닥(172) 까지의 거리(P)보다 짧은 것이 좋겠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받침재(150)가 물과 같은 불연 액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심지(130)가 받침재(150)에 닿으면 받침재(150)가 심지(130)에 흡수되어 심지(130)의 연소를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도 16(a) 참조). 서로 다른 복수의 물질이 받침재(150)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의 부호 135는 심지(130)의 바닥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에 제시된 캔들이 걸림부(19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190)는 용기(170)에 담긴 왁스(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왁스(110)의 하부에 받침재(150)가 놓인 상태에서 심지(130)를 왁스(110)에 꽂아서 사용할 때 특히 유용하다. 도 6(a)에는 걸림부(190)가 용기(170)의 내측벽(171)에서 홈 형태, 즉 용기(17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용기(170)의 바닥으로부터, 왁스(110)의 바닥까지의 거리를 a, 걸림부(190)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b, 걸림부(190)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c, 왁스(110)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d라 할 때, 걸림부(190)는 왁스(110)의 내, 즉 거리(a)와 거리(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왁스(110)의 고정을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도 6(b)에는 걸림부(190)가 용기(170)의 내측벽(171)에서 돌기 형태, 즉 용기(17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6(c)에는 걸림부(190)가 용기(170)의 내측벽(171)에서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는 용기(170)와 같은 물질(예: 유리)로 이루어지나 다른 물질(예: 실리콘 수지, 플라스틱)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190)가 반드시 연속으로 이어져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170)에 왁스(110)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여도 좋다. 도 6(d)에서 걸림부(190)는 용기(170)의 측벽 자체가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e)에서 걸림부(190)는 용기(170)의 측벽에 단차(step)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a) 내지 도 6(e)에 제시된 예들 자체가 복수 개 구비되거나, 이들이 조합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왁스(110)를 용기(170)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받침재(150)가 유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도 6(a) 내지 도 6(c)에 제시된 걸림부(190)는 왁스(110)를 용기(170)에 고정하는 역할에 더하여, 유체가 왁스(110)의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e)에 제시된 걸림부(190)는 왁스(110)를 받쳐주는데 있어 확실히 역할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90)가 구비된 용기(170)를 준비한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재(150)와 왁스(110)를 용기(170)에 넣는다. 이때, 받침재(150)와 왁스(110)는 고체 상태이거나 액체 상태일 수 있으며, 받침재(150)는 물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재(150)와 왁스(110)를 가열한다. 받침재(150)의 밀도가 왁스(110)의 밀도보다 낮은 경우에, 왁스(110)가 받침재(150)의 위에 위치하게 되며, 받침재(150)와 왁스(110)의 양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왁스(110)가 걸림부(190)에 대해 위치하는 지점(a,b)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190)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이 없이 왁스(110)를 걸림부(19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130)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을 제조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에 제시된 예와 달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재(150; 예: 물, 실리콘, 젤왁스)를 걸림부(190)의 아래에 놓이도록 용기(150)에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110)를 용기(150)에 넣는다. 마지막으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110)를 굳힌 다음, 심지(130)를 꽂아 사용한다. 왁스(110)를 용기(170)에 넣을 때, 액체 상태의 왁스(110)를 넣어도 좋고, 고체 상태의 왁스(110)를 넣은 후, 열을 가해서 녹인 후 다시 굳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심지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a)에서 심지(130)는 통상적인 나무 심지이며, 도 9(b)에서 심지(130)는 경사진 바닥면(131)을 가지는 나무 심지이고, 도 9(c)에서 심지(130)는 통상적인 두 개의 실이 꼬인 면 심지(왁스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임)이며, 도 9(d) 및 도 9(e)에서 심지(130)는 의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틈(133)을 가지는 나무 심지이고, 도 9(f)에서 심지(130)는 복수의 폭이 좁은 나무 막대를 겹쳐 놓은 형태를 가진다. 도 9(d) 내지 도 9(f)에 제시된 심지(130)를 이용함으로써, 틈(133) 또는 겹쳐진 나무 막대 사이의 틈이 녹은 왁스(110)의 모세관 현상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캔들의 발화력을 향상시킨다. 도 12에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c), 폭(d) 및 높이(f)를 가지는 심지(130; 예: c=0.7mm, d=01.mm, f=20mm)를 준비한 다음,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c1)을 가지도록 높이(f) 방향을 따라 복수 개(예: 5개)로 자른 다음,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d) 방향으로 겹쳐 배열하여 만들어진 심지(130)가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나무로 된 심지(130)에 불(200)을 붙이면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200)이 심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좁은 폭의 불꽃 형태를 보이지만, 도 12(c)에 제시된 형태의 심지(130)를 사용하면 나무로 된 심지(130)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면으로 심지(130)가 나타내는 불꽃, 즉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의 불꽃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때 겹쳐지는 잘려진 나무의 수가 적으면 왁스의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면적이 적어 불(200)이 유지되기 어려우므로, 적어도 5개 이상 겹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a)에 제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바닥면(131)을 가지는 심지(130)에 불(200)을 붙인 상태에서, 도 10(b)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막대(300)를 이용하여 심지(130)를 누르면 심지(130)가 지점(J)을 중심으로 아래로 기울여져 왁스(110)에 잠겨서 불(200)이 꺼지게 된다. 따라서 불(200)이 자동으로 소화되기 이전에 불(200)을 끄고자 하는 경우에 쉽게 불(200)을 불을 끌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에 제시된 심지(130)를 2이상 겹쳐서 왁스(110)에 꽂아 사용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9(f)와 관련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심지(130)를 겹쳐 간격(l)을 가지는 틈(137)을 생성함으로써, 캔들(100)의 발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생성 장치(400)는 캔들(100), 발열부(410), 지지대(430) 및 베이스(450)를 포함한다. 발열부(410)는 캔들(100)을 녹이기 위해 열 또는 빛 중 적어도 하나를 내며, 캔들(100)의 위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발열부(410)는 할로겐 램프, LED 램프, 히터 등일 수 있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410)는 소켓(411)과 램프(412)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430)는 발열부(410)를 지지한다. 베이스(450)는 캔들(100)의 받침으로 역할하고, 지지대(430)와 결합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베이스(450)는 발광부(451)를 구비하며, 발광부(451)는 캔들(100)에 빛을 비춘다. 발광부(451)는 LED, 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심지가 용기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캔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열부(41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왁스가 액체 상태로 되면 심지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심지(130; 도 3 참조)를 꽂지 않은 캔들(100; 도 3 참조)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생성 장치(140)는 도 14에 제시된 예와 달리 발열부(410)가 히터로 되어 있어 열만 발생시키고 빛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히터를 작동시켜도 빛(적외선에 가까운 붉은 빛)이 날 수 있지만, 조명용 가시광 램프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드라이어 형태의 히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캔들(100)은 도 5에 제시된 캔들(100)이 이용될 수 있다. 받침재(150)로서 투광성 물질을 이용한다면 발광부(451)를 이용해 용기(170)의 하부 내부를 비추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왁스(110)의 바닥면이 반사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발광부(451) 자체가 특정 색을 발광하거나, 왁스(110)에 적절한 색소(coloring element; 예: 염료)를 섞어서 이러한 효과를 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광부(451)가 백색의 빛을 발광하고, 왁스(110)의 바닥면이 적색이라면, 받침재(150)는 전체적으로 붉은색으로 보일 것이며, 따라서 장치의 색을 변경하지 않고도, 캔들(100)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유리로 된 용기(170)의 바닥을 1cm 이상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유사한 효과를 보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번호 480은 전원부이고, 490은 회로부이다. 전원부(480)로 상전이 공급되면, 회로부(490; 예: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발광부(451)에 맞도록 상전을 변환한다. 1회용 배터리 및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전원부(480)와 회로부(490), 그리고 배터리를 포괄하여 전원공급부라 칭한다. 도 15(b)에 도 6(b)에 제시된 캔들의 변형예가 제시되어 있으며, 도 15(c)에 C-C' 라인을 따른 단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용기(170)의 적어도 하부 외벽에 광 산란부(173)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광 산란부(173)는 적어도 걸림부(190)의 아래에 위치하며 용기(17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직선 또는 곡선) 뻗어 있는 형태를 가지지만, 광 산란 기능을 한다면 특별한 제한(예: 도트 형태)은 없다. 광 산란부(173)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부(451)에서 조사되어 투광체인 받침재(1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산란을 도울 수 있으며, 발광부(451)를 가리는 역할도 한다. 도 1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용기(170)가 바닥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내지는 바닥멱으로부터 위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로 용기(170)의 측벽을 직선 또는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광산란의 효과를 더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 생성 장치(500)는 캔들(100), 열전소자(510), 지지대(430) 그리고 베이스(450)를 포함하며, 도 14 및 도 15에 제시된 발열부(410)가 열전소자(510)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면 도 14 및 도 15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와 대동소이하다. 열전소자(510)를 구비함으로써, 전원부(480)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나아가, 캔들(100)이 자동으로 소화되는 구조인 경우에 열전소자(510)가 캔들(100)로부터 열이 공급되지 않으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되어 발광부(451) 또한 빛을 생성하지 않고 작동이 중단되므로, 캔들(100)이 소화되는 시점에서 발광부(451)도 함께 꺼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경우에, 별도의 타이머 장치를 구비하더라도 캔들(100)이 소화되는 시점에서 발광부(451)를 정확히 off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캔들(100)의 소화를 센싱한다면 가능할 것이지만), 도 18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경우에 캔들(100)이 소화되는 시점에 맞추어 자동으로 발광부(451)를 off할 수 있게 된다. 도 18(a)에 제시된 예에서 열전소자(510) 위에 방열을 위한 물통(5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도 18(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와 구분된다. 지지대(430)를 금속과 같이 열전도성이 좋은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더하여 베이스(451)를 열전도성이 좋은 물질(예: 금속)로 구성함으로써, 열전소자(510)의 방열을 도울 수 있다. 열전소자(510)에서 생성된 전기는 지지대(430) 내부를 지나는 전선(도시 생략)을 통해 베이스(450)를 거쳐 발광부(451)에 전달될 수 있다. 지지대(430)와 베이스(450)가 반드시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들(100)은 도 5에 제시된 캔들(100)에 더해서, 덮개(180; cover)를 더 포함하며, 덮개(180)는 발광부(451)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부(451)는 덮개(180)와 왁스(110) 사이에서 용기(170) 내에 위치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451)를 구비하는 덮개(180)를 캔들(100)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덮개(180)가 도 14, 도 15 및 도 18에 제시된 발광부(451)를 구비하는 받침대(450)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캔들(100)이 자체적으로 그 하부에 구비된 투광성의 받침재(150; 본 개시 전체에 걸쳐 투광성의 받침재가 1cm 이상의 두꺼운 용기(1700)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4, 도 15 및 도 18에서 발광부(451) 및/또는 받침대(450)를 제거하고 발광부(451)를 구비하는 덮개(18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부(451)는 도 15와 관련하여 설명한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8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와 결합되는 경우에 열전소자(51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전선(도시 생략)을 통해 덮개(180)에 구비된 발광부(451)로 공급하면 된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0에 제시된 덮개(180)와 달리, 덮개(180)에 개구(181)가 형성되어 있고, 발광부(451)가 개구(181)를 통해 빛을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덮개(180)를 금속(예: 알루미늄, 철)과 같이 열전도성이 좋은 물질로 구성한 경우에, 발광부(451)에서 발생한 열을 별도의 히트싱트 없이 쉽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용기(170)의 바닥 면적이 큰 경우에도 덮개(180)가 안정적으로 용기(170)를 받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도 22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캔들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캔들(100)은 도 5에 제시된 캔들(100)에 더해서, 왁스(110)가 제1 왁스(112)와 제2 왁스(113)를 포함한다. 제1 왁스(112)는 캔들(100)로 불을 켜는데 이용되며, 제2 왁스(113)는 발광부(451)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하는데 이용되거나 제1 왁스(112)가 받침재(150)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되거나 제1 왁스(112)로 받침재(150)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17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된다. 예를 들어 제1 왁스(112)를 소이 왁스로 구성하고, 제2 왁스(113)를 파라핀으로 구성하고, 받침재(150)로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식물성 왁스인 소이 왁스를 물과 오래 접촉시키면 부유물들이 발생하여 물이 탁해진다. 동물성 왁스인 파라핀은 물과의 반응이 없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빛을 약간 투과시키는 왁스(예: parafin wax 125; 녹는점이 125°F인 파라핀 왁스)를 제2 왁스(113)로 선정함으로써, 발광부(451)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는 제2 왁스(113)에 의해 반사되고, 빛의 일부는 제2 왁스(113)로 입사되어 제2 왁스(113)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제2 왁스(113)를 반사층 및 도광층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왁스가 양키 캔들의 왁스 또는 우드윅 캔들의 왁스와 같은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용기(170)와의 접착력이 낮으므로, 제2 왁스(113)를 이러한 왁스보다 용기(170)와의 접착력이 좋은 왁스(예: parafin wax 125, 팜 왁스, 소이 왁스)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왁스(112)와 제2 왁스(113)를 동일 또는 다른 왁스로 구성하되, 제1 왁스(112)는 불빛에 맞추어진 적절한 색으로 조색하고, 제2 왁스(11)는 발광부(451)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데 적절한 색으로 조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왁스(112)와 제2 왁스(113) 사이에 받침재(150)가 제1 왁스(112)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받침재(150)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방지층(114; proofing layer)을 도입할 수 있으며, 방지층(114)은 제2 왁스(113) 전체를 덮는 형태이거나 제2 왁스(113)와 용기(170)가 만나는 영역에만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방지층(114)은 제2 왁스(113)보다 상대적으로 용기(170)와 접착력이 좋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왁스, 접착제, 수지, 도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190; 도 6(a) 참조)가 구비되는 경우에, 제2 왁스(113)는 왁스(110)를 고정시키는 걸림부(19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층(114)을 액체로 구성하여 공기가 트랩(trap)되도록 함으로써, 받침재(150)에 형성된 기포의 추가적인 생성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온이 낮은 겨울의 경우에, 받침재(150)를 물과 같이 얼기 쉬운 액체로 구성하는 경우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물이 얼어서 부피가 커지면 제1 왁스(112) 및/또는 제2 왁스(113)가 깨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받침재(150)로 어는 점이 낮은 소금물, 물엿, 글리세린 또는 이들과 물의 혼합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엿 또는 글리세린의 경우, 영하 10도 이하에서도 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도가 낮은 상태에 광 생성 장치를 두었다가 다시 온도가 승온되면, 받침재(150)가 용기(170)와 제1 왁스(112) 및/또는 제2 왁스(113) 사이의 틈을 통해 위로 새어나오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제2 왁스(113)로 파라핀 왁스 대신에 젤 왁스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확인을 바탕으로, 받침재(150)로 물엿, 글리세린, 물엿과 물의 혼합물,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 또는 물엿과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제2 왁스(113)로 젤 왁스를 이용함으로써,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를 영하인 기온에서 배송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문제들에 상대적으로 잘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받침재(150), 제1 왁스(112) 및/또는 제2 왁스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지만, 걸림부(190), 특히 홈 또는 돌기 형태의 걸림부(190)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80)가 도 19에 제시된 구성을 가지지만, 출력(power)를 높임으로써, 예를 들어, 3W~6W, 발광부(451)가 도 14에 제시된 발열부(410)를 대신하여 광 생성 장치가 캔들 워머로 작동하게 된다. 사용되는 전력(power)이 높을 경우에, 1회용 배터리나 충전식 배터리 보다는 전원부(480)와 회로부(490)를 가지는 전원공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80)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182)를 가짐으로써 발광부(451)의 열에 의해 녹은 왁스(110)로부터의 향이 방출되는 발향 통로가 마련된다. 회로부(490)가 반드시 덮개(18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4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 생성 장치(100)는 왁스(110)와 용기(17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덮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180)는 심지(130)를 담는 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핀셋(132)이 덮개(180)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핀셋(132)은 쓰러진 심지(130; 도 3(e) 참조)를 건지는데 이용된다. 핀셋(132)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핀셋으로, 도면에서 개념적으로 표시되었으며, 심지(132)를 건질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왁스(110)는 제1 왁스(112)와 제2 왁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심지(130)는 용기(170)의 중심에서 용기(170)의 바닥으로부터 왁스(110)의 상부로 이어져 있는 형태가 아니라, 독립된 형태로 되어, 사용시 심지(130)를 왁스(110)에 꽂아서 사용한다.
도 25는 도 24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 생성 장치(100)의 사용이 일정 이상 진행되어, 왁스(110)가 용기(170)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 이르도록 소모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새로 심지(130)를 꽂아 사용하려면 심지(130)를 꽂는 것이 불편해진다. 또한 심지(130)가 종래와 달리 중앙에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용기(170)의 벽과 가까운 영역의 왁스(110)에 심지(130)를 꽂으면, 불꽃에 의해 용기(170)가 지나치게 뜨거워질 수 있으며, 뜨거워지는 용기(170)의 영역이 왁스(110)가 도 24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할 때, 넓어져서 사용자가 용기(170)를 잡을 때 주의를 요한다.
도 26은 도 24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왁스(110) 중에서 제1 왁스(112)가 소진되고, 제2 왁스(113)의 일부만이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위에서 지적한 문제가 더 심각해질 뿐만 아니라, 심지(130)를 안정적으로 꽂기가 쉽지 않으며, 심지(130)를 일정 시간 태우기도 쉽지 않고, 따라서 남겨진 제2 왁스(113)는 실제 사용하기 어렵우며, 낭비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용기(170)의 폭을 크게 하고, 높이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남겨진 제2 왁스(113)가 낭비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본 예에서는 왁스(110)를 제1 왁스(112)와 제2 왁스(113)로 구성하되, 제2 왁스(113)에는 향료(Fragrance Oil or Essential Oil; 발향 물질)를 제1 왁스(112) 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바람직하게는 향료를 함유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제2 왁스(113) 대신에 액체, 불연성 고체, 모래, 커피가루 등을 사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지(130)가 제1 왁스(112) 아래에까지 이른 경우에도 심지(130)가 도 25에 도시된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발화하고, 자동으로 소화되도록(쓰러지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제1 왁스(112)를 향료를 포함하는 소이왁스로 하고, 제2 왁스(113)를 향료를 포함하지 않는 소이왁스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심지(130)를 제1 왁스(112)에 꽂을 때, 심지(130)가 제1 왁스(112)에 꽂힌 양만큼 제1 왁스(112)가 심지(130) 측으로 삐져나오게 되며, 이를 경감 내지 방지하는 수단으로, 제1 왁스(112)에 호호바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호호바 버터, 시어 버터와 같은 천연 오일 내지는 천연 물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오일과 물질을 고려할 수 있겠지만, 왁스 및 향료와의 섞임성, 연소시 유해물질 방지 등을 고려할 때, 상기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이다. 이러한 물질 즉, 삐져나오는 왁스 경감 물질이 제2 왁스(113)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제1 왁스(112)가 향료 및 경감 물질을 제2 왁스(113)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즉 심지(130)를 꽂기가 쉽게 형성함으로써, 제1 왁스(112)가 거의 소모된 경우(도 27 참조)에, 사용자가 심지(130)를 꽂을 때, 제1 왁스(112)와 제2 왁스(113)의 경계에서 저항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제1 왁스(112)가 거의 소모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용기(170)로 9oz 유리컵을 사용하고, 제2 왁스(113)로 100g의 소이왁스를 사용하며, 제1 왁스(112)로 95g의 소이왁스, 5g의 향료, 5g의 호호바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2cm 길이의 파라핀 코팅된 면심지를 심지(130)로 이용하여, 1~1.7cm 정도를 왁스(112)에 꽂아 사용함으로써, 30분~1시간 정도 발화후 자동 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왁스(113)의 하부에 받침재(15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8은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4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와 달리, 광 생성 장치(100)는 제1 왁스(112)를 별도의 용기(174)에 구비한다. 이는 심지(130)가 용기(170) 및 왁스(112)에 고정되는 형태가 아니기에 가능한 구성이며, 제1 왁스(112)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용기(170) 의존성을 극복시킨다. 제2 왁스(113)를 따로 마련된 용기에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2 왁스(113)가 생략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용기(174)에 덮개(183)를 구비함으로써, 제1 왁스(112)의 발향 물질의 보존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덮개(183)를 개봉한 후, 용기(174)로부터 제1 왁스(112)를 꺼내어 용기(170)에 투입한다. 용기(174)를 변형가능한 플라스틱(예: PS, PP, PE)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용기(174)의 바닥을 눌러 제1 왁스(112)를 용기(174)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변형가능한 플라스틱은 제1 왁스(112)가 녹은 상태의 온도인 40~130도 정도에서 견디고, 변형이 가능하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왁스(112)를 손에 묻히지 않고 용기(174)에 투입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덮개(183)는 나사결합, 접착제,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용기(174)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 생성 장치는 단차(175)를 구비하는 용기(174)를 포함한다. 단차(175)의 폭(h)을 용기(170)의 상부 폭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용기(174)가 용기(170)에 안정적으로 놓인 상태에서 용기(74)의 바닥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1 왁스(112)를 용기(170)에 넣을 수 있게 된다. 용기(174)의 상단에는 덮개(183)와 결합되도록 평탄면(17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0은 도 28에 제시된 용기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0(a)에는 기준 단차(177)를 가지는 용기(174)가 제시되어 있으며, 기준 단차(177)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측정 수단 없이 정량의 제1 왁스(112)를 용기(174)에 담을 수 있게 된다. 제1 왁스(112)는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에서 용기(174)에 담길 수 있다. 도 30(b)에는 용기(174)에 제1 왁스(112)에 더하여 심지(130)가 구비되어 있다. 심지(130)는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제1 왁스(112)를 모두 태울 수 있도록 30~50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용기(174), 제1 왁스(112), 적어도 하나의 심지(130) 및 바람직하게는 덮개(183)가 용기(170) 없이도 독립된 하나의 광 생성 장치(100)를 이루게 된다. 필요에 따라 심지(130)를 제1 왁스(112)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격벽(178; 예: 플라스틱 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격벽(178)은 단차(175)에 놓일 수 있다. 도 30(c)에는 측벽(179)을 구비하는 격벽(178)이 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179)이 덮개(183)에 닿도록 구성함으로써, 격벽(178)이 덮개(183)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제1 왁스(112)가 녹아서 유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제1 왁스(112)가 심지(13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용기(170)와의 관계에서, 격벽(178)이 덮개(180)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170) 내에 사용된 심지(130)를 집어내는 핀셋 또는 집게(132)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핀셋 또는 집게(132)는 심지(130)와 마찬가지로 격벽(178) 위에 구비되어, 제1 왁스(112)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격벽(178; 예: 얇은 시트 형태의 플라스틱)이 평탄면(176; 도 29 참조) 측에 위치하여 제1 왁스(112)에 대한 내부 덮개로 기능하고, 덮개(183)가 그 위에 위치하여 외부 덮개로 역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격벽(178)과 덮개(183) 사이에 심지(130) 및/또는 핀셋(132)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1은 도 30(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8과 달리 컨테이너형 내지 유리컵형의 용기(170)가 아니라 접시형의 용기(170)가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2 왁스(113)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2는 도 30(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기(170)의 도움 없이 제1 왁스(112)가 자체로 광 생성 장치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왁스(112)의 하부에 중앙이 오목부를 가지도록 환형의 벽(112w)을 형성함으로써, 벽(112w)이 용기(170)를 대신하여 바람막이로 기능하여 심지(130)가 안정적으로 연소될 수 있게 된다. 제1 왁스(112)가 다 소모될 때까지 터널링 현상이 생기도록 심지(130)의 굵기를 조절함으로써 벽(112w)이 계속 유지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32(b)에는, 제1 왁스(112)가 뒤집혔을 때 벽(112w)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 용기(174)가 제시되어 있다. 용기(174)의 바닥(174b) 중앙에 위로 볼록한 오목부(174d)를 형성함으로써, 제1 왁스(112)에 벽(112w)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오목부(174d)의 높이(a)를 0.3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막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왁스(112)가 용기(170)에 투입되는 경우에 오목부(174d)의 폭(b)은 사용자가 심지(130)를 용기(170)의 벽에 지나치게 가깝게 꽂지 않도록 하는 지시선으로 역할할 수 있다.
도 33은 도 30(b)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의 사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 왁스(112)가 용기(170)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용기(170)의 측면과 용기(174)의 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가 경사를 가지는 경우에 제1 왁스(112)와 용기((170)의 측벽 간의 간격(e)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심지(130)가 벽(112w)에 인접하여 꽂혀서 연소되면 벽(112w)이 무너져서 녹은 제1 왁스(112)가 용기(170)의 측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용기(170) 및/또는 용기(174)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용기(174)에 에너지(예: 열, 마이크로웨이브)를 가하여 제1 왁스(112)를 녹인 상태에서, 녹인 제1 왁스(112)를 용기(170)에 투입하여 굳힌 후, 광 생성 장치(100)로 사용함으로써, 용기(170) 및/또는 용기(174)의 형상에 따른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용기(174)를 이용하면, 용기(170) 및/또는 용기(174)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 향초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왁스(112)는 녹이는 과정에서 발향 물질의 일부가 날아갈 수 있으므로, 용기(174)에 에너지를 가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와 같이 두꺼운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과 같이 얇은 재질을 사용하고, 전자레인지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기(174)는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의 플라스틱으로, 재질의 두께를 0.5~1.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95g의 소이왁스와 5g의 향체로 된 제1 왁스(112)가 담긴 0.8m 두께의 PP 용기(174)를 전자레인지에서 1분간 돌리면 액체 상태의 제1 왁스(112)를 얻을 수 있다. 전자레인지에서 사용가능한 재질의 용기(174)에, 제1 왁스(112), 심지(113) 그리고 발향을 억제하는 덮개(183; 바람직하게는 기밀)를 이용함으로써, 본 개시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광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광 생성 장치는 용기(170) 및 용기(174)의 형태에 독립적이며, 종래에 용기(170)에 고정된 심지에 따른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고, 발향 물질이 유통의 과정에서 소모되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쉽게 DIY 형태의 향초를 만들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자동으로 소화되는 광 생성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변형가능하고, 전자레인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재질과 두께의 플라스틱으로 된 이용함으로써, 제1 왁스(112)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 선택적으로 용기(170)에 담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 소화 기능(일본 공개특허공보 제H11-228987호)에 더하여, 용기(170)에 독립적인 형태의 광 생성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기(170)에 제2 왁스(113) 및/또는 받침재(150)를 구비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제1 왁스(112)가 용기(170)에 굳을 때, 차가운 유리벽에서 굳는 것이 아니므로, 양질의 표면을 가지고 굳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34는 도 30(c)에 제시된 광 생성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83)를 열고, 심지(130)를 측벽(179)을 구비하는 격벽(178)로부터 내려 놓는다. 다음으로, 도 34(c) 및 도 3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78)을 바닥에 둔 상태에서 그 위에 제1 왁스(112)를 구비하는 용기(174)를 뒤집어 놓은 다음, 용기(174)의 바닥을 눌러, 제1 왁스(112)를 격벽(178)으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79)을 이용하여 제1 왁스(112)를 손으로 집은 다음, 제2 왁스(113)가 구비된 용기(170)에 옮긴다. 제2 왁스(113)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1 왁스(112)를 손에 묻히지 않고, 고체 상태로 용기(170)로 옮길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광 생성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고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제1 왁스(112)를 손에 묻히지 않고 용기(170)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가진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왁스의 하부에서 용기에 담겨 있으며, 투광체(light-transmittable)로 된 받침재; 그리고 받침재로 노출되지 않도록 왁스에 고정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2) 용기는 왁스를 고정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3) 걸림부는 용기의 측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광 생성 장치.
(4) 걸림부는 용기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5) 걸림부는 왁스의 상면과 왁스의 하면 사이에서 용기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광 생성 장치.
(6) 걸림부는 측벽에 형성된 단차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7) 걸림부는 내측벽에 형성되는 링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8) 받침재는 액체 상태의 투광체이며, 걸림부는 왁스는 고정하는 한편, 투광체가 용기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억제하는 광 생성 장치.
(9) 받침재의 비중이 왁스의 비중보다 낮은 광 생성 장치.
(10) 받침재는 투광체이면서 불연재인 광 생성 장치. 투광체이면서, 왁스보다 비중이 낮고, 불연재인 대표적인 물질은 물, 소금물, 설탕 시럽 등이지만,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이라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왁스의 하부에 구비하며, 투광체(light-transmittable)로 된 받침재; 왁스에 고정되는 심지; 심지에 붙은 불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열전소자; 그리고, 열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용기의 아래에 구비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12)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그리고 왁스에 열과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며,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13) 덮개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방출되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4) 덮개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녹은 왁스로부터 방출되는 향에 대한 발향통로인 개구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5)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고체 상태로 용기에 담겨 있는(accommondated) 왁스; 그리고 왁스의 하부에서 용기에 담겨 있으며, 투광체(light-transmittable)로 된 받침재;를 포함하며, 왁스는 제1 왁스와, 제1 왁스와 받침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받침재와 접촉하는 제2 왁스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16) 제1 왁스와 제2 왁스 사이에 구비되는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17)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제1 왁스와 제1 왁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왁스를 포함하고, 심지가 제1 왁스를 지나 제2 왁스에 꽂힐 때 저항감을 제공하도록 제1 왁스의 구성과 제2 왁스의 구성을 달리하는 왁스;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18) 제1 왁스는 발향 물질을 함유하며, 제1 왁스의 발향 물질 함유량은 제2 왁스의 발향 물질의 함유량 보다 많은 광 생성 장치.
(19) 제1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제1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
(20) 삐져나오는 왁스 경감 물질은 호호바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호호바 버터 및 시어 버터 중의 적어도 하나인 광 생성 장치.
(21)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심지가 꽂히는 왁스;로서,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
(22) 심지는 제1 왁스와 제2 왁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왁스를 포함하고, 제1 왁스는 발향 물질을 함유하며, 제1 왁스의 발향 물질 함유량은 제2 왁스의 발향 물질의 함유량 보다 많은, 광 생성 장치.
(23)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왁스를 구비하는 제1 용기; 제1 왁스와 꽂히지 않는 상태로 용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 그리고,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는 용기에 내부에 구비된다.
(24) 제1 왁스가 옮겨지며, 제1 왁스에 적어도 하나의 심지가 꽂혀서 발화되는 제2 용기;를 더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25) 제1 용기는 제1 용기의 바닥을 눌러 제1 왁스를 제1 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광 생성 장치.
(26) 제1 용기는 제1 용기의 바닥을 눌러 제1 왁스를 제1 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제2 용기는 유리, 세라믹 및 금속 중의 하나로 되어 있는 광 생성 장치.
(27) 제1 용기는 제1 왁스와 적어도 하나의 심지 사이에 놓이는 격벽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28) 격벽은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1 왁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벽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29) 제1 용기는 덮개가 제1 왁스와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기밀하도록 덮개와 결합되는 평탄면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30) 제1 용기는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제1 왁스로부터 집어내는 핀셋 또는 집게를 구비하며, 핀셋 또는 집게는 격벽 위에 구비되는 광 생성 장치.
(31) 제1 용기는 격벽이 놓이는 단차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32) 제2 용기는 제1 왁스와 다른 제2 왁스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33) 제1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제1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
(34)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왁스를 구비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제1 용기; 그리고, 제2 왁스를 구비하며, 제2 왁스 위에 제1 왁스가 옮겨지고, 제1 왁스에 심지가 꽂혀서 발화되며, 제1 용기와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35} 제2 용기는 제1 왁스와 다른 제2 왁스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광 생성 장치에 의하면, 자동으로 소화되는 광 생성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광 생성 장치에 의하면, 덮개에 발광부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100: 캔들, 110: 왁스, 130: 심지, 150: 받침재, 170: 용기, 190: 걸림부

Claims (20)

  1.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제1 왁스와 제1 왁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왁스를 포함하고, 심지가 제1 왁스를 지나 제2 왁스에 꽂힐 때 저항감을 제공하도록 제1 왁스의 구성과 제2 왁스의 구성을 달리하는 왁스;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왁스는 발향 물질을 함유하며, 제1 왁스의 발향 물질 함유량은 제2 왁스의 발향 물질의 함유량 보다 많은 광 생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제1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삐져나오는 왁스 경감 물질은 호호바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호호바 버터 및 시어 버터 중의 적어도 하나인 광 생성 장치.
  5.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그리고,
    용기에 담겨 있으며, 심지가 꽂히는 왁스;로서,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삐져나오는 왁스 경감 물질은 호호바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호호바 버터 및 시어 버터 중의 적어도 하나인 광 생성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심지는 제1 왁스와 제2 왁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왁스를 포함하고,
    제1 왁스는 발향 물질을 함유하며, 제1 왁스의 발향 물질 함유량은 제2 왁스의 발향 물질의 함유량 보다 많은 광 생성 장치.
  8.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왁스를 구비하는 제1 용기;
    제1 왁스와 꽂히지 않는 상태로 용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 그리고,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왁스가 옮겨지며, 제1 왁스에 적어도 하나의 심지가 꽂혀서 발화되는 제2 용기;를 더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용기는 제1 용기의 바닥을 눌러 제1 왁스를 제1 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광 생성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용기는 제1 용기의 바닥을 눌러 제1 왁스를 제1 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변형가능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제2 용기는 유리, 세라믹 및 금속 중의 하나로 되어 있는 광 생성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용기는 제1 왁스와 적어도 하나의 심지 사이에 놓이는 격벽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격벽은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1 왁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벽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용기는 덮개가 제1 왁스와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기밀하도록 덮개와 결합되는 평탄면을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 용기는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제1 왁스로부터 집어내는 핀셋을 구비하며, 핀셋은 격벽 위에 구비되는 광 생성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 용기는 격벽이 놓이는 단차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 용기는 제1 왁스와 다른 제2 왁스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왁스는 심지가 꽂힐 때 제1 왁스가 심지 측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경감하는 경감 물질을 함유하는 광 생성 장치.
  19. 심지를 꽂아 사용하는, 광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왁스를 구비하며, 전자레인지에서 이용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제1 용기; 그리고,
    제2 왁스를 구비하며, 제2 왁스 위에 제1 왁스가 옮겨지고, 제1 왁스에 심지가 꽂혀서 발화되며, 제1 용기와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광 생성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제2 용기는 제1 왁스와 다른 제2 왁스를 구비하는 광 생성 장치.
KR1020190118460A 2019-02-19 2019-09-26 광 생성 장치 KR20210036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60A KR20210036469A (ko) 2019-09-26 2019-09-26 광 생성 장치
PCT/KR2020/002431 WO2020171609A1 (ko) 2019-02-19 2020-02-19 광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60A KR20210036469A (ko) 2019-09-26 2019-09-26 광 생성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59A Division KR20210036773A (ko) 2019-11-28 2019-11-28 광 생성 장치
KR1020190155256A Division KR20210036772A (ko) 2019-11-28 2019-11-28 광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69A true KR20210036469A (ko) 2021-04-05

Family

ID=7546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460A KR20210036469A (ko) 2019-02-19 2019-09-26 광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4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839B2 (en) Cover for a candle warmer
CA1326628C (en) Disposable liquid fuel burner
US20030007887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US7922482B2 (en) Candle and wick holder therefor
MXPA01005339A (es) Soporte de pabilo anti flamazo.
US5529485A (en) Unique wick and reusable burner device
US6733548B2 (en) Shimmering candle cream
US9353942B2 (en) Burner for household or recreational use
WO2020171609A1 (ko) 광 생성 장치
US7232550B1 (en) Combination room freshener and oil cand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1807658A1 (en) Improved container candle
US6638060B1 (en) Everlasting candle
KR102258525B1 (ko) 광 생성 장치
KR102066037B1 (ko) 광 생성 장치
KR20210036469A (ko) 광 생성 장치
KR20210036772A (ko) 광 생성 장치
KR20210036773A (ko) 광 생성 장치
KR20210043964A (ko) 광 생성 장치
KR20210060279A (ko) 광 생성 장치
KR102409637B1 (ko) 광 생성 장치
KR20210105729A (ko) 광 생성 장치
KR20200118751A (ko) 광 생성 장치
US6739866B2 (en) Color flame candles or lamps and method of making
KR20180089112A (ko) 방향 및 조명기능을 갖는 다용도 실내용 장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