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129A - A hand-drip coffee machine - Google Patents

A hand-drip coffe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129A
KR20210035129A KR1020210035570A KR20210035570A KR20210035129A KR 20210035129 A KR20210035129 A KR 20210035129A KR 1020210035570 A KR1020210035570 A KR 1020210035570A KR 20210035570 A KR20210035570 A KR 20210035570A KR 20210035129 A KR20210035129 A KR 2021003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per
sliding frame
drip coffee
nozzle
hand d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8463B1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20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2318B1/en
Application filed by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463B1/en
Publication of KR2021003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4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47J31/06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activated by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figured to allow a hot water nozzle and a dripper to move relatively in three axial directions in a space in order to replicate the movement of a barista extracting a pour-over coffee, wherein the device comprises: a horizontal transport part for operating a head case so that the nozzle is transport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pper; a rotational operation part operating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per and to rotate the dripper; and an elevation operation part for opera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part for vertical transport.

Description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A hand-drip coffee machine}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A hand-drip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의 동작을 재현할 수 있도록 온수 노즐 및 드리퍼가 공간상에서 3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configured to allow a hot water nozzle and a dripper to move relative to the three-axis direction in the space to reproduce the operation of the barista extracting hand drip coffee. will be.

커피 전문점에서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에스프레소 커피는 압력을 이용해 빠르게 추출하는 방식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에스프레소 커피는 원두 커피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대부분의 커피 전문점에서는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에 기반한 커피 음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에스프레소 커피는 보통 9기압 이상 고압의 증기로 커피를 추출하기 때문에 원두의 좋지 않은 성분까지 함께 추출되고 쓴맛이 너무 강한 단점이 있다. 좀 더 부드럽고 순한 맛의 커피를 즐기려는 사람들은 최근에는 핸드 드립 커피나 워터 드립 커피(더치 커피)로 옮겨가는 추세에 있다. Espresso coffee commonly provided in coffee shop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 large amount of coffee in a short time by brewing quickly using pressure.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espresso coffee has enabled the popularization of ground coffee, and most coffee shops provide coffee drinks based on such espresso coffee. However, since espresso coffee is usually extracted with high-pressure steam of 9 atm or higher, it has a disadvantage that even the bad ingredients of the beans are extracted and the bitter taste is too strong. People who want to enjoy a softer and milder coffee have recently moved to hand drip coffee or water drip coffee (Dutch coffee).

핸드 드립은 분쇄 원두에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중력을 이용해 추출하는 방식으로 에스프레소 커피에 비해 깊고 부드러운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사용자가 물의 온도와 양, 물줄기의 굵기, 물 붓기 시간, 물 붓기 간격, 물 붓기 궤적 등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 드립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해야 하기 때문에 절차가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대중화되기는 어려운 커피 추출 방식이다. 최근 일부 커피 전문점에서 바리스타가 직접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제조 시간이나 단가 측면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대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Hand drip is a method that extracts coffee with a deeper and softer taste and aroma than espresso coffee by slowly pouring hot water onto ground beans and extracting it using gravity.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free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water, the thickness of the water stream, the water pouring time, the water pouring interval, and the water pouring trajector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ffee of various tastes and aromas can be extracted. However, this hand drip method is a coffee extraction method that is difficult to popularize because the procedure i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because the user must pour water to extract coffee. Recently, some coffee shops are attempting to provide hand drip coffee by baristas, but it is difficult to replace espresso coffee in terms of manufacturing time and unit cost.

본 발명은 이러한 핸드 드립 커피의 대중화가 가능하도록 핸드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핸드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써,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81648호(2013.06.27일 등록, 특허권자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는 커피분말이 수용되는 호퍼와, 호퍼의 상측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스크류홈이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와, 회전축을 구비하며 디스크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회전축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장홈이 연장 형성되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장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자의 회전시 디스크의 스크류홈을 따라 나선 형태로 이동되는 드리퍼와, 드리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드 드립 커피 머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 드립 커피 머신은 바라스타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extracting hand drip coffee so that the hand drip coffee can be popularized.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hand drip coffe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1648 (registered on June 27, 2013, patentee-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s a hopper in which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side of the hopper. A disk disposed in and formed with a screw groove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a drive motor having a rotation shaft and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disk, a r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extending a lo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ng groove of the rotor. Disclosed is a hand drip coffee machine comprising a dripper that is slidably mounted and moves in a spiral shape along a screw groove of a disk when the rotor rotates, and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This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machine is implemented so that hand drip coffee can be extracted similar to the way Barastar extracts hand drip coffee.

그런데, 종래의 핸드 드립 커피 머신은 온수 낙하 궤적이 디스크의 스크류홈으로 구현되어 있어서 낙하 궤적에 변화를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원두의 종류 마다 최상의 맛을 낼 수 있는 온수 낙하 궤적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op trajectory cannot be changed because the hot water drop trajectory is implemented as a screw groove of the disk.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cannot be reflected even though the hot water drop trajectory that can give the best taste for each type of coffee beans is different.

또한, 종래의 핸드 드립 커피 머신은 드립 노즐(520)의 이송 운동을 유발하기 위한 구동 모터(300), 회전자(400), 슬라이딩편(530) 등의 부품들이 호퍼의 상부, 즉 핸드 드립 커피 머신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기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machine, components such as the drive motor 300, the rotor 400, and the sliding piece 530 for inducing the transfer motion of the drip nozzle 520 are the upper part of the hopper, that is, hand drip coffee. Since it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machine,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machine, so there is a problem of structural instability.

또한, 종래의 핸드 드립 커피 머신은 회전자(400) 및 슬라이딩편(530)이 호퍼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데, 디스크(200)의 면적 중 일부가 스크류홈(210)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미끄럼 운동하는 회전자(400) 및 슬라이딩편(530)으로부터 이물질 또는 윤활오일 등이 호퍼로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machine, the rotor 400 and the sliding piece 530 are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hopper, and a part of the area of the disk 200 is open to the screw groove 210, so that the sliding motion There is a concern that foreign substances or lubricating oil from the rotor 400 and the sliding piece 530 fall into the hopper.

KRKR 10-128164810-1281648 B1B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두 커피가 담겨 있는 드리퍼와 이 드리퍼에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이 공간상에서 3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의 모션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 dripper containing coffee beans and a nozzle for dropping hot water on the dripper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three-axis direction in the space, thereby extracting hand drip coffe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brewing device that can reproduce the motion of a barista as it is.

또한, 본 발명은 드리퍼와 노즐간의 상대 운동을 일으키는 기구 장치가 물리적으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동작이 원활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brewing apparatus in which a mechanism device for causing a relative motion between a dripper and a nozzle is physically stably disposed and thus smoothly operates.

또한, 본 발명은 원두 커피가 담겨 있는 드리퍼로의 이물질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that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alling into a dripper containing coffee beans, and is hygienically saf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분쇄 원두가 담긴 드리퍼 위에 온수를 떨어 뜨려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에 있어서,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이 드리퍼에 대하여 공간상의 3개 축방향 모두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 및 상기 드리퍼를 동작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노즐을 동작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드리퍼를 동작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한다. I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by dropping hot water on a dripp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And a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nozzle and the dripper so as to allow relative movement in all axial directions, and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nozzle and a second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dripper.

또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노즐을 수평면상의 2개 축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드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nozzle in two axial directions on a horizontal plane,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lift the dripper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노즐을 드리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1개 축방향으로 선형 이송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드리퍼를 수평면상에서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linearly transfer the nozzle in one axial direction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pper,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ipper on a horizontal plane and lift it up and down. May be.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드리퍼를 수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드리퍼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includes a rotation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dripper on a horizontal plane and an elevation driving unit that raises and lowers the dripper.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를 지지하여 상기 드리퍼 및 상기 승강구동부를 일체로 승강시킨다. In addition, the rotation drive unit supports the lift drive unit to integrally lift the dripper and the lift drive uni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리퍼의 상부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내장하는 헤드케이스와, 상기 노즐이 드리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헤드케이스를 동작시키는 수평이송부와, 드리퍼의 저면을 지지하며 드리퍼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가 상하로 이송되도록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송부,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노즐과 드리퍼 사이의 공간 상의 상대 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nozzle for supplying hot water from an upper portion of a dripper, a head case containing the nozzle, and the nozzle to be transported along a radial direction of the dripper. And a horizontal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head case, a rotation drive unit for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dripper and operating to rotate the dripper, and an elevating drive unit for operating the rotation drive unit to be transported up and down, and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the Relative mo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dripper may b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lift drive unit.

또한,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헤드케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측방향 지지대와, 상기 측방향 지지대를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가 설치되는 카운터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lateral support that supports horizontally so that the head case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counter on which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is installed. Includes a pillar portion supported by.

또한, 상기 수평이송부는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된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가동축과,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의 기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1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케이스는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에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generates a first fixing frame supported to be fixed in position, a first sliding fram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fixing frame, and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first sliding frame. A first actuator, a movable shaft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fram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actuator, and a first position installed on the first fixed frame to detect a reference position of the first sliding frame And a detection sensor and a first sensor bracket installed on the first sliding frame, and the head case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frame to operate integrally.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드리퍼의 저면을 지지하는 회전받침대와, 상기 회전받침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회전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회전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단부가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rotation drive unit includes a rotation bas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dripper, a second actua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base, a first rotation shaft rotated by the second actuator,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base. It includes a connection block to connect, and the connection block has an extended upper end portion supporting the rotation base.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된 제2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대하여 나사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2회전축과, In addition, the elevating drive unit provides a second fixing frame supported to be fixed in position, a second sliding frame install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ing frame, and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second sliding frame. A third actuator to generate, and a second rotation shaft that is rotated by the third actuator and is screw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ing frame to elevate and descend the second sliding fram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의 기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은 상기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 및 상기 회전구동부가 일체로 승강한다.And a second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second fixing frame and a second sensor bracket installed on the second sliding frame to detect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econd sliding frame, and the second sliding frame rotates The second sliding frame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are integrally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actuator including a horizontal extension unit supporting a driving uni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노즐과 드리퍼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공간상의 모든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바리스타의 손동작 재현이 가능하다. I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nozzle and the dripper may be changed in all directions in spac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hand movement of the barista.

또한, 드리퍼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된 조건하에서도 수평이송부만 기기의 상부에 구성하고, 회전구동부 및 승강구동부는 기기의 하부에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화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pper can be structurally stabilized by configuring only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on the top of the device even under limited conditions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driving unit are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device.

또한, 커피 추출 과정에서 헤드케이스 자체가 드리퍼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종래 기기 내부의 부품이 드리퍼 쪽으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드리퍼로 떨어질 우려가 없다. 부가적으로 커피가 추출동안 헤드케이스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d case itself moves on the dripper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there is no fear that foreign substances fall into the dripper due to the exposure of components inside the conventional device to the dripper. Addition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movement of the head case while coffee is being brewed.

도1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가 드립 포트를 움직이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수평이송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수평이송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수평이송부 동작에 의해 헤드케이스가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승강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승강구동부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의 승강구동부 동작에 의해 회전구동부가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a barista extracting hand drip coffee to move a drip pot
2 is a view showing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transfer unit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thereof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horizontal transfer unit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thereof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case is transferred by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operation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drive part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on driving part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drive unit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thereof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vating drive unit and a peripheral configuration thereof of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drive unit is transferr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 drive unit of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describ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es, and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understood from the entire specifica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pressions such as "include", "consist of", and "have" that may be used hereinafter do not exclude additional elements or function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The "first..." that can be used in the following. ”, “2nd… Expressions such as ”, “first”, and “seco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r importance of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pressions such as "combined" and "connected" that may be used hereinafter may be directly combined or connected, as well as other constituent elements may be present or interven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do.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in the use of terms, the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explicitly stated.

핸드 드립은 로스팅 후 그라인딩한 원두 위에 뜨거운 물을 수차례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아이디어에 대한 제안은 있었으나, 아직 까지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어 있지는 않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커피 맛을 좌우하는 바리스타의 손기술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것이 한 가지 요인일 수 있다. Hand drip is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by pouring hot water several times over the ground beans after roasting.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a proposal for an idea for extracting hand drip coffee, but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ng device has not been widely spread.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but one factor may be that the technology that can reproduce the barista's hand skills that influence the taste of coffee has not been developed.

바리스타는 최상의 커피 맛을 내기 위해 물 붓기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미세하게 조절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예를 들어 물 줄기 굵기, 스윙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물의 낙차(드립포트와 드리퍼 사이의 높이 차), 1회 물 붓기에서 물의 양 등 일 수 있다. The barista fine-tunes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water pour to achieve the best coffee taste. These factors may b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water stem, the direction of the sw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water drop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drip pot and the dripper), the amount of water in a single pour.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의 손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리퍼에 온수를 떨어뜨리는 드립포트의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the hand motion of a barista extracting hand drip coff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configured to reproduce the motion of a drip pot dropping hot water onto a dripper.

도1을 참조하면, 커피 추출 과정에서 바리스타는 분쇄 원두가 담겨 있는 드리퍼(D) 위에서 드립 포트(P)의 주둥이가 원형 궤적(T) 그리도록 움직이면서 물을 붓는다. 바리스타는 드립 포트(P)가 수평면 상에서 원을 그리도록 움직일 뿐 아니라, 상하로도 움직이면서 드리퍼(D)에 떨어지는 물의 낙차를 조절한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the barista pours water while moving so that the spout of the drip pot P draws a circular trajectory (T) on a dripper (D)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The barista not only moves the drip pot (P) in a circle on a horizontal plane, but also adjusts the drop of water falling on the dripper (D) while moving up and down.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의 이러한 손동작을 그대로 따라 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the hand motion of a barista extracting hand drip coffee as it is.

<제1실시예><First Example>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리퍼(D) 위로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N)과 노즐(N)을 동작시키는 이송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노즐(N)을 통해 떨어뜨릴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한다. 2,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zzle (N) for dropping hot water onto a dripper (D) and a transfer unit 10 for operating the nozzle (N). do. Although not show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providing hot water to be dropped through the nozzle N.

노즐(N)은 드리퍼(D) 위에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드리퍼(D)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송부(10)는 공간 상에서 X축, Y축, 및 Z축 3개 축방향으로 노즐(N)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송부(10)는 수평면(X-Y평면) 상에서 노즐(N)을 이송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도 노즐(N)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리스타가 드립 포트를 움직이던 동작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이송부(10)는 3개 축방향 각각으로 이송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액추에이터와 이들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노즐(N)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품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nozzle (N) is disposed above the dripper (D) so as to supply hot water above the dripper (D). The transfer unit 1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nozzle N in the three axial directions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in space. The transfer unit 10 is configured to not only transfer the nozzle N on the horizontal plane (XY plane), but also transfer the nozzle N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so that the barista moves the drip pot. Can be reproduced as it is. The transfer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three actuators for providing a transfer driving force in each of the three axial directions and power transmission parts for transferring power of these actuators to the nozzle N.

<제2실시예><Second Example>

앞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드리퍼(D)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노즐(N)을 이송하여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붓기가 이루어지는 방식인데, 노즐(N) 및 드리퍼(D)를 모두 동작시켜 둘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을 일으킴으로써 바리스타의 핸드 드립 커피 추출 동작을 재현해낼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oregoing,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is a method in which water is poured for coffee extraction by transferring the nozzle N while the dripper D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nozzle N and the dripper D You can also reproduce the barista's hand drip coffee brewing motion by operating both and causing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wo.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노즐(N)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이송부(11)와 드리퍼(D)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12)를 포함한다. 제1이송부(11) 및 제2이송부(12)는 노즐(N) 및 드리퍼(D)를 각각 공간상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축방향으로 각각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이송부(11)는 노즐(N)을 수평면(X-Y평면)상에서 이송시키고, 제2이송부(12)는 드리퍼(D)를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3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11 for operating the nozzle N and a second transfer unit 12 for operating the dripper D. Includes. The first transfer unit 11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 are configured to operate each of the nozzles N and the drippers D in one or more axial directions in space,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transfer unit 11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nozzle N on the horizontal plane (XY plane),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dripper D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I can.

드리퍼(D) 아래에는 추출된 드립 커피를 담아두는 드립서버(S)가 놓이는데, 일체로 놓이는 드리퍼(D) 및 드립서버(S)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드립서버(S)에 담긴 커피가 쏟아지거나 드리퍼(D)가 기울어져 넘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이하에서, “드리퍼(D)”는 드립서버(S)를 포함한 드립기구 세트 전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드리퍼(D)는 수평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약된 조건하에서 제1이송부(11) 및 제2이송부(1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drip server (S) for storing the extracted drip coffee is placed under the dripper (D), and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dripper (D) and the drip server (S) placed integrally are transfer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coffee contained in the drip server (S) may spill or the dripper (D) may tilt and fall (hereinafter, “dipper (D)” refers to the entire set of drip devices including the drip server (S)). Used as a ter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pper (D) constitutes the first transfer unit 11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 under conditions constrained so that horizontal transfer is not performed.

통상적인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동작으로써 노즐(N)은 드리퍼(D)에 대하여 수평면 상에서 크고 작은 다양한 반경의 원을 그릴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원운동 동작은 노즐(N)을 동작시키는 제1이송부(11)에 구현될 수 있다. 즉,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추에이터와 이들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노즐(N)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제1이송부(11)에 2축 방향 동력 전달 장치를 구현하면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고 드리퍼(D) 위쪽에 배치되는 부품 수가 증가하고 무거워질 수 있다. As an operation for conventional hand drip coffee extraction, the nozzle (N) is required to draw a circle of various radiuses large and small on a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dripper (D). This circular mo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irst transfer unit 11 for operating the nozzle N. That is, it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actuators and power transmission parts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se actuators to the nozzle (N). However, when a two-axi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irst transfer unit 11, the device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disposed above the dripper D may increase and become heavier.

드리퍼(D)의 수평 이송이 제한된 제약 조건하에서 노즐(N)과 드리퍼(D) 사이에 상대적인 원운동을 일으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1이송부(11)가 노즐(N)을 1축 방향 선형 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이송부(12)가 드리퍼(D)를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제2이송부(12)가 드리퍼(D)를 제자리에서 회전 및 상하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In order to generate a relative circular motion between the nozzle (N) and the dripper (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horizontal transfer of the dripper (D) is limited, the first transfer unit (11) moves the nozzle (N) in a uniaxial direction. Most preferably, the second transfer unit 1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ipper D. That is, the second transfer unit 1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ripper (D) in place and up and dow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부(11)는 노즐(N)을 드리퍼(D)의 반경방향(R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이송부(12)는 드리퍼(D)를 그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θ방향) 및 상하방향(Z축 방향) 승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transfer unit 11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nozzle N in the radial direction (R direction) of the dripper D,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 is a dripper (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aise and lower the rotation (θ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Z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제3실시예><Third 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에 있어서 좀 더 상세한 기구적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cluding a more detailed mechanical configuration i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1)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카운터(21) 상판 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1)는 드리퍼(D)가 놓일 회전받침대(121)와, 드리퍼(D)에 온수를 떨어 뜨릴 노즐(101)을 포함한다. 노즐(101)은 회전받침대(121)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설치된다. 노즐(101)은 헤드케이스(102)에 내장된 형태로 설치되고, 노즐(101) 단부는 헤드케이스(102)의 저면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노출된다. 4 and 5,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above the upper plate of the counter 21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 includes a rotating base 121 on which a dripper D is placed, and a nozzle 101 for dropping hot water on the dripper D. The nozzle 101 is installed at a heigh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rotation base 121. The nozzle 101 is installed in a form embedded in the head case 102, and the end of the nozzle 101 is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case 102.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1)는 상하 방향 지지대 기능을 제공하는 기둥부(103)와 기둥부(103) 상부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지지대(104)를 포함한다. 측방향 지지대(104)의 선단부에는 헤드케이스(102)가 결합된다. 헤드케이스(102)는 측방향 지지대(104) 상에서 수평하게 일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측방향 지지대(104) 내부에는 헤드케이스(102)의 진퇴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수평이송부(110)가 구성된다. The hand drip coffee brewing apparatus 1 includes a column part 103 that provides a vertical support function and a lateral support part 104 exten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part 103. The head case 102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ateral support 104. The head case 102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lateral support 104 so as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in one direction. Inside the lateral support 104, a horizontal transfer unit 110 for causing the head case 102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s configured.

회전받침대(121)는 그 위에 놓이는 드리퍼(D)를 그 자리에서 수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회전받침대(121) 아래에는 회전받침대(12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120) 및 회전구동부(1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130)가 구성된다. 회전구동부(120) 및 승강구동부(130)는 카운터(21) 상판 아래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다. The rotating pedestal 121 provides a function of rotating the dripper (D) placed thereon on a horizontal plane in place. Below the rotation base 121, a rotation driving unit 120 for rotating the rotation base 121 and an elevation driving unit 130 for elevat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120 are configured. The rotation drive unit 120 and the lift drive unit 130 are installed under the counter 21 upper plat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수평이송부(110)은 헤드케이스(102)가 일방향으로 선형 이송되도록 작동한다. 헤드케이스(102)는 회전받침대(1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동하는 헤드케이스(102)의 위치에 따라 노즐(101)로부터 드리퍼(D)상에 온수가 떨어지는 위치가 변화된다.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110 operates so that the head case 102 is linearly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The head case 102 is installed to mo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ase 121. The position where hot water falls on the dripper D from the nozzle 10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head case 102.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수평이송부(110)는 이송 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액추에이터(111)와, 제1액추에이터(111)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가동축(112)을 포함한다. 제1액추에이터(111)는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고정프레임(113)상에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13)은 제1액추에이터(111)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부(113a)와 수평플레이트부(113a)의 일단부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부(113b)를 포함한다. 수직플레이트부(113b)는 수평플레이트부(113a)의 전방(도6의 Y축 방향) 단부에 결합된다. 수직플레이트부(113b)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가동축(112)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6 and 7,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110 includes a first actuator 111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a transfer operation, and a movable shaft 112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actuator 111. do. The first actuator 111 is installed on the fixing frame 113 supported to be fixed in position. The fixing frame 113 includes a horizontal plate portion 113a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tuator 111 and a vertical plate portion 113b coupl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3a so as to be orthogonal. The vertical plate portion 113b is coupled to the front end (Y-axis direction in Fig. 6)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3a.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113b so that the movable shaft 112 passes through it and is installed.

고정프레임(113)의 하부에는 슬라이딩프레임(114)이 구성된다. 슬라이딩프레임(114)은 고정프레임(113) 상에서 전후방향(도6의 Y축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프레임(114)에는 전술한 가동축(112)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가동축(112)의 진퇴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프레임(114)도 일체로 이송된다. 슬라이딩프레임(114)은 고정프레임(113)의 저면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플레이트부(114a)와 수평플레이트부(114a)의 전방단부에 직립되어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부(114b), 그리고 수직플레이트부(114b)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연장부(114c)를 포함한다. A sliding frame 114 is configured under the fixed frame 113. The sliding frame 114 is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113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FIG. 6). One end of the above-described movable shaft 112 is fixed to the sliding frame 114, and the sliding frame 114 is also integrally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advance and retreat movement of the movable shaft 112. The sliding frame 114 is a horizontal plate portion 114a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bottom of the fixed frame 113, a vertical plate portion 114b formed upright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4a, and a vertical plate It includes a front extension portion (114c) protruding to the front of the portion (114b).

고정프레임(113)과 슬라이딩프레임(114) 사이의 상대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113)의 수평플레이트부(113a) 저면에는 가이드레일(113c)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슬라이딩프레임(114)의 수평플레이트부(114a)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13c) 상에서 미끄럼운동하는 슬라이딩블록(114d)가 결합된다. In order to guide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 fixed frame 113 and the sliding frame 114, a guide rail 113c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late 113a of the fixed frame 11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sliding frame 114 A sliding block 114d that slides on the guide rail 113c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4a of the.

헤드케이스(102) 후방단부는 슬라이딩프레임(114)의 전방에 결합된다. 헤드케이스(102)의 후방단부는 슬라이딩프레임(114)의 수직플레이트(114b) 전면 및 전방연장부(114c)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헤드케이스(102)는 슬라이딩프레임(114)과 함께 일체로 전후방향으로 이송된다. The rear end of the head case 102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liding frame 114. The rear end of the head case 102 is supported by the front of the vertical plate 114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114c of the sliding frame 114. The head case 102 is integrally transferred with the sliding frame 114 in the front-rear direction.

슬라이딩프레임(114)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고정프레임(113)의 수직플레이트(113b) 둘레 일측에는 위치 감지 센서(113d)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감지센서(113d)는 포토 센서 일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13d)는 슬라이딩프레임(114)이 위치 제어를 위한 기준 위치 상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슬라이딩프레임(114)의 일측에는 센서브라켓(114e)이 구성된다. 센세브라켓(114e)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 끝단부가 위치 감지 센서(113d)의 센서홈에 삽입되는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위치 감지 센서(113d)를 통해 감지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liding frame 114, a position detection sensor 113d is installed at one side around the vertical plate 113b of the fixed frame 113.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13d may be a photo sensor.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13d detects whether the sliding frame 114 is placed on a reference position for position control. A sensor bracket 114e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114. The sense bracket 114e has a shape protruding rearward, and whether or not the end has reached a posi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ensor groove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13d is detected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13d.

도8은 슬라이딩프레임(114)이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수평이송부(110)의 제1액추에이터(111) 구동에 의해 가동축(112)이 진퇴운동하면, 슬라이딩프레임(114)과 헤드케이스(102)가 일체로 운동한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frame 114 is transferr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hen the movable shaft 112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111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110, the sliding frame 114 and the head case 102 move integrally.

회전구동부(120)는 드리퍼(D)를 수평면상에서 회전시키도록 동작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회전구동부(120)는 전술한 회전받침대(121),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액추에이터(122), 제2액추에이터(122)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123), 회전축(123)의 회전운동을 회전받침대(121)에 전달하는 연결블록(124)를 포함한다.The rotation drive unit 120 operates to rotate the dripper D on a horizontal plane. 9 and 10, the rotation drive unit 120 includes the aforementioned rotation base 121, a second actuator 122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rotation shaft 123 driven by the second actuator 122, It includes a connection block 124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shaft 123 to the rotation base 121.

제2액추에이터(122)는 드리퍼(D)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어된다. 제2액추에이터(122)는 회전축(123)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 운동은 연결블록(124)을 통해 회전받침대(121)에 전달된다. 연결블록(124)은 상단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는 십자모양의 상면홈(124a)을 갖는다. 회전받침대(121)의 저면에는 이 상면홈(124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 모양으로 돌출되는 저면돌출부(121a)가 형성된다. 저면돌출부(121a)는 상면홈(124a)에 삽입된다. 연결블록(124)의 상단은 확장된 형상을 가져 회전받침대(121)에 힘이 전달되는 면적이 확대되도록 하고, 회전받침대(121) 중앙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cond actuator 122 is controlled to rotate the dripper D. The second actuator 122 rotates the rotation shaft 123, and this rotational motion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base 121 through the connection block 124. The connection block 124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is extended, and has a cross-shaped upper surface groove 124a on the upper surface. A bottom protrusion 121a protruding in a cross shap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base 121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 124a. The bottom protrusion 121a is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 124a.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lock 124 has an expanded shape so that the area through which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base 121 is enlarged, and prevents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 base 121.

회전구동부(120)는 측면 및 하부를 감싸는 케이싱(125) 및 케이싱(125)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26)을 포함한다. 제2액추에이터(122)와 연결블록(124)은 지지프레임(126)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블록(124)과 지지프레임(126)사이에는 부싱(127)이 개재될 수 있다. The rotation drive unit 120 includes a casing 125 surrounding the side and bottom and a support frame 126 fixed inside the casing 125. The second actuator 122 and the connection block 124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6. In addition, a bushing 127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block 124 and the support frame 126.

회전구동부(120)는 드리퍼(D)를 회전시켜 노즐(101)에서 떨어지는 온수가 원형의 궤적을 그리도록 한다. The rotation drive unit 120 rotates the dripper D so that the hot water falling from the nozzle 101 draws a circular trajectory.

승강구동부(130)는 드리퍼(D)가 놓이는 회전구동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동작한다.The elevating driving unit 130 operates to elevate the rotation driving unit 120 on which the dripper D is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승강구동부(130)는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고정프레임(131)과, 고정프레임(131)상에 설치되는 제3액추에이터(132), 제3액추에이터(13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3), 회전축(133)의 회전운동에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딩프레임(134)을 포함한다. 11 to 13, the lifting drive unit 130 includes a fixed frame 131 supported to be fixed in position, a third actuator 132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131, and a third actuator 132. It includes a rotating shaft 133 rotated by, a sliding frame 134 that rises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shaft 133.

고정프레임(131)은 상하로 수직하게 놓이는 수직플레이트부(131a)와, 수직플레이트부(131a)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플레이트부(131b)를 포함한다. 제3액추에이터(132)는 수평플레이트부(131b)에 고정되고, 회전축(133)은 수평플레이트부(131b)의 상부로 노출되어 수직하게 연장된다. The fixing frame 131 includes a vertical plate portion 131a that is vertically placed vertically, and a horizontal plate portion 131b that extends horizontally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131a. The third actuator 132 is fixed to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31b, and the rotation shaft 133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31b and extends vertically.

슬라이딩프레임(134)은 고정프레임(131)상에서 상하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프레임(134)은 회전축(133)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메인부(134a), 메인부(134a)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어 회전구동부(120)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연장부(134b)를 포함한다. The sliding frame 134 is installed so as to slide up and down on the fixed frame 131. The sliding frame 134 includes a main part 134a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133 is installed, and a horizontal extension part 134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main part 134a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120.

고정프레임(131)과 슬라이딩프레임(134) 사이의 미끄럼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131)의 수직플레이트부(131a) 일면에는 가이드레일(131c)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31)을 향하고 있는 슬라이딩프레임(134) 일면에는 가이드레일(131c) 상에서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딩블록(134c)이 결합된다. In order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between the fixed frame 131 and the sliding frame 134, a guide rail 131c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131a of the fixed frame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xed frame 131 A sliding block 134c that slides on the guide rail 131c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134 facing toward.

또한, 슬라이딩프레임(134)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고정프레임(131)의 하단부 일 지점에는 위치 감지 센서(131d)가 설치된다. 위치 감지 센서(131d)는 포토 센서 일 수 있다. 슬라이딩프레임(134)의 일 측에는 센서브라켓(134e)이 구성된다. 센서브라켓(134e)은 위치 감지 센서(131d)의 센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위치 감지 센서(131d)는 센서브라켓(134e)이 센서홈에 개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슬라이딩프레임(134)이 기준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liding frame 134, a position detection sensor 131d is installed at a point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frame 131.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1d may be a photo sensor. A sensor bracket 134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134. The sensor bracket 134e has a shape protrud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nsor groove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1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1d detects whether the sensor bracket 134e is interposed in the sensor groove and detects whether the sliding frame 134 has reached the reference position.

회전축(13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슬라이딩프레임(134)의 메인부(134a) 내주면에는 회전축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암사나부(134d)가 개재된다. 회전축(133)의 회전동작에 의해 슬라이딩프레임(134)은 상하로 이송되는 힘을 전달받는다. 슬라이딩프레임(134)이 상하 이송됨에 따라 수평연장부(13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회전구동부(120) 전체가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도13은 슬라이딩프레임(134)의 승강동작에 의해 회전구동부(120)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33, and a female thread 134d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rotation shaft is inter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part 134a of the sliding frame 134. The sliding frame 134 receives a force transferr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 shaft 133. As the sliding frame 134 is moved up and down, the entire rotation drive unit 120 supported by the horizontal extension unit 134b is raised and lowered.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drive unit 120 is lifte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liding frame 134.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1)는 제1, 2, 3액추에이터(111, 122, 132)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바리스타의 동작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액추에이터(111)의 제어에 의해 온수 노즐(101)은 드리퍼(D)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액추에이터(122)의 제어에 의해 드리퍼(D)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제3액추에이터의 제어에 의해 드리퍼(D)의 승강운동이 가능하다. 이들 3가지 움직임의 조합에 의해 노즐(101)과 드리퍼(D)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공간상의 모든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바리스타의 손동작 재현이 가능하다.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reproduce the operation of the barista as it is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tuators 111, 122, and 132. In more detail, by the control of the first actuator 111, the hot water nozzle 101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pper D, and the dripper ( The rotational motion of D) is possible, and the lifting motion of the dripper D is possible by the control of the third actuator. By a combination of these three movement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nozzle 101 and the dripper D can be changed in all directions in spac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hand movement of the barista.

한편, 드리퍼(D)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된 조건하에서도 수평이송부(110)만 기기의 상부에 구성하고, 회전구동부(120) 및 승강구동부(130)는 기기의 하부에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화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pper (D) is structured by configuring only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110 on the top of the device even under limited conditions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120 and the lifting driving unit 130 are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device. Can be stabilized.

또한, 커피 추출 과정에서 헤드케이스(102) 자체가 드리퍼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종래 기기 내부의 부품이 드리퍼(D) 쪽으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드리퍼(D)로 떨어질 우려가 없다. 부가적으로 헤드케이스(102)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d case 102 itself moves on the dripper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there is no fear that the components inside the conventional device are exposed toward the dripper D, and foreign substances fall into the dripper D. Addition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movement of the head case 102.

D : 드리퍼 N : 노즐
10 : 이송부 102 : 헤드케이스
103 : 기둥부 104 : 측방향 지지대
110 : 수평이송부 111 : 제1액추에이터
112 : 가동축 113 : 고정프레임
114 : 슬라이딩프레임 120 : 회전구동부
122 : 제2액추에이터 123 : 회전축
124 : 연결블록 125 : 케이싱
126 : 지지프레임 127 : 부싱
130 : 승강구동부 131 : 고정프레임
132 : 제3액추에이터 133 : 회전축
134 : 슬라이딩프레임
D: Dripper N: Nozzle
10: transfer unit 102: head case
103: column part 104: lateral support
110: horizontal transfer unit 111: first actuator
112: movable shaft 113: fixed frame
114: sliding frame 120: rotating drive unit
122: second actuator 123: rotating shaft
124: connection block 125: casing
126: support frame 127: bushing
130: elevating drive unit 131: fixed frame
132: third actuator 133: rotating shaft
134: sliding frame

Claims (10)

분쇄 원두가 담긴 드리퍼 위에 온수를 떨어 뜨려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에 있어서,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이 드리퍼에 대하여 공간상의 3개 축방향 모두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 및 상기 드리퍼를 동작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노즐을 동작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드리퍼를 동작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In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by dropping hot water on a dripper containing ground coffee beans,
And a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nozzle and the dripper so that the nozzle for dropping hot water can move relative to the dripper in all three axial directions in space,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nozzle and a second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dri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노즐을 수평면상의 2개 축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드리퍼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nozzle in two axial directions on a horizontal plan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configured to lift the second transfer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i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노즐을 드리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1개 축방향으로 선형 이송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드리퍼를 수평면상에서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linearly transfer the nozzle in one axial direction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pper,
The second transfer unit is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configured to rotate the dripper on a horizontal surface and lift it up and dow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드리퍼를 수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드리퍼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transfer unit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rotary drive unit for rotating the dripper on a horizontal surface and a lift drive uni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ri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를 지지하여 상기 드리퍼 및 상기 승강구동부를 일체로 승강시키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integr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dripper and the elevation driver by the rotation driving part supporting the elevation driving part.
드리퍼의 상부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내장하는 헤드케이스와,
상기 노즐이 드리퍼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헤드케이스를 동작시키는 수평이송부와,
드리퍼의 저면을 지지하며 드리퍼를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가 상하로 이송되도록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송부,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노즐과 드리퍼 사이의 공간 상의 상대 운동을 일으키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A nozzle that supplies hot water from the top of the dripper,
A head case incorporating the nozzle,
A horizontal transfer unit for operating the head case so that the nozzle is transferr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pper,
A rotation drive unit that supports the bottom of the dripper and operates to rotate the dripper,
It includes an elevating drive for operating the rotation drive to be transported up and down,
A hand drip coffee brewing device that causes a relative mo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dripper by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lift drive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헤드케이스가 수평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측방향 지지대와,
상기 측방향 지지대를 상기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가 설치되는 카운터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lateral support for suppor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head case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illar portion for supporting the lateral support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counter on which the hand drip coffee extraction apparatus is instal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는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된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가동축과,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의 기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1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케이스는 상기 제1슬라이딩프레임에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fixing frame supported so that the horizontal transfer part is fixed,
A first sliding frame installed to enable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frame,
A first actua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first sliding frame,
A movable shaft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fram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actuator,
A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frame to detect a reference position of the first sliding frame and a first sensor bracket installed on the first sliding frame,
The head case is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frame and operates integral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드리퍼의 저면을 지지하는 회전받침대와,
상기 회전받침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회전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회전받침대를 지지하는 상단부가 확장된 형상을 갖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rotation drive unit and a rotation base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dripper,
A second actua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base,
A first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second actuator,
It includes a connection block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base,
The connection block is a hand drip coffee extraction device having an extended upper end portion supporting the rotating bas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된 제2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대하여 나사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의 기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센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은 상기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3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딩프레임 및 상기 회전구동부가 일체로 승강하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second fixing frame supported so that the elevation driving part is fixed in position,
A second sliding frame install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frame,
A third actua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the second sliding frame,
A second rotation shaft that rotates by the third actuator and is screw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ing frame to lift the second sliding fram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 second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second fixing frame and a second sensor bracket installed on the second sliding frame to detect a reference position of the second sliding frame,
The second sliding frame includes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supporting the rotation drive unit, the second sliding frame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actuator, the hand drip coffee brewing apparatus for integrally elevating.
KR1020210035570A 2019-06-18 2021-03-18 A hand-drip coffee machine KR102518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570A KR102518463B1 (en) 2019-06-18 2021-03-18 A hand-drip coffe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24A KR102232318B1 (en) 2019-06-18 2019-06-18 A hand-drip coffee machine
KR1020210035570A KR102518463B1 (en) 2019-06-18 2021-03-18 A hand-drip coffee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24A Division KR102232318B1 (en) 2019-06-18 2019-06-18 A hand-drip coffe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129A true KR20210035129A (en) 2021-03-31
KR102518463B1 KR102518463B1 (en) 2023-04-05

Family

ID=8588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570A KR102518463B1 (en) 2019-06-18 2021-03-18 A hand-drip coffe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4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70B1 (en) * 2022-08-29 2023-06-26 김종우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48B1 (en) 2011-08-17 2013-07-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hand drip coffee machine
KR101661455B1 (en) * 2015-09-24 2016-09-30 정재웅 Drip coffee maker
KR101766124B1 (en) * 2016-03-14 2017-08-08 영 진 이 Coffee drip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48B1 (en) 2011-08-17 2013-07-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hand drip coffee machine
KR101661455B1 (en) * 2015-09-24 2016-09-30 정재웅 Drip coffee maker
KR101766124B1 (en) * 2016-03-14 2017-08-08 영 진 이 Coffee drip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70B1 (en) * 2022-08-29 2023-06-26 김종우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463B1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455B1 (en) Drip coffee maker
US8998037B2 (en) Drink dispensing device with holding and drip-collect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ES2557121T3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8627760B2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 with functional block and support base
CA2915290C (en) Device for in-cup-preparation of a beverage
JP6465882B2 (en) Extractio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ES2320475T3 (en) DISTRIBUTOR OF DRINKS ADJUSTABLE IN HEIGHT.
KR102121750B1 (en) Barista coffee robot
KR20120078180A (en) A stable device that the water pressure of a dutch coffee organization
KR20210035129A (en) A hand-drip coffee machine
KR101934343B1 (en) A automatic hand-drip coffee machine
CN202283200U (en) Coffee maker
KR20090027292A (en)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CN102525276A (en) High powered, single serve, automatic drip brewed beverage maker and related scoop
KR102232318B1 (en) A hand-drip coffee machine
CN111956073A (en) Automatic receiving device of coffee machine
CN108294464A (en) Multifunctional dining table
CN111904275A (en) Coffee machine
KR101615996B1 (en)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KR102176293B1 (en) A controlling method of hand-drip coffee machine
TWM425614U (en) Coffee maker
EP3231336B1 (en) Brewing device for coffee machine
CN211585182U (en) Lifting device of mahjong machine
CN208822397U (en) One grows tea that basket is liftable to boil tea set
KR102548170B1 (en)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