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899A -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 Google Patents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899A
KR20210034899A KR1020190116820A KR20190116820A KR20210034899A KR 20210034899 A KR20210034899 A KR 20210034899A KR 1020190116820 A KR1020190116820 A KR 1020190116820A KR 20190116820 A KR20190116820 A KR 20190116820A KR 20210034899 A KR20210034899 A KR 2021003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space
swimming pool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11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899A/ko
Publication of KR2021003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8Easily movable or transportable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영장 물이 저장되는 메인 저장 공간이 마련된 수조, 상기 수조 내 설치되어 수조의 일부 측벽과 함께 수조 내 별도의 보조 저장 공간을 마련하는 구획벽, 수조의 표층수가 상기 구획벽 상단을 넘어 상기 보조 저장 공간으로 흘러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조 저장 공간의 내벽에 형성된 표층수 배출구, 상기 수조의 보조 저장 공간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정수기 및 모터펌프를 포함하는 기계실,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결되는 배출 라인, 상기 기계실로부터 상기 수조로 연결되는 순환 라인, 상기 순환 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마련된 급수구, 및 상기 보조 저장 공간에 설치되며 보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된 수조의 표층수의 양에 따라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가 변화될 때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로부터 보조 저장 공간에 추가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벽의 높이는 수조의 측벽보다 낮게 형성되고, 구획벽의 상단이 수조 내의 물의 최대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Container type movable swimming pool}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영장 수조 내부에 구획벽을 설치하고 수영장 물이 구획벽 상단을 넘쳐 구획벽 내부에 저장되도록 한 후 저장된 물을 정화한 후 다시 수영장 내로 순환시키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을 제안한다.
체중 조절과 심폐 지구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유산소 운동으로는 조깅, 사이클, 등산, 수영, 줄넘기, 에어로빅 등이 있다. 대부분의 유산소 운동은 특별한 시설이나 장비 없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수영장은 실내 수영장은 물론 실외 시설이더라도 건축과 유지 관리에 큰 공간과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공공 시설로서 실내 수영장을 포함하는 다목적 체육관이나 지역 체육 시설 등은 많은 예산과 공사기간이 필요하며, 수용 인원 및 이용 시간 등의 제한이 있어 이용자들의 자유로운 운동에 한계가 있다. 반면, 개인용 수영장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수영장 규모에 해당하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건축 위치의 땅을 굴착한 후 콘크리트 작업을 거쳐 타일 공사 등의 방수 작업 등이 뒤따라야 하며, 이 과정은 수개월의 공사기간과 큰 비용이 요구되므로, 독립적인 수영 시설을 누릴 수 있는 개인 역시 극소수에 불과할 것이다. 한편, 유아원이나 초중등학교, 기타 많은 교육기관에서는 수영장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지만, 큰 비용과 건축 장소, 공사기간 등에 따른 제약 때문에 원활한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간이 수영장을 제조하고 개인이나 기관 등에 공급하는 사례가 국내외에 소개되고 있다. 컨테이너 수영장은 다양한 사이즈와 디자인으로 설계되고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데, 제작된 수영장을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전기나 가스 등을 연결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 수영장은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고, 이동이 가능하여 이사 시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자외선 살균이나 화학적 살균 등에 의해 수영장 물의 정화도 가능하다. 또한, 공간을 구획하여, 한쪽은 수영장, 다른 쪽은 물을 가온하여 스파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각종 조명으로 색다른 분위기를 낼 수도 있고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수영장은 이동이 가능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수영장 이용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수영장이 포함된 건축물의 가치를 상승시킨다는 점에서 소유주에게 유리한 측면이 많지만, 수영장 이용자의 건강과 수영장의 유지 관리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부분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수영장은 별도의 차폐 시설을 갖추지 않는 한, 수영장 물 표면에 부유물, 예를 들어 나뭇잎, 인체의 피부에서 탈락된 단백질 성분 등이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깨끗하고 쾌적한 수영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로 실외에 설치되고 주택 등의 건물과 인접하여 건축되는 컨테이너 수영장의 특성을 감안하여 컨테이너 수영장에 적합한 정화시스템이 요구되며, 특히 수영장 표층의 부유물을 포함하는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수영장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19-0066900호는 이동식 수영장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을 갖는 수조; 및 상기 수조와 이격 배치된 트레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일러는 하부벽, 상기 하부벽과 마주보는 상부벽,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을 연결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및 상기 측벽들 중 상기 수조와 마주보는 제1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조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풀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트레일러는 제1 순환 배관, 제2 순환 배관, 정수 유닛, 및 가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정수 유닛은 컨테이너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순환 배관을 통해 공급된 물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정수유닛은 제1 순환 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수조의 물을 정수하여 제2 순환 배관으로 배출한다.
또 다른 공지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784469호에 따르면, 컨테이너 내에 수영풀을 형성하여 원하는 장소에 수영장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수영장을 제안하고 있으며, 정화장치를 계단실에 계단의 하측으로 설치하고, 수영풀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파이프와, 상기 배수파이프와 연결되고 여과수단을 내장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여과된 물을 공급파이프를 통해 다시 수영풀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여 정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화장치가 계단실 내부에 계단 하측으로 형성되는 여유공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에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영풀 내의 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정화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수영풀 내의 물을 용이하게 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지된 종래의 컨테이너 수영장은 기존 수영 시설의 정화 시스템을 유사하게 채용한 정도에 불과하여, 표층수에 부유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수영장의 표층수에 지속적으로 부유되는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컨테이너 수영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컨테이너 수영장의 구조를 변경하여 표층수 오염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수영장 물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한편, 표층수 오염원을 포함하여 수영장 물의 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새로운 컨테이너 수영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의 컨테이너 수영장에 적용 가능하고 수영장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정수 내지 정화 기능이 수행되는 컨테이너 수영장 일체형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영장 물이 저장되는 메인 저장 공간이 마련된 수조, 상기 수조 내 설치되어 수조의 일부 측벽과 함께 수조 내 별도의 보조 저장 공간을 마련하는 구획벽, 수조의 표층수가 상기 구획벽 상단을 넘어 상기 보조 저장 공간으로 흘러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조 저장 공간의 내벽에 형성된 표층수 배출구, 상기 수조의 보조 저장 공간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정수기 및 모터펌프를 포함하는 기계실,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결되는 배출 라인, 상기 기계실로부터 상기 수조로 연결되는 순환 라인, 상기 순환 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마련된 급수구, 및 상기 보조 저장 공간에 설치되며, 보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된 수조의 표층수의 양에 따라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가 변화될 때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로부터 보조 저장 공간에 추가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벽의 높이는 수조의 측벽보다 낮게 형성되고, 구획벽의 상단이 수조 내의 물의 최대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는 보조 저장 공간 내 물 표면에 부유하는 부레의 높이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보조 저장 공간에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수위 감지부의 부레의 높이가 제1높이 이하일 때 물 공급을 개시하고 제2높이 이상일 때 물 공급을 중단하는 물 공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수영장은 상기 수조의 바닥 또는 측벽 하부에 수영장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고, 수조 바닥 청소용 물 공급 라인으로서 상기 기계실의 배출 라인 또는 순환 라인에 연결되는 보조 라인과, 이 보조 라인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수영장은 상기 기계실에 보조 저장 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수조 내 표층수가 정수기를 통해 오염 물질이 필터링 된 후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가 순환 라인 중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구획벽 하부에는 수조 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수영장의 표층수에 지속적으로 부유되는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새로운 컨테이너 수영장은 표층수 오염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수영장 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 흐름을 발생시키고 오버플로우된 표층수를 구획벽에 의해 마련된 보조 저장 공간에 담아 기계실의 정수기를 통해 정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수영장 내 표층수의 수위가 낮아 오버플로우가 일어나지 않을 때, 모터펌프의 과열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수위 감지 및 물 공급 장치를 부가하는 한편, 별도의 바닥 부유물 흡입 장치로 수중 잔여물을 비롯한 침출수 처리와 청소 및 유지관리 용이하며, 상온 수온이 유지되어 한겨울에도 따듯한 스파 및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온수 사용이 가능하여 수영장의 기능성과 유지 관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의 컨테이너 수영장에 적용 가능하고 수영장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정수 내지 정화 기능이 수행되어 수영장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애견풀이나 아쿠아리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여 수영장이 포함된 건축물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컨테이너형 수영장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일실시예로서 제조된 컨테이너형 수영장을 보인 사진
도 3은 수영장 구획벽 내부 보조 공간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보인 모식도
도 4는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의 개념을 보인 모식도
도 5는 정수위 밸브를 이용한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를 보인 사진
도 6은 대형 풀에 적용된 보조 저장 공간과 순환 라인을 보인 모식도
도 7은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보인 모식도
도 8은 일실시예로서 제조된 기계실을 보인 사진
도 9는 구획벽에 마련된 수위 조절 홈을 보인 단면 모식도
도 10은 수조 바닥 청소용 물 공급 라인을 보인 단면 모식도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형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 수영장 수조 내에 구획벽을 설치하고 수영장 물이 구획벽을 흘러넘어 구획벽 내부에 저장되도록 한 후 저장된 물을 정화시키고 다시 수영장 내로 순환시키는 컨테이너형 수영장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수영장을 구성하는 골조 및 벽체 구조물로서 화물의 적재와 수송에 사용되는 금속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를 재단하고 변형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이동식 수영장을 제조할 수 있다. 수영장의 수조 내부에 별도의 보조 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벽을 마련하고 보조 공간으로 이송된 수영장물을 정수기 또는 정화 장치에 전달하여 정화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수영장으로 순환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정화 장치가 소규모이면서도 수영장 내부 물의 정화가 용이하고, 물의 낭비가 없는 이동식 수영장을 제작할 수 있다.
수조 내의 구획벽은 수영장 외측벽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하여, 내부 물의 수위를 결정하는 기준 높이를 제공하는 한편, 수영장 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획벽 내부의 보조 공간으로 수영장 물, 특히 수영장 상단의 표층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수영장 물의 상단(상부 물)은 예를 들어 수영장 이용자들의 활동에 의한 물의 파동으로 자연스럽게 구획벽과 수영장 외측벽에 의해 마련되는 보조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물은 수영장 측부에 설치된 정화부로 배수 파이프 등을 통해 전달되며, 정화부 또는 정수 장치를 거쳐 부유물 및 단백질 성분 등이 정화된 후 모터펌프를 통해 가압되어 급수 파이프를 통해 다시 수영장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먼저, 오버플로우 방식으로 수영장 내의 물을 정화함으로써 부유물 없이 쾌적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수영장 내부 구조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메인 공간 옆에 보조 공간으로 수영장 표층수를 흘러 넘치게 하여 부유물과 오염 물질을 외부로 자연스럽게 걸러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층수의 오버플로우를 통해 인체 피부의 각질, 머리카락, 낙엽, 먼지 등을 비롯한 수영장 표층수에 부유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표층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여 메인 공간으로부터 보조 공간으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도록 정화부와 펌프를 순환 라인에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수영장 물의 지속적인 또는 정기적인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수영장은 수조의 메인 저장 공간 내 표층수의 수위가 낮아 오버플로우가 일어나지 않을 때, 정화되는 물이 순환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펌프 등의 장치가 과열되거나 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 수위 감지 및 물 공급 장치를 부가하여 전체적인 순환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컨테이너 수영장은 수조 바닥의 배수 잔여물 처리 및 바닥 물고임을 최소화한 구배 설계로 경사진 바닥부를 포함하며, 별도의 바닥 부유물 흡입 시스템을 구비하여 수중 잔여물을 비롯한 침출수 처리와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하절기에 수영장 및 파티장으로 활용될 수 있고, 동절기에는 실내스파 또는 노천스파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타 애견풀이나 아쿠아리움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목적 이용을 위해 정화 시스템 및 순환 시스템에 추가하여 수영장 물 히팅 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온 수온을 유지하거나 최고 40도 수온을 장시간 유지하도록 하여 한겨울에도 따듯한 스파 및 수영을 즐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며 바람직할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컨테이너형 수영장(100)의 단면 모식도이다. 수영장은 컨테이너 등 골조와 벽체를 포함하는 건축 자재에 의해 예를 들어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영장 물이 저장되는 수조는 바닥(122) 및 측벽(120)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영장 물이 저장되는 메인 저장 공간(11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조 내 설치되어 수조의 일부 측벽과 함께 수조 내 별도의 보조 저장 공간(210)을 마련하는 구획벽(200)을 포함한다. 메인 저장 공간과 보조 저장 공간은 인접하여 배치되며, 메인 저장 공간에 비해 보조 저장 공간은 폭이 좁고 구획벽의 높이(h2)는 수조의 측벽(h1)보다 낮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영장 수조의 측벽 높이가 100cm일 경우 구획벽은 5 ~ 10% 낮게 즉 90 ~ 95cm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구획벽의 상단은 수조 내의 물의 최대 높이(W1)를 결정하게 되며, 수영장 메인 저장 공간의 물의 높이 즉 표층수의 최대 높이가 구획벽 보다 높거나 이용자의 수영 행위 등에 의해 표층수의 파동에 의해 구획벽을 넘게 되면 자연스럽게 구획벽 상단을 넘어(overflow : OF) 수영장 물이 구획벽 내의 보조 저장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조의 표층수가 상기 구획벽 상단을 넘어 상기 보조 저장 공간으로 흘러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조 저장 공간의 내벽 중 수조의 외측벽에 표층수 배출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표층수 배출구로부터 상기 수조로 연결되는 순환 라인(CL)이 설치되고, 순환 라인 상에 모터 펌프(MP)와 정수기(WP)가 설치되어 수영장 물의 정화 및 순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조의 일측에는 급수구(130)가 마련되어 상기 순환 라인의 끝단에 연결된다. 수영장 물은 구획벽 내의 보조 공간의 배출구를 거쳐 순환 라인을 통해 배출구 반대쪽의 수영장 측벽 급수구로 순환되며, 순환 파이프의 형태와 설치 위치는 수영장 사이즈 및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급수구의 높이(h3)는 수영장 측벽이나 구획벽 보다 낮게 형성하되 수영장 측벽 높이 대비 15 ~ 20% 낮게 즉 80 ~ 85cm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급수구의 높이는 수영장 물의 순환을 통해 수조의 메인 저장 공간에서 표층수의 원활한 오버플로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급수구가 낮게 형성되는 경우 급수구를 통해 순환된 물이 수조 내에서 국부적인 맴돌이(whirlpool)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표층수 흐름이 전체적으로 구획벽을 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정체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로서 제조된 컨테이너형 수영장을 보이고 있으며, 수영장의 길이 및 높이 등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내외장재를 변화시켜 주택이나 주변 시설 등의 건축물과 조화롭게 제조할 수 있으며, 단변 쪽 일측에 수영장 진입용 계단(420)을 설치할 수 있고, 장변 쪽 측면에는 수영장 내부 관찰 용 투명창(121)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수조의 보조 저장 공간 일측에는 정수기 및 모터펌프를 포함하는 기계실(400)이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전술한 표층수 배출구와 파이프 등에 의해 기계실의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수조의 메인 저장 공간의 수영장 물이 구획벽 내부 보조 공간으로 유입되고 정화를 거쳐 다시 수조로 순환되는 과정을 통해 전체 정화 작용이 진행되는데, 수조의 메인 저장 공간 내 표층수의 수위가 낮게 되면 보조 저장 공간으로 수영장 표층수의 오버플로우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3은 수영장 구획벽 내부 보조 공간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보인 모식도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수영장으로 다시 순환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펌프 등의 장치가 과열되어 고장이 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저장 공간의 낮은 수위로 인해 표층수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모터펌프의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보조 저장 공간에 별도의 물 공급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영장 수조의 메인 저장 공간의 수위와 상관없이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를 감안하여 물을 공급하는 기술적 구성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의 개념을 보인 모식도로서, 보조 저장 공간에 설치되는 물 공급장치는 보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된 수조의 표층수의 양에 따라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가 변화될 때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를 감지하고 외부로부터 보조 저장 공간에 추가로 물을 공급한다.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는 예를 들어 부유가 가능한 부레 모양의 수위 감지부(3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부는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에 따라 수직 높이가 변화된다. 보조 공간의 상부 또는 측벽 등에 물 공급관(33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물 공급관의 물 공급은 수위 감지부의 높이에 따라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공급 제어부에 의해 자동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감지부의 부레의 높이가 제1높이(W2a) 이하일 때 물 공급을 개시하고 제2높이(W2b) 이상일 때 물 공급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높이는 기계실 또는 순환 라인 등과 연결되는 표층수 배출구의 높이 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공급 제어부(320)는 도 5의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위 감지부(310)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편, 타단은 물 공급관(33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는 볼탑, 플러팅 밸브 등의 상용화된 정수위 밸브를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조 저장 공간을 복수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대형 풀에 적용된 보조 저장 공간과 순환 라인을 보인 모식도로서, 예를 들어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수영장 장변측 길이가 6m일 경우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장변측 길이가 두 배인 12m 규모의 수영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수영장에서 수영장 물의 정화 및 원활한 순환을 위해 수조 내부 양 쪽에 각각 구획벽(200a, 200b)을 설치하고 별도의 보조 공간(220a, 220b)이 마련되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보조 공간에 독립적인 순환 라인(CLa, CLb)과 모터 펌프(MPa, MPb)를 연결하여 수조 내의 메인 저장 공간(110)으로 수영장 물의 정화 및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순환 라인을 설치하게 되면 급수구(130a, 130b)도 동일한 수로 증가시켜 배치하며, 예를 들어 수영장 장변 쪽 측벽의 일부에 급수구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기계실을 보인 모식도로서, 수조의 보조 저장 공간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공간 구조물일 수 있고, 내부에는 정수기(WP) 및 모터펌프(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실에는 전술한 표층수 배출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결되는 배출 라인(41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로서 제조된 기계실을 보이고 있다.
기계실의 정수기는 물리적 필터링이 가능한 여과장치나 화학적 분해가 가능한 여과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이드밸브식 내장형 여과기를 설치하여 염소약품소독과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정수 효율은 시간당 10톤 여과하며, 15 ~ 20일간 지속하여 수영장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로부터 상기 수조로 연결되는 순환 라인(CL)은 수조 측벽 또는 바닥면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재 내측에 순환 라인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계실에는 보조 저장 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수조 내 표층수가 정수기를 통해 오염 물질이 필터링 된 후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미도시)가 순환 라인 중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벽에 수위 조절 홈(230)을 마련하여, 수조의 메인 저장 공간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구획벽 하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보조 공간으로 수영장 물을 배출하고, 수조 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예를 들어 최대 높이(W1a)로부터 최저 높이(W1b) 사이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어린이의 연령대나 키에 맞게 안전한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적합한 수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수영장은 바닥 부유물 흡입을 위한 부가 장치를 구비하여 수중 잔여물이나 수조 바닥의 배수 잔여물 청소가 용이하다. 도 10은 수조 바닥 청소용 물 공급 라인을 보인 단면 모식도이다.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지하 설치를 위한 바닥 공사 없이 평지에 그대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영장 배수구는 수조의 바닥 또는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는 수조 측벽 하부에 수영장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250)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수조 외측벽에는 흡입 호스(530) 연결용 드레인(240)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의 다른 한쪽에는 수조 바닥 청소용 물 공급 라인으로서 파이프 형태의 보조 라인(510)이 연결되며, 이 보조 라인에는 제어 밸브(5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라인은 예를 들어 기계실의 배출 라인 또는 순환 라인에 연결되어 모터펌프를 통해 흡입력이 인가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보조 라인과 연결된 흡입 호스 끝단에 흡입력이 작용하여 수조의 물이 배출된 후 바닥부의 오물(D) 등을 말끔히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조 라인에 설치된 제어 밸브는 모터펌프로부터 수영장 물의 순환을 위한 동력 전달이 보조 라인에 인가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이 경우 순환 라인 상에도 별도의 제어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라인과 제어 밸브는 기계실 내부에 함께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수조 바닥 등을 청소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수영장 구조물에 내장된 장치로서 관리 및 이동이 편리하고, 수영장 수질을 깨끗이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10일 정도의 짧은 기간에 제작을 완료하고 원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확장성 및 견고성이 뛰어나 설치 장소의 공간적 특성에 따라 자유로운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경제적인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수영장의 전체 구조는 주로 직사각 형태이지만 세부적인 구조 및 외부 형태와 마감재를 활용하여 트렌디한 스타일과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는 디자인, 안전과 건강을 고려한 소재, 공간의 품격을 감안한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시설물의 가치가 극대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독주택, 타운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정원, 옥상, 실내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고, 휴양지의 풀빌라처럼 건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은 펜션이나 리조트에 적용하여 여름에는 워터파크, 겨울에는 노천온천처럼 활용할 수 있으며, 높은 만족과 추억을 제공하여 고객 유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와 이동이 빠르기 때문에 카페나 파티장 등에도 적용하여 각종 파티나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수영장으로서의 기본 기능 이외에 반려동물을 위한 특별한 공간을 선사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수영장 대비 설치 비용이 저렴하여 반려동물이 부담없이 수영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수영장 110:메인 저장 공간
120:측벽 121:투명창
122:바닥 130:급수구
200:구획벽 210:보조 저장 공간
220:표층수 배출구 230:수위 조절 홈
240:드레인 310:수위 감지부
320:물 공급 제어부 330:물 공급관
400:기계실 410:배출 라인
510:보조 라인 520:제어 밸브
530:흡입 호스 CL:순환 라인
MP:모터 펌프 WP:정수기

Claims (5)

  1. 바닥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영장 물이 저장되는 메인 저장 공간이 마련된 수조,
    상기 수조 내 설치되어 수조의 일부 측벽과 함께 수조 내 별도의 보조 저장 공간을 마련하는 구획벽,
    수조의 표층수가 상기 구획벽 상단을 넘어 상기 보조 저장 공간으로 흘러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조 저장 공간의 내벽에 형성된 표층수 배출구,
    상기 수조의 보조 저장 공간 일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정수기 및 모터펌프를 포함하는 기계실,
    상기 표층수 배출구로부터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연결되는 배출 라인,
    상기 기계실로부터 상기 수조로 연결되는 순환 라인,
    상기 순환 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마련된 급수구, 및
    상기 보조 저장 공간에 설치되며, 보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된 수조의 표층수의 양에 따라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가 변화될 때 보조 저장 공간의 수위를 감지하여 외부로부터 보조 저장 공간에 추가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벽의 높이는 수조의 측벽보다 낮게 형성되고, 구획벽의 상단이 수조 내의 물의 최대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 공간 물 공급 장치는 보조 저장 공간 내 물 표면에 부유하는 부레의 높이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와, 저장 공간에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수위 감지부의 부레의 높이가 제1높이 이하일 때 물 공급을 개시하고 제2높이 이상일 때 물 공급을 중단하는 물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 또는 측벽 하부에 수영장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수조 바닥 청소용 물 공급 라인으로서 상기 기계실의 배출 라인 또는 순환 라인에 연결되는 보조 라인과, 이 보조 라인에 설치되는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는 보조 저장 공간으로부터 전달된 수조 내 표층수가 정수기를 통해 오염 물질이 필터링 된 후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가 순환 라인 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 하부에 형성되고, 수조 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KR1020190116820A 2019-09-23 2019-09-23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KR20210034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20A KR20210034899A (ko) 2019-09-23 2019-09-23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820A KR20210034899A (ko) 2019-09-23 2019-09-23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99A true KR20210034899A (ko) 2021-03-31

Family

ID=7523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820A KR20210034899A (ko) 2019-09-23 2019-09-23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220A (ko)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다우컨소시엄 그늘막이 설치된 조립식 수영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220A (ko)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다우컨소시엄 그늘막이 설치된 조립식 수영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2398B2 (en) Compact swimming pool for restrained swimming
US20030228195A1 (en) Pool using deep-sea water and its surrounding facilities
US20020020010A1 (en) Pool on the sea using deep-sea water and its surrounding facilities
US3695434A (en) Purification
US2406413A (en) Terraced combination pool and reservoir
JP2007101156A (ja) 移動入浴車
KR20210034899A (ko) 이동식 컨테이너형 수영장
JPH0751688A (ja) 汚水浄化処理装置及び汚水浄化処理設備
WO2001055534A2 (en) Portable spa
US3596768A (en)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US11639608B2 (en)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of an above-ground pool, such as an above-ground spa pool or a swimming pool
KR20150134942A (ko) 사계절용 바다 풀장
US20160037971A1 (en) Hammock tub assembly
CN207194526U (zh) 一种可移动式共享泳池
KR102575228B1 (ko) 조수간만의 차가 큰 해양의 해수풀장
RU2347052C2 (ru) Сооружение, встроенный объект для водоплавающих птиц - пингвинарий
US20120291193A1 (en) System for filtering water from swimming pools
US20180135324A1 (en) Infinity edge swimming pool cleaner and method
JP5198160B2 (ja) 仮設用浄水風呂設備
KR20200101029A (ko) 컨테이너 수영장
RU2343258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объект - главный танк океанариума
Chan A Guide to Swimming Pool Maintenance and Filtration Systems: An Instructional Know-How 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RU39351U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водоем, размещенный на природном водоеме
Arkanova et al.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Water-Treatment system design for outdoor pools in the Urals
RU63643U1 (ru) Главный танк океанариу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