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218A -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 Google Patents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218A
KR20210034218A KR1020190115869A KR20190115869A KR20210034218A KR 20210034218 A KR20210034218 A KR 20210034218A KR 1020190115869 A KR1020190115869 A KR 1020190115869A KR 20190115869 A KR20190115869 A KR 20190115869A KR 20210034218 A KR20210034218 A KR 2021003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visibility
fire resistanc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서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218A/ko
Publication of KR2021003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6Opacifiers
    • C04B2103/58Shrinkage 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 포장재의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멘트 10~20중량%, 모래 25~38중량%, 골재 41~50중량% 및 물 8~12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합제 조성물 5~8중량부, 수축저감제 0.2~0.8중량부, 섬유 보강제 0.05~0.8중량부, 글라스 비드 1~5중량부, 황토분 0.3~1.5중량부 및 혼화제 0.08~0.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Ocher concrete composition reinforced with fire resistance and visibility and floor pavement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사회, 경제, 문화의 발전으로 인구의 대도시화, 도시집중화, 국토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발생하여 환경보존 및 친환경적인 접근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적인 재료로서 가장 대표적으로 흙과 목재를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흙은 재활용이라는 친환경기술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활용가치가 우수한 재료로 자연생태공원, 산책로, 자전거도로 및 농로 등에 바닥 포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로포장은 지중에 대한 물의 침투를 막고 노상의 지지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내구성을 높이는 최선의 방법으로 아스팔트포장 및 콘크리트포장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는 표면이 박리되거나 비산해서 단면결손이 발생하는 등 폭열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바닥 포장체로 사용하는 경우 지중에는 미생물 등이 서식하지 못하고 토양이 사막화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일환으로 친환경적 재료인 황토를 활용한 콘크리트가 제시되고 있다. 황토 콘크리트는 황토 분말을 혼합하여 자외선 및 복사열을 흡수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나아가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분석, 입증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인간심리와 결합하여 점차 간편한 일상제품으로 변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황토는 열에너지에 의해 갈라짐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어 문제가 되고, 한편 황토 콘크리트는 황토색을 띄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채도가 낮고 보행로 또는 도로 등의 바닥 포장재로 이용되는 경우, 시인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온, 고열에 갈라짐을 줄일 수 있으면서, 태양광이나 조명광이 비치는 경우에 이를 적극 활용하여 황토 콘크리트의 시인성을 증대시키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기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 포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축저감제 및 섬유보강제에 의한 건조수축을 억제시켜 열에너지에 따른 크랙을 방지하고, 황토성분을 포함시켜서 자외선 및 복사열을 흡수 차단함과 동시에 낮은 채도에 따른 시인성 저감을 보강할 수 있는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 포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시멘트 10~20중량%, 모래 25~38중량%, 골재 41~50중량% 및 물 8~12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합제 조성물 5~8중량부, 수축저감제 0.2~0.8중량부, 섬유 보강제 0.05~0.8중량부, 글라스 비드 1~5중량부, 황토분 0.3~1.5중량부 및 혼화제 0.08~0.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섬유 보강제는, 유기계 폴리프로필렌 섬유(polypropylene ; 이하 'PP'라 함)와 무기계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강섬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강섬유는 표면에 유해한 녹이 없어야 하고 유리섬유는 유리에서 필라멘트 형태로 추출된 것으로서 노즐을 통한 인발로 가닥으로 수집된 것이 바람직하다.
골재는, 평균 입도가 0.6~1.18 mm인 규사일 수 있고, 글라스 비드는, 평균 입도가 1~2 mm이고 굴절률이 1.5~2.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도로 표층을 형성하되, 글라스 비드는 표층의 상면에 분사되어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 포장재의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수축저감제 및 섬유보강제에 의한 건조수축을 억제시켜 열에너지에 따른 크랙을 방지하고, 황토성분을 포함시켜서 자외선 및 복사열을 흡수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재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인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20중량%, 모래 25~38중량%, 골재 41~50중량% 및 물 8~12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합제 조성물 5~8중량부, 수축저감제 0.2~0.8중량부, 섬유 보강제 0.05~0.8중량부, 글라스 비드 1~5중량부, 황토분 0.3~1.5중량부 및 혼화제 0.08~0.2중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황토는 산화철을 함유한 규토와 흙으로 이루어진 자연 상태의 흙으로서 채취되는 지역에 따라 붉거나 누런 색상을 띠는 것이 일반적이다.
섬유 보강제는, 유기계 폴리프로필렌 섬유(polypropylene ; 이하 'PP'라 함)와 무기계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강섬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강섬유는 표면에 유해한 녹이 없어야 하고 유리섬유는 유리에서 필라멘트 형태로 추출된 것으로서 노즐을 통한 인발로 가닥으로 수집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계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초기에 미세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강섬유나 유리섬유는 균열이 크기가 큰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골재는, 평균 입도가 0.6~1.18 mm인 규사일 수 있고, 글라스 비드는, 평균 입도가 1~2 mm이고 굴절률이 1.5~2.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도로 표층을 형성하되, 글라스 비드는 표층의 상면에 분사되어 경화된 것일 수 있다.
글라스 비드는 고굴절 완벽한 재귀반사능력을 갖고 있는 물질로서 유리구슬이 렌즈작용을 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대하여 초점을 집중시켜 굴절률에 의한 재귀반사를 더욱 강력하고 선명하게 확산반사시킴으로써 뚜렷이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이 포장재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표층상에 분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이 경화되기 전에 분사하며 분사전 다짐과 분사후 다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시멘트 10~20중량%, 모래 25~38중량%, 골재 41~50중량% 및 물 8~12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합제 조성물 5~8중량부, 수축저감제 0.2~0.8중량부, 섬유 보강제 0.05~0.8중량부, 글라스 비드 1~5중량부, 황토분 0.3~1.5중량부 및 혼화제 0.08~0.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제는, 유기계 폴리프로필렌 섬유(polypropylene ; 이하 'PP'라 함)와 무기계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평균 입도가 0.6~1.18 mm인 규사이고,
    상기 글라스 비드는, 평균 입도가 1~2 mm이고 굴절률이 1.5~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하나의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설하여 도로 표층을 형성하되,
    상기 글라스 비드는 표층의 상면에 분사되어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재.
KR1020190115869A 2019-09-20 2019-09-20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KR20210034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869A KR20210034218A (ko) 2019-09-20 2019-09-20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869A KR20210034218A (ko) 2019-09-20 2019-09-20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218A true KR20210034218A (ko) 2021-03-30

Family

ID=7526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869A KR20210034218A (ko) 2019-09-20 2019-09-20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2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75A1 (ko)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외관 손상 방지를 위한 셀 안착 지그, 셀 정렬 장치 및 셀 안착 방법
KR102515261B1 (ko) 2022-07-08 2023-03-29 서무창 도막형 친환경 바닥재
KR102526502B1 (ko) 2022-07-08 2023-04-27 서무창 시인성 확보형 친환경 포장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75A1 (ko)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외관 손상 방지를 위한 셀 안착 지그, 셀 정렬 장치 및 셀 안착 방법
KR102515261B1 (ko) 2022-07-08 2023-03-29 서무창 도막형 친환경 바닥재
KR102526502B1 (ko) 2022-07-08 2023-04-27 서무창 시인성 확보형 친환경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4218A (ko) 내화성 및 시인성이 보강된 황토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재
Wang et al. Cool pavements for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A synthetic review
Mohajerani et al.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ts causes, and mitigation, with reference to the thermal properties of asphalt concrete
Jamshidi et al. State-of-the-art of interlocking concrete block pavement technology in Japan as a post-modern pavement
Bonicelli et al. Improving pervious concrete pavements for achieving more sustainable urban roads
CN106277998A (zh) 一种透水性混凝土及其混凝土路面的施工方法
Kappou et al. Cool pavements: State of the art and new technologies
KR100990663B1 (ko) 투수 및 차열 기능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강화된 아스팔트컬러 포장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컬러 무늬 투수 포장재및 그 시공방법
CN215629105U (zh) 一种低噪音抗滑薄层预防性养护沥青路面结构
CN103771765A (zh) 一种抗冰冻沥青混合料及其制备和施工方法
CN106192651A (zh) 一种透水式大孔隙水泥稳定碎石路面基层材料及其制备方法
Taher et al. Comparative study of using flexible and rigid pavements for roads: A review study
CN209555691U (zh) 一种生态环保彩色透水沥青路面
KR100937223B1 (ko) 포졸란 및 숯을 이용한 투수성 복합포장재구조 및 그 시공방법
Liu Asphalt pavement preventive maintenance technology overview
Hein et al. Bases and Subbases for Concrete Pavements:[techbrief]
KR20160025268A (ko) 투보수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류형 식생 주차 블록, 식생 주차 시스템 및 저류형 식생 주차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524739B1 (ko) 친환경 도막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Xin Research application of colored asphalt mixture pavement
CN206189219U (zh) 能够增加隧道内光照反射强度的路面结构
Bujang et al. Pavement material and technology elements in green highway rating systems-A conspectus
RU148798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орожной одежды
Gibbons Pavements and surface materials
KR200437304Y1 (ko) 투수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 블록
Stutz et al. Recycled rubber products in landscaping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