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682A -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682A
KR20210033682A KR1020190115261A KR20190115261A KR20210033682A KR 20210033682 A KR20210033682 A KR 20210033682A KR 1020190115261 A KR1020190115261 A KR 1020190115261A KR 20190115261 A KR20190115261 A KR 20190115261A KR 20210033682 A KR20210033682 A KR 2021003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mart
smart toilet
toil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종섭
김대훈
류제윤
Original Assignee
송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섭 filed Critical 송종섭
Priority to KR102019011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682A/en
Publication of KR2021003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smart toilet based on IoT. In a method of using the smart toilet based on the IoT managed by a central control device,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user′s terminal to confirm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measuring signal strength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genera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user uses the smart toilet, to generate in-use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use the smart toilet to generate unused data; and calculating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of the use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in-use data and the unused dat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toilet.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최근, 스마트 화장실이 많은 공중 화장실에 설치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스마트 화장실은 변기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공중 화장실의 칸별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 여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 화장실은 변기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장실의 칸에 있더라도 센서로 인식되지 않는 곳에 있는 경우, 화장실의 칸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잘못 판단되기도 하였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 화장실은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뿐, 어떤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변기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Recently, smart toilets are being installed in many public toilets. Smart toilets developed so far monitor the use of each compartment in public toilets using sensors installed on the toilet and show whether they are used on external display devices. However, since the existing smart toilet recognizes the user by using the toilet sensor, even if the user is in the toilet compartment, if the user is in a place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sensor, it was erroneously determined that there is no user in the toilet compartment. In addition, the existing smart toilet only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using the toilet, and cannot determine which user is using the toile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more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using the toilet and knowing the user's information.

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016300호, (2007.02.08)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16300, (2007.02.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은, 중앙 통제 장치에 의해서 관리되는 사물인터넷의 기반의 스마트 변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 변기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무선 통신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스마트 변기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변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사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중 데이터 및 상기 미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a method of us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managed by a central control device, comprising: a user's terminal and Check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by wireless communication,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Genera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s terminal,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using the smart toilet, generating data during use, and the user generates the smart toilet And generating unused data when it is determined not to be used, and calculating usage statistics of the user's smart toile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in-use data and the unused data.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내의 상기 스마트 변기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calculating a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에 독거노인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변기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user is identified as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n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monitoring the user's usage pattern of the smart toilet.

일부 실시예에서, 소정의 공간 내에 상기 스마트 변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각각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각각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are in a predetermined space, calculating a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by using usage statistic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is further includ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에 장애인 및 환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user is identified as at least one of a disabled person and a patient on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monitoring the safety of the user.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변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further comprising analyzing the bowel habits of the user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변기는 웨이크 업(Wake Up)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없는 경우 상기 스마트 변기는 슬립(Sleep) 모드로 전환된다.In some embodiments,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in a predetermined space is checked, and when the user is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toilet wakes up. ) Mode, and when the user is not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toilet is switched to a sleep mod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연락처, 나이, 가족 관계, 장애 유무 및 질병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name, gender, contact information, age, family relationship, presence or absence of a disability, and presence or absence of a disease.

일부 실시예에서, 소정의 공간 내에 상기 스마트 변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는 서로 무선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각각의 상기 사용중 데이터 및 상기 미사용 데이터를 서로 공유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wireles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hare the in-use data and the unused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with each oth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은, 공중 화장실 내 배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데이터와 소정의 비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에 대한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사용량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량이 상기 비교 데이터 상의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중 사용량 임계치를 초과하는 스마트 변기를 상기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 상에 추가한다.The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collecting usage data from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arranged in a public toilet, analyzing the usage data, And generating maintenance schedule data for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based on the use data and predetermined comparison data, wherein the use data includes the amount of us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and the maintenance In the step of generating schedule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age exceeds a threshold value in the comparison data, and a smart toilet seat exceeding a usage threshold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is added to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제1 단말장치로 청소 일정 및 청소 대상 변기에 대한 청소 알림을 제공한다.In some embodiments, a cleaning schedule and a cleaning notification for a toilet to be cleaned are provided to a predetermined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최대 사용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2 단말장치로 비상 알림을 제공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use reference time has been exceeded based on the use data, an emergency notification is provided to a predetermined second terminal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최대 유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3 단말장치로 보수 알림을 제공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idle reference time has been exceeded based on the use data, a maintenance notification is provided to a predetermined third terminal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이용 중인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상기 사용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ransmitting some of the usage data to the user's smart devic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being used by the user, adding the usage data to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It further includes step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변기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oilet recogniz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calculates the usage statistics of the user's smart toilet.

중앙 통제 장치는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공중 화장실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통제 장치는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공중 화장실의 칸별 고장 및 사용 빈도를 모니터링하고, 청소 및 보수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can check the congestion level of public toilets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can monitor the breakdown and use frequency of each cell of a public toilet, and optimize clean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by using usage statistics.

또한, 중앙 통제 장치는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독거노인, 장애인 및 환자 등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 변기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별 관리해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may monitor the smart toilet usage pattern of users registered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disabled people, and patients, using statistics on the use of smart toilets, and specially manage the corresponding user.

또한, 중앙 통제 장치는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변 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device may analyze the bowel habits of the user by using statistics on the use of the smart toilet and provide it to the user.

스마트 변기는 소정의 공간 내에 사용자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웨이크 업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스마트 변기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The smart toilet is converted to a wake-up mode or a sleep mode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toile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스마트 변기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스마트 변기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사용자의 배변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복수의 스마트 변기가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사용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가 추가된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calculating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is added.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monitoring a usage pattern of a smart toilet is added.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is added.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monitoring the safety of a user is added.
7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analyzing a user's bowel habits is added.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to share in-use data and unused data with each other.
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oT-based smart toilets arranged in a public toilet in which a step of transmitting some of the usage data to a user's smart device and adding the usage data to the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are added Is a flow chart of.
1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고,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mart toilet 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of the user 20 and transmits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단말기 및 중앙 통제 장치(30)와 무선 통신하고,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스마트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스마트 변기(10)는 일반적인 변기에 스마트 제어부(11)가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스마트 변기(10)는 좌변기, 소변기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20)는 스마트 변기(10)를 이용하여 배변, 배뇨 등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The smart toilet 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of the user 20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collects the usage data of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and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 And a smart control unit 11 for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The smart toilet 10 may be in a form in which the smart control unit 11 is installed in a general toilet. The smart toilet 10 may be in the form of a left toilet or a ur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20 refers to a person who uses the smart toilet 10 to defecate or urinate.

중앙 통제 장치(30)는 스마트 변기(10)의 스마트 제어부(11)로부터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 정보 및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 사용 패턴, 사용 빈도, 사용자(20)의 안전 모니터링, 사용자(20)의 배변 습관, 사용 데이터 분석, 관리 일정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 저장 및 관리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복수의 화장실 별로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화장실의 스마트 변기(10)를 관리하거나, 복수의 화장실의 스마트 변기(10)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receives usage statistics information and usage data of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from the smart control unit 11 of the smart toilet 10, and based on this, the smart toilet 10 It creates, stores, and manages data related to congestion, usage patterns, frequency of use, safety monitoring of the user 20, bowel habits of the user 20, analysis of usage data, and management schedule.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may be install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toilets to manage the smart toilet 10 of each toilet 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smart toilet 10 of a plurality of toilets.

사용자(20)는 스마트 변기(10)와 사용자(20)의 단말기가 무선 통신하여, 스마트 변기(10)가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 이용 동의를 사전에 한다. 개인 정보 이용 동의는 중앙 통제 장치(30)로 전송되고, 중앙 통제 장치(30)는 개인 정보 이용 동의를 한 사용자(20)의 단말기를 스마트 변기(10)와 무선 통신될 수 있는 단말기로 분류하고,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변기(10)와 공유한다.The user 20 agrees to use personal information in advance so that the smart toilet 10 and the terminal of the user 20 communicate wirelessly so that the smart toilet 10 can use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20 terminal. The consent to use pers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classifies the terminal of the user 20 who has consented to use personal information as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oilet 10. , Share related information with the smart toilet 10 in real tim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10)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01),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2),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3) 및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S1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IoT-based control method of the smart toilet 10, the step of check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S101), generating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Step S102, generating data in use and unused data (S103), and calculating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S104).

단계 S101에서, 사용자(20)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여,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확인된다.In step S101,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f the user 20,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is confirmed.

사용자(2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20)의 이름, 성별, 연락처, 나이, 가족 관계, 장애 유무 및 질병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20)를 식별한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20's name, gender, contact information, age, family relationship, the presence of a dis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disease. The smart toilet 10 identifies the user 20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는 스마트 변기(10)의 배치 장소 및 목적에 상응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는 공중 화장실의 크기에 상응하여 설정되고, 가정집에 배치된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는 가정집의 크기에 상응하여 설정된다. 운영자는 스마트 변기(10)의 스마트 제어부(11)의 소정의 거리 정보를 배치 장소 및 목적에 상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운영자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10)의 제어 시스템(이하,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람을 의미한다.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is se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purpose of the smart toilet 10. For exampl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disposed in a public toilet is set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ublic toilet,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disposed in a household house is set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a household. The operator may set predeterm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smart control unit 11 of the smart toilet 10 according to the placement location and purpose. An operator refers to a person who operates a control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of the IoT-based smart toilet 10.

단계 S102에서, 사용자(20)의 단말기의 무선 통신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가 생성된다.In step S102,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is generated.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따라 사용자(20)와 스마트 변기(10)와의 거리를 판단한다. 스마트 변기(10)는 판단된 사용자(20)와 스마트 변기(1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위치 정보는 판단된 거리일 수 있고,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에 접근하는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 정보는 미터(Meter)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위치 정보는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에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정도 또는 멀어지는 정도인 근접 정보일 수 있다.The smart toilet 1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20 and the smart toilet 10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a signal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terminal of the user 20. The smart toilet 10 generates user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user 20 and the smart toilet 10.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may be a determined distance, or a degree to which the user 20 approaches the smart toilet 10. For example,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may be meter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ximity information indicating a degree to which the user 20 is relatively close to or far from the smart toilet 10.

단계 S103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중 데이터가 생성되고,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사용 데이터가 생성된다.In step S10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20 uses the smart toilet 10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data during use is generated, and the user 20 uses the smart toilet 10 If it is determined not to do so, unused data is generated.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한다.The smart toilet 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20 is using the smart toilet 10 by checking whether the user 2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또는,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미도시)를 활성화시킨다. 압력 센서는 사용자(20)의 몸무게를 센싱하여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적외선 센서는 사용자(20)의 신체 일부를 센싱하여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mart toilet 10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to determine that the user 20 is trying to use the smart toilet 10 when the user 2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20 is using the smart toilet 10 using (not shown). The sensor (not shown) may be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user 2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mart toilet 10 determines that the user 20 intends to use the smart toilet 10 and activates a sensor (not shown). The pressure sensor senses the weight of the user 2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20 is using the smart toilet 10, and the infrared sensor senses a part of the user's body to make the user 20 smar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toilet 10 is in use.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에 사용자(20)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가 소정의 공간 내에 있는 경우 웨이크 업 (Wake Up)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가 소정의 공간 내에 없는 경우 스마트 변기(10)는 슬립(Sleep) 모드로 전환된다. 웨이크 업 모드는 스마트 변기(10)의 전원을 활성화시킨 모드이고, 슬립 모드는 스마트 변기(10)의 전원을 절전시킨 모드이다. 스마트 변기(10)는 소정의 공간 내에 사용자(20)의 존재 여부에 따라 웨이크 업 모드, 슬립 모드로 전환되어, 스마트 변기(10)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The smart toilet 10 checks whether the user 20 exists in a predetermined space us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smart toilet 10 is switched to a wake up mode when the user 20 is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ddition, in the smart toilet 10, when the user 20 is not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toilet 10 is switched to a sleep mode. The wake-up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ower of the smart toilet 10 is activated, and the sleep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ower of the smart toilet 10 is saved. The smart toilet 10 is switched to a wake-up mode or a sleep mo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20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toilet 10.

단계 S104에서,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가 산출된다.In step S104,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are calculated using at least one of in-use data and unused data.

스마트 변기(10)는 시간 별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의 이용 통계를 산출한다. 소정의 기준 시간의 이용 통계는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되고, 스마트 변기(10)의 메모리 상에서 소정의 기준 일 이상인 이용 통계는 자동 삭제되어, 새로운 이용 통계가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smart toilet 10 calculates usage statistics of in-use data and unused data by time. The usage statistics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and usage statistics that are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ay in the memory of the smart toilet 10 are automatically deleted, and the new usage statistics are controlled to be stored and managed. I can.

도 3은 스마트 변기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calculating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is added.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S104) 이후에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S105)가 추가된다.Referring to FIG. 3, after the step of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S104), a step of calculating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smart toilet 10 (S105) is added.

단계 S105에서,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내의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가 산출된다. In step S105,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smart toilet 1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s calculated.

중앙 통제 장치(30)는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내의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를 산출한다.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는 여유, 보통, 혼잡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는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의 개수 중 사용 중인 스마트 변기(10)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calculates the degree of congestion of the smart toilet 1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The degree of congestion of the smart toilet 10 may be classified into marginal, normal, congeste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10 may mean displaying the number of smart toilets 10 in use amo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중앙 통제 장치(30)는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를 사용자(20)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사용자(20)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0)는 사용자(20)의 단말기 상의 공중 화장실 내의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를 확인하여, 특정 공중 화장실이 혼잡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혼잡하지 않은 다른 공중 화장실을 이용할 것을 판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may transmit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10 to the terminal of the user 20. The user 20 can check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10 by using the user's 20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 20 checks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10 in the public toilet on the terminal of the user 2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public toilet is congested, it is determined to use another public toilet that is not congested. can do.

도 4는 스마트 변기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monitoring a usage pattern of a smart toilet is added.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S104) 이후에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06)가 추가된다.Referring to FIG. 4, after the step of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S104), a step of monitoring the usage pattern of the smart toilet 10 (S106) is added.

단계 S106에서,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사용자 식별 정보 상에 독거노인으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패턴이 모니터링된다.In step S106, when the user 20 is classified as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the usage pattern of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is monitored.

사용자(20)는 사용자(20)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독거노인으로 구분된 사용자(20)의 단말기는 스마트 변기(10)에 의해서 특별 관리될 수 있다. The user 20 may registe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by using the terminal of the user 20. The terminal of the user 20 classified as the elderly living alone may be specially managed by the smart toilet 10.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패턴을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하고, 중앙 통제 장치(30)는 외부의 의료 기관의 서버에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패턴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패턴은 사용자(20)의 배변, 배뇨의 시간, 빈도 등일 수 있다. The smart toilet 10 transmits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20's smart toilet 10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transmits the smart toilet of the user 20 to the server of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The usage pattern of the toilet 10 can be transmitted. For example, the user 20's usage pattern of the smart toilet 10 may be the user's 20's bowel movement, the time and frequency of urination, and the like.

또한,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소변으로 간단한 사용자(20)의 건강 진단을 하고, 그 결과를 중앙 통제 장치(30)를 통해 외부의 의료 기관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소변을 이용하여 당뇨 수치를 검출하는 당뇨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20)의 당뇨 수치를 외부의 의료 기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oilet 10 may perform a simple medical examination of the user 20 with the urine of the user 20 and transmit the result to a server of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through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For example, the smart toilet 10 may include a diabetes sensor that detects a diabetes level using urine of the user 20, and may transmit the diabetes level of the user 20 to a server of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

또한, 스마트 변기(10)는 소정의 공간 내의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사용자(20) 단말기의 사용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소정의 공간 내에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사용자(20)가 소정의 공간 내에서 소정의 시간 이상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외부 독거노인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집에 배치된 스마트 변기(10)는 독거노인의 고독사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서버에 신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oilet 10 may transmit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in a predetermined space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in real time.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20 is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2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may transmit it to an external elderly alone management server. For example, the smart toilet 10 disposed in a home may determine whether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is lonesome and report it to an external server.

도 5는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is added.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S104) 이후에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S107)가 추가된다.Referring to FIG. 5, after the step of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S104), a step of calculating the use frequency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S107) is added.

단계 S107에서, 소정의 공간 내에 스마트 변기(1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각각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각각의 사용 빈도가 산출된다.In step S107,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is calculated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중앙 통제 장치(30)는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빈도를 산출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각각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빈도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소정의 기준 이하로 낮은 스마트 변기(10)가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 변기(10)를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의 사고 접수 서버에 관련 내용을 전송한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of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smart toilets 10, and if there is a smart toilet 10 with a relatively low frequency of use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corresponding smart toilet 10 is brok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d the related content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incident reception server.

또는, 중앙 통제 장치(30)는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빈도가 소정의 기준 이상인 경우, 청소 필요라고 판단하고, 사용 빈도가 소정의 기준 이하인 경우 청소 불필요라고 판단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관련 내용을 외부의 외부의 청소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Alternatively,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determines that cleaning is necessary whe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determines that cleaning is unnecessary when the frequency of us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transmits the related content to an external external cleaning management server.

도 6은 사용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monitoring the safety of a user is added.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S104) 이후에 사용자(20)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08)가 추가된다.Referring to FIG. 6, after the step S104 of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a step S108 of monitoring the safety of the user 20 is added.

단계 S108에서,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사용자(20)의 식별 정보 상에 장애인 및 환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20)의 안전이 모니터링된다.In step S108, when the user 20 is classified as at least one of a disabled person and a patient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the safety of the user 20 is monitored.

사용자(20)는 사용자(20)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애인, 환자 등으로 사용자(20)의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장애인, 환자 등으로 구분된 사용자(20)의 단말기는 스마트 변기(10)에 의해서 특별 관리될 수 있다.The user 20 may regis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as a disabled person, a patient, or the like, using the user's 20 terminal. The terminal of the user 20 classified into a disabled person, a patient, etc. may be specially managed by the smart toilet 10.

장애인, 환자 등으로 구분된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소정의 시간 이상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안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 내용을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하고, 중앙 통제 장치(30)는 관련 내용을 외부의 의료 기관 서버에 전송한다.When a user 20 classified into a disabled person, a patient, etc. uses the smart toilet 1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smart toilet 1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afety of the user 20, and the related contents are centralized. It transmits to the control device 30,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transmits the related content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server.

또는,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의 위치 정보 상에는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스마트 변기(10)의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센서(미도시)에는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20)의 안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관련 내용을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하고, 중앙 통제 장치(30)는 관련 내용을 외부의 의료 기관 서버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는 중 스마트 변기(10) 옆으로 쓰러지는 경우, 사용자(20)의 위치 정보 상에는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스마트 변기(10)의 센서(미도시)는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소정의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스마트 변기(10)는 관련 내용을 중앙 통제 장치(30)에 전송하고, 중앙 통제 장치(30)는 관련 내용을 외부의 의료 기관 서버에 전송한다.Alternatively, in the smart toilet 10,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20 is using the smart toilet 10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but a sensor such as a pressur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of the smart toilet 10 (not shown) Cit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20 is not using the smart toilet 1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afety of the user 20, and the related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transmits the related content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server. For example, if the user 20 falls to the side of the smart toilet 10 while using the smart toilet 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indicates that the user 20 uses the smart toilet 10. However, the sensor (not shown) of the smart toilet 1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20 does not use the smart toilet 10. When such a situation persi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smart toilet 10 transmits the related content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transmits the related content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server.

도 7은 사용자의 배변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가 추가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which a step of analyzing a user's bowel habits is added.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S104) 이후에 사용자(20)의 배변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S109)가 추가된다.Referring to FIG. 7, after the step S104 of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a step S109 of analyzing the bowel habits of the user 20 is added.

단계 S109에서,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20)의 배변 습관이 분석된다.In step S109,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the bowel habits of the user 20 are analyzed.

중앙 통제 장치(30)는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전송받은 이용 통계를 분석하여, 사용자(20)의 배변 또는 배뇨의 습관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20)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20)는 사용자(20)의 단말기로 자신의 배변 또는 배뇨의 습관을 확인하면서, 변비 등의 증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may analyze the usage statistics transmitted from the smart toilet 10, analyze the habit of bowel movement or urination of the user 20, and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terminal of the user 20. The user 2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ymptom such as constipation while checking his or her bowel movement or urination habit with the user's 20 terminal.

도 8은 복수의 스마트 변기가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to share in-use data and unused data with each other.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를 서로 공유한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share in-use data and unused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20 uses the smart toilet 10.

소정의 공간 내에 스마트 변기(1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스마트 변기(10)는 서로 무선 통신하고,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각각의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를 서로 공유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마트 변기(10)가 있는 공중 화장실에 사용자(20)가 들어온 경우, 모든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를 인식한다. 그 후에 사용자(20)가 하나의 스마트 변기(10)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경우, 이용되는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중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중 데이터를 다른 스마트 변기(10)에 전송한다. 사용중 데이터를 전송받은 스마트 변기(10)는 사용자(20)가 다른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중 데이터를 전송받은 스마트 변기(10)는 미사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절전 모드로 전원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wireles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hare in-use and unused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user 20 enters a public toilet with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all the smart toilets 10 recognize the user 20. After that, when the user 20 selects and uses one smart toilet 10, the used smart toilet 10 generates data during use and transmits the data during use to another smart toilet 10. The smart toilet 10 that has received the data during use determines that the user 20 is using another smart toilet 10. Accordingly, the smart toilet 10 receiving data during use can generate unused data and maintain power in a power saving mod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9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200)은, 식별 정보 확인부(201), 위치 정보 생성부(202), 사용 여부 판단부(203), 이용 통계 산출부(204), 혼잡도 산출부(205), 사용 패턴 모니터링부(206), 사용 빈도 산출부(207), 안전 모니터링부(208) 및 배변 습관 분석부(20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system 200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201,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2, a usage determination unit 203, and a usage statistics calculation unit 204. ), a congestion degree calculation unit 205, a use pattern monitoring unit 206, a use frequency calculation unit 207, a safety monitoring unit 208, and a bowel habit analysis unit 209.

도 9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200)의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의 구성 요소에 상응한다. 이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of the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system 200 of FIG. 9 correspond to components of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function 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식별 정보 확인부(201)는 사용자(20)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여,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201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of the user 20 and check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user 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위치 정보 생성부(202)는 사용자(20)의 단말기의 무선 통신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20)의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2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user's 20 terminal, and generates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20's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10.

사용 여부 판단부(203)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중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사용 데이터를 생성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20 is using the smart toilet 1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usage determination unit 203 generates data during use, and the user 20 generates the smart toilet ( 10) If it is determined not to be used, unused data is generated.

이용 통계 산출부(204)는 사용중 데이터 및 미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산출한다.The usage statistics calculation unit 204 calculates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by using at least one of in-use data and unused data.

혼잡도 산출부(205)는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내의 스마트 변기(10)의 혼잡도를 산출한다.The congestion level calculation unit 205 calculates the congestion level of the smart toilet 1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사용 패턴 모니터링부(206)는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사용자(20)의 식별 정보 상에 독거노인으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20)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한다.The usage pattern monitoring unit 206 uses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and when the user 20 is classified as an elderly living alone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0, the smart toilet 10 of the user 20 ) To monitor usage patterns.

사용 빈도 산출부(207)는 소정의 공간 내에 스마트 변기(1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각각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각각의 사용 빈도를 산출한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frequency of use calculation unit 207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do.

안전 모니터링부(208)는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20)가 사용자(20)의 식별 정보 상에 장애인 및 환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20)의 안전을 모니터링한다.The safety monitoring unit 208 uses statistics on the use of the smart toilet 10 to determine the safety of the user 20 when the user 20 is classified as at least one of a disabled person and a patient on the user's 20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nitor.

배변 습관 분석부(209)는 스마트 변기(10)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20)의 배변 습관을 분석한다.The bowel habit analysis unit 209 analyzes the bowel habit of the user 20 by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10.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10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의 제어 방법, 복수의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301),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302) 및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collecting usage data from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S301), analyzing usage data (S302) and generating maintenance schedule data (S303).

단계 S301에서, 공중 화장실 내 배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사용 데이터가 수집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공중 화장실 내 배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사용 데이터는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의 사용량으로서, 시간 별 사용 또는 미사용의 데이터이다. In step S301, usage data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arranged in the public toilet.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receives usage data from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arranged in a public toilet. The usage data is the amount of usag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which is used or unused by time.

단계 S302에서, 사용 데이터가 분석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사용 데이터를 분석한다. 사용 데이터를 분석한다는 것은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각각의 시간대 별 사용량을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In step S302, the usage data is analyzed. The central control unit 30 analyzes the usage data. Analyzing the usage data means organizing the us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for each time period.

단계 S303에서, 사용 데이터와 소정의 비교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에 대한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가 생성된다. 비교 데이터는 스마트 변기(10)가 아무런 문제 없이 평균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사용량의 범위를 의미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시간대 별 사용량이 비교 데이터 상의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중 사용량 임계치를 초과하는 스마트 변기(10)를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 상에 추가한다.In step S303, maintenance schedule data for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are generated based on the usage data and predetermined comparison data. The comparative data refers to a range of usage that the smart toilet 10 can be used on an average without any problem.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determines whether the usage for each time period exceeds the threshold value on the comparison data, and adds the smart toilet 10 exceeding the usage threshold among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on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중앙 통제 장치(30)는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제1 단말장치로 청소 일정 및 청소 대상 변기에 대한 청소 알림을 제공한다. 제1 단말장치는 공중 화장실의 청소를 하는 업체의 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provides a cleaning schedule and a cleaning notification for a toilet to be cleaned to a predetermined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The first terminal device may be a terminal device of a company that cleans public toile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중앙 통제 장치(30)는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스마트 변기(10)가 최대 사용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2 단말장치로 비상 알림을 제공한다. 사용자(20)가 스마트 변기(10)가 있는 칸에서 사고를 당하거나 갑작스럽게 쓰러져서 최대 사용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중앙 통제 장치(30)는 제2 단말장치로 비상 알림을 제공한다. 제2 단말장치는 안전신고센터의 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provides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a predetermined second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toilet 10 has exceeded the maximum usage reference time based on the usage data. When the user 20 has an accident or suddenly collapses in the compartment of the smart toilet 10 and exceeds the maximum usage reference time,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provides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device. The second terminal device may be a terminal device of the safety report ce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중앙 통제 장치(30)는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스마트 변기(10)가 최대 유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3 단말장치로 보수 알림을 제공한다. 공중 화장실 내의 스마트 변기(10)가 고장나는 경우 사용자(20)는 해당 스마트 변기(10)를 사용하지 않게 되고, 해당 스마트 변기(10)는 최대 유휴 기준시간을 초과하게 된다. 중앙 통제 장치(30)는 스마트 변기(10)가 최대 유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스마트 변기(10)를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제3 단말장치로 보수 알림을 제공한다. 제3 단말장치는 스마트 변기(10)의 A/S 업체의 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toilet 10 has exceeded the maximum idle reference time based on the usage data,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provides a maintenance notification to a predetermined third terminal device. When the smart toilet 10 in the public toilet breaks, the user 20 does not use the smart toilet 10, and the smart toilet 10 exceeds the maximum idle referenc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toilet 10 has exceeded the maximum idle reference time, the central control device 30 determines that the smart toilet 10 has failed and provides a maintenance notification to a predetermined third terminal device. The third terminal device may be a terminal device of an A/S company of the smart toilet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사용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가 추가된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11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oT-based smart toilets arranged in a public toilet in which a step of transmitting some of the usage data to a user's smart device and adding the usage data to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are added Is a flow chart of.

도 11을 참조하면,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3) 이후에 사용자(20)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S304)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사용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S3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after the step of generating maintenance schedule data (S303), the step of transmitting some of the use data to the smart device of the user 20 (S304) and the use data to the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adding (S305).

단계 S304에서, 사용자(20)가 이용중인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사용자(20)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용 데이터 중 일부가 전송된다.In step S304, some of the us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of the user 20 that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that the user 20 is using.

단계 S305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사용 데이터가 추가된다.In step S305, usage data is added to the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도 12는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도 12를 참조하면,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400)은, 사용 데이터 수집부(401), 사용 데이터 분석부(402), 관리 일정 생성부(403), 사용 데이터 전송부(404) 및 누적 데이터 저장부(4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IoT-based control system 400 for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includes a usage data collection unit 401, a usage data analysis unit 402, and a management schedule generation unit 403. , A usage data transmission unit 404 and an accumulated data storage unit 405.

도 12의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400)의 구성 요소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의 구성 요소에 상응한다. 이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of the IoT-based control system 400 for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arranged in the public toilet of FIG. 12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of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function 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사용 데이터 수집부(401)는 공중 화장실 내 배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한다.The usage data collection unit 401 collects usage data from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arranged in a public toilet.

사용 데이터 분석부(402)는 사용 데이터를 분석한다.The usage data analysis unit 402 analyzes the usage data.

관리 일정 생성부(403)는 사용 데이터와 소정의 비교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스마트 변기(10)에 대한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management schedule generator 403 generates maintenance schedule data for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based on the usage data and predetermined comparison data.

사용 데이터 전송부(404)는 사용자(20)가 이용중인 복수의 스마트 변기(10) 중 하나와 연결되는 사용자(20)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사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한다.The usage data transmission unit 404 transmits some of the usage data to the smart device of the user 20 that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10 that the user 20 is using.

누적 데이터 저장부(405)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사용 데이터를 추가한다.The accumulated data storage unit 405 adds usage data to the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o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200 :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
400 : 공중 화장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시스템
200: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system
400: Internet-based control system for multiple smart toilets arranged in public toilets

Claims (15)

중앙 통제 장치에 의해서 관리되는 사물인터넷의 기반의 스마트 변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 변기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무선 통신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상기 스마트 변기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변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사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중 데이터 및 상기 미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In the method of using a smart toile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managed by a central control device,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terminal, check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user's terminal, and genera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mart toilet;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using the smart toilet, data in use is genera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using the smart toilet, unused data is generated. The step of doing; An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of the use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in-use data and the unused data,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내의 상기 스마트 변기의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a congestion degree of the smart toile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에 독거노인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마트 변기의 사용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sing the usag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when the user is identified as an elderly living alone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nitoring a usage pattern of the smart toilet by the user,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 내에 상기 스마트 변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각각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각각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in a predetermined spa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by using usage statistic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에 장애인 및 환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sing the us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when the user is identified as at least one of a disabled person and a patient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nitoring the safety of the user,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변기의 이용 통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변 습관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sing the use statistics of the smart toile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nalyzing the bowel habits of the user,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에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변기는 웨이크 업(Wake Up)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없는 경우 상기 스마트 변기는 슬립(Sleep) 모드로 전환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in a predetermined space is checked, and when the user is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toilet is switched to a wake-up mode. , When the user is not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smart toilet is switched to a sleep mod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연락처, 나이, 가족 관계, 장애 유무 및 질병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name, gender, contact information, age, family relationship, presence or absence of a disability, and presence or absence of a diseas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 항에 있어서,
소정의 공간 내에 상기 스마트 변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는 서로 무선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각각의 상기 사용중 데이터 및 상기 미사용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wireles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hare the in-use data and the unused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with each other,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공중 화장실 내 배치된 복수의 스마트 변기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데이터와 소정의 비교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에 대한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의 사용량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량이 상기 비교 데이터 상의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중 사용량 임계치를 초과하는 스마트 변기를 상기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 상에 추가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Collecting usage data from a plurality of smart toilets disposed in a public toilet;
Analyzing the usage data; And
Generating maintenance schedule data for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 seats based on the usage data and predetermined comparison data,
The usage data includes usag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Generating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Determining whether the usage exceeds a threshold value on the comparison data, and adding a smart toilet that exceeds a usage threshold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관리 일정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제1 단말장치로 청소 일정 및 청소 대상 변기에 대한 청소 알림을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Providing a cleaning schedule and a cleaning notification for a toilet to be cleaned to a predetermined first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maintenance schedule data,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최대 사용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2 단말장치로 비상 알림을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a predetermined second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use reference time has been exceeded based on the use data,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최대 유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제3 단말장치로 보수 알림을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Providing a maintenance notification to a predetermined third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idle reference time has been exceeded based on the use data,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제10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 중인 상기 복수의 스마트 변기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누적 데이터에 상기 사용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ransmitting some of the usage data to the user's smart devic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mart toilets being used by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the usage data to the accumulated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smart devic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변기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IoT-based smart toile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KR1020190115261A 2019-09-19 2019-09-19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KR202100336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61A KR20210033682A (en) 2019-09-19 2019-09-19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61A KR20210033682A (en) 2019-09-19 2019-09-19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82A true KR20210033682A (en) 2021-03-29

Family

ID=7525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261A KR20210033682A (en) 2019-09-19 2019-09-19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68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49A (en) * 2021-10-13 2023-04-20 (주) 아이젠 Bidet apparatus for performing pairing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of peripheral user terminal, server,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300A (en)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케이티 health care apparatus using toilet stoo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300A (en)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케이티 health care apparatus using toilet stool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49A (en) * 2021-10-13 2023-04-20 (주) 아이젠 Bidet apparatus for performing pairing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of peripheral user terminal, server,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5409C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resident is at home or away
CN104582562B (en) The interconnection system pati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llectual monitoring service centered on patient are provided
US20100141397A1 (en) System for activity recognition
KR20210136056A (en) Internet of Things (IOT) Solutions for Incontinence Management
KR10259284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JP3562626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biological examination apparatus of the system
EP1977358A1 (en) Rul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JP7274784B2 (en) Gateway-based situation monitoring system
JP6273944B2 (en) Status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US11712186B2 (en) Incontinence detection with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JP2016028309A (en) Remote health care system
KR20190086112A (en) Smart care system having real time diagnosis function
KR20210033682A (en)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oilet based the internet of things
JP3591348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7276961B2 (en) Excrement analyzer, analysis system, server device, and program
JP7433055B2 (en) Judgment system
JP2001216585A (en) Abnormal behavior judging system
KR101659939B1 (en) System for managing object for care with dual parameter
CN112954597B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for nursing care
KR20200116241A (en) Smart care system
CN114242248A (en) Health management system
JP4022890B2 (en) Life response judgment device
JP2001195678A (en) Life management support system for aged person and handicapped person
CN114049928A (en) Health assessment method, health assessment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9464158A (en) A kind of physiological detection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