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398A -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398A
KR20210033398A KR1020200008050A KR20200008050A KR20210033398A KR 20210033398 A KR20210033398 A KR 20210033398A KR 1020200008050 A KR1020200008050 A KR 1020200008050A KR 20200008050 A KR20200008050 A KR 20200008050A KR 20210033398 A KR20210033398 A KR 2021003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interior
subject image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하리
Original Assignee
기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하리 filed Critical 기하리
Publication of KR2021003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확한 측량과 측량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단한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를 판매하여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를 직접 재단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도구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다수의 인테리어 자재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자재 선택부;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를 인식하고, 상기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측량정보를 생성하는 피사체 측량부;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측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자재재단정보를 생성하는 자재재단정보 생성부;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 및 상기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자재재단정보에 따라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처리를 위한 자재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SYSTEM FOR SELLING CUSTOMIZED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기술이 발달하고, 새로운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또한 오래된 건축물이 늘어나면서, 건축물의 소유주들이 각각의 개성에 맞는 인테리어를 디자인하여 연출하고 있다.
이러한 인테리어 공사는 복잡하고, 다양한 추가요소와, 변경사항이 있을 뿐 아니라, 인테리어 공사에 필요한 총 소요비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시공자가 인테리어 공사를 하고자 하는 장소에 가서 직접 현장을 검토하고, 각각의 공사에 따른 공사내역과 비용을 산출해야 한다.
또한, 최근에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제로 실생활에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사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특정 물건의 구입을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견적시스템이 구비되어, 다양한 품목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를 통한 인테리어 자재 구입은 소비자가 시공할 공간에 필요한 제품의 수량을 결정한 후 구매하는 경로를 거치게 된다.
이때, 인테리어 자재 판매자는 시공할 장소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는 공간의 면적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인테리어 재료를 공간에 맞게 재단하여 판매할 수가 없다.
또한, 고객이 직접 면적을 측량하여 알려준다고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측량 시 생기는 오차로 인해 하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4536호(등록일자: 2017년05월02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확한 측량과 측량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단한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를 판매하여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를 직접 재단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도구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다수의 인테리어 자재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자재 선택부;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를 인식하고, 상기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측량정보를 생성하는 피사체 측량부;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측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자재재단정보를 생성하는 자재재단정보 생성부;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 및 상기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자재재단정보에 따라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처리를 위한 자재 결제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사체 측량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중 선과, 해당 선들을 잇는 연결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선과 연결점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를 추출하는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픽셀에 대한 길이환산변수에 따라 상기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하는 피사체 실면적 계산부; 및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정보,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정보, 및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전체 실면적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정보를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자재재단정보 생성부로 전송하는 측량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정보 생성부는,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의 종류,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와 전체 실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각 섹터 별로 인테리어 자재의 균일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재단을 통해 블록화되는 인테리어 자재의 개수와 크기를 계산하여 재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로 인테리어 시공 시 구매자에게 시공가이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공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공 가이드부는, 인테리어 자재 별 시공가이드영상을 저장하는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하여 상기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를 통해 제공되는 시공가이드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시공가이드 링크정보를 제공하는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해당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상기 시공가이드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추가 구매를 위한 자재 추가 구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재 추가 구매부는, 구매자의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구매이력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이력정보 관리부; 블록단위로 이루어진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추가구매 요청을 접수하되, 추가로 구매할 인테리어 자재의 수량정보를 입력 받아 추가구매를 접수하는 추가구매 접수부;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상기 추가구매 접수부에 추가구매를 접수하기 위한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상기 추가구매 링크정보 선택 시 상기 구매이력정보를 상기 추가구매 접수부로 전달하여 추가구매 접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추가구매 링크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해당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상기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추가구매 링크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확한 측량과 측량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단한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를 판매하여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를 직접 재단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도구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측량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가이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추가 구매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피사체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실면적 계산부를 통해 제공되는 측량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정보 전송부를 통해 측량정보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가이드부를 통해 제공되는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추가 구매부를 통해 제공되는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측량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가이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추가 구매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촬영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피사체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실면적 계산부를 통해 제공되는 측량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정보 전송부를 통해 측량정보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가이드부를 통해 제공되는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재 추가 구매부를 통해 제공되는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100)은 자재 선택부(110), 피사체 측량부(120), 자재재단정보 생성부(130) 및 자재 결제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더불어,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100)은 시공 가이드부(150) 및 자재 추가 구매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휴대통신단말(10)과 서버(30)에 설치되며, 휴대통신단말(10)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은 인테리어 구매 전용 어플리케이션(20)의 형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자재 선택부(110), 피사체 측량부(120), 자재 결제 처리부(140), 시공 가이드부(150) 및 자재 추가 구매부(160)는 어플리케이션(20) 형태로 구현되며, 자재재단정보 생성부(130), 자재 결제 처리부(140), 시공 가이드부(150) 및 자재 추가 구매부(160)는 서버(30)에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어플리케이션(20)과 서버(30) 사이에서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20)이 설치되는 휴대통신단말(10)은 기본적으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통신단말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뿐만 아니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일반 P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통신단말(10)과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자재 선택부(110)는, 휴대통신단말(10)에 설치되고, 다수의 인테리어 자재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재단이 어려운 타일, 석재, 목재 등과 같은 인테리어 자재를 판매하기 위한 상품을 메인으로 하며, 기타 다양한 인테리어 자재와 시공을 위한 상품들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인테리어 자재에 따른 적용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제 시공이 이루어진 공간에 각각의 자재가 잘 매칭이 되는지를 확인해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정보는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측량부(120)는, 휴대통신단말(10)에 설치되고, 휴대통신단말(1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나 모양을 인식하고,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하여 피사체 이미지의 측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피사체 이미지 측량정보에는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나 모양정보, 실면적 정보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자재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사체 측량부(120)는 이미지 획득부(121),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122), 파사체 실면적 계산부(123) 및 측량정보 전송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부(121)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122)는, 이미지 획득부(121)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중 선과, 해당 선들을 잇는 연결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선과 연결점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전체 배경으로부터 분리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 내 픽셀의 명암 값을 이용해 라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선, 즉 실내 공간의 모서리 부분을 인식하고, 각 모서리 부분이 이어지는 연결점까지 인식하여 이들이 이루는 섹터를 형성할 수 있다. 해당 이미지 상에서 형성될 수 있는 섹터들을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이들 중 구매자가 인테리어 시공이 이루어진 면에 대한 섹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제외한 다른 영역들은 이미지의 배경으로서 인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섹터는 피사체 이미지로서 선택되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파사체 실면적 계산부(123)는,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픽셀에 대한 길이환산변수에 따라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피사체에 대한 실면적 계산 방법은 종래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0239호(공개일자: 2011년03월23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피사체의 면적 측정 방법에 따른 프로세스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 실면적 계산부(1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량정보 전송부(124)는, 자재 선택부(110)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정보,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정보, 및 피사체 이미지의 전체 실면적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정보를 휴대통신단말(20)을 통해 자재재단정보 생성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재재단정보 생성부(130)는, 서버(30)에 설치되고, 측량정보 전송부(124)로부터 수신된 측량정보(인테리어 자재종류정보,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정보, 및 피사체 이미지의 전체 실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자재 선택부(131)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자재재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재재단정보는 구매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자재와 피사체의 모양 및 실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자재재단정보 생성부(130)는 자재 선택부(110)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의 종류,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와 전체 실면적에 기초하여 피사체 이미지의 각 섹터 별로 인테리어 자재의 균일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재단을 통해 블록화되는 인테리어 자재의 개수와 크기를 계산하여 재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재단정보 생성부(130)는 인테리어 자재가 타일일 경우, 피사체 이미지(시공 대상 영역)가 일반적인 사각형 형태가 아닌 다각형일 경우 사각형 단위의 영역으로 나눈 섹터 A와 B로 구분하고, 각 섹터 별로 타일이 자투리 없이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사이즈와 재단개수를 계산하여 추후 재단이 용이하도록 재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목재나 타일의 경우에도 인테리어 시공을 실시한 대상 면의 영역을 섹터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섹터에 맞는 사이즈와 개수로 정확한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재단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140)는, 휴대통신단말(10) 및 서버(30)에 설치되고, 자재재단정보에 따라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자재의 추가 구매에 대한 결제 처리도 가능하다. 이때, 결제 비용은 인테리어 자재 비용, 재단 비용, 배송 비용 등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산출한 후 구매자가 각 항목 별 결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공 가이드부(150)는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로 인테리어 시공 시 구매자에게 시공가이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공 가이드부(150)는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151),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제공부(152) 및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전송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151)는 인테리어 자재 별 시공가이드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 목재, 석재 별 인테리어 마감재를 어떻게 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세 방법이 영상 또는 이미지로 제작된 다양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구매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자재의 종류와 시공 위치에 따른 적절한 영상이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제공부(152)는, 자재 선택부(110)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하여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151)를 통해 제공되는 시공가이드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시공가이드 링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단데이터에 포함된 인테리어 자재의 식별번호, 시공 영역에 대한 정보(시공 면(바닥, 벽면 섹터 정보)를 바탕으로 이와 매칭되는 시공가이드 영상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전송부(153)는 자재 결제 처리부(140)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해당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10)로 시공가이드 링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제공부(152)를 통해 추출된 시공가이드 영상에 대한 링크정보를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10)로 전송하여 시공 시 보다 쉽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재 추가 구매부(160)는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추가 구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매이력정보 관리부(161), 추가구매 접수부(162), 추가구매 링크정보 제공부(163) 및 추가구매 링크정보 전송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이력정보 관리부(161)는 구매자의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구매이력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좀 저 구체적으로, 구매자 별 자재재단정보와 재단데이터를 구매 날짜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추가구매 접수부(162)는, 블록단위로 이루어진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추가구매 요청을 접수하되, 추가로 구매할 인테리어 자재의 수량정보를 입력 받아 추가구매를 접수할 수 있다. 이때, 시공 섹터 별로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의 사이즈나 무늬 등이 상이할 경우, 구매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가 추가로 구매할 자재를 쉽게 선택하여 추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시공 중 도는 시공 이후 인테리어 자재의 파손이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보다 쉽게 어떠한 부분에 어떠한 자재가 필요한지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가구매 링크정보 제공부(163)는, 자재 결제 처리부(140)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추가구매 접수부(162)에 추가구매를 접수하기 위한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미리 저장된 구매이력정보를 추가구매 접수부(162)로 전달하여 추가구매 접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매자가 인테리어 자재가 부분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추가로 구매할 경우, 헤매지 않고 링크를 통해 추가 구매 경로를 제공하여 보다 쉽게 추가 구매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추가구매 링크정보 전송부(164)는, 자재 결제 처리부(140)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해당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10)로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구매 후 배송이 완료되면, 배송 완료 시점에서 추가구매 링크를 문자 메시지나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홍보 또는 광고 컨텐츠를 함께 보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110: 자재 선택부
120: 피사체 측량부
121: 이미지 획득부
122: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
123: 피사체 실면적 계산부
124: 측량정보 전송부
130: 자재재단정보 생성부
140: 자재 결제 처리부
150: 시공 가이드부
151: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
152: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제공부
153: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전송부
160: 자재 추가 구매부
161: 구매이력정보 관리부
162: 추가구매 접수부
163: 추가구매 링크정보 제공부
164: 추가구매 링크정보 전송부
10: 휴대통신단말
20: 어플리케이션
30: 서버

Claims (5)

  1.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다수의 인테리어 자재정보를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자재 선택부;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를 인식하고, 상기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측량정보를 생성하는 피사체 측량부;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측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를 재단하기 위한 자재재단정보를 생성하는 자재재단정보 생성부;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 및 상기 서버에 설치되고, 상기 자재재단정보에 따라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의 구매비용에 대한 결제처리를 위한 자재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측량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중 선과, 해당 선들을 잇는 연결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선과 연결점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를 추출하는 피사체 이미지 추출부;
    미리 설정된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픽셀에 대한 길이환산변수에 따라 상기 피사체 이미지에 대한 전체 실면적을 계산하는 피사체 실면적 계산부; 및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정보,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정보, 및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전체 실면적 정보를 포함하는 측량정보를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상기 자재재단정보 생성부로 전송하는 측량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정보 생성부는,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의 종류,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형태와 전체 실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각 섹터 별로 인테리어 자재의 균일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재단을 통해 블록화되는 인테리어 자재의 개수와 크기를 계산하여 재단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재단된 인테리어 자재로 인테리어 시공 시 구매자에게 시공가이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공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공 가이드부는,
    인테리어 자재 별 시공가이드영상을 저장하는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
    상기 자재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하여 상기 시공가이드 영상정보 저장부를 통해 제공되는 시공가이드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시공가이드 링크정보를 제공하는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해당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상기 시공가이드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시공가이드 링크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추가 구매를 위한 자재 추가 구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재 추가 구매부는,
    구매자의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구매이력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구매이력정보 관리부;
    블록단위로 이루어진 인테리어 자재에 대한 추가구매 요청을 접수하되, 추가로 구매할 인테리어 자재의 수량정보를 입력 받아 추가구매를 접수하는 추가구매 접수부;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상기 추가구매 접수부에 추가구매를 접수하기 위한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상기 추가구매 링크정보 선택 시 상기 구매이력정보를 상기 추가구매 접수부로 전달하여 추가구매 접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추가구매 링크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자재 결제 처리부를 통해 결제 완료된 구매자에 한해 해당 구매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상기 추가구매 링크정보를 전송하는 추가구매 링크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KR1020200008050A 2019-09-18 2020-01-21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KR20210033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4887 2019-09-18
KR1020190114887 2019-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98A true KR20210033398A (ko) 2021-03-26

Family

ID=7525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50A KR20210033398A (ko) 2019-09-18 2020-01-21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3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36B1 (ko) 2016-08-23 2017-05-11 원덕경 인테리어 실측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36B1 (ko) 2016-08-23 2017-05-11 원덕경 인테리어 실측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8606B2 (en) Wireless customer and labor management optimization in retail settings
US11356802B2 (en) Geofence based on members of a population
CA2881660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based on location
US20170330240A1 (en) Sensor data gathering
US20200258134A1 (en) Farm product exchange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multiple small producers
US202100047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planogram at a retail facility
CA2888988A1 (en) Augmented reality for shipping labels
US10949803B2 (en) RFID inventory and mapping system
GB2539769A (e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11227253B2 (en) Product delivery service system in the electronic commerce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US10477351B2 (en) Dynamic alert system in a facility
CN109639771B (zh) 推送服务的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US11893532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canning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JP2008226009A (ja) 携帯端末、情報管理サーバ、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マーケティング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318465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提货终端
CN110400135A (zh) 识别商品价格的方法、装置、无人交易系统及存储介质
CA3093808A1 (en) Customized score-based basket approval system
KR20210033398A (ko) 고객 맞춤형 인테리어 자재 판매 시스템
CN105373907A (zh) 一种基于无线传感物联网技术的超市产品管理系统及其方法
KR20210001209A (ko) 사입대행 관리시스템, 사입대행사 단말, 및 각각의 정보 처리 방법
US20170270502A1 (en)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114556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wait times
CN110910149A (zh) 大数据溯源数字营销云平台管理系统
KR101747368B1 (ko) 조경수 품질 평가 및 유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20170154390A1 (en) Real estate information exchange or trading platform based on bluetooth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