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218A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218A
KR20210032218A KR1020190113710A KR20190113710A KR20210032218A KR 20210032218 A KR20210032218 A KR 20210032218A KR 1020190113710 A KR1020190113710 A KR 1020190113710A KR 20190113710 A KR20190113710 A KR 20190113710A KR 20210032218 A KR20210032218 A KR 20210032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tab
electrode assembly
safet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예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1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218A/en
Publication of KR2021003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to prevent explosion and i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having a first electrode tab, a second electrode having a second electrode tab,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can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received therein and coupling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a safety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nd moving the first electrode tab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ccording to shape deformation in a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emperature rises more than a set temperature, thereby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Description

이차전지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팩{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성을 높인 이차전지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such a secondary battery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camcorders.

상기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되고, 상기 캔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캔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극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제1 전극탭을 통해 상기 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전극탭을 통해 캡 조립체에 결합된다.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can-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And a cap assembly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In addition, the electrod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is coupled to the can through a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upled to the cap assembly through a second electrode tab.

그러나 상기한 캔형 이차전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쇼트가 발생할 경우, 폭발 또는 발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an-type secondary battery has a problem in that explosion or ignition occurs when a short circuit occurs due to an external shock.

특허등록번호 제10-0958649호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95864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트로 인해 고열이 발생하면, 전극조립체와 캔의 연결 부분을 분리시키며, 이에 따라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n when high heat occurs due to a short circuit, thereby preventing explosion and ign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atter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제1 전극탭이 구비된 제1 전극, 제2 전극탭이 구비된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극탭의 결합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캔;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상기 캔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안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electrode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tab, a second electrod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tab,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 electrode assembly; A ca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And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first electrode tab is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s the shape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may include a safety member for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상기 안전부재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형태가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afety member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whose shape is deform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캔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캔의 바닥면에 접합되는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while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상기 안전부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원판 형태의 상기 안전부재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을 향해 호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The safety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and the safety member in the shape of a disk is deformed in an arc shape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direc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reby moving the first electrode tab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may be separated.

상기 안전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안전부재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afety member, and the coupling part may b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a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afety member.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전극탭의 표면에 3개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부재는, 3개 이상의 상기 결합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와, 상호 대응하는 결합부 사이를 통해 상기 제1 전극탭 밖으로 인출되는 3개 이상의 변형부를 포함하며,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afety member is outside the first electrode tab through a central portion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and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s. It includes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that are drawn out, and the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are deformed in a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entral portion is the first electrode tab As the can is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may be separated.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보았을 때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상기 변형부는 원통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eformable portio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상기 중앙부의 저면에는 상기 캔의 바닥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설정온도 이상 상승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ca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upport protrusion is deform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reby raising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안전부재와 동일한 소재인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that is the same material as the safety member.

상기 제1 전극탭에는 상기 중앙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ab may have a fix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상기 캔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fitted and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상기 안전부재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캔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n insulating member for insulating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n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afety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전지팩은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를 수용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이차전지는, 제1 전극탭이 구비된 제1 전극, 제2 전극탭이 구비된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극탭의 결합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캔;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상기 캔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안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battery; And a pack case accommodating th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first electrode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tab, a second electrod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tab,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eparation membrane to be used; A ca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And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first electrode tab is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s the shape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may include a safety member for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상기 캔의 바닥면 사이에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이차전지가 쇼트로 인해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안전부재는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탭과 캔을 분리시키고,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발생한 쇼트를 차단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afety member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Due to this feature, when the secondary battery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due to a short circuit, the safety member deforms and separates the electrode tab and the ca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reby preventing a short occurring in the secondary battery. Explosion and ignition can be prevented by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안전부재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즉 형상기억합금은 조금만 가열하여도 형태가 변형되는 금속이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이차전지가 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면 안전부재는 신속하게 변형되면서 전극조립체의 전극탭과 캔을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ember is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That is, a shape memory alloy is a metal whose shape is deformed even if it is heated a little. Due to this feature, when the secondary battery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safety member is rapidly deformed, and the electrode tab and the can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quick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전극탭은 캔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탭과 캔을 안정적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전극탭과 캔의 결합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부재에 의해 전극탭과 캔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ab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an, and the coupling portion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Due to this feature, the electrode tab and the can can be stably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can can be minimized, and accordingly, the electrode tab and the can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by the safety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안전부재는 원판 형태를 가지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탭 전체를 가압할 수 있고, 특히 전극탭과 함께 전극조립체도 가압할 수 있어 전극탭과 캔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ember has a characteristic of having a disk shape, and due to this characteristic, the entire electrode tab can be pressed. In particular, the electrode assembly can also be pressed together with the electrode tab.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원판 형태의 안전부재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탭에 형성된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캔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안전부재는 관통홀을 통해 결합부의 외측에 연결된 전극탭을 가압할 수 있어 캔에 결합된 결합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k-shaped safety member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Due to this feature, th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electrode tab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through the through hole. In particular, the safety member can press the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an can be separated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안전부재는 중앙부와 3개 이상의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안전부재의 유동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부재의 변형을 통해 전극탭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캔에 결합된 전극탭의 결합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ember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it includes a central portion and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Due to this characteristic,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prevent the flow of the safety member, and accordingly, the electrode tab can be stably pressed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safety member, and as a result, the coupling part of the electrode tab coupled to the can can be easily separat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된 안전부재의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된 안전부재의 변형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된 안전부재의 변형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전극탭와 안전부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된 안전부재의 변형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된 안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deformation of the safety membe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deformation of the safety membe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deformation of the safety membe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n electrode tab and a safety member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deformation of the safety member included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fety member includ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0), 상기 전극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캔(200), 캔(200)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조립체(300)를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a can 20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can 200 as shown in FIGS. 1 to 6. Includes a cap assembly 300 mounted in the opening of ).

상기 전극조립체(100) 는 제1 전극탭(111)이 구비된 제1 전극(110), 제2 전극탭(121)이 구비된 제2 전극(120), 및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탭(111)은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연결되고, 제2 전극탭(121)은 캡조립체(300)와 결합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연결된다.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0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tab 111, a second electrode 120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tab 121,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 It includes a separator 130 interposed between the 120. Further,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to allow current to flow,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1 is coupled to the cap assembly 300 to allow current to flow.

한편, 상기 제1 전극탭(111)은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11a)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1a)를 통해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안정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의 결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차후 안전부재에 의해 제1 전극탭(111)를 가압할 경우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의 결합면적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제1 전극탭(111)을 캔(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11a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nd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11a.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can be minimized while stably connecting the electrodes. 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pressed by the safety member in the future,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is minimiz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easily moved from the can 200. Can be separated.

한편, 상기 결합부(111a)는 상기 캔(200)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캔(200)의 바닥면에 접합되는 결합돌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를 제외한 나머지 제1 전극탭(111)을 캔(200)의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의 사용에 의해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의 바닥면이 붙어서 결합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ortion 111a is formed as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while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tab 111 other than the coupl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This can prevent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from sticking to each other and generating a bonding force by the use of the secondary battery.

한편, 결합돌기는 3~6mm 직경과 2~4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제1 전극탭(111)의 표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have a diameter of 3 to 6 mm and a height of 2 to 4 mm, and one or two or mor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1.

특히 결합부(111a)는 제1 전극탭(111)의 일부를 "V" 또는 "U"자 형태로 절곡하거나 또는 포밍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작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upling part 111a is formed by bending or forming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n a "V" or "U" shape, and thu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ase of manufacture.

한편, 이차전지(10)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접촉될 경우 쇼트가 발생하면서 온도가 상승하는데, 이때 이차전지(1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폭발 및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 contact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due to an external shock, a short circuit occurs and the temperature rises. 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it explodes and ignites. Can occu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안전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부재는 이차전지(10)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전극조립체(100)와 캔(200)의 연결을 차단하여 이차전지(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10)의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fety member 400, and the safety member is an electrode assembly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By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100 and the can 200,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is suppressed, and accordingly, explosion and ign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10 are prevented.

즉, 상기 안전부재(400)는 상기 전극조립체(100)의 저면과 상기 캔(200)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이차전지(10)가 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면 상기 전극조립체(100) 방향(도 1에서 보았을 때 상부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111)을 상기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또는 가압)시킴에 따라 결합부(111a)를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의 연결을 차단하여 이차전지(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That is, the safety member 400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nd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As seen in FIG. 1,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moved (or press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while the shape is de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ccording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can be blocked to suppress an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일례로 상기 안전부재(400)는 상기 전극조립체(100)의 저면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1)과 상기 캔(200)의 바닥면 사이에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safety member 400 is formed in a disk shap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tab 111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즉, 원판 형태의 상기 안전부재(400)는, 쇼트로 인해 이차전지(1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중심점과 테두리면 사이의 표면이 전극조립체(100)를 향해 호 형태로 변형되면서 전극조립체(100) 또는 제1 전극탭(111)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탭(111)을 상기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111a)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10)의 전류가 차단되면서 온도 상승을 억제하며, 그 결과 이차전지(10)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due to a short circuit, the disk-shaped safety member 400 is deformed into an arc shape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100.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00 or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pressed, the first electrode tab 111 can be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nd as a result, the can 200 The coupling portion 111a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may be separated. This suppresses an increase in temperature while the current of the secondary battery 10 is block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10 from exploding or igniting.

여기서 안전부재(400)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형태가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소재는 실온에서 변형을 하고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특수 합금을 말한다. 이와 같이 안전부재(400)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전극조립체(100)에 결합된 제1 전극탭(111)을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1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설정온도는 60℃~100℃, 바람직하게는 80℃~100℃일 수 있다.Here, the safety member 400 is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that deforms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the shape memory alloy material deforms at room temperature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Say. As the safety member 400 is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tab 111 coupl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nd as a result, secondary The safety of the battery 10 can be improved. Here, the set temperature may be 60°C to 100°C, preferably 80°C to 100°C.

한편, 상기 안전부재(400)에는 관통홀(400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1a)는 상기 안전부재(400)의 관통홀(400a)을 통해 상기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111a)를 캔(200)의 바닥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a through hole 400a is formed in the safety member 400, and the coupling part 111a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400a of the safety member 400. .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111a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안전부재(400)는 이차전지(10)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차전지가 폭발하거나 또는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afety member 4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10 from rising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s a result, can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from exploding or igniting.

한편, 상기 안전부재(40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afety member 4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제1 변형예로, 상기 안전부재(40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 형태로 융기되는 표면에 융기부(400b)를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400b)는 안전부재(400)의 형태가 변형되면, 전극조립체(100) 또는 제1 전극탭(111)을 직접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0) 또는 제1 전극탭(111)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융기부(400b)는 안전부재(400)의 표면에 엠보싱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안전부재(400)의 변형력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제1 전극탭(111)을 보다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As a first modified example, the safety member 400 has a raised portion 400b formed on a surface raised in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hape of the safety member 400 is deformed, the raised portion 400b directly press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or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accordingly, the electrode assembly 100 or the first electrode tab 111 ) Can be moved more effectively. That is, the raised portion 400b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on the surface of the safety member 400, and thus, while maintaining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safety member 400,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ss the first electrode tab 111. have.

제2 변형예로, 상기 안전부재(4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140c)가 형성된다. 즉, 상기 리브(400c)는 안전부재(400)가 강하게 전극조립체(100) 또는 제1 전극탭(111)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한다. 즉, 리브(140c)는 안전부재(400)의 변형력을 저해할 수 있지만, 강도 보강을 통해 제1 전극탭(111)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캔(200)에 결합된 결합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As a second modification, the safety member 400 is formed with a rib 140c for reinforcing strength, as shown in FIG. 8. That is, the rib 400c reinforces the strength so that the safety member 400 can strongly press the electrode assembly 100 or the first electrode tab 111. That is, the rib 140c may inhibit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safety member 400, but may strongly press the first electrode tab 111 through strength reinforcement,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an 200 Can be easily separated.

제3 변형예로, 상기 안전부재(4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절연성을 가진 절연부재(400d)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절연부재(140d)는 안전부재(400)에 의해 전극조립체(100)와 캔(200)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As a third modified example, the safety member 400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member 400d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on one or both sides, as shown in FIG. 9. That is, the insulating member 140d blocks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can 200 by the safety member 400.

한편, 제1 전극탭(111)의 결합부(111a)는 상기 캔(200)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캔(200)의 바닥면에 접합되는 결합돌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고, 상기 캔(200)에 접합되면서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전류가 흐르게 연결한다. 이때 결합돌기는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전류가 흐르게 연결함과 동시에 결합면적을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안전부재(400)에 의해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분리할 경우 보다 작은 가압력으로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ortion 111a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formed as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while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while being bonded to the can 200,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are connected so that a current flows therethrough.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so that a current flows therethrough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s the coupling area.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are When separating ),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may be separated with a smaller pressing force.

한편,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캔(200)은 설정 압력 이상에서 분리되는 접합력으로 결합되며, 상기 설정 압력은 안전부재(400)의 형태가 변형될 경우 발생하는 압력과 대응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an 200 are coupled by a bonding force separated above a set pressure, and the set pressure corresponds to a pressure generated when the shape of the safety member 400 is de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안전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쇼트로 인해 이차전지(10)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안전부재(400)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분리시키고, 이에 따라 이차전지(1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차전지가 폭발하거나 또는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afety member 400, and due to this characteristic,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due to a short circuit, the safety member As the shape of the 400 is deformed,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are separated so that no current flows, thereby suppressing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and as a result, the secondary battery explodes. Or prevent it from igniting.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 number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10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0), 상기 전극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캔(200), 캔(200)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조립체(300), 전극조립체(100)의 제1 전극탭을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안전부재(400)를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a can 20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a can 200 as shown in FIGS. 10 and 14. The cap assembly 300 mounted at the opening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safety member 400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상기 전극조립체(100)는 제1 전극탭(111)이 구비된 제1 전극(110), 제2 전극탭(121)이 구비된 제2 전극(120), 및 제1 및 제2 전극(110)(120)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탭(111)은 캔(200)의 바닥면에 접합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연결되고, 제2 전극탭(121)은 캡조립체(300)와 접합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탭(111)은 결합부(111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1a)는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10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tab 111, a second electrode 120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tab 121,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 It includes a separator 130 interposed between the 120.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tab 111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to allow current to flow,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121 is bonded to the cap assembly 300 to allow current to flow. The first electrode tab 111 has a coupling portion 111a formed thereon, and the coupling portion 111a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여기서 상기 결합부(111a)는 상기 제1 전극탭(111)의 표면에 3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3개 이상의 결합부(111a)는 캔(200)의 바닥면에 각각 결합된다. Here, 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111a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t equal intervals, and 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111a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상기 안전부재(400)는 3개 이상의 상기 결합부(111a)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410)와, 상호 대응하는 결합부(111a) 사이를 통해 제1 전극탭(111) 밖으로 인출되는 3개 이상의 변형부(420)를 포함한다. 한편, 안전부재(400)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형성된다.The safety member 400 includes a central portion 41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111a, and three or more, which are drawn out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1 through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s 111a. It includes a deformation portion 420.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member 400 is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상기 안전부재(400)는 이차전지(10)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420)가 상기 전극조립체(100)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중앙부(410)를 상기 전극조립체(100)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중앙부(410)는 상기 제1 전극탭(111)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탭(111)을 상기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111a)를 분리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차전지(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안전부재(400)는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420)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안전부재를 제1 전극탭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안전부재(400)에 의해 제1 전극탭(111)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In the safety member 400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420 are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central portion 410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the central portion 410 presses the first electrode tab 111 to move the electrode tab 111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ccordingly, the coupling portion 111a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can be separated, and as a result, an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can be suppressed to prevent explosion and ignition. In particular, the safety member 400 includes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420, so that the safety member can be stably positioned under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first electrode tab by the safety member 400 (111) can be effectively pressurized.

한편, 상기 중앙부(410)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보았을 때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중앙부(4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제1 전극탭(111)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ortion 410 is formed thicker than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central portion 41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tab 111 can be effectively pressed and moved.

한편, 변형부(420)는 원통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변형부(420)에 작용하는 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변형부(42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formable part 420 has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pressure acting on the deformable part 420 can be evenly distribut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ble part 420 from being damaged.

한편, 상기 중앙부(410)의 저면에는 상기 캔(200)의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4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30)는 이차전지(10)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중앙부(410)를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중앙부(410)의 가압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결합부(111a)를 캔(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Meanwhile, a support protrusion 430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can 20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entral part 410. When the secondary battery 10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support protrusion 430 raises the central portion 410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the shape is de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central portion 410. The coupling part 111a may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한편, 상기 지지돌기(430)는 상기 안전부재(400)와 동일한 형상기억합금소재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변형부와 함께 형태가 변형되면서 중앙부의 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rotrusion 430 is formed of the same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s the safety member 400, and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430 is deformed together with the deformable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central portion.

한편, 상기 제1 전극탭(111)에는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부(4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111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11b)는 제1 전극탭(111)의 저면에 위치한 안전부재(400)의 유동 현상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electrode tab 111 has a fixing protrusion 111b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entral part 4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11b is formed of the first electrode tab 111. The flow phenomenon of the safety member 40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can be greatly preven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중앙부(410)와 3개 이상의 변형부(420)를 구비한 안전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The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afety member 400 having a central portion 410 and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420, and this Due to the same characteristics,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greatly increas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차전지(10), 및 상기 이차전지(10)를 수용하는 팩 케이스(20)를 포함한다.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10 and a pack case 20 accommodating the secondary battery 10 as shown in FIG. 15.

상기 이차전지(10)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100), 상기 전극조립체(100)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극탭의 결합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캔(200), 캔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조립체(300),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상기 캔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안전부재(400)를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ing a first electrode 110,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0. 1 The can 20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electrode tab, the cap assembly 300 is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ca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of the can,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 safety member 400 for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by moving the first electrode tab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s the shape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한편, 상기 이차전지(10)는 앞에서 설명한 이차전지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그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secondary battery 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e secondary battery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ccordingly.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10)를 팩 케이스(20)에 수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ncrease safety by accommodating the secondary battery 10 having improved safety in the pack case 20.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캔(200)의 바닥면에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10)에 제1 전극탭(111)에 형성된 결합부(111a)가 끼워져 결합된다.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a coupling groove 2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00, and a first electrode tab ( The coupling portion 111a formed in 111) is fitted and coupled.

즉, 결합부(111a)와 결합홈(210)의 결합을 통해 제1 전극탭(111)과 캔(200)을 용접할 필요가 없고, 특히 안전부재(400)에 의해 결합부(111a)와 결합홈(21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That is, there is no need to weld the first electrode tab 111 and the can 200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ortion 111a and the coupling groove 210, and in particular, the coupling portion 111a and the safety member 400 Since the coupling groove 210 can be easily separated,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various embodiment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possible.

100: 전극조립체
110: 제1 전극
111: 제1 전극탭
111a: 결합부
111b: 고정돌기
120: 제2 전극
121: 제2 전극탭
130: 분리막
200: 캔
300: 캡조립체
400: 안전부재
410: 중앙부
420: 변형부
430: 지지돌기
100: electrode assembly
110: first electrode
111: first electrode tab
111a: coupling portion
111b: fixing protrusion
120: second electrode
121: second electrode tab
130: separator
200: can
300: cap assembly
400: safety member
410: central part
420: deformation portion
430: support protrusion

Claims (14)

제1 전극탭이 구비된 제1 전극, 제2 전극탭이 구비된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극탭의 결합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캔;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상기 캔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tab, a second electrod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tab,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 ca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can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first electrode tab is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afety member for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형태가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member is a secondary battery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that is deform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캔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캔의 바닥면에 접합되는 결합돌기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of a coupling protrusion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while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원판 형태의 상기 안전부재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을 향해 호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member is formed in a disk shape,
The safety member in the form of a disk is deformed in an arc shape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direction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moves the first electrode tab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thereby being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Secondary battery that separates the coupling par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안전부재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4,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afety member,
The coupling portion is a secondary batter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afety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전극탭의 표면에 3개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부재는, 3개 이상의 상기 결합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와, 상호 대응하는 결합부 사이를 통해 상기 제1 전극탭 밖으로 인출되는 3개 이상의 변형부를 포함하며,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는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tab,
The safety member includes a central portion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or more coupling portions, and thre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drawn out of the first electrode tab through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s,
When three or more of the deformation portions are increased above a set temperature, the shape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entral portion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central portion is a secondary battery that separates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by moving the first electrode tab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보았을 때 3개 이상의 상기 변형부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6,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ree or more deformed portions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원통형태를 가지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6,
The deformed portion has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cylindrical shap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저면에는 상기 캔의 바닥면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설정온도 이상 상승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중앙부를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6,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ca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entral part,
When the support protrusion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deformed and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안전부재와 동일한 소재인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protrusion is a secondary battery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that is the same material as the safety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탭에는 상기 중앙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6,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tab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캔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fitted and coupl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캔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재가 구비되는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ember for insulating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afety member.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를 수용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이차전지는,
제1 전극탭이 구비된 제1 전극, 제2 전극탭이 구비된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극탭의 결합부가 바닥면에 결합되는 캔; 및
상기 전극조립체의 저면과 상기 캔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고, 설정 온도 이상 상승시 상기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 전극탭을 상기 캔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캔의 바닥면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는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Secondary battery; And
It includes a pack case accommodating the secondary battery,
The secondary battery,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tab, a second electrod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tab,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 ca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can is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first electrode tab is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A battery pack comprising a safety member for separating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KR1020190113710A 2019-09-16 2019-09-16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2100322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10A KR20210032218A (en) 2019-09-16 2019-09-16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10A KR20210032218A (en) 2019-09-16 2019-09-16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18A true KR20210032218A (en) 2021-03-24

Family

ID=7525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10A KR20210032218A (en) 2019-09-16 2019-09-16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2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65A1 (en)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en)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unit and the winding method thereof and lith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en)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unit and the winding method thereof and lith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65A1 (en)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2266B2 (en) Cylindrical battery
JP5329558B2 (en) Secondary battery pack that provides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US6610437B2 (en) Closure assembly for sealed batteries
US9118071B2 (en) Rechargeable battery
JP2005123197A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US20220278432A1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assembly
KR102064471B1 (en) Secondary battery
KR20200139530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2106220B (en)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US20180090738A1 (en) Secondary battery
KR102195733B1 (en) Curved secondary battery
KR20210032218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JP7297996B2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assembly
KR20180080847A (en) Secondary Battery
EP4135117A1 (en) Secondary battery
KR101473390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JP7037014B2 (en) Current cutoff structure applied to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KR20240006844A (en) Safety improved prismatic secondary battery
JP7275453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econdary battery
KR102245122B1 (en) Electrode assembly
KR10266819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30064245A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30080083A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20169414A (en) Electrode tab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8117250A (en) Secondary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