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134A -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 Google Patents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34A
KR20210032134A KR1020190113504A KR20190113504A KR20210032134A KR 20210032134 A KR20210032134 A KR 20210032134A KR 1020190113504 A KR1020190113504 A KR 1020190113504A KR 20190113504 A KR20190113504 A KR 20190113504A KR 20210032134 A KR20210032134 A KR 2021003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ing
user
hold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0611B1 (en
Inventor
송동호
송진욱
강준한
Original Assignee
송동호
송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호, 송진욱 filed Critical 송동호
Priority to KR102019011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611B1/en
Publication of KR2021003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may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a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s for fixing and rotating a user′s thighs; a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for fixing and rotating the user′s ankles and feet; and a pair of support bars for fixing the upper correction units and the lower correction units, wherein each of the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first driving part and a sho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being fastened to the first driving part, wherein the first driving part provides predetermined resistance when rotating the lower correction units by the user′s force, or rotates the lower correction units.

Description

관절 교정장치{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Joint correction device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본 발명은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의 다리를 외회전 또는 내회전시키거나,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무릎뼈,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또는 내회전 시켜 골반 관절의 근육 강화, 관절 인대의 인장 및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관절 교정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external rotation of the leg of the body, or rotation of the pelvis, hip joint, thigh (femur), knee bone, ankle and foot integrally in a state in which the body's waist is fixed. Or it is a joint correction device that can be rotated internally to strengthen the muscles of the pelvic joint and correct the tension and bent legs of the joint ligaments.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아동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신체 변형이 빈번히 발생된다. 신체 중 하지 변형은 강직(spasticity) 및 근약화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근긴장도, 장시간 생활 습관으로 인한 관절 변형이나 인대와 같은 연부조직(soft tissue)들의 길이와 근력의 변화 등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물론 유전적인 이유 또는 유아기나 아동기에 발생한 질병적 원인에 의해 하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Body deformations occur frequently from children to adults for a variety of reasons.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of the body can be attributed to abnormal muscle tone such as spasticity and muscle weakness, joint deformation due to a long lifestyle, or changes in the length and strength of soft tissues such as ligaments. Of course, deformity of the lower extremities can occur due to genetic reasons or disease-caused in infancy or childhood.

이러한 하지의 변형은 외반슬(genu valgum), 내반슬(genu varum), 반장슬(genu recuvatum)로 구분되며, 내반슬(안쪽으로 휜 슬관절)은 O자형, 외반슬(바깥쪽으로 휜 슬관절)은 X자형 다리를 말한다.These lower extremity deformations are divided into genu valgum, genu varum, and genu recuvatum, and the varus (inwardly curved knee) is O-shaped, and the valgus (outwardly curved knee) is an X-shaped leg. Say.

이러한 외/내반슬은 관절염, 골연화증, 부정유합 및 관절증 등 다양한 무릎의 통증과 질환을 일으키며, 신체의 기능적인 동작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se external/varus knees cause various knee pains and diseases such as arthritis, osteomalacia, malunion and arthrosis, and negativ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functional movements of the body.

이와 함께 고관절은 골반과 다리 전체를 연결하는 공 모양의 구상관절로서 사람이 보행을 할 때 굴곡, 신전, 외전, 내전, 내회전 및 외회전과 같은 다양한 동작으로 보행을 조절한다.Along with this, the hip joint is a ball-shaped globular joint that connects the pelvis and the entire leg, and when a person walks, it controls walking through various movements such as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dvers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이때 과도한 고관절 내회전은 무릎과 발목관절의 비정상적인 근긴장도와 정렬뿐만 아니라 하부 체간인 요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여 신체정렬에 악영향을 초래한다.At this time, excessive in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causes not only abnormal muscle tone and alignment of the knee and ankle joints, but also negatively affects the lower trunk, the lumbar spine, which adversely affects body alignment.

고관절의 내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대퇴골의 영전각(torsional angle)이 있으며 이는 대퇴골경(femoral neck)과 대퇴골 관절 융기의 수평측 비틀림 각을 의미하며 이 각도가 현저하게 큰 경우를 전경(anteversion)이라 한다.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internal rotation angle of the hip joint is the torsional angle of the femur, which means the horizontal torsional angle of the femoral neck and the femoral joint elevation. anteversion).

이러한 전념이 있는 경우 고관절에서 과도하게 내회전 각도가 증가하고 외회전 각도가 현저히 제한되며 외반슬이 발생하게 된다.With this commitment, the internal rotation angle increases excessively in the hip joint, the external rotation angle is significantly limited, and the valgus chain occurs.

반대로 고관절에서 과도하게 외회전 각도가 증가하고 내회전 각도가 현저히 제한되는 경우 내반슬이 발생하게 된다. 내반슬 형태의 하지는 대퇴근장막근과 대퇴내전근이 단축되고, 중둔근과 햄스트링이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Conversely, when the external rotation angle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internal rotation angle is significantly limited in the hip joint, a varus collar occurs. The varus-type lower extremities are caused by the shortening of the femoral iliac muscle and the adductor femoral muscle, and the weakening of the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s.

이와 같이, 신체 하지가 내반슬 또는 외반슬로 인하여 휘어진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장시간 걷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신체장애 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휜 다리를 바르게 정렬하기 위해 보정기 치료 또는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하고 있다.In this way, when the lower extremities of the body are bent due to the varus or valgus, depending on the degree, it is difficult to walk for a long time and causes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refore, treatment with a compensator or surgical method is performed in order to properly align the bent legs. .

하지만, 수술 치료 방법에는 절골술, 골단판 골가교 절제술, 근위 경골 외측 골단판 유합술 등이 있는데, 절차가 복잡하고 신체에 대한 추가적인 손상을 야기할 위험이 있다.However, surgical treatment methods include osteotomy, epiphyseal bone bridge resection, and proximal tibial lateral epiphyseal fusion, and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risk of causing additional damage to the body.

이러한 수술 치료 방법에 대해 고관절 외회전에 의한 근육 강화를 위한 교정기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교정기는 대체적으로 하지에 착용하여 보행하거나 고관절을 특정한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휜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For this surgical treatment method, a brace for strengthening muscles by ex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has been developed, but these braces are generally worn on the lower extremities to walk or fix the hip joint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e corrective effect on the bent leg is insignificant. .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4179호의 교정장치는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외회전 또는 내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동력에 의해 발과 무릎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교정장치는 발 또는 무릎(슬관절)을 회전시킴으로써 허벅지(대퇴골) 및 고관절의 골반이 함께 회전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는데, 무릎, 고관절, 골반 및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등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devic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24179 is a device that rotates the hip joint in an external or internal rotation direction using a driving device, and rotates the feet and knees by power. Such a correction device assumes that the thigh (femur) and the pelvis of the hip joint will be rotated together by rotating the foot or knee (knee joint),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an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knee, hip joint, pelvis and waist.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2417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24179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다리를 외회전 또는 내회전 시키거나,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켜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the body's leg externally or internally, or rotate the pelvis, hip joint, thigh (femur), calves, ankles, and feet integrally externally or internally while the body's waist is fixed to correct a bent leg It is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so that it can be done.

본 발명의 목적은, 발착용 구동유닛에 의한 회전력이 골반, 허벅지, 종아리, 발목에 일체로 작용하여 신체 하지 전체를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킬 수 있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entir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externally or internal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acting integrally with the pelvis, thighs, calves, and ankles.

본 발명의 목적은, 발착용 구동유닛의 구동을 스마트폰 어플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드별 자신의 신체 맞는 관절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perform a joint rotation movement that fits his body for each mode b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remote controller to drive the foot and foot drive unit.

실시예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고정 및 회전시키는 한 쌍의 상부 교정유닛; 상기 사용자의 발목과 발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한 쌍의 하부 교정유닛; 및 상기 상부 교정유닛과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고정하는 한 쌍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교정유닛 각각은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신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회전시킬 때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회전시키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is a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 for fixing and rotating the user's thigh; A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fixing and rotating the ankles and feet of the user; And a pair of support bars for fixing the upper correction unit and the lower correction unit, wherein each of the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sho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being fastened to a first driving unit and the first driving unit.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may provide a predetermined resistance force when rotating the lower correction unit by the user's force, or may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for rotating the lower correction unit.

다른 측면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교정유닛 각각은 상기 허벅지를 감싸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회전시 상기 홀더 내측면과 상기 허벅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허벅지를 회전시키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each of the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holder surrounding the thigh and a second driving part that rotates the holder, and when the holder rotates, the thigh is controlled by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holder and the thig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tating joint correction devic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에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바 각각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gap adjusting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to the pair of support bars and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air of support bars.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교정유닛은 왼쪽 다리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제1 상부 교정유닛과 오른쪽 다리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제2 상부 교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교정유닛은 왼쪽 발에 착용되는 제1 하부 교정유닛과 오른쪽 발에 착용되는 제2 하부 교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교정유닛이 회전 시 상기 제1 하부 교정유닛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상부 교정유닛이 회전하고, 상기 제2 하부 교정유닛이 회전 시 상기 제2 하부 교정유닛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상부 교정유닛이 회전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first upp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thigh of the left leg and a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thigh of the right leg, and the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It includes a first low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left foot and a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right foot, and when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rotates,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in which the upper correction unit rotates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when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rotates.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각 단계별로 회전 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하고,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상부 교정유닛을 회전시키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driving unit increa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calibration unit step by step and maintains the rotation state for each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the second driving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for rotating the upper correction unit.

또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에 착용 및 고정되고, 양쪽 하지 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측면지지대가 돌출된 착용수단; 상기 양쪽 하지 방향으로 각각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1 고정홀더 및 제2 고정홀더; 상기 사용자의 양쪽 발목과 발에 각각 착용 및 고정되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 및 상기 제1 고정홀더 및 제2 고정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양쪽 대퇴부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 하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측면지지대들과 결합하고, 상기 발착용 구동유닛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일체로 제1 고정홀더 및 제2 고정홀더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골반, 고관절, 대퇴부 및 발목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홀더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들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바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a wearing means that is worn and fixed to the user's waist or pelvis, and a pair of side supports protruding in both lower limb directions, respectively; A first fixing holder and a second fixing holder that are worn and fixed to the user's thigh in both lower limb direction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wearing and fixing on both ankles and feet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a first gap adjus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holder and the second fixing holder and adjusting the gap between both thighs of the user, and being coupled with a pair of side supports protruding in each of the lower extremity directions, and the foot The first and second fixed holders and the first and second fixed holders can simultaneously rotate the user's pelvis, hip joints, thighs, and ankles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wearing driving unit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holders. 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bars for fixing the driving units for feet and fee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양쪽 종아리 또는 무릎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3 고정홀더 및 제4 고정홀더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xing holder and a fourth fixing holder that are worn and fixed to both calves or knees of the user.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3 고정홀더 및 제4 고정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양쪽 종아리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may be provided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fixed holders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distance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two calves of the user.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는 각각 제1 홀더고정부, 제2 홀더고정부,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제1 및 제2 샤프트 결합부 및 회전 조절부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and second distance adjustment units, respectively, a joint including a first holder fixing part, a second holder fixing part, a first shaft, a second shaft, a first and second shaft coupling part, and a rotation adjusting par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alibration devic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한쌍의 측면지지대와 대응되는 고정바들은 각각 한쌍의 고정바로 구성되고, 각각은 사용자의 하지 방향을 따라 제1 고정홀더 및 제1 발착용 구동유닛과 제2 고정홀더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과 결합 및 고정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xing bar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ide supports are each composed of a pair of fixing bars, each of the first fixing holder and the first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and the second fixing holder and the second fixing holder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lower extremities. 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device that is coupled and fixed with a driving unit for feet and fee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고정바들은 사용자의 하지 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되고 연결되는 조인트부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xing bars may be connected in series along the user's lower limb direction, and the joint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may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은 각각 구동부, 메모리, 모드 설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foot and foot may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including a driving unit, a memory, a mode setting unit, and a control unit, respectively.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 이용, 상기 제1 또는 제2 발착용 구동유닛을 사용자가 직접 회전, 회전 방향, 회전 시간, 회전 각도 등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절부; 상기 메모리로부터 선택 정보를 전달 받거나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메모리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mode setting unit may include: a selection unit for directly selecting a rotation, a direction of rotation, a rotation time, a rotation angle, etc. of the first or second driving unit for use of power of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or second driving unit; An adjustment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in response to information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or transmits user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memory, and transmits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은 사용자가 직접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foot and foot may provide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further including an angle adjustment unit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rotation angle.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는,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켜 골반과 고관절 근육을 강화 시키고, 수축된 고관절의 인대를 인장시킬 수 있으며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pelvis and hip muscles by rotating the pelvis, hip joint, thigh (femur), calves, ankles, and feet integrally externally or internally while the waist of the body is fixed, and the contracted hip joint It can tension the ligaments of the body and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bent leg.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에 의한 회전력이 골반, 허벅지, 종아리, 발목에 일체로 작용하여 신체 하지 전체를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acts integrally with the pelvis, thighs, calves, and ankles, thereby allowing the entir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to rotate externally or internally.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의 구동을 스마트폰 어플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드별 자신의 신체 맞는 관절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perform a joint rotation movement that fits his body for each mode b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remote controller to drive the driving unit for feet and fe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신체의 하지 변형과 관련된 고관절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신체의 고관절 각도에 따라 정상, 내반슬 및 외반슬의 하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신체의 하지 변형에 따라 교정을 위한 대퇴골과 종아리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하부 교정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구동유닛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 교정유닛의 신발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의 제2 구동유닛의 베이스부 내에 배치되는 구동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고정홀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발착용 구동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에 배치된 간격 조절기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도 17의 간격 조절기에 배치된 회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상기 도 18의 회전 조절부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체결 고정바들의 결합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발착용 구동유닛의 동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도 23의 모드(Mode) 설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이용한 관절 교정방법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hip joint angle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lower limbs of the normal, varus and valgus knee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hip joint of the body.
4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emur and calf f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wearing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lower correction uni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second driving unit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 of the lower corr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system disposed in the base of the second drive uni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views showing a fixed holder structure of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nterval adjuster disposed in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adjusting unit disposed in the spacing adjuster of FIG. 17.
FIG. 1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of FIG. 18.
20 and 21 are views showing the coupling principle of the fastening fixing bars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n angle adjustment uni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ystem of a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tting unit of FIG. 23.
25 is a flowchart showing a joint correction method using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rather than a limiting meaning. In addi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는, 사용자의 대퇴골(허벅지) 부분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제1 상부 교정유닛(50a) 및 제2 상부 교정유닛(50b)과, 사용자의 발목과 발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제1 하부 교정유닛(60a) 및 제2 하부 교정유닛(60b)과, 사용자의 양쪽 하지 방향을 따라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1 하부 교정유닛(60a)을 고정하는 제1 지지바(20a)와, 제2 상부 교정유닛(50b) 및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을 고정하는 제2 지지바(2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관절 교정장치(10)는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 사이에 배치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0, 도 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관절 교정장치(10)는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 각각의 일부에 지지바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40a, 40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a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a) for fixing and rotating the user's femur (thigh) portion ( 50b), and a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a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for fixing and rotating the ankle and foot of the user, and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long the direction of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1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20a) for fixing the lower calibration unit (60a), and a second support bar (20b) for fixing the second upper calibration unit (50b) and the second lower calibration unit (60b). have. In another aspect,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spacing adjustment unit 30 (see FIG. 5)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to adjust the spacing. In another aspect,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40a and 40b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on a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Includes.

간격조절부(30)는 조절기(31)와 조절기(3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제1 지지바(20a) 및 제2 지지바(20b)와 연결되는 고정바(32)로 구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30)는 조절기(31)의 동작에 따라 제1 지지바(20a)와 제2 지지바(20b)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조절기(31)의 동작에 따라 조절기(31) 양측에 연결된 고정바(32)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절기(31)을 중심으로 조절기(31) 양측에 연결된 고정바(32)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pacing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with a fixed bar 3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adjuster 31 and the adjuster 31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bar 20a and the second support bar 20b. The distance control unit 3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20a and the second support bar 20b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er 31.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ixing bars 3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djuster 31 may be reduced or exten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er 31. In addition, the fixed bars 3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djuster 31 around the adjuster 31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은 각각 사용자의 대퇴골(허벅지)를 고정하는 홀더(51)와 홀더(51)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유닛(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유닛(52)은 홀더(51)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1 구동부(52a, 도 6 참조)와 홀더(51)를 고정하면서 제1 구동부(52a)의 회전력을 홀더(51) 전체에 전달하는 고정밴드(5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each include a holder 51 for fixing the user's femur (thigh) and a first driving unit 52 for rotating the holder 51. I can. The first driving unit 52 appli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unit 52a to the entire holder 51 while fixing the first driving unit 52a (refer to FIG. 6) and the holder 51 to supply rotational force to the holder 51. It may include a fixed band (52b) to transmit.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은 각각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고정하는 신발(61)과, 신발(61)과 체결되어 신발(61)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유닛(62)을 포함한다. 제2 구동유닛(6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6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62a)와 베이스부(62a) 상에 배치되어 신발(61)을 회전시키는 회전판(62b)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62a)의 내측에는 신발(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해당 도면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are the shoes 61 that fix the user's feet and ankles, respectively, and a second drive that is fastened to the shoes 61 to rotate the shoes 61 It includes a unit 62. The second driving unit 62 includes a base portion 62a supporting the shoe 61 and a rotating plate 62b disposed on the base portion 62a to rotate the shoe 61, as shown in FIG. 8.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driving system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e portion 62a so as to rotate the shoe 61.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는 사용자의 양쪽 하지에 각각 체결하는 제1 상부 교정유닛(50a) 및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 및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을 고정한다. 또한,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교정유닛(50a) 및 제1 하부 교정유닛(60a)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구동유닛(52)과 제2 구동유닛(6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바(20a) 내측에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제2 지지바(20b) 내측에도 통신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are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and second respectively fastened to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Fix the lower calibration unit (60b).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first driving unit 52 and the second driving unit 62 disposed in the first upper calibration unit 50a and the first lower calibration unit 60a, respectively, are electrically A cable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upport bar 20a to connect 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the same reason, a communication cable may be arranged inside the second support bar 20b.

따라서, 제1 지지바(20a)가 고정 지지하는 제1 상부 교정유닛(50a) 및 제1 하부 교정유닛(60a)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벅지를 고정하는 제1 하부 교정유닛(60a)은 외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외회전에 대응하여 제1 상부 교정유닛(50a)은 외회전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fixedly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bar 20a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fixing the thigh may rotate externally, and in response to this external rotation,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may externally rotate.

또한, 제2 지지바(20b)가 고정 지지하는 제2 상부 교정유닛(50b) 및 제2 하부 교정유닛(60b)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벅지를 고정하는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은 내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내회전에 대응하여 제2 상부 교정유닛(60b)은 내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and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fixed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bar 20b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fixing the thigh may rotate internally, and in response to this internal rotation,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60b may internally rotate.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의 일부 영역에는 각각 제1 연결부(40a)와 제2 연결부(40b)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리 길이 차이에 따라 관절 교정장치(10)의 지지바((20a, 20b)의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제1 연결부(40a)와 제2 연결부(40b)의 고정 장치를 풀어 지지바((20a, 20b)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part 40a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40b may be disposed in some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respectively.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s (20a, 20b) of the joint corr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user's legs, loosen the fixing devi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0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0b, and the support bar (You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of (20a, 20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는,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켜 골반 근육을 강화 시키고, 수축된 골반 근육을 인장시킬 수 있으며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다.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pelvic muscles by integrally rotating the pelvis, hip joint, thigh (femur), calves, ankles, and feet in a state where the waist of the body is fixed. , Contracted pelvic muscles can be tensioned and bent legs can be corrected.

먼저, 신체 중 하지 변형과 관련된 원인들과 하지 변형 종류에 따라 치료를 위한 관절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auses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in the body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joint for treat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are as follows.

도 2는 신체의 하지 변형과 관련된 고관절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신체의 고관절 각도에 따라 정상, 내반슬 및 외반슬의 하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신체의 하지 변형에 따라 교정을 위한 대퇴골과 경골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hip joint angle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lower limbs of the normal, varus and valgus knee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hip joint of the body. 4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emur and tibia f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관절 경사 각도는 125° 정도가 정상인의 각도로 알려져 있다. 만약 고관절 경사 각도가 정상인의 각도보다 작은 경우(105°)면 내번고(Coxa Vara)라 불리고 도 3(c)의 외반슬 형태의 다리가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신체 하지 구조를 X자형 다리라고 한다.2 to 3, the hip joint inclination angle of about 125° is known as the angle of a normal person. If the hip joint inclination angle is smaller than that of a normal person (105°), it is called Coxa Vara and becomes a valgus-shaped leg in FIG. 3(c). In general, this structure of the lower extremities of the body is called an X-shaped leg.

만약, 고관절 경사 각도보다 큰 경우(140~160)면 외번고(Coxa Valga)라 불리고 도 3(b)의 내반슬 형태의 다리가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신체 하지 구조를 O자형 다리라고 한다.If it i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ip joint (140 to 160), it is called Coxa Valga and becomes a leg in the form of a varus of FIG. 3(b). In general, this structure of the lower extremities of the body is called an O-shaped leg.

내반슬의 경우에는 경골의 상부에 일어난 각의 변형이 가장 큰 문제로 볼 수 있다. 내반슬의 90%는 이러한 유형의 환자이다. 하지만, 내반슬은 경골 상부의 각의 변형뿐만 아니라 고관절의 내회전, 경골의 내회전 등 다른 변형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O다리 구조의 경우 고관절이나 슬관절의 변형 없이 경골(정강이뼈)만 안쪽으로 회전되어 각의 변형이 일어난 경우도 있다.In the case of the varus, the biggest problem is the deformation of the angle at the upper part of the tibia. 90% of the varus knees are of this type. However, in most cases, other deformations such as in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 and internal rotation of the tibia occur in a complex manner as well as the deformation of the angle of the upper tibia in the varu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O-leg structure, only the tibia (shin bone) is rotated inward without deformation of the hip joint or knee joint, and the angle may be deformed.

외반슬의 경우에는 슬관절 부위에서 무릎이 과도하게 내측으로 횐 상태, 대퇴골과 경골의 해부학적 축 각이 170~175°보다 적은 경우, 대퇴골 내회전, 슬개골 내회전, 경골의 외회전으로 비골이 튀어나온 경우 등이 있다.In the case of the valgus knee, the knee is excessively rolled inward at the knee joint, the anatomical axial angle of the femur and tibia is less than 170-175°, the femur internal rotation, the patella internal rotation, and the fibula protruding due to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tibia, etc. hav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반슬의 경우에는 대퇴골(허벅지)를 외회전 시켜 고관절의 각도를 줄이도록 하고, 종아리(정강이뼈와 종아리뼈) 및 발 부분도 외회전 시켜 교정 치료를 한다. 반대로 외반슬의 경우에는 대퇴골(허벅지)를 내회전시키고 종아리 및 발부분도 내회전 시켜 교정 치료를 한다.As shown in Figure 4, in the case of the varus, the femur (thigh) is rotated externally to reduce the angle of the hip joint, and the calf (shin and calf) and the foot are also externally rotated to perform correction treatment.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valgus knee, the femur (thigh) is rotated internally and the calf and foot are also internally rotated to perform correction treatment.

하지만, 내반슬과 외반슬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 부위에서만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나타나고 허벅지, 고관절뿐만 아니라 슬개골과 종아리에서도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신체 변형이 발생한 사용자의 변형 형태에 따라 허벅지와 고관절 부위만 회전을 시키거나 허벅지, 고관절, 종아리, 발목 및 발과 같이 전체적으로 회전 시킬 필요가 있다.However, as discussed above, varus and valgus appear even when deformation occurs only in certain areas, and also appear when deformation occurs not only in the thigh and hip joints, but also in the patella and calf. It is necessary to rotate only or as a whole, such as thighs, hips, calves, ankles and feet.

예를 들어, O 다리라고 불리는 내반슬과 같은 신체 하지 변형이 있는 경우에 고관절의 각도, 즉 대퇴골 경부축과 대퇴골 간 각도가 정상 범위보다(135°) 큰 상태(150~160°)가 된다. 이로 인하여 고관절(대퇴골두와 대퇴골간 경사각) 영역이 벌어져 발이 벌어지는 형태가 된다(이를 일반적으로 팔자걸음의 형태가 된다고 한다). 이는 대퇴골 후념으로 발목이 회전하는 형태를 말하는데, 이로 인하여 슬개골이 안쪽으로 쏠리게 된다. 즉, 슬개골이 양쪽 다리 안쪽 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무릎 내회전이 발생한다. 또한 발끝은 바깥을 보게 되어 팔자걸음을 걷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deformity of the lower extremities such as the varus called the O leg, the angle of the hip joint,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emoral neck axis and the femur is greater than the normal range (135°) (150 to 160°). As a result, the hip joint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emoral head and the femur) is opened and the foot is opened (this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nasolabial step). This refers to a form in which the ankle rotates as a backbone of the femur, which causes the patella to be skewed inward. In other words, an intra-knee rotation occurs where the patella faces in the inner direction of both legs. In addition, the tip of the toe looks outward, and you walk nasolabially.

따라서, 이와 같은 내반슬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발, 종아리, 무릎(슬개골) 및 허벅지(대퇴골)을 신체의 정면을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회전(외회전)시켜 주어야 안쪽을 바라보고 있는 슬개골이 정상 위치로 오게 된다. 허벅지(대퇴골) 역시 골반을 중심으로 외회전 시켜야 커졌던 고관절 각이 좁혀져 정상 위치로 오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the varus knee, the feet, calves, knees (patella) and thighs (femurs) must be rotated outward (external rotation) based on the front of the body so that the patella facing the inside comes to the normal position. . The thigh (femur) must also be rotated externally around the pelvis so that the larger hip joint angle is narrowed and returned to the normal position.

또한, 내반슬과 외반슬 여부나 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의사는 편안하게 누워있는 환자의 발을 내회전 또는 외회전시킨다. 이 때, 발의 회전에 대응하여 무릎의 회전의 정도를 보고,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을 회전시키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무릎의 회전 각도가 미미한 경우 등이 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를 이용하여 전술한 문제시되는 신체의 상태를 교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내반슬, 외반슬을 치료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 degree of varus and valgus, the doctor rotates the patient's foot, lying comfortably, internally or externally. At this tim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knee can be view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oot, and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foot is rotated, a case wher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knee is insignifican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oot may be determined as a patient to be treated. By correcting the state of the body in question by using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eat the varus and valgus as a whol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wearing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는, 사용자가 양쪽 하지, 즉 양쪽 다리에 각각, 즉 허벅지(대퇴골)에는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을 체결하고, 발목과 발에는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을 착용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ogether with FIG. 1,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on both lower limbs, that is, on both legs, that is, the first upper portion on the thigh (femur). The correction unit 50a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are fastened, and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are worn on the ankles and feet.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은 각각 홀더(51)와 제1 구동유닛(52)으로 구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1)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일정 영역 감싸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마다 허벅지의 둘레가 다르기 때문에 홀더(51)는 소정의 분리 영역을 갖는다. 또한, 제1 구동유닛(52)은 회전력을 공급하는 제1 구동부(52a)와 회전력을 홀더(51) 전체에 전달하기 위한 고정밴드(52b)로 구성된다. 고정밴드(52b)는 홀더(51) 둘레를 감싸면서 홀더(51)와 사용자의 허벅지의 체결력을 강화하면서 제1 구동부(52a)의 회전력이 고정밴드(52b)를 따라 홀더(51) 전체에 전달되도록 한다.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are each composed of a holder 51 and a first driving unit 52.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lder 51 is a user's thigh It is formed to surround a certain area. Since the circumference of the thigh is different for each user, the holder 51 has a predetermined separation area.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52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52a for supplying a rotational force and a fixing band 52b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entire holder 51. The fixing band 52b surrounds the holder 51 and strengthens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holder 51 and the user's thigh, whil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part 52a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holder 51 along the fixing band 52b. Make it possible.

홀더(51)의 내측은 사용자의 허벅지와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51)의 회전에 따라 홀더(51)의 내측과 접촉된 허벅지가 마찰력에 의해 홀더(5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고, 사용자의 허벅지의 회전 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51)의 내측면과 사용자의 허벅지의 마찰력에 따라서, 홀더(51)의 회전에 따른 홀더(51) 내측과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의 마찰력이 사용자의 허벅지의 회전을 불러일으킬 정도의 힘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홀더(51)의 회전 방향으로 사용자의 허벅지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러한 마찰력은 사용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허벅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The inside of the holder 5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 with the user's thigh. Accordingly, as the holder 51 rotates, the thigh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holder 51 receives a rotational for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older 51 by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user's thigh can be rota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inner side of the holder 51 and the user's thigh,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holder 51 and the user's thig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51 is a force that causes rotation of the user's thigh. This may not be. However, even in this case, since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is provided to the user's thigh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older 51, this frictional force may serve to induce the user to rotate his or her thigh with his or her own force.

따라서,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은 제1 구동부(52a)의 회전 방향과 회전 강도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허벅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may rotate the user's thigh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trength, and rotation angle of the first driving unit 52a.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은 각각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고정하는 신발(61)과, 신발(61)과 체결되어 신발(61)을 일정한 각도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유닛(62)을 포함한다.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are fastened to the shoes 61 and the shoes 61 to fix the user's feet and ankles, respectively, so that the shoes 61 are at a certain angle and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drive unit 62 to rotate.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하부 교정유닛(60b)에는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와 같이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구동유닛(62)이 배치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first lower calibration unit 60a and the second lower calibration unit 60b have a second driving unit 62 capable of supplying rotational force, like the first upper calibration unit 50a and the second upper calibration unit 50b. It is positioned so that the user's feet and ankles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골반 근육 상태나, 하지의 변형 상태 등에 따라 허벅지 부분과 발목 및 발 부분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치료 방법에 따라서 허벅지 부분과 발목 및 발 부분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gh part, the ankle, and the foot part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user's pelvic muscles or the state of deformation of the lower lim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gh part, the ankle, and the foot part may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는 제1 지지바(20a) 및 제2 지지바(20b) 사이에 간격조절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관절 교정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정면 모습이고 도 6은 관절 교정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면 모습이다. In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p adjustment unit 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20a and the second support bar 20b.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user wearing the joint correction device 10, and FIG. 6 is a rear view of the user wearing the joint correction device 10.

간격조절기(3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뒷(엉덩이) 부분에 제1 지지바(20a) 및 제2 지지바(20b)가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뒤쪽 영역에 위치한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지지바(20a) 및 제2 지지바(20b)의 위치를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간격조절기(30)는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는 사용자의 다리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ince the first support bar 20a and the second support bar 20b are located in the rear (hip) portion of the user, the spacer 30 is located in the rear area of the user. However, this is not fixed. In some cases, the positions of the first support bar 20a and the second support bar 20b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spacer 3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 In another aspec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user's leg.

한편, 사용자는 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를 착용하고 다를 쭉 편 채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가 사용자의 하지의 뒤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하반신이 장치(10)의 높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높이가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반신과 하반신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반신에 대응하는 바닥 영역에 매트를 깔고 교정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wear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perform the treatment while lying down comfortably while being straigh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are configured to be located behind the user's lower extremity, the lower body of the user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device 10.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ser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body, the user may perform orthodontic treatment by laying a mat on the floor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하부 교정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구동유닛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 교정유닛의 신발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lower correction uni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second driving unit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 of the lower corr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도 1과 함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하부 교정유닛(60b)은 각각 신발(61)과, 신발(61)과 체결되어 신발(61)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유닛(62)을 포함한다. 제2 구동유닛(62)은 신발(61)을 지지하는 베이스부(62a)와 베이스부(62a) 상에 배치되어 신발(61)을 회전시키는 회전판(62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to 9 along with FIG. 1,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a shoe 61 and a shoe 61 ) And a second driving unit 62 for rotating the shoe 61. The second driving unit 62 includes a base portion 62a supporting the shoe 61 and a rotating plate 62b disposed on the base portion 62a to rotate the shoe 61.

신발(61) 밑면에는 회전판(62b)과의 체결을 위해 체결돌기(68)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돌기(68)는 회전판(62b)에 형성된 체결홀(69)에 체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바(20a)는 제1 하부 구동유닛(60a)의 베이스부(62a)와 체결된다. 따라서, 신발(61)은 제1 지지바(20a)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도 9).A fastening protrusion 68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hoe 61 for fastening with the rotating plate 62b,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68 is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69 formed in the rotating plate 62b.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support bar 20a is fastened to the base portion 62a of the first lower driving unit 60a. Accordingly, the shoe 61 may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first support bar 20a (FIG. 9).

다른 측면에서, 신발(61)은 회전판(62b)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신발(61)은 회전판(62b)에 탈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의 사이즈에 받는 신발(61)로 교체가 가능하다.In another aspect, the shoe 61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62b. In another aspect, the shoe 61 may be detachable from the rotating plate 62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hoes 61 receiv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oot.

도 10은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의 제2 구동유닛의 베이스부 내에 배치되는 구동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system disposed in the base of the second drive uni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함께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10)는 제2 구동유닛(62)의 베이스부(62a) 내측에 구동시스템(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시스템(70)은 제2 구동부(72), 메모리(73), 모드 선택부(74), 제어부(75) 및 통신부(7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along with FIG. 1,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system 70 inside the base portion 62a of the second driving unit 62. have. The driving system 70 includes a second driving unit 72, a memory 73, a mode selection unit 74, a control unit 75, and a communication unit 76.

제2 구동부(72)는 제1 구동부(52a)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성부이다. 모터나 유압장치를 이용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일 경우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second driving unit 72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like the first driving unit 52a.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using a motor or hydraulic device, but this is not fixed. Therefore, in the case of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rotational force in a certain direction,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모드 선택부(74)는 제2 구동부(72)의 동력 이용,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1 하부 고정유닛(60a)을 사용자가 직접 힘에 의해 회전시키는 수동모드, 제2 구동부(72)의 동력을 이용하여 신발(61)의 회전 방향, 회전 시간, 회전 각도 등이 미리 설정된 자동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mode selection unit 74 uses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unit 72, a manual mode in which the user directly rotates the first upper calibration unit 50a and the first lower fixing unit 60a by force, and the second driving unit ( Using the power of 72),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time, and rotation angle of the shoe 61 may be classified into a preset automatic mode.

수동모드일 경우에는 제2 구동부(72) 또는 제1 구동부(52a)에 소정의 저항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힘을 사용하여 허벅지 또는 발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항력의 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허벅지 또는 발의 회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의 힘을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anual mode, the second driving unit 72 or the first driving unit 52a may have a predetermined resistance force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thigh or foot using the force step by step. In addition, the degree of this resistanc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lower or increase the user's force required to rotate the thigh or foot using a hydraulic device.

또한, 수동모드에서 사용자는 발에 힘을 주어 회전 각도가 점점 커지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을 시킬 수 있다. 단계적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판(62b)은 각 단계별로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을 회전시키지 않을 때의 회전판(62b)의 각도가 0도 라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발을 외회전시킬 때 회전판(62b)은 0도에서 a도 만큼만 회전할 수 있다(1단계). 그 다음 단계에서 회전판(62b)은 0도에서 b도 만큼 회전할 수 있으며(2단계), 또 그 다음 단계에서 회전판(62b)은 0도에서 c도 만큼 회전할 수 있다(3단계). 그리고, c는 b보다 큰 각도이고, b는 a보다 큰 각도이다. 이는 내 회전할 때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 모드에서 단계적으로 회전판(62b)을 단계적으로 회전 각도가 증가하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anual mode, the user can rotate the foot step by step in a dire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rotation angle by applying force to the foot. When rotating in stages, the rotating plate 62b may have a limited rotation range for each stage. For example, assume that the angle of the rotating plate 62b when the user does not rotate the foot is 0 degrees, 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foot externally, the rotating plate 62b can only rotate from 0 degrees to a degree (step 1). ). In the next step, the rotating plate 62b can rotate from 0 degrees to b degrees (step 2), and in the next step, the rotating plate 62b can rotate from 0 degrees to c degrees (step 3). And, c is an angle greater than b, and b is an angle greater than a. This can be explained as well for my rot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the foot rotation exercis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plate 62b is gradually increased in stages in the manual mode.

다른 측면에서, 수동 모드에서 회전판(62b)의 최대 회전 각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고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1, 2 및 3 단계 각각에서의 회전판(62b)의 최대 회전 각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에 힘을 주어 회전판(62b)을 회전시키고 각 단계별 최대 각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발의 회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수축된 근육의 이완 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it may be fix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62b in the manual mode. Specifically, it may be fix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62b in each of steps 1, 2, and 3, respectively. 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rotating plate 62b by applying force to the foot and maintain the state of rotation of the foot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maximum angle for each step, thereby maintaining the relaxed state of the contracted muscle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us exercise. You can increase the effect.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73) 등에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발과 허벅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통신부(76)를 통해 제1 구동부(52a)를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1 하부 교정유닛(60a)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utomatic mod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s feet and thighs may be rotated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such as the memory 73. In particular, the first upper calibration unit 50a and the first lower calibration unit 60a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r in different directions by allowing the first driving unit 52a to be controlled toge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6. can do.

또한, 회전 각도가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각 단계별로 소정의 시간동안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한 후, 회전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52a, 52b)가 홀더(5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1 구동부(52a, 52b)는 홀더(51)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허벅지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회귀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회전이 풀려 편안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구동부(72)는 하부 교정유닛(60a, 60b)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2 구동부(72)는 하부 교정유닛(60a, 60b)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발은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회귀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회전이 풀려 편안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다리 전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소정의 시간동안 그 상태를 유지한 후 일시적으로 회전이 해제되어 편안한 자세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반복할 수 있고, 회전 각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골반의 관절 상의 수축된 근육의 이완과 내외전이나 외회전 운동 효과를 주어 골반 및 다리가 교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can be increased step by step, and the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each step. In addition, after maintaining the rotation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rotation can be released.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units 52a and 52b rotate the holder 51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first driving units 52a and 52b may release the coupling with the holder 51. . At this time, since the user's thigh returns to a non-rotating state, the rotation is naturally released and returns to a comfortable state. Similarly, the second driving unit 72 rotates the lower calibration units 60a and 60b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cond driving unit 72 releases the coupling with the lower calibration units 60a and 60b. I can. At this time, since the user's feet return to a non-rotating state, the rotation is naturally released and returns to a comfortable state. Through this operation, the entire leg of the user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fter maintaining the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otation is temporarily released to return to a comfortable posture. This state can be repeated, and the operation can be repeated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Accordingly, the pelvis and legs can be corrected by providing the effect of relaxation of the contracted muscles on the joints of the pelvis and the internal abduction or external rotational movement.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는 하부 교정유닛(60a, 60b)를 사용자의 발의 힘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부(72)는 하부 교정유닛(60a, 60b)의 회전에 대항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부(72)는 하부 교정유닛(60a, 60b)의 회전 각도 정보를 상부 교정유닛(50a, 50b)로 제공하여 하부 교정유닛(60a, 60b)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부 교정유닛(50a, 50b) 내의 홀더(51)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발의 힘으로 하부 교정유닛(60a, 60b)를 회전시킬 때, 상부 교정유닛(50a, 50b)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다리 전체의 적절한 회전을 돕고, 골반의 관전 상의 수축된 근육의 이완을 돕는다.In another aspect, the user may rotate the lower correction units 60a and 60b by the force of the user's feet. In this case, the second driving unit 72 may provide a resistance force against rotation of the lower calibration units 60a and 60b.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72 provides the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lower calibration units 60a and 60b to the upper calibration units 50a and 50b to calibrate the upper par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wer calibration units 60a and 60b. The holder 51 in the units 50a and 50b can be rotated.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lower correction units (60a, 60b) with the force of his or her feet, the upper correction units (50a, 50b) rotate together to help the proper rotation of the entire leg, and Helps in relaxation.

다른 측면에서, 통신부(76)는 외부장치(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리모컨 등)로부터 수신된 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5)는 수신된 명령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73)에 미리 저장된 프로세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communication unit 76 may receive a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remote control used by a user). The control unit 75 may operate according to a proces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73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ommand signal.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는, 발의 회전 또는 발의 회전과 함께 허벅지의 회전을 통해 다리 전체를 외회전 또는 내회전 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골반 근육을 강화 시키고, 수축된 골반 근육을 인장시킬 수 있다. 나아가,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entire leg externally or internally through the rotation of the thigh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foot or rotation of the foot, and as a result, the pelvis, the hip joint, the thigh (femur), the calf, the ankle, and the foot are integrally externally rotated. It can be rotated or internally rotated, thereby strengthening the pelvic muscles and tensioning the contracted pelvic muscles.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rrect the bent leg.

또한, 제어부(75)는 제1 및 제2 하부 교정유닛(60a, 60b)을 제어함과 동시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76)를 통해 제1 및 제2 상부 교정유닛(50a, 50b)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교정유닛(50a, 50b) 각각은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허벅지 회전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5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ower calibration units 60a and 60b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calibration units 50a and 50b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6. Can transmit control signal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correction units 50a and 50b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otating the thigh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관절 교정장치에 배치되는 간격조절부(30)를 제1 하부 교정유닛(60a)과 제2 하부 교정유닛(60b)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양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였다.11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lower correction unit (60a) and the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60b) the interval adjustment unit 30 disposed in the joint correction device,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feet.

도 12는 관절 교정장치에 배치되는 간격조절부(30)를 제1 상부 교정유닛(50a)과 제2 상부 교정유닛(50b)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양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였다.12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upper correction unit (50a) and the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50b) the space adjustment unit 30 disposed in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feet.

또한, 간격조절부(30)는 사용자의 양발 사이의 간격 조절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지지바(20a, 20b)를 서로 고정하고, 이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교정장치(10)의 사용 중에 자세가 틀어지거나, 다리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는 것을 막아 교정장치(10)의 올바른 사용이 유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pacing adjustment unit 30 may serve to fix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to each other and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20a and 20b as well as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user's both feet. Accordingly, the correct use of the corrective device 10 is maintained by preventing the user from changing their posture or changing the gap between the legs while using the corrective device 10.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관절 교정장치(100)는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에 착용하여 골반과 허리를 고정하는 착용수단(120)과, 사용자의 양쪽 하지(양쪽 다리) 중 고관절과 허벅지(대퇴골) 회전을 위해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와, 사용자의 양쪽 하지 중 종아리의 회전을 위해 고정하는 제3 및 제4 고정홀더(140, 240)와, 사용자의 양쪽 하지 중 발목과 발에 각각 착용하여 고정되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3, the present invention joint correction device 100 is a wearing means 120 for fixing the pelvis and waist by wearing on the user's waist or pelvis, and the hip joint and thigh among both lower limbs (both legs) of the user. (Femur) first and second fixed holders 130 and 230 fixed for rotation, third and fourth fixed holders 140 and 240 fixed for rotation of the calves of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and the user's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for wearing and fixing the ankles and feet of both lower limbs.

또한, 제1 고정홀더(130)과 제2 고정홀더(230) 사이에는 사용자의 양쪽 허벅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1 간격 조절부(160)가 배치되고, 제3 및 제4 고정홀더(140, 240) 사이에는 사용자의 양쪽 종아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 간격 조절부(260)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fixed holder 130 and the second fixed holder 230, a first gap adjusting unit 160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both thighs of the user is disposed, and the third and fourth fixed holders 140 A second spacing adjustment unit 260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alves of the us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d 240 ).

제1 고정홀더(130)는 사용자의 허벅지(대퇴골)를 고정하는 제1 홀더부(131)와 고정바들과 체결되는 제1 홀더 체결부(133) 및 사용자의 허벅지 둘레 크기에 맞게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밴드(132)를 포함한다. 제2 고정홀더(230) 역시 제1 고정홀더(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fixing holder 130 is a first holder part 131 that fixes the user's thigh (femur), a first holder fastening part 133 that is fastened to the fixing bars, and the user's thigh circumference size. It includes a first fixing band (132). Since the second fixing holder 230 is also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xing holder 130,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 고정홀더(130)는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무릎을 고정하는 제2 홀더부(141)와 고장바들과 체결되는 제2 홀더 체결부(144) 및 사용자의 종아리 둘레 크기에 맞게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밴드(1423)를 포함한다. 제4 고정홀더(240) 역시 제3 고정홀더(14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fixing holder 130 includes a second holder part 141 that fixes the user's calves or knees, a second holder fastening part 144 that is fastened to the broken bars, and a material that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calf circumference. Includes 2 fixed bands (1423). Since the fourth fixing holder 240 is also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fixing holder 140,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착용수단(120)에는 사용자의 양쪽 하지와 대응되도록 제1 측면지지대(170)와 제2 측면지지대(270)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측면지지대(170)는 각각 한쌍의 제1 지지대(170a, 170b)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측면지지대(170, 270)는 제1 내지 제4 고정홀더(130, 230, 140, 240),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을 고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과 결합되어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first side support 170 and a second side support 270 are disposed on the wearing means 120 so as to correspond to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side supports 170 are each composed of a pair of first supports 170a and 170b. The first and second side supports 170 and 270 are disposed to fix the first to fourth fixing holders 130, 230, 140,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It is combined with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173 and serves to support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173.

또한,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는 각각 한쌍의 고정바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하지 중 일측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측면지지대(170, 270)와 직렬 형태로 체결된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173 are each composed of a pair of fixing bars,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side supports 170 and 270 arranged to correspond to one direction of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 And connected in series.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수단(120)으로부터 양쪽 하지 중 일측 방향의 하지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1 측면지지대(170)와 제2 측면지지대(270)은 한쌍의 고정바로 구성된 제1 고정바(171)와 체결된다. 제1 고정바(171)를 구성하는 한쌍의 고정바는 제1 고정홀더(130)를 샌드위치 형태로 고정 및 지지한다.As shown in Fig. 13, the first side support 170 and the second side support 270 protruding from the wearing means 120 to correspond to the lower extremities in one direction of both lower extremities are a first fixing consisting of a pair of fixing bars It is fastened with the bar 171. A pair of fixing bars constituting the first fixing bar 171 fixes and supports the first fixing holder 130 in a sandwich shap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에는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이 직렬 형태로 체결된다. 제1 내지 제4 고정홀더(130, 230, 140, 240)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는 각각 한쌍의 체결부들로 구성된 제1 내지 제3 홀더체결부(133, 144, 155)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홀더체결부(133, 144, 155)는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 각각을 구성하는 한쌍의 고정바들과 체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and 173 are fastened in series to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fixing holders 130, 230, 140,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each have first to third holder fastening parts 133, each composed of a pair of fastening parts. 144, 155) are arranged. The first to third holder fastening portions 133, 144, and 155 are fastened with a pair of fixing bars constituting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and 173, respectively.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이 접속되는 영역과 제1 고정바(171)와 제1 측면지지대(170)가 접속되는 영역에는 제1 내지 제3 조인트부(177, 277, 377)가 형성되는데, 제1 내지 제3 조인트부(177, 277, 377)는 두 개의 고정바들이 결합되는 결합 영역으로써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인트부(177, 277, 377)가 절곡되는 기능을 갖는 이유는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누울 경우 신체 구조상 자연스럽게 허벅지와 종아리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기 때문이다. 신체 하지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골반과 허벅지(대퇴골) 사이의 고관절 회전 시키는데, 이때 허벅지를 중심으로 외회전 또는 내회전을 진행해야 변형된 신체를 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first to third joints 177 and 277 are in the region to which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173 are connected and the region to which the first fixing bar 171 and the first side support 170 are connected. , 377) is formed, and the first to third joint portions 177, 277, and 377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s a bonding region in which the two fixing bars are coupled. The reason why the first to third joint portions 177, 277, and 377 have a function of bending is that when the user lies in a comfortable state, the thigh and calf are naturally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the body structure. In order to correct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the hip joint is rotated between the pelvis and the thigh (femur), because the deformed body can be corrected only when external or internal rotation is performed around the thigh.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조인트부(177, 277, 377)들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특히, 제1 고정홀더(130)와 제2 고정홀더(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간격 조절부(160)와 제3 고정홀더(240)와 제4 고정홀더(2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간격 조절부(260)은 사용자의 허벅지와 종아리의 절곡 각도에 따라 같은 길이로 조절되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joint portions 177, 277, and 377 to which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and 173 are connected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particular, the first space adjustment unit 16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holder 130 and the second fixing holder 230 and the third fixing holder 240 and the fourth fixing holder 240 2 The spacing adjustment unit 260 may be adjusted to have the same length or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s of the user's thigh and calf.

예를 들어, 제1 간격 조절부(160)의 길이가 제2 간격 조절부(260)의 길이보다 더 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웠을 때 무릎 영역이 신체 하지의 방향을 기준으로 신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와 대응된다.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gap adjusting part 16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gap adjusting part 260, the knee area generally moves outward from the body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of the body when the user lies down. Corresponds to the protruding shape.

즉,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사용자가 반듯하게 누웠을 때, 두 다리를 곧게 뻗은 상태에서 고관절, 대퇴골(허벅지), 무릎뼈(슬개골), 정강이(종아리), 종아리뼈, 발목 및 발을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160, 260)의 길이가 비슷하게 된다.That is,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ip joint, the femur (thigh), the knee bone (patella), the shin (calf), the calf bone, the ankle and the foot in a state where the two legs are straightened when the user lies upright. In the case of rotating,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pacing adjustment units 160 and 260 are similar.

하지만, 무릎을 조금 구부린 상태에서는 제1 간격 조절부(160)의 길이가 제2 간격 조절부(260)의 길이보다 길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허벅지(대퇴골)를 중심으로 외회전 또는 내회전을 운동을 할 수 있다.However, in a state where the knee is slightly bent, the length of the first gap adjusting part 16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gap adjusting part 260, and in this state, you can exercise external or internal rotation around the thigh (femur). I can.

착용수단(120)은 단단한 구조의 몸체부(121)와 몸체부(121)의 끝단에 연결된 밸트부(125)로 구성되고, 몸체부(121) 내면에는 락텍스 계열의 보호패드(122)와 지지패드(123)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패드(122)는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에 착용수단(120)이 접촉될 때, 사용자의 신체와의 마찰 등으로 인한 신체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패드(123)는 신체의 관절 교정 운동을 진행할 때, 사용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허리를 지지하면서 교정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허리와 골반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지지패드(123)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24)들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부(124)들은 사용자의 허리와 골반 영역을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wearing means 120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21 of a rigid structure and a belt portion 125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1 is a protective pad 122 of a Lactex series and The support pad 123 may be disposed. When the wearing means 12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and pelvis, the protective pad 122 functions to prevent body damage due to friction with the user's body. The support pad 123 functions to prevent movement of the lower back and pelvis during corrective treatment while supporting the lower back around the user's spine when performing a joint correction exercise of the body. Accordingly,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d 123, and the protrusions 124 serve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pelvis reg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제1 간격 조절부(160)는 제1 홀더고정부(161a), 제2 홀더고정부(161b), 제1 샤프트(162a), 제2 샤프트(162b), 결합부(163) 및 회전 조절부(164)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제2 간격 조절부(260) 역시 제1 간격 조절부(160)와 동일한 구성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간격 조절부(260)는 제1 홀더고정부(261a), 제2 홀더고정부(261b), 제1 샤프트(262a), 제2 샤프트(262b), 결합부(263) 및 회전 조절부(264)로 구성된다. 다만, 제2 간격 조절부(260)와 제1 간격 조절부(160)는 서로 다른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샤프트들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ap adjustment unit 160 includes a first holder fixing part 161a, a second holder fixing part 161b, a first shaft 162a, a second shaft 162b, a coupling part 163, and rotation. Joint correction device including the adjustment unit 164. The second spacing control unit 260 may also be formed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first spacing control unit 160. Accordingly, the second gap adjustment unit 260 includes the first holder fixing part 261a,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261b, the first shaft 262a, the second shaft 262b, the coupling part 263, and rotation. It consists of an adjustment unit 264. However, since the second gap adjusting part 260 and the first gap adjusting part 160 can adjust different gaps,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may be different.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의한 회전 운동이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에 의해 사용자의 종아리, 허벅지(대퇴골), 고관절을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내반슬 또는 외반슬과 같은 다리 변형을 교정하도록 하였다.In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alf by the first to third fixed bars 171, 172, 173 are rotated by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250, The thigh (femur) and hip joint were rotated together to correct leg deformation such as varus or valgus.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의 동작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사용자의 하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의 모드에 따라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하지를 회전시키거나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하지의 각 부분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otate the user's lower limbs at various angles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ot and foot drive units 150 and 250.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otates the user's lower limbs by power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first and second foot and foot drive units 150 and 250 or not by the user's force. It can be operated in a way that rotates each part of it.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사용자의 발이 착용된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의해 사용자의 발이 외회전하게 되면 고정바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제1 내지 제4 고정홀더(130, 230, 140, 240)가 종아리와 허벅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외회전하기 때문에 내반슬 교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user's foot rotates externally by the first and second foot and foot drive units 150 and 250 on which the user's foot is worn,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first to the fourth connected by fixing bars. Since the holders 130, 230, 140, and 240 rotate externally while fixing the calves and thigh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rrection of the varu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착용수단(120)을 배치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관절 교정장치(100)로부터 착용수단(120)을 분리하여 제1 내지 제4 고정홀더(130, 230, 140, 240)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 만으로 교정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ing means 120 is disposed for the user's convenience, but this is not fixed. Therefore, by separating the wearing means 120 from the joint correction device 100, the first to fourth fixing holders 130, 230, 140,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are used for correction. You can proceed with the exercise.

또한, 사용자의 내반슬 또는 외반슬 치료를 위하여 고관절 영역 즉 골반과 허벅지의 외회전 또는 내회전을 중심으로 교정 치료를 의도한 경우에는 종아리 또는 무릎을 고정하기 위한 제3 및 제4 고정홀더(140, 240) 역시 관절 교정장치(100)로부터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rrective treatment is intended centering on the hip joint region, that is, external rotation or internal rotation of the pelvis and thigh for the treatment of the user's varus or valgus, the third and fourth fixing holders 140 and 240 for fixing the calf or knee are also It can be removed from the joint correction device 100 and u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는,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켜 골반의 근육 강화, 골반 인대의 수축 해소 및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waist of the body is fixed, rotates the pelvis, hip joints, thighs (femurs), calves, ankles, and feet integrally externally or internally to strengthen the muscles of the pelvis, It has the effect of relieving contraction and correcting bent legs.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에 의한 회전력이 골반, 허벅지, 종아리, 발목에 일체로 작용하여 신체 하지 전체를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acts integrally with the pelvis, thighs, calves, and ankles, thereby allowing the entir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to rotate externally or internally.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의 구동을 스마트폰 어플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드별 자신의 신체 맞는 관절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perform a joint rotation movement that fits his body for each mode b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remote controller to drive the driving unit for feet and feet.

도 14 및 도 15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고정홀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4 and 15 are views showing a fixed holder structure of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과 함께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쪽 하지 중 고관절과 허벅지(대퇴골) 회전을 위해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와, 사용자의 양쪽 하지 중 종아리 또는 무릎을 고정하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제3 및 제4 고정홀더(140, 2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4 and 15 together with FIG. 13,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that are fixed for rotation of the hip and thigh (femur) among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 and third and fourth fixing holders 140 and 240 for fixing or rotating a calf or knee among both lower limbs of the user.

또한,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를 이용하여 허벅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 각각은 허벅지와 접촉하는 접촉층과 접촉층을 회전시키고 제1 간격조절부(160)와 연결된 연결층, 즉 2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층은 접촉층을 회전시켜 접촉층과 허벅지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접촉층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허벅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접촉층과 연결층 사이에서 연결층을 이용하여 접촉층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적인 구성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 각각은 각각은 허벅지와 접촉하는 접촉층과 접촉층을 회전시키고 제1 간격조절부(160)와 연결된 연결층, 즉 2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층은 접촉층을 회전시켜 접촉층과 허벅지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접촉층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허벅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접촉층과 연결층 사이에서 연결층을 이용하여 접촉층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적인 구성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otate the thigh us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rotates the contact layer and the contact layer in contact with the thigh. 1 It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on layer connected to the spacing control unit 160, that is, a double layer. In addition, the connection layer rotates the contact layer so that the thigh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act layer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ontact layer and the thigh.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contact layer between the contact layer and the connection layer by using the connection layer. Similar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may be configured as a connection layer, that is, a double layer, which rotates the contact layer and the contact layer in contact with the thigh,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ap adjustment unit 160. have. In addition, the connection layer rotates the contact layer so that the thigh rotate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act layer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ontact layer and the thigh.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to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contact layer between the contact layer and the connection layer by using the connection layer.

제1 고정홀더(130) 및 제2 고정홀더(230)는 각각 사용자의 허벅지(대퇴골)를 고정하는 제1 홀더부(131)와 고정바들과 체결되는 제1 홀더 체결부(133) 및 사용자의 허벅지 둘레 크기에 맞게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밴드(132)를 포함한다. The first fixing holder 130 and the second fixing holder 230 each have a first holder part 131 for fixing the user's thigh (femur), a first holder fastening part 133 connected to the fixing bars, and the user's It includes a first fixing band 132 that can be fixed to fit the siz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high.

제3 고정홀더(140) 및 제4 고정홀더(240)는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무릎을 고정하는 제2 홀더부(141)와 고장바들과 체결되는 제2 홀더 체결부(144) 및 사용자의 종아리 둘레 크기에 맞게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밴드(142)를 포함한다.The third fixed holder 140 and the fourth fixed holder 240 are provided with a second holder part 141 for fixing the user's calves or knees, a second holder fastening part 144 connected to the broken bars,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calf. It includes a second fixing band 142 that can be fixed to fit the size.

또한, 제1 고정홀더(130)와 제2 고정홀더(230) 사이에는 제1 간격 조절부(160)가 배치된다. 제1 간격 조절부(160)는 제1 홀더고정부(161a), 제2 홀더고정부(161b), 제1 샤프트(162a), 제2 샤프트(162b), 결합부(163) 및 회전 조절부(164)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gap adjustment unit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holder 130 and the second fixing holder 230. The first gap adjusting part 160 includes a first holder fixing part 161a, a second holder fixing part 161b, a first shaft 162a, a second shaft 162b, a coupling part 163, and a rotation adjusting part. Including (164).

또한, 제3 고정홀더(140)와 제4 고정홀더(240) 사이에는 제2 간격 조절부(260)가 배치된다. 제2 간격 조절부(260)는 제1 간격 조절부(160)와 동일한 구성부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1 간격 조절부(160)와 제2 간격 조절부260)는 각각 샤프트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gap adjusting part 260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fixing holder 140 and the fourth fixing holder 240. The second spacing control unit 260 is formed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first spacing control unit 160.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spacing adjustment units 160 and 260 may be adjusted at different intervals by having different lengths of the shafts.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체 하지 변형의 원인으로 허벅지(대퇴부)와 고관절 영역만 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종아리 또는 무릎을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홀더(140)와 제4 고정홀더(240)는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에서 제거하고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reating only the thigh (femur) and hip joint region as a cause of body lower limb deformation, the third fixing holder 140 and the fourth fixing holder 240 for fixing the calf or knee are shown. It can be removed and used in the joint correction device of the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발착용 구동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은 사용자의 발과 발목 상부까지 고정할 수 있는 신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는 발과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부츠부(251), 제1 탈착부(252), 각도 조절부(400), 제2 탈착부(257), 구동유닛(3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은 사용자의 발가락이 보일 수 있도록 오픈 영역(OP)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영역에는 복수개의 발가락 고정부(253)를 배치할 수 있다. 발가락 고정부(253)는 발이 회전 운동을 할 때,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 내부에서 사용자의 발이 유동하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6,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for feet and fee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hoes that can be fixed to the user's feet and upper ankles.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for foot and ankle are fixed to the boot unit 251, the first detachable unit 252, the angle adjustment unit 400 , And a second detachable unit 257, a driving unit 300, and a display unit 500.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o have an open area (OP) so that the user's toes can be seen, and a plurality of toe heights are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user's soles touch. Government 253 can be deployed. The toe fixing part 253 is to fix the user's feet so that they do not flow inside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when the feet rotate.

또한, 구동유닛(300)과 디스플레이부(500)는 교정 자동시스템으로 동작하여 다양한 각도로 사용자의 하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배치된 구동유닛(300)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사용자의 하지를 회전시키거나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하지의 각 부분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500 may operate as an automatic calibration system to rotate the user's lower limbs at various angles. 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djusts the user's lower limbs by power according to the mode set in the driving unit 300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It can be operated in a way that rotates or rotates each part of the lower limb by the user's force.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유닛(300)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구동유닛(300)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unit 300 is configured in a manner that is coup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and 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 150, 25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each.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에 배치된 간격 조절기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도 17의 간격 조절기에 배치된 회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상기 도 18의 회전 조절부의 Ⅰ-Ⅰ’선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체결 고정바들의 결합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nterval adjuster disposed in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adjusting unit disposed in the spacing adjuster of FIG. 17.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Ⅰ-Ⅰ' of the rotation adjusting part of FIG. 18. 20 and 21 are views showing the coupling principle of the fastening fixing bars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n angle adjustment uni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과 함께 도 17 내지 도 22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160, 260)는 제1 홀더고정부(161a), 제2 홀더고정부(161b), 제1 샤프트(162a), 제2 샤프트(162b), 결합부(163) 및 회전 조절부(164)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제1 간격 조절부(16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7 to 22 together with FIG. 13, the first and second gap adjustment units 160 and 260 include a first holder fixing part 161a, a second holder fixing part 161b, and a first shaft 162a. ), a second shaft 162b, a coupling portion 163, and a rotation adjustment portion 164. Here, a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the first spacing adjustment unit 160.

제1 홀더고정부(161a)와 제2 홀더고정부(161b)는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에 각각 고정되고, 제1 샤프트(162a)와 제2 샤프트(162b) 사이에는 결합부(163)이 체결된다. 결합부(163)의 구조를 보면 결합부(163)의 표면둘레에는 회전 조절부(164)가 결합부(16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조절부(164) 내측에는 제1 샤프트(162a)와 제2 샤프트(162b)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여 나사홈들이 결합부(163)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holder fixing part 161a and the second holder fixing part 161b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first shaft 162a and the second shaft 162b The coupling part 163 is fastened.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163, a rotation adjustment portion 16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ortion 163 around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63. In addition, inside the rotation control unit 164, screw grooves are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63 to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formed on the first shaft 162a and the second shaft 162b.

따라서, 결합부(163)는 제1 샤프트(162a)와 제2 샤프트(162b)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회전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절부(164)를 돌려가면서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절부(164)를 돌리면 제1 샤프트(162a)와 제2 샤프트(162b)가 서로 가깝게 접근하여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의 거리가 좁혀진다. 반대로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절부(164)를 돌리면 제1 샤프트(162a)와 제2 샤프트(162b)가 서로 멀어져 제1 및 제2 고정홀더(130, 230)의 거리가 멀어진다.Therefore, the coupling part 163 is the first and second fixed holders while rotating the rotation adjusting part 164 in the first rotation or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while the first shaft 162a and the second shaft 162b are fastened. The distance of (130, 23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control unit 164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shaft 162a and the second shaft 162b com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is reduced. Narrows. Conversely, when the rotation control unit 16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shaft 162a and the second shaft 162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130 and 230.

도 20 및 도 21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고정바(171, 172, 173)들이 체결되는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바(B1)와 제2바(B2)에는 각각 체결홀(H)과 체결돌기(P)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홀(H)과 체결돌기(P)가 형성된 영역의 제1바(B1)와 제2바(B2)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도록 유동부(177a)가 형성된다. 즉, 제1바(B1)와 제2바(B2)는 견고한 바형태로 형성되나 유동부(177a)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다양한 방향으로 꺽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20 and 21,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fixing bars 171, 172, and 173 are fastened is as follows. The first bar (B1) and the second bar (B2) are each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H) and a fastening protrusion (P), and the first bar ( B1) and the second bar (B2) is formed with a flow portion (177a) so that it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the first bar (B1) and the second bar (B2) are formed in a solid bar shape, but ar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nding in various directions in a region in which the flow portion 177a is formed.

제1바(B1)와 제2바(B2)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바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부(BT)를 누르면 제1바(B1) 또는 제2바(B2)에 형성된 체결돌기(P)가 바(Bar) 내측으로 들어간다. 그런 다음, 제1바(B1)와 제2(B2)의 체결홀(H)과 체결돌기(P)가 얼라인 되면 눌러졌던 버튼부(BT)를 원래 상태로 복귀 시켜 바(Bar) 내측으로 들어가 있던 체결돌기(P)가 바(Bar)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홀(H)과 체결된다.To fasten the first bar (B1) and the second bar (B2), first press the button part (BT) formed on each bar, then the fastening protrusion (P) formed on the first bar (B1) or the second bar (B2) Goes inside the bar. Then, when the fastening hole H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P of the first bar B1 and the second B2 are aligned, the button part BT that was presse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bar is moved inside the bar. The entered fastening protrusion (P)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ar and is fastened with the fastening hole (H).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는 각도 조절부(400)가 배치되어 있어,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이 회전할 때 회전 각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한 후,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설치된 각도 조절부(400)를 조절하여 신체 하지 교정을 위한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are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unit 40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are provided. When it rotates, the rotation angle can be set in various ways. That is, after the user wears the joint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for correcting the lower extremities of the body can be set by adjusting the angle adjustment unit 400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foot and foot drive units 150 and 250. have.

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도 조절부(400)를 조절할 수 있지만, 교정 자동시스템 형태로 동작할 경우에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휴대폰을 통한 제어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조절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below, the user can manually adjust the angle adjustment unit 400, but when operating in the form of an automatic calibration system, control through a mobile phone or remote controller by inputting a command signal through a mobile phone application.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는,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켜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a bent leg by rotating the pelvis, hip joint, thigh (femur), calves, ankles, and feet integrally externally or internally in a state where the waist of the body is fixed.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에 의한 회전력이 골반, 허벅지, 종아리, 발목에 일체로 작용하여 신체 하지 전체를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acts integrally with the pelvis, thighs, calves, and ankles, thereby allowing the entir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to rotate externally or internally.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의 구동을 스마트폰 어플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드별 자신의 신체 맞는 관절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perform a joint rotation movement that fits his body for each mode b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remote controller to drive the driving unit for feet and feet.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의 발착용 구동유닛의 동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도 23의 모드(Mode) 설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를 이용한 관절 교정방법을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2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ystem of a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tting unit of FIG. 23. 25 is a flowchart showing a joint correction method using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6과 함께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100)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각각 구비된 구동유닛(300)에 의해 사용자의 하지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3 to 25 along with FIGS. 1 and 16,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300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respectively. The user's lower limb movement can be controlled by thi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500)와 구동유닛(300)은 교정 자동시스템(6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는 스마트폰(350)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교정 자동시스템(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display unit 500 and the driving unit 300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may be implemented as an automatic calibration system 600. He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alibration system 600 by using a smart phone 350 application or a remote controller.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은 각각 구동부(301), 메모리(302), 모드 설정부(303) 및 제어부(304)으로 구성된 구동유닛(300)을 포함한다. 또한, 모드 설정부(300)는 구동부(301)의 동력 이용, 제1 또는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을 사용자가 직접 힘에 의해 회전시키는 수동모드, 구동부(301)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 방향, 회전 시간, 회전 각도 등의 자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321)와, 선택부(321)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여 구동부(301)를 제어하는 조절부(322)와, 메모리(302)로부터 선택 정보를 전달 받거나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메모리(302)에 전달하며, 제어부(304)에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323)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include a driving unit 300 composed of a driving unit 301, a memory 302, a mode setting unit 303, and a control unit 30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ode setting unit 300 uses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301, a manual mode in which the user directly rotates the first or second driving units 150, 250 for desorption, and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301. A selection unit 321 capable of selecting an automatic mode such as a rotation direction, rotation time, and rotation angle by using, and an adjustment unit 322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301 in response to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selection unit 321,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23 that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302 or transmits the user's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memory 302 and transmits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4.

본 발명의 관절 교정장치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가 도 13에 도시된 관절 교정장치(100)를 착용하여 신체 하지 변형에 대한 교정 치료를 받기 위한 준비 단계(S1600)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에 배치된 구동유닛(300) 내의 모드 설정부(300)에서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601)와, 선택된 모드로 도 1의 관절 교정장치의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 제1 내지 제4 고정홀더(130, 230, 140, 240)를 회전 하는 단계(S1602)와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회전이 완료되면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시간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150, 250)을 원래 위치로 정렬하는 단계(S1603)를 포함한다.The driving method of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paration step (S1600) for receiving correction treatment for body lower limb deformation by wearing 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Selecting an automatic mode or a manual mode in the mode setting unit 300 in the driving unit 300 disposed in the driving units 150 and 250 (S1601),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 correction apparatus of FIG. 1 in the selected mode. Rotating the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and the first to fourth fixed holders 130, 230, 140, and 240 (S1602) and when rotation is completed in response to the set mode,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align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150 and 250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ile rota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S1603).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교정장치는, 신체의 허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골반, 고관절, 허벅지(대퇴골), 종아리, 발목 및 발을 일체로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켜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joint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a bent leg by rotating the pelvis, hip joint, thigh (femur), calves, ankles, and feet integrally externally or internally in a state where the waist of the body is fixed.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에 의한 회전력이 골반, 허벅지, 종아리, 발목에 일체로 작용하여 신체 하지 전체를 외회전 시키거나 내회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acts integrally with the pelvis, thighs, calves, and ankles, thereby allowing the entire lower extremity of the body to rotate externally or internally.

또한, 발착용 구동유닛의 구동을 스마트폰 어플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드별 자신의 신체 맞는 관절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perform a joint rotation movement that fits his body for each mode by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or a remote controller to drive the driving unit for feet and feet.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that can be replaced or additionally It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Claims (14)

사용자의 허벅지를 고정 및 회전시키는 한 쌍의 상부 교정유닛;
상기 사용자의 발목과 발을 고정 및 회전시키는 한 쌍의 하부 교정유닛; 및
상기 상부 교정유닛과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고정하는 한 쌍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교정유닛 각각은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신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회전시킬 때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회전시키는
관절 교정장치.
A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s fixing and rotating the user's thigh;
A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fixing and rotating the ankles and feet of the user; And
Includes; a pair of support bars for fixing the upper calibration unit and the lower calibration unit,
Each of the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sho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being fastened to a first driving unit and the first driving unit,
The first driving unit provides a predetermined resistance when rotating the lower calibration unit by the user's force, or rotates the lower calibration unit.
Joint correc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교정유닛 각각은 상기 허벅지를 감싸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회전시 상기 홀더 내측면과 상기 허벅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허벅지를 회전시키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holder surrounding the thigh and a second driving unit rotating the holder,
When the holder rotates, the thigh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holder and the thigh.
Joint correc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에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바 각각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the pair of support bars, a gap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air of support bars; further comprising
Joint correc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교정유닛은 왼쪽 다리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제1 상부 교정유닛과 오른쪽 다리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제2 상부 교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교정유닛은 왼쪽 발에 착용되는 제1 하부 교정유닛과 오른쪽 발에 착용되는 제2 하부 교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교정유닛이 회전 시 상기 제1 하부 교정유닛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상부 교정유닛이 회전하고,
상기 제2 하부 교정유닛이 회전 시 상기 제2 하부 교정유닛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상부 교정유닛이 회전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upp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first upp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thigh of the left leg and a second upp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thigh of the right leg,
The pair of lower correction units includes a first low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left foot and a second lower correction unit worn on the right foot,
When the first lower calibration unit rotates, the first upper calibration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lower calibration unit,
When the second lower calibration unit rotates, the second upper calibration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ower calibration unit.
Joint correction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하부 교정유닛을 회전 각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각 단계별로 회전 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하고,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상부 교정유닛을 회전시키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driving unit increa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calibration unit step by step and maintains the rotation state in each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the second driving unit rotates the upper calibration unit.
Joint correction device.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에 착용 및 고정되고, 양쪽 하지 방향으로 각각 한쌍의 측면지지대가 돌출된 착용수단;
상기 양쪽 하지 방향으로 각각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1 고정홀더 및 제2 고정홀더;
상기 사용자의 양쪽 발목과 발에 각각 착용 및 고정되는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 및
상기 제1 고정홀더 및 제2 고정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양쪽 대퇴부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 하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측면지지대들과 결합하고, 상기 발착용 구동유닛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일체로 제1 고정홀더 및 제2 고정홀더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골반, 고관절, 대퇴부 및 발목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홀더와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들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바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Wearing means that are worn and fixed to the user's waist or pelvis, and a pair of side supports protruding in both lower limb directions, respectively;
A first fixing holder and a second fixing holder that are worn and fixed to the user's thigh in both lower limb direction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wearing and fixing on both ankles and feet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ed holder and the second fixed holder and includes a first distan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both thighs of the user,
Combined with a pair of side supports protruding in each of the lower extremities directions, and integrally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for foot and foot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the user's pelvis, hip joints, thighs, and ankles Joint corr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ing bar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ders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foot and foot so as to be able to rotate at the same tim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양쪽 종아리 또는 무릎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3 고정홀더 및 제4 고정홀더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xing holder and a fourth fixing holder worn and fixed to both calves or knees of the us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홀더 및 제4 고정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양쪽 종아리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ap adjus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third fixing holder and the fourth fixing holder and adjusting a gap between both calves of the us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간격 조절부는 각각 제1 홀더고정부, 제2 홀더고정부,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제1 및 제2 샤프트 결합부 및 회전 조절부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gap adjustment units, respectively, a first holder fixing portion, a second holder fixing portion, a first shaft, a second shaft,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shaft coupling portion and a rotation adjustment por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면지지대와 대응되는 고정바들은 각각 한쌍의 고정바로 구성되고, 각각은 사용자의 하지 방향을 따라 제1 고정홀더 및 제1 발착용 구동유닛과 제2 고정홀더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과 결합 및 고정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fixing bar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ide supports is composed of a pair of fixing bars, each of which is a first fixing holder and a first driving unit, a second fixing holder,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feet and feet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 Joint correction device that is combined and fixed with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들은 사용자의 하지 방향을 따라 직렬로 연결되고 연결되는 조인트부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xed bars are connected in series along the user's lower limb direction, and the joint portion to be connecte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은 각각 구동부, 메모리, 모드 설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for foot and foot joints includes a driving unit, a memory, a mode setting unit, and a control unit.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 이용, 상기 제1 또는 제2 발착용 구동유닛을 사용자가 직접 회전, 회전 방향, 회전 시간, 회전 각도 등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절부;
상기 메모리로부터 선택 정보를 전달 받거나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메모리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에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mode setting unit,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rotation, a rotation direction, a rotation time, a rotation angle, etc. of the first or second driving unit for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or second driving unit;
An adjustment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in response to information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A joint corr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or transmitting user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memory, and transmitt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착용 구동유닛은 사용자가 직접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관절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foot and foot drive units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rotation angle.
KR1020190113504A 2019-09-16 2019-09-16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KR102340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04A KR102340611B1 (en) 2019-09-16 2019-09-16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04A KR102340611B1 (en) 2019-09-16 2019-09-16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34A true KR20210032134A (en) 2021-03-24
KR102340611B1 KR102340611B1 (en) 2021-12-16

Family

ID=7525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504A KR102340611B1 (en) 2019-09-16 2019-09-16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6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094A (en) * 1997-11-03 1999-06-05 최인호 Detachable Abduction Orthosis
KR200394190Y1 (en) * 2005-06-01 2005-08-30 바이오메카닉스 (주) A footing control device for correcting lege
KR20080023965A (en) * 2006-09-12 2008-03-17 서경배 Device for correcting bowleg
KR20080024179A (en) 2008-02-29 2008-03-17 서경배 Device for correcting bowleg
KR101285947B1 (en) * 2013-01-04 2013-07-12 김동권 Correcting device for leg
CN207821962U (en) * 2017-03-22 2018-09-07 安徽工业大学 A kind of O-shaped leg apparatus for correcting of inflatab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094A (en) * 1997-11-03 1999-06-05 최인호 Detachable Abduction Orthosis
KR200394190Y1 (en) * 2005-06-01 2005-08-30 바이오메카닉스 (주) A footing control device for correcting lege
KR20080023965A (en) * 2006-09-12 2008-03-17 서경배 Device for correcting bowleg
KR20080024179A (en) 2008-02-29 2008-03-17 서경배 Device for correcting bowleg
KR101285947B1 (en) * 2013-01-04 2013-07-12 김동권 Correcting device for leg
CN207821962U (en) * 2017-03-22 2018-09-07 安徽工业大学 A kind of O-shaped leg apparatus for correcting of infla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611B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83B1 (en) Method for correcting pathological configurations of seg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evice for realizing same
US953915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ducing knee pain and/or increasing levels of athletic performance
US8308669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KR101626907B1 (en) The mechanism of the knee joint to assist
US10765548B2 (en) Knee joint orthosis
JP6739625B2 (en) Varus knee correction device
US10085869B2 (en) Knee orthosis for treatment of PCL injury
JP2009165816A (en) Auxiliary instrument for correction of knee joint
KR20010082211A (en) Knee brace with sagittal adjustment
KR100877764B1 (en) Functional footwear for regressiveness knee joint flame
KR20170023828A (en) Leg orthosis and orthosis
US20200246171A1 (en) Orthopedic Device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Complications
JP6890902B2 (en) Lower limb orthosis for flat feet
EP3362007B1 (en) Customizable knee brace intended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US20120253253A1 (en) Adjustable-Sole, Hinged Equinus Brace With Toe Wedge
KR20160020004A (en) The mechanism of the knee joint to assist
Woo Spasticity: orthopedic perspective
KR20120126326A (en) A Knee brace assembly for correcting varus and valgus of knee
KR101848639B1 (en) Apparatus for curing degenerative arthritis knee
KR101815274B1 (en) Knee brace
KR101666211B1 (en) A angular defomity correction device using air pressure
KR102340611B1 (en) Orthopaedic device for correcting articulation
KR102017518B1 (en) Apparatus of joint assistance
JP2022542615A (en) Compression garment for lower body shape and gait correction for bent leg deformity
KR102014538B1 (en) Orthosis for pelvic and hip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