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73A -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73A
KR20210032073A KR1020190113316A KR20190113316A KR20210032073A KR 20210032073 A KR20210032073 A KR 20210032073A KR 1020190113316 A KR1020190113316 A KR 1020190113316A KR 20190113316 A KR20190113316 A KR 20190113316A KR 20210032073 A KR20210032073 A KR 2021003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mposition
inflamma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용규
Original Assignee
(주)네이처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이처포 filed Critical (주)네이처포
Priority to KR102019011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073A/ko
Publication of KR2021003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이나 염증과 같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황백, 황금, 작약, 백선피, 지모, 백반, 용뇌, 박하, 목향, 금은화, 감초, 차전자, 한련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lleviating and improving heat and inflammation of skin}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이나 염증과 같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으로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의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표피 아래의 진피는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와 같은 기질 단백질로 이루어져 혈관, 신경, 땀샘 등이 있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아, 이로부터 피부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피부질환은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이거나, 외계로부터 직접 피부에 작용하는 마찰, 압박, 온열, 한랭 등 자극에 의해 일어나기도 한다. 특히, 온열, 습열과 같은 조건에서는 땀띠나 발진이 발생하기 쉽고, 세균 증식이 용이한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피부질환이 쉽게 유발될 수 있다.
인체의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체내에서 발생하는 열(熱)은 일정 온도 범위 내에서는 인체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두통, 설사, 오한 등과 같은 생리적 부작용은 물론, 피부 가려움증, 습진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열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39896호, 등록특허 제10-1150445호의 피부용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 조성물은 열이 발생하는 피부 부위에 대한 세정 및 기화작용에 의한 냉각이어서 냉각 지속성이 장시간 유지될 수 없고, 또한 열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피부질환을 개선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39896호(발명의 명칭: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갖는 자일리톨 지방산 에스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0445호(박하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도포된 냉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자들은 열이나 염증으로 인한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것에 대하여 꾸준히 연구하던 중 천연물 한약재 추출물이 매우 효과적으로 피부 열을 낮추어 준다는 것을 임상적으로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피부의 열이나 염증을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백, 황금, 작약, 백선피, 지모, 백반, 용뇌, 박하, 목향, 금은화, 감초, 차전자, 한련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황백 21~29중량%, 황금 2~8중량%, 작약 5~13중량%, 백선피 5~13중량%, 지모 2~8중량%, 백반 5~11중량%, 용뇌 2~8중량%, 박하 2~8중량%, 목향 2~8중량%, 금은화 2~8중량%, 감초 2~8중량%, 차전자 2~8중량%, 한련초 2~8중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발열에 의한 홍조를 완화하는데 효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염증에 의한 부종, 진물, 찰과, 태선화, 여드름, 땀띠 중 어느 하나를 개선하는데 효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완화 및 개선효능은 증상부위의 피부면적과 색깔을 기준으로 평가한 평가척도에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마스크팩, 하이드로겔,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에센스, 폼클렌징, 팩, 연고, 에멀젼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조성물은 열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트러블인 홍조·열감, 부종, 진물, 찰과상, 태선화, 건조함, 여드름, 땀띠를 완화 또는 개선하는데 효능이 발현됨에 따라 햇빛 등에 노출된 피부 손상을 억제하거나 피부 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효능실험 대상자의 피부트러블 상태를 기록하는 기록지이다.
도 2는 효능실험 대상자의 피부트러블 평가의 객관성을 위하여 각각의 척도에 해당하는 피부증상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효능실험 대상자 20명의 실험 전 피부트러블 상태를 기록한 기록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효능실험 대상자 20명의 실험 후 피부트러블 상태를 기록한 기록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도포 전,후의 피부트러블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사용 실험 전, 후의 피부트러블 증상 각각에 개선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 재료의 선발 및 조성물 준비
약초학에 기초한 문헌 연구를 통해 황백, 황금, 작약, 백선피, 지모, 백반, 용뇌, 박하, 목향, 금은화, 감초, 차전자, 한련초의 총 13종의 한약재를 선택하였다. 한약재는 씨케이주식회사(Seoul, Republic of Korea)에서 생약제제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였다.
13종의 한약재는 각각 황백 21~29중량%, 황금 2~8중량%, 작약 5~13중량%, 백선피 5~13중량%, 지모 2~8중량%, 백반 5~11중량%, 용뇌 2~8중량%, 박하 2~8중량%, 목향 2~8중량%, 금은화 2~8중량%, 감초 2~8중량%, 차전자 2~8중량%, 한련초 2~8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혼합된 13종의 한약재를 3차 증류수 40L를 용매로 하여 80℃에서 11시간 동안 증류추출한 후, 여과하여 채취한 상등액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조성물(AAIC)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AAIC 분말을 각각 실험에 맞게 설정된 농도에 따라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Welgene, Gyeongsan-si,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에 용해하여 준비하였다.
실험예 : 피부트러블을 가지는 실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분사
평소 홍조, 열감, 여드름, 땀띠와 같은 피부트러블 증상을 가지고 있는 연령이 만 19세 이상인 성인 20명(여성: 17명, 남성: 3명)을 대상으로 피부전문가와 1대 1 면담 후 현재의 피부증상에 관한 상태를 기록하였다. 피부트러블은 홍조, 부종, 진물, 찰과, 태선화, 건조함, 여드름, 땀띠를 대상으로 하였고, 각각의 피부트러블의 나쁨 정도에 따라 4점 척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1점: 보통, 2점: 조금 나쁨, 3점: 나쁨, 4점: 아주 나쁨). 육안으로 이루어지는 피부트러블 평가의 객관성을 위하여 각각의 척도에 해당하는 피부증상을 도 2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증상부위의 피부면적과 색깔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대상자 20명의 피부트러블 상태를 측정한 기록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실험대상자는 1개 이상의 피부트러블 증상을 가지고 있다. 실험 대상자는 실시예1의 조성물을 증상이 나타난 피부부위에 14일 동안 아침, 점심, 저녁의 3회에 걸쳐 분사하였다.
실험결과: 실시예에 의한 피부트러블 완화 또는 개선 효능
도 4는 실시예를 사용한 효능실험 대상자 20명의 실험 후 피부트러블 상태를 기록한 기록지로, 실험 전 면담한 피부전문가와 1대 1 면담을 통해 피부트러블 상태가 평가되었다. 도 5는 실험 전,후의 피부트러블 비교사진이고, 도 6은 실험 전, 후의 피부트러블 증상 각각에 개선 정도를 평균값으로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실시예를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면 피부트러블의 증상이 전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험 전 피부트러블 각 항목의 증상 점수는 평균적으로 낮게는 1.4점에서 높게는 2.55점 까지 나타났으며, 특히 홍조·열감, 건조함, 여드름·뾰루지에서 평균 2점 이상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시험 후 피부트러블 증상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는데, 구체적으로는 홍조 또는 열감은 40.9%, 부종은 17.8%, 진물은 18.5%, 찰과상은 28.9%, 태선화는 25.7%, 건조함은 37.2%, 여드름은 27.9%, 땀띠는 30.5% 감소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험 결과로 볼때, 열 스트레스에 대해 효과적인 냉감 작용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되며, 이에 따라 홍조·열감, 부종, 진물, 찰과상, 태선화, 건조함, 여드름 및 땀띠와 같은 피부트러블 증상에 대한 염증완화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마스크팩, 하이드로겔,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에센스, 폼클렌징, 팩, 연고, 에멀젼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6)

  1. 황백, 황금, 작약, 백선피, 지모, 백반, 용뇌, 박하, 목향, 금은화, 감초, 차전자, 한련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백 21~29중량%, 황금 2~8중량%, 작약 5~13중량%, 백선피 5~13중량%, 지모 2~8중량%, 백반 5~11중량%, 용뇌 2~8중량%, 박하 2~8중량%, 목향 2~8중량%, 금은화 2~8중량%, 감초 2~8중량%, 차전자 2~8중량%, 한련초 2~8중량%을 포함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발열에 의한 홍조를 완화하는데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염증에 의한 부종, 진물, 찰과, 태선화, 여드름, 땀띠 중 어느 하나를 개선하는데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및 개선효능은 증상부위의 피부면적과 색깔을 기준으로 평가한 평가척도에서 향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스크팩, 하이드로겔,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에센스, 폼클렌징, 팩, 연고, 에멀젼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90113316A 2019-09-16 2019-09-16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16A KR20210032073A (ko) 2019-09-16 2019-09-16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16A KR20210032073A (ko) 2019-09-16 2019-09-16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73A true KR20210032073A (ko) 2021-03-24

Family

ID=7525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16A KR20210032073A (ko) 2019-09-16 2019-09-16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0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45B1 (ko) 2010-12-29 2012-06-01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박하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도포된 냉감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39896A (ko) 2012-09-25 2014-04-02 지준홍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갖는 자일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45B1 (ko) 2010-12-29 2012-06-01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박하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도포된 냉감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39896A (ko) 2012-09-25 2014-04-02 지준홍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갖는 자일리톨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ll et al. Are plants used for skin care in South Africa fully explored?
CN103751725A (zh) 一种抗炎杀菌去痘美白的药物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CN107157853A (zh) 一种植物型保湿防冻裂护手霜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8361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750015A (zh) 一种具有祛痘印、祛痘疤功效的祛痘组合物及制备方法
CN102973802B (zh) 治疗敏感性皮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177100A (zh) 一种具有祛痘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02274153B (zh) 具有保湿功效的护肤组合物
CN111956573A (zh) 一种婴儿水分霜及其制备方法
KR100891986B1 (ko) 생약 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2073A (ko) 피부 열 및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078903B (zh) 一种植物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50108610A (ko) 한약 성분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화장품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CN108815077B (zh) 一种中药保湿护手霜及其制备方法
KR20220058240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조성물
Lavanya et al. Aloe vera on skin.
CN108379133A (zh) 中药美容护肤品
CN105748375A (zh) 一种祛斑液
Jamshiya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kin Cream for Wound Healing
CN106692458A (zh) 治疗痤疮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Zohreh et al. Medicinal herbs effective on th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