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968A -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및 발사 기기 - Google Patents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및 발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968A
KR20210031968A KR1020217004982A KR20217004982A KR20210031968A KR 20210031968 A KR20210031968 A KR 20210031968A KR 1020217004982 A KR1020217004982 A KR 1020217004982A KR 20217004982 A KR20217004982 A KR 20217004982A KR 20210031968 A KR20210031968 A KR 2021003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threshold
configuration information
received signal
channel occup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니우
야쥔 자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3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발사 기기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하였다. 상기 방법은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발사 기기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발사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07월 20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810802444.5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사용자 데이터가 신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스펙트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미 할당된 면허 스펙트럼은 거의 포화 상태에 접근하여, 더 많은 스펙트럼을 할당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통신사에게 있어서 면허 스펙트럼의 높은 비용은 높은 원가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비면허 스펙트럼은 매우 높은 사용 영활성을 가지고, 더 많은 주파수 대역 선택과 더욱 큰 대역폭을 가진다.
면허 스펙트럼과 동일하게, 스펙트럼 이용률 및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고주파 비면허 스펙트럼에 대해 beamforming(빔포밍) 기술 또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beamforming은, 발사 기기(예를 들면, 기지국)가 복수의 beam을 사용하여 발사하는 것이다. 특정 수신 기기(예를 들면, 단말)의 경우, 특정 발사 기기의 발사 beam(빔)에 대해, 수신시 특정 수신beam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발사beam과 수신beam 사이의 대응 관계가 형성된다.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경쟁 메커니즘이 존재함으로 인해, 발사 기기 간의 경쟁은 간섭으로 변화된다. 통신사가 비면허 스펙트럼을 서비스 대역폭으로 사용하는 경우, 간섭 관계는 면허 스펙트럼에 비해 더욱 복잡하게 된다. 또한, beamforming기술 채택 후, 관련 기술에서의 간섭 측정은 더 이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기에, beam상의 간섭을 발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 기술에서의 간섭 측정 방식이 beam상의 간섭을 발견하지 못하는 문제에 대해, 관련 기술에서는 대응되는 해결 방안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출원은 적어도 관련 기술에서 빔 레벨 상의 간섭을 구분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발사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간섭 발견 방법은: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간섭 발견 방법은: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수신 기기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간섭 발견 장치는: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수신 모듈;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측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간섭 발견 장치는: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설치된 구성 유닛;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수신 기기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신 기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수신 기기에 적용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발사 기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발사 기기에 적용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제1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제1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수신 기기에 적용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발사 기기에 적용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각 실시예는 빔 레벨을 구분하는 간섭 측정 기술을 구현하여, 발사 기기 및 수신 기기가 적절한 서비스 빔을 찾도록 도울뿐만 아니라, 또한 발사 기기 및 수신 기기가 스펙트럼의 부하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간섭 발견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간섭 발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간섭 발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간섭 발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간섭 발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수신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발사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사용자 데이터가 신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스펙트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이미 할당된 면허 스펙트럼은 거의 포화 상태에 접근하여, 더 많은 스펙트럼을 할당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통신사에게 있어서 면허 스펙트럼의 높은 비용은 높은 원가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2.4GHz와 같은 비면허 스펙트럼은 매우 높은 사용 영활성을 가지고, 더 많은 주파수 대역 선택과 더욱 큰 대역폭을 가지므로, 통신사는 점차적으로 비면허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러나, 비면허 스펙트럼은 공유 스펙트럼이므로, 사용자는 반드시 경쟁 방식을 통해 스펙트럼 사용권을 획득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데이터 송신 전에 스펙트럼을 점유해야 하는데, 점유가 성공 시에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 번의 점유 성공을 계속하여 기다려야 한다. 또한 스펙트럼 점유 메커니즘은 반드시 공정해야 한다. 이를 감안하여, 관련 기술에서의 일부 표준은 "Listen Before Talk"(LBT)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단 기기가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사용 중인지를 모니터링하거나 감지하며,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 송신단 기기는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송신단 기기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Listen Before Talk는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기술이며, 리슨 비포 토크라고도 한다.
이로부터 추론할 수 있듯이, 비면허 스펙트럼에서는 경쟁 메커니즘의 존재로 인해, 노드 간의 경쟁이 간섭으로 변화된다. 통신사가 비면허 스펙트럼을 서비스 대역폭으로 사용하는 경우, 간섭 관계는 면허 스펙트럼에 비해 더욱 복잡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단말과 WIFI, 기지국과 기지국, 기지국과 단말 및 단말과 단말 간에는 모두 상호 경쟁 관계가 존재한다. 이밖에, WIFI는 스펙트렘의 커버리지 범위가 작으므로, 이러한 경쟁 관계는 단지 주변의 노드에서만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부근에 WIFI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 주변의 이러한 WIFI 노드를 발견하지 못하고,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러나, WIFI 간섭이나 경쟁으로 인해 단말은 심한 간섭을 받으며, 심지어는 스펙트럼 사용을 획득하지 못하며, 기지국에게 있어서, 이러한 WIFI 노드는 히든 노드이다.
일부 표준에는 두 개의 측정량, 즉 수신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및 channelOccupancy(채널 점유율)이 도입된다. 단말은 각각의 측정 시각/심볼 상에서 측정 주파수 대역 상에 수신된 모든 전력(동일 채널 신호, 인접한 채널의 간섭, 열잡음 등 포함)을 측정하여 RSSI 값을 얻는다. 또한, 단말은 일정 시간 내에 평균 RSSI 값을 다시 계산하여 측정량 RSSI를 얻고, RSSI 샘플 값이 일정 스레시홀드 값보다 큰 백분율을 계산하여 측정량 channelOccupancy을 얻는다. 측정량 RSSI는 스펙트럼에서 받을 수 있는 간섭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는데, 단말이 RSSI 값을 보고하였다고 가정하는 경우, 기지국에서 단말이 높은 간섭 상태에 놓였다고 판단하면, 간섭이 비교적 적은 스펙트럼을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측정량 channelOccupancy은 스펙트럼의 점유 확률을 짐작할 수 있으며, 단말이 channelOccupancy를 보고하였다고 가정하는 경우, 기지국에서 단말이 스펙트럼을 점유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기지국은 더욱 쉽게 점유할 수 있는 스펙트럼을 단말에 지시할 수있다.
아울러, 고주파 비면허 스펙트럼은 실제 네트워크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5GHz, 37GHz 및 60GHz는 전부 매우 큰 가용 대역폭을 가진다. 면허 스펙트럼과 동일하게, 스펙트럼 이용률 및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주파 비면허 스펙트럼에 대해 beamforming 기술 또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beamforming에 대해, 기지국은 복수의 beam 방향을 사용하여 발사한다. 특정 단말의 경우, 특정 노드의 발사 beam에 대해, 수신시 특정 수신beam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발사beam과 수신beam 사이의 대응 관계가 형성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한 쌍의 발사beam과 수신beam 마다 독립적인 간섭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beamforming 기술을 채택한 후, 관련 기술에서의 측정량 RSSI 및 channelOccupancy는 더 이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시나리오에서, 관련 기술에서의 RSSI 및 channelOccupancy 측정은 단말이 beam 1 방향에서 WIFI 간섭을 받고 있지만, 기타 beam 방향에서는 간섭이 없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beam 레벨 측정량을 도입하여, beam 상에서의 간섭을 발견하고 기지국과 단말이 적절한 서비스 beam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기반하여, 수신 기기와 발사 기기가 beam의 간섭을 쉽게 구분하도록 하기 위해, 수신 기기는 특정 발사beam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발사 기기에 의해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 기기는 대응되는 수신beam에 따라 발사beam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은 본 개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본 개시의 범위를 본분야의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후술되는 설명에서, "모듈", "부품" 또는 "유닛"과 같이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미사는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는데 유리하기 위함이며, 그 자체로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 따라서 "모듈", "부품" 또는 "유닛"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와 같이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두사는 본 출원을 설명하는데 유리하기 위함이며, 그 자체로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발견 방법을 제공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01),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02),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되,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수신 기기에 적용되며, 여기서 수신 기기는 수신단 기기로 설명될 수도 있으며,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일 수 있고, 발사 기기는 송신단 기기로 설명될 수도 있으며,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노드일 수 있다.
본 말명의 실시예는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연관된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여, beam 레벨을 구분하는 간섭 측정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발사 기기와 수신 기기가 적절한 서비스 beam을 찾도록 도와주며, 또한 발사 기기와 수신 기기가 스펙트럼의 부하 상황을 모니터링 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사 기기와 수신 기기가 각각 기지국과 단말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말과 기지국이 beam 간섭을 편리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단말은 특정 발사beam에 대해 측정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은 대응되는 수신beam에 따라 발사beam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발사빔의 관련 정보를 통해 발사빔을 식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발사빔의 관련 정보는 이에 대응되는 beam ID(빔의 유일한 식별 번호)/SSB index(동기화 브로드캐스트 블록 인덱스)/CSI-RS resource ID(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등일 수 있다.
우선, 단말은 특정 발사beam에 대해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 측정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는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과 연관될 수 있다. 즉, 발사빔의 관련 정보를 통해 연관되는 발사빔을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를 표시하고; SSB는 동기화 브로드캐스트 블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 구성 및/또는 측정 대상 구성 및/또는 측정 보고 구성 및/또는 관리 구성 및/또는 RLM 구성을 포함하며, 여기서, 측정 구성은 측정 파라미터의 구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측정 대상 구성 정보에는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구성과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의 연관 관계도 포함될 수 있으며,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발사빔 관련 정보, 및 주기, 오프셋, 지속 시간 등을 포함하는 측정 시각/심볼과 같은 수신 측정의 측정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측정 대상 구성 정보는: 상기 발사빔의 관련 정보와 측정 구성 간의 연관 관계 식별; 상기 발사빔의 관련 정보 식별; 및 상기 수신 측정의 측정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측정 대상 구성에서 연관된 발사빔은 상이한 측정 구성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은 상이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측정 구성에 대응된다.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구성이 하나의 리스트이고, 또한 리스트 중의 각각의 항목이 모두 하나의 측정 구성이며, 각각의 측정 구성에서 식별자를 정의한다고 가정하면, 해당 식별자는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후보를 측정 시각/심볼과 연관시키며,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후보는 측정 시각/심볼과 일일이 대응될 수 있고, 각각의 연관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은 모두 상이한 측정 시각/심볼을 구성할 수 있다.
2. 측정 대상 구성에서 연관된 발사빔은 동일한 측정 구성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은 동일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측정 구성에 대응된다.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구성이 모든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후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후보는 하나의 리스트일 수 있으며, 또한, 모든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후보는 동일한 측정 시각/심볼을 구성한다.
3. 측정 대상 구성에서 기지국이 연관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을 구성하지 않고, 시스템 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측정 및 탐지 가능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4.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구성에서, 노드는 연관이 필요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을 구성하지 않고, RSRP/RSRQ/SINR에 의해 측정되는 참조 신호 구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는 참조 신호의 수신 공률을 표시하고, RSRQ(ReferenceSignalReceivingQuality)는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표시하며,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은 신호대잡음비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 구성에서, 단말은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과 연관된는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측정 보고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될 수 있다.
1.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에 기반한 측정 보고의 보고 필요 여부.
2. 단말은 가장 바람직한 N 개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며, 여기서, N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보고해야 할 측정 결과의 최대 개수이다.
3. 단말은 가장 바람직한 M 개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며, 여기서, M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측정 결과가 특정 임계치보다 큰 측정 결과이며, 여기서 임계치는 노드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 구성에서, 단말은 주기적인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측정 보고 구성에서, 단말은 이벤트성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노드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의 측정 결과에 대해, 다음의 이벤트 중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1. Entering condition(진입 조건): 서비스 beam의 RSSI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보다 낮으며; Leaving condition(이탈 조건): 서비스 beam의 RSSI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보다 높다.
2. Entering condition: 서비스 beam의 channelOccupancy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보다 낮으며; Leaving condition: 서비스 beam의 channelOccupancy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보다 높다.
3. Entering condition: 서비스 beam의 RSSI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1보다 낮고, 서비스 beam의 channelOccupancy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2보다 낮으며; Leaving condition: 서비스 beam의 RSSI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1보다 높거나, 서비스 beam의 channelOccupancy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2보다 높다.
4. Entering condition: 서비스 beam의 RSRP/RSRQ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 1 보다 낮고, 서비스 beam의 RSSI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2보다 낮으며, 서비스 beam의 channelOccupancy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3보다 낮으며; Leaving condition: 서비스 beam의 RSRP/RSRQ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1보다 낮거나, 서비스 beam의 RSSI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2보다 높거나, 서비스 beam의 channelOccupancy 결과가 대응되는 임계치3보다 높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 구성에서, 단말은 비주기적/일회성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은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물리 계층(Physical, PHY) 명령을 통해 단말이 수신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 결과를 보고하도록 구성한다.
1. MAC/PHY 명령은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을 운반하고,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은 상기 측정 대상에서 구성된 연관 관계이다.
2. MAC/PHY 명령은 단말이 전부 또는 단말에 의해 탐지 및 식별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을 측정하도록 디폴트한다.
그 다음, 단말이 측정 구성을 수신한 후, 연관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에 따라,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을 수행한다. 즉,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연관된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한 후,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상기 발사빔에 연관된 측정보고를 보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특정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에 대응되는 beam 방향을 측정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더 구성되며, 단말은 대응되는 beam 방향, 대응되는 측정 시각(주기, 오프셋 및 지속 시간 등을 포함)에서, 모든 수신된 공률을 측정하여, 이러한 beam 방향에서의 RSSI 샘플값을 얻은 다음, 이러한 beam에 대해 각각 처리를 수행하여, 각각의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값을 얻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또한 측정 대상 구성 및 측정 보고 구성에 따라, beam레벨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값을 보고하도록 트리거링될 수 있다.
트리거링 조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주기적인 보고 조건을 만족한다.
2. 이벤트성 보고 조건을 만족하되, 어느 한 측정 결과가 해당 측정 이벤트의 entering condition을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하거나; 또는, 해당 측정 이벤트의 leaving condition을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트리거링한다고 가정한다.
3. 일회성 보고 조건을 만족하되, 이는 금방 완료한 한번의 측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 보고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1. 단말은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결과에서 가장 바람직한 N 개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단말은 각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값 순서 배정에 따라, 측정값 중에 가장 높은 N 개의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측정 결과를 선택한다.
2. 단말은RSRP/RSRQ 측정 결과에서 가장 바람직한 N 개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단말은 각 beam의 RSRP/RSRQ 값 순서 배정에 따라, 측정값 중에 가장 높은 N 개의 beam에 대응되는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측정 결과를 선택한다.
3. 단말은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결과에서 가장 바람직한 M 개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되, 단말은 각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값의 순서 배정에 따라, 측정값이 특정 임계치보다 큰, 가장 높은 M개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측정 결과를 선택한다.
4. 단말은RSRP/RSRQ 측정 결과에서 가장 바람직한 M 개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단말은 각 beam의 RSRP/RSRQ 값의 순서 배정에 따라, 측정값이 특정 임계치보다 크며, 가장 높은 M 개의 beam 대응되는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결과를 선택한다.
5. 단말은 모든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6. 단말은 탐지된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7. 단말은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이벤트성 조건을 만족하는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 결과는 각 beam의 측정 결과에 연관되는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측정 구성에서 연관된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이다.
2. 측정 구성에서 정의된 식별자-해당 식별자는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후보와 연관된다.
3. 단말에 의해 감지된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이다.
4. 단말에 의해 보고되지 않는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은 디폴트 순서에 따라 보고하며, 디폴트 순서는 beam ID/SSB index/CSI-RS resource ID 등 순서의 오름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eam레벨의 측정 결과는, 즉 단말은 높은 레벨 단말의 높은 레벨에 보고할 수도 있고, 기지국에 보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한 후,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가 다음의 조건 중 하나에 도달하면 탈조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는 대응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다.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대응되는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한 후, 상기 수신 측정의 측정 보고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빔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가능한 빔은 다음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한다.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는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지 않다.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은 대응되는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지 않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발견 방법을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01),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202),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단계(S203), 상기 수신 측정의 측정 보고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빔을 확인하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가능한 빔은 다음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한다.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는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보다 높지 않다.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은 대응되는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지 않다.
예를 들어, 관련 기술에서 beam 관리에 대해, 단말은 L1-RSRP(레이어1-RSRP)에 따라 가장 우수한 beam을 선택한다. 그러나 L1-RSRP는 해당 발사 beam의 신호 품질만 판단할 수 있을뿐, 해당 beam 방향에서의 간섭 상황을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beam 관리에 대해서도, beam 방향에서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 측정에 따라, 간섭이 작은 beam을 선택할 수 있다.
우선, 기지국은 beam 관리의 관리 구성을 위해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은beam 관리를 위해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의 사용 필요 여부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어떠한 후보 beam에 대해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측정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의 시각/심볼(예를 들어, 주기, 오프셋, 지속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이한 후보 beam에 대해 상이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의 시각/심볼을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상이한 후보 beam에 대해 동일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의 시각/심볼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후보 beam에 대해 RSSI 임계치 1(즉,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또는 channelOccupancy의 임계치 2(즉,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를 구성한다.
단말은 또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의 구성을 보고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보고되는 유형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보고되는 PUCCH 주기, 타임 슬롯, 심볼 및 보고되는 PUCCH 주파수 영역 위치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MAC CE/PDCCH를 통해 단말이 후보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를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상기 구성들을 수신한 후, 단말이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면, 단말은 후보 beam에 대해 측정 시각/심볼에서 각각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 결과를 얻는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임계치에 따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beam을 선택하며, 조건은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1. 특정 beam의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즉,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낮다.
2. 특정 beam의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즉,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낮다.
3. 특정 beam의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1 (즉,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낮고, 특정 beam의 channelOccupancypancy 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2(즉,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 보다 낮다.
4. 특정 beam의 RSRP가 대응되는 RSRP 임계치1(즉,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고, RSSI 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2보다 낮다.
5. 특정 beam의 RSRP가 대응되는 RSRP 임계치1(즉,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고,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2(즉,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 보다 낮다.
6. 특정 beam의 RSRP가 대응되는 RSRP 임계치1보다 높고,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2(즉,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낮으며, channelOccupancypancy 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3(즉,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 보다 낮다.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단말은 해당 beam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beam으로 판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beam 레벨의 RSSI를 통해 셀 레벨의 RSSI를 합성할 수 있다.
단말이 측정을 통해 각 beam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를 얻었다면, 노드의 구성에 따라, 여러 개의 빔 결과를 선택하여, 셀 레벨을 대표하는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기지국은 N 값에 대해 구성/브로드캐스트 한다.
물론, 기지국은 N 값에 대해 구성/브로드캐스트하지 않고, N 값을 모든 beam 개 수로 디폴트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하나의 임계치를 구성/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후 모든 beam 결과에서 일부 beam 결과를 선택하여, 이 beam들의 평균값을 얻음으로써, 셀 레벨의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를 얻는다.
예를 들어, 다음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선택한다.
측정 결과가 가장 바람직한 N 개의 빔을 선택한다.
모든 beam을 선택한다.
특정 임계치보다 큰 beam을 선택한다.
RSRP가 특정 임계치보다 큰 beam을 선택한다.
RSRP 값에서 측정 결과가 가장 바람직한 N 개의 beam을 선택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발견 방법을 제공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301),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302),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단계(S303),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가 다음의 조건 중 하나에 도달하면 탈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대응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다.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대응되는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다.
즉, 단말은 측정 구성 정보 중의 RLM 구성을 수신한 후, RLM(Radio Link Monitoring,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함으로써, 캐리어가 간섭받는 경우 및 캐리어 점유 확률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RLM 구성에는 캐리어가 간섭받는 경우 및 캐리어 점유 확률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RLM 구성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단말은 캐리어가 간섭받는 경우 및 캐리어 점유 확률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이 캐리어가 간섭받는 경우 및 캐리어 점유 확률에 대해 모니터링할지 여부 또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이 RLM할 때의 측정 시각/심볼(주기, 오프셋, 지속 시간 등을 포함) 또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 참조 신호(Radio Link Monitoring Reference Signal, RLM-RS)에 대해 전부 상이한 측정 시각/심볼이 구비되거나; 다른 예를 들어, 모든 RLM-RS에 대해 전부 동일한 측정 시각/심볼이 구비된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탈조를 지시하는 RSSI 임계치를 구성하는 구성 정보;
기지국에 의해 탈조를 지시하는 channelOccupancy 임계치를 구성하는 구성 정보;
기지국에 의해 동기화를 지시하는 RSSI 임계치를 구성하는 구성 정보; 및
기지국에 의해 동기화를 지시하는 channelOccupancy 임계치를 구성하는 구성정보; 를 수신한 후, RLM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각각의 측정 시각/심볼에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평가 주기 내의 모든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 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크고, 및/또는 모든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큰 경우, 높은 레벨에 탈조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각각의 측정 시각/심볼에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평가 주기 내의 모든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 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크고, 및/또는 모든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크며, 무선 링크 품질이 모두 대응되는 품질 임계치 3보다 낮은 경우, 높은 레벨에 탈조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모든 측정 시각/심볼에서 하나의RSSI 및 하나의 channelOccupancypancy를 계산한다.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크고,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큰 경우, 높은 레벨에 탈조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모든 측정 시각/심볼에서 하나의RSSI 및 하나의 channelOccupancypancy를 계산한다.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크고,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크며, 무선 링크 품질이 모두 대응되는 품질 임계치 3 보다 작은 경우, 높은 레벨에 탈조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각각의 측정 시각/심볼에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평가 주기 내의 모든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 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고, 및/또는 모든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높은 레벨에 동기화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각각의 측정 시각/심볼에서, RSSI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평가 주기 내의 모든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 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고, 및/또는 모든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작으며, 무선 링크 품질이 모두 대응되는 품질 임계치 3 보다 큰 경우, 높은 레벨에 동기화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모든 측정 시각/심볼에서 하나의RSSI 및 하나의 channelOccupancypancy를 계산한다.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고,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높은 레벨에 동기화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LM의 평가 주기 내에, 다수의 측정 시각/심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모든 측정 시각/심볼에서 하나의RSSI 및 하나의 channelOccupancypancy를 계산한다. RSSI가 대응되는 RSSI 임계치1(즉,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작고, 및/또는 channelOccupancypancy가 대응되는 channelOccupancypancy 임계치 2(즉,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작으며, 무선 링크 품질이 모두 대응되는 품질 임계치 3 보다 큰 경우, 높은 레벨에 동기화를 지시한다.
물론, 탈조 지시는 이유를 운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니터링된 간섭이 큰 것, 및/또는 캐리어 점유 확률이 낮은 것, 및/또는 RSSI가 큼으로 인한 것, 및/또는 channelOccupancy가 큼으로 인한 것이다.
단말이 일정 시간 내에 연속하여 N개의 탈조 지시를 수신하며, 운반 이유가 모니터링된 간섭이 큰 것, 및/또는 캐리어 점유 확률이 낮은 것, 및/또는 RSSI가 큼으로 인한 것, 및/또는 channelOccupancy가 큼으로 인한 것인 경우, 캐리어 선택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발견 방법을 제공하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401),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단계(S402),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수신 기기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 점유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발사 기기에 사용되며, 여기서, 수신 기기는 수신단 기기로 설명될 수 있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일 수 있으며, 발사 기기는 송신단 기기로 설명될 수 있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노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어, beam 레벨을 구분하는 간섭 측정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발사 기기 및 수신 기기가 적절한 서비스 beam을 찾도록 도울뿐만 아니라, 발사 기기 및 수신 기기가 스펙트럼의 부하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 기기가 보고하는,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링크 품질의 임계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또는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발사빔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사빔의 임계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또는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구현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기지국 측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응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발견 장치를 제공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0);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 모듈(12);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의 점유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를 평가하는 평가 모듈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 모듈은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가 다음의 조건 중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탈조로 판단한다.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대응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다.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대응되는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측정 측정 보고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빔을 확인하는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가능한 빔은 다음의 조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지 않다.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대응되는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 보다 높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구현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응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섭 발견 장치를 제공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유닛(20);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22);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수신 기기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또는 채널의 점유율을 포함하며, 구성 유닛은 송신 유닛과 통신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기기가 보고하는,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유닛(22)은 또한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더 구성하되, 상기 무선 링크 품질의 임계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또는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 유닛(22)은 발사빔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더 구성하되, 상기 발사빔의 임계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또는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구현시, 실시예 4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응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수신 기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간섭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단계를 구현한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발시 기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간섭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시예 4 에서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단계를 구현한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매체에는 간섭을 발견하는 제1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제1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실시예 4 에서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른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를 구체적으로 구현시, 상기 각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응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에서 용어 "포함", "구비" 또는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배타적의 포함을 의미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된 요소도 포함한다. 더 많은 제한 없는 경우,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장으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동일한 요소가 별도로 더 존재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번호는 설명을 위한 것일뿐, 실시예의 우열을 대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은 소프트웨어와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이 본질적으로 또는 관련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 (예를 들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컴팩트 디스크)에 저장되며,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Claims (21)

  1.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 채널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가,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은 조건;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은 조건; 중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탈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관련된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서비스 가능한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가능한 빔은,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지 않은 조건;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지 않은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6.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수신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수신 기기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 채널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성 정보를 수신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 기기가 보고하는,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링크 품질의 임계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 제 1 채널 점유율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사빔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사빔의 임계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방법.
  10. 발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수신 모듈;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측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 채널 점유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보고하도록 설치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도록 설치된 평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모듈은 상기 수신 측정 따라 얻은 측정 보고가,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은 조건;
    평가 주기 내에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은 조건; 중 하나에 도달하면 탈조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측정 보고에 의해, 서비스 가능함 빔을 확인하도록 설치된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가능한 빔이,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가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보다 높지 않은 조건;
    상기 수신 측정에 따라 얻은 채널 점유율이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보다 높지 않은 조건; 중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5. 수신 기기의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설치된 구성 유닛;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수신 기기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수신 기기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와 연관되는 발사빔에 대해 수신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수신 측정은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 및 채널 점유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기기가 보고하는, 상기 발사빔과 연관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또한,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구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무선 링크 품질의 임계치는 제1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 제1 채널 점유율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또한, 발사빔을 평가하기 위한 상기 수신 기기의 임계치를 구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사빔의 임계치는 제2 수신 신호의 강도 임계치 및 제2 채널 점유율 임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발견 장치.
  19.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기기.
  20.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 기기.
  21. 제1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제 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제1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며;
    상기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4982A 2018-07-20 2019-07-12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및 발사 기기 KR20210031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02444.5 2018-07-20
CN201810802444.5A CN110740452A (zh) 2018-07-20 2018-07-20 发现干扰的方法、装置、接收设备、发射设备及存储介质
PCT/CN2019/095725 WO2020015582A1 (zh) 2018-07-20 2019-07-12 发现干扰的方法、装置、接收设备、发射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968A true KR20210031968A (ko) 2021-03-23

Family

ID=6916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982A KR20210031968A (ko) 2018-07-20 2019-07-12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및 발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6438B2 (ko)
EP (1) EP3826350A4 (ko)
KR (1) KR20210031968A (ko)
CN (1) CN110740452A (ko)
AU (1) AU2019303683B2 (ko)
WO (1) WO2020015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8718B2 (en) * 2018-08-07 2023-12-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US11641595B2 (en) * 2018-08-17 2023-05-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occupancy information
CN110896555B (zh) * 2018-09-1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方法和装置
CN113260057A (zh) * 2020-02-13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以及通信设备
US11799567B2 (en) 2020-12-16 2023-10-24 Qualcomm Incorporated Beam-specific RSSI and CO for NR-U
WO2022151125A1 (en) * 2021-01-14 2022-07-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rectional signal strength indication and beam-specific measurement threshold
WO2023155586A1 (zh) * 2022-02-18 2023-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信道接入方法及通信装置
WO2023220901A1 (zh) * 2022-05-16 2023-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上报方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921B2 (en) * 2004-09-10 2015-03-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support for a smart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67135A1 (en) * 2011-06-03 2012-12-06 Skyfiber, Inc Active tracking f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CN102724727B (zh) * 2012-06-18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动态切换信道的方法和装置
KR101995798B1 (ko) 2012-07-03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GB2532067A (en) 2014-11-07 2016-05-1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KR102363547B1 (ko) 2014-11-26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6119475A1 (zh) 2015-01-30 2016-08-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质量指示cqi估计方法及装置
CN106060861B (zh) * 2015-04-15 2019-12-3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非授权频段载波的评估方法及应用其的演进节点
US10231165B2 (en) 2015-05-13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RRM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license assisted access
US10306597B2 (en) * 2015-07-21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level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mobility in cellular network
CN106686603B (zh) 2015-11-05 2020-1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干净评估检测方法和装置
US10244540B2 (en) * 2015-12-02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interference management
US11223403B2 (en) * 2016-05-05 2022-01-11 Nokia Technologies Oy Mobility measurements
US10616787B2 (en) * 2016-08-11 2020-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informa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JP6955000B2 (ja) * 2016-09-26 2021-10-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干渉測定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462764B1 (ko) * 2016-09-29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4g와 5g 공존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CN107888307B (zh) * 2016-09-30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干扰测量方法、装置及系统,干扰测量指示方法及装置
CN107888256B (zh) * 2016-09-30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US10849134B2 (en) * 2016-11-04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a range of beam correspondence in a wireless node
AU2016428464B2 (en) 2016-11-04 2022-02-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Beam measurement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06658751B (zh) * 2016-12-14 2020-06-02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多天线设备的信道接入方法及装置
US10681727B2 (en) * 2016-12-19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parameter selection during random access message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US10425878B2 (en) * 2017-01-09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to identify sets of multiple beams compatible with configurations for routing signals in a user equipment
US11272429B2 (en) * 2017-02-13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Initiation of mobility reference signal based on quality of initial access signals
US10708028B2 (en) * 2017-03-08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system
US10931514B2 (en) * 2017-03-31 2021-02-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beam recovery
US11368950B2 (en) * 2017-06-16 2022-06-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unlicensed spectru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67565B2 (en) * 2017-12-12 2019-07-3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beams
EP3769557A4 (en) * 2018-03-23 2022-01-26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WITHOUT A CODEBOOK
US11626917B2 (en) * 2018-03-29 2023-04-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Beam selection accelerator for wireless node scheduler
CN108777842B (zh) 2018-06-01 2020-04-24 东南大学 基于波束训练的移动终端定位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6350A1 (en) 2021-05-26
US20210297170A1 (en) 2021-09-23
US11936438B2 (en) 2024-03-19
WO2020015582A1 (zh) 2020-01-23
AU2019303683A1 (en) 2021-03-11
CN110740452A (zh) 2020-01-31
EP3826350A4 (en) 2022-04-20
AU2019303683B2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1968A (ko) 간섭 발견 방법, 장치, 수신 기기 및 발사 기기
US10405250B2 (en) RRM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system, terminal and base station
US10652774B2 (en) Prediction of quality of service of a possible future connection of a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KR101468129B1 (ko) 무선 네트워크 내의 무선 장치에 대한 통신 채널 조건에 관한 데이터의 수집 및 보고
US9072018B2 (en) Wireless channel switching using co-located radios
US20120213110A1 (en)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7852622B (zh) 间隙Gap选择方法及装置
CN110167055B (zh) 一种用于波束失败检测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60003253A (ko) 조밀한 무선 환경들에서의 통신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70041803A1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resource obtaining method and system
US8493923B2 (en) Path switching using co-located radios in a multi-hop wireless network
EP2858291B1 (en) Hidden node interference reduction
CN106797650B (zh) 低时延传输配置
CN106550395B (zh) 一种检测信号强度的方法及装置
JP200724362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EP3493566A1 (en) Wireless network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JPWO2020202394A5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20100030084A (ko) 클러스터 헤드를 위한 주파수 채널 할당 방법
US11849467B2 (en) Selecting transmission response message transmitter
CN107113636B (zh) 一种确定信道质量的方法及装置
Yoon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Sensor and Cognitive Radio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6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214

Effective date: 20240423